KR100857176B1 -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176B1
KR100857176B1 KR1020070000736A KR20070000736A KR100857176B1 KR 100857176 B1 KR100857176 B1 KR 100857176B1 KR 1020070000736 A KR1020070000736 A KR 1020070000736A KR 20070000736 A KR20070000736 A KR 20070000736A KR 100857176 B1 KR100857176 B1 KR 100857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ontainer
heater plate
container
outer container
shaf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4030A (ko
Inventor
강경모
Original Assignee
강경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모 filed Critical 강경모
Priority to KR1020070000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176B1/ko
Publication of KR20080064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4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 중에 교반을 요하는 죽과 같은 음식물을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조리용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부(11) 내부의 저면에 배치되는 히터판(12)과, 이 히터판(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14)와, 이 히터판(12)의 온도 및 작동시간을 설정하는 컨트롤부(16)를 포함하는 외부용기(10)와, 상기 외부용기(10)의 상단 개구부(13)를 개폐하는 커버(20)와, 상기 외부용기(10)의 수용부(11)에 끼워지는 내부용기(30)를 포함하는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판(12)의 중앙부에는 관통공(15)이 형성되고, 외부용기(10)의 저면 중심부에는 내장된 모터(22)에 축결되어 수평회전되는 구동날개(24)가 상기 관통공(15)을 통해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내부용기(30)의 중심부에는 축부재(32)가 밀봉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관통 설치되고, 상기 내부용기(30)의 외측 축부재(32)에는 상기 구동날개(24)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회전부재(34)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용기(30)의 내측 저면에는 상기 축부재(32)에 축결되어 회전되는 교반날개(38)가 구비된 조리용기가 제공된다.
죽, 교반, 조리용기, 날개, 모터

Description

조리용기{Cook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외관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외부용기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내부용기의 사시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내부용기의 저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외부용기 12. 히터판
15. 관통공 18. 장공
20. 커버 22. 모터
24. 구동날개 30. 내부용기
32. 축부재 34. 회전부재
38. 교반날개 39. 다리부
본 발명은 조리용기에 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죽이나 스프, 볶음요리 등과 같이 가열 중에 교반을 요하는 음식물을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조리용기에 대한 것이다.
죽이나 스프를 끓이기 위해서는 용기에 식재료와 물을 혼합한 후에, 오븐에 올려 놓고 가열하면서 풀처럼 될 때까지 저어야 한다. 만일 죽을 끓일 때 젓지 않으면, 죽이 타거나 눌러 붙게 된다. 또한, 볶음요리와 같은 것들도 식재료를 용기에 투입한 상태에서 서서히 젓지 않으면 용기 바닥에 접하는 음식물이 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죽이나 볶음요리 등은 조리 중에 사람이 지켜보면서 재료를 교반, 즉 저어주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게 된다. 따라서 이들 죽이나 스프 또는 볶음요리는 풍부한 영양소와 풍미를 지님에도 불구하고, 어떤 이들에게는 귀찮다는 이유로 기피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죽이나 스프 또는 볶음요리와 같이 가열 중에 교반을 요하는 음식물의 조리상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러한 음식물을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새로운 조리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수용부(11) 내부의 저면에 배치되는 히터판(12)과, 이 히터판(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14)와, 이 히터판(12)의 온도 및 작동시간을 설정하는 컨트롤부(16)를 포함하는 외부용기(10)와, 상기 외부용기(10)의 상단 개구부(13)를 개폐하는 커버(20)와, 상기 외부용기(10)의 수용부(11)에 끼워지는 내부용기(30)를 포함하는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판(12)의 중앙부에는 관통공(15)이 형성되고, 외부용기(10)의 저면 중심부에는 내장된 모터(22)에 축결되어 수평회전되는 구동날개(24)가 상기 관통공(15)을 통해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내부용기(30)의 중심부에는 축부재(32)가 밀봉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관통 설치되고, 상기 내부용기(30)의 외측 축부재(32)에는 상기 구동날개(24)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회전부재(34)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용기(30)의 내측 저면에는 상기 축부재(32)에 축결되어 회전되는 교반날개(38)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부용기(30)의 저면 둘레부에는 하향 연장되는 복수개의 다리부(39)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히터판(12)의 둘레부에는 상기 내부용기(30)의 다리부(39)가 삽입되는 원호상의 장공(1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외관도이고, 도 2는 그 단면도이고, 도 3은 외부용기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와 도 5는 각각 내부용기의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합성수지제 외부용기(10)와 이 외부용기(10)에 끼워지는 금속제 내부용기(30)로 구성된다. 외부용기(10)는 수용부(11) 내부 저면에는 원판형 히터판(12)이 배치되고, 이 히터판(12)은 커넥터(14)에 접속되어 외부의 전원을 인가하여 가열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용기(10)에는 히터판(12)의 가열온도나 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는 컨트롤부(16)가 배치된다. 그리고 이 외부용기(10)의 상단 개구부(13)의 일측에는 커버(20)가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상기 히터판(12)의 중앙부에는 관통공(15)이 형성되고, 그 둘레부에는 원호상의 장공(18)이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이 외부용기(10)의 기단부에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모터(22)가 내장된다. 이 모터(22)는 감속기어기구와 일체로 구성되고 모터의 구동축은 직립연장되어 그 선단에는 구동날개(24)가 연결된다. 이 구동날개(24)는 히터판(12)의 관통공(15)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만, 히터판(12) 보다는 낮은 높이로 배치된다. 이에 대응하여, 내부용기(30)의 저면 중앙부에는 축부재(32)가 밀봉적으로 수직관통된다. 이 축부재(32)와 내부용기(30)의 연결부위에는 도시안된 내열성 실링부재 또는 베어링부재 등이 개재될 수 있다. 이 축부재(32)의 하단에는 내부용기(30)의 외부 저면에 노출되는 회전부재(34)가 결합된다. 이 회전 부재(34)는 상기 외부용기(10) 측의 구동날개(24)에 접촉되어 회전됨으로써 축부재(32)를 회전시킨다. 이 축부재(32)의 상단에는 내부용기(30)의 내부에 배치되는 교반날개(38)가 결합되어, 축부재(32)에 의해 회전되어 내부용기(30)의 내부 바닥부에 근접한 위치에서 회전된다. 이 교반날개(38)는 내부용기(30)에 채워지는 음식물 들을 서서히 교반하게 된다.
한편, 내부용기(30)의 외측 저면부 둘레에는 복수개의 다리부(39)가 하향 연장된다. 이 다리부(39)는 내부용기(30)를 식탁이나 바닥에 내려 놓았을 때, 내부용기(30)의 회전부재(34)가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회전부재(34)가 충격에 의해 손상되거나 내부용기(30)의 바닥이 평탄하지 못하여 쓰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대응하여, 외부용기(10)의 히터판(12)의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원호상의 장공(18)이 형성된다. 이 장공(18)은 내부용기(30)가 외부용기(10) 내에 삽입되면, 내부용기(30)의 다리부(39)가 히터판(34)의 장공(18) 속으로 끼워져서 다리부(39)가 히터판(12)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히터판(12)과 내부용기(30)의 저면이 서로 밀착되어 히터판(12)의 열이 내부용기(30)로 양호하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힌지식으로 개폐되는 커버(20)의 일측에는 통공(22)이 형성되고, 이 통공(22)에는 필터부재(25)가 내장된 캡(24)이 끼워짐으로써, 음식물의 가열시에 발생되는 수증기를 필요에 따라 적절한 정도로 배출시키면서,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냄새성분은 필터부재(25)로 걸러내어, 냄새가 실내로 과다하게 퍼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리용기는 음식물을 대상으로 설명하였으나, 광의의 음식물에는 한약이나 기타 약재도 포함되므로, 한약과 같은 약재 등을 교반하면서 끓이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용기(10)의 저면부에 모터(22)를 내장하여 구동날개(24)를 회전시키고, 내부용기(30)의 외부 저면에는 회전부재(34)를 구비하고, 내부 저면에는 교반날개(38)를 형성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죽이나 스프, 볶음음식 또는 약재 등을 교반하면서 서서히 끓일 수 있으므로, 옆에서 사람이 일일이 저어주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이들 음식을 조리할 수 있다. 또한, 히터판(12)의 중앙부에 관통공(15)을 형성하여, 외부용기(10)의 구동날개(24)를 내부용기(30)의 회전부재(34)에 접촉시켜서 회전구동함으로써,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조로서 효과적으로 교반날개(38)를 회전구동할 수 있다. 또한, 내부용기(30)의 외부 저면에 다리부(39)를 형성하고, 히터판(12)의 둘레부에는 원호상의 장공(18)을 형성함으로써, 다리부(39)가 히터판(12)에 간섭되지 않아서 히터판(12)과 내부용기(30)의 밀착을 보장하면서도, 내부용기(30)의 저면에 돌출된 회전부재(34)의 구성품들에도 불구하고, 내부용기(30)가 식탁이나 바닥면에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어서 편리하게 된다.

Claims (2)

  1. 수용부(11) 내부의 저면에 배치되는 히터판(12)과, 이 히터판(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14)와, 이 히터판(12)의 온도 및 작동시간을 설정하는 컨트롤부(16)를 포함하는 외부용기(10)와, 상기 외부용기(10)의 상단 개구부(13)를 개폐하는 커버(20)와, 상기 외부용기(10)의 수용부(11)에 끼워지는 내부용기(30)를 포함하는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판(12)의 중앙부에는 관통공(15)이 형성되고, 외부용기(10)의 저면 중심부에는 내장된 모터(22)에 축결되어 수평회전되는 구동날개(24)가 상기 관통공(15)을 통해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내부용기(30)의 중심부에는 축부재(32)가 밀봉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관통 설치되고, 상기 내부용기(30)의 외측 축부재(32)에는 상기 구동날개(24)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회전부재(34)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용기(30)의 내측 저면에는 상기 축부재(32)에 축결되어 회전되는 교반날개(38)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용기(30)의 저면 둘레부에는 하향 연장되는 복수개의 다리부(39)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히터판(12)의 둘레부에는 상기 내부용기(30)의 다리부(39)가 삽입되는 원호상의 장공(1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2. 삭제
KR1020070000736A 2007-01-03 2007-01-03 조리용기 KR100857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736A KR100857176B1 (ko) 2007-01-03 2007-01-03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736A KR100857176B1 (ko) 2007-01-03 2007-01-03 조리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030A KR20080064030A (ko) 2008-07-08
KR100857176B1 true KR100857176B1 (ko) 2008-09-05

Family

ID=39815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736A KR100857176B1 (ko) 2007-01-03 2007-01-03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1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02015030360B1 (pt) * 2015-12-03 2022-04-05 Angela Bressane Neno Rosa Panela elétrica
KR102511609B1 (ko) * 2019-10-14 2023-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렌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9020A (ja) * 1988-03-29 1989-10-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機能調理器
JPH05277034A (ja) * 1992-02-19 1993-10-26 Braun Ag 多目的食物処理機
KR20050094319A (ko) * 2004-07-09 2005-09-27 주식회사 이온맥 가정용 간접가열식 식재료 가공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9020A (ja) * 1988-03-29 1989-10-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機能調理器
JPH05277034A (ja) * 1992-02-19 1993-10-26 Braun Ag 多目的食物処理機
KR20050094319A (ko) * 2004-07-09 2005-09-27 주식회사 이온맥 가정용 간접가열식 식재료 가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030A (ko) 2008-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07360B2 (ja) 調理装置およびその構成要素
KR102075069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US5613774A (en) Cooking pot enclosing rotatable spherical chamber
US7484455B2 (en) Pasta cooking device and method
US20120213900A1 (en) Cooking appliance
CN115151169A (zh) 烹饪设备
KR101003235B1 (ko) 조리용 쿠커
CN210300732U (zh) 一种分离式多功能锅
CN201767796U (zh) 一种多功能炒炉
CN209733609U (zh) 一种多功能的空气炸锅
CN201628268U (zh) 一种多功能炒炉
US7026591B2 (en) Device and procedure for cooking a food product with microwaves
US20030205569A1 (en) Dual-purpose pot for roasting and frying
KR100857176B1 (ko) 조리용기
KR102020609B1 (ko) 교반장치를 포함한 조리용기
US9795158B2 (en) Popcorn maker
KR20060095245A (ko) 곡물 볶음 냄비
KR102481776B1 (ko) 두 가지 종류의 조리가 가능한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
KR101786969B1 (ko) 프라이팬 겸용 석쇠
KR200240903Y1 (ko) 전기쿠커
CN211582718U (zh) 基于旋转加热的多功能器具
KR100230992B1 (ko) 전기죽솥
KR100556614B1 (ko) 전자렌지
CN212521494U (zh) 一种多功能电热烹饪器具
JP5824383B2 (ja) 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