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166B1 - 음식물 자동 교반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자동 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166B1
KR102494166B1 KR1020220102991A KR20220102991A KR102494166B1 KR 102494166 B1 KR102494166 B1 KR 102494166B1 KR 1020220102991 A KR1020220102991 A KR 1020220102991A KR 20220102991 A KR20220102991 A KR 20220102991A KR 102494166 B1 KR102494166 B1 KR 102494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rotation
motor
shaft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2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국진
Original Assignee
(주)케이투시스템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투시스템이엔지 filed Critical (주)케이투시스템이엔지
Priority to KR1020220102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1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05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47J2043/04454Apparatus of counter top type
    • A47J2043/04472Apparatus of counter top type with a mixing unit vertically movable relative to the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자동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어 회전력을 공급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하되, 하부는 음식물이 수용된 조리용기에 수용되어 조리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을 교반하는 하나 이상의 교반막대;와, 상기 고정프레임을 조리용기로 화력을 제공하는 화력기기에 간편히 탈착할 수 있는 탈착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조리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을 자동으로 교반하는 교반 기능은 확보하되 장치의 구조는 매우 간단하게 구현하여 장치의 우수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착수단을 통해 가스레인지 등과 같은 기존의 화력기기에 간편히 부착하여 화력기기와 함께 사용할 수 있어 장치의 우수한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모터의 동력을 기반으로 교반막대가 공전과 동시에 자전하면서 조리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을 교반함으로, 음식물을 매우 신속하게 골고루 교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자동 교반기{automatic food agitator}
본 발명은 음식물 자동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을 자동으로 교반하는 교반 기능은 확보하되 장치의 구조는 매우 간단하게 구현하여 장치의 우수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착수단을 통해 가스레인지 등과 같은 기존의 화력기기에 간편히 부착하여 화력기기와 함께 사용할 수 있어 장치의 우수한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음식물 자동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볶음용 재료를 볶기 위해서는 프라이팬이나 솥 등에 재료를 투입한 후, 일정한 시간 동안 가열과 교반을 행하면서 재료를 적절히 볶아야 재료의 적합하게 볶아지게 된다.
하지만, 재료의 볶음이 시작되면 조리사는 재료가 골고루 볶아지도록 계속하여 재료를 교반하는 행위를 수행해야 함으로, 재료를 볶는 과정이 매우 어렵고 불편하다는 문제점과 함께 재료를 볶는 동안 다른 일을 할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조리사가 잠시 다른 일을 하게 되면 재료가 타거나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볶음 통에 음식물을 투입하면 음식물을 자동으로 교반하여 볶는 자동 교반기가 개발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자동 교반기는 장치가 다소 복잡하고 고가여서 장치의 사용범용성이 다소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자동 교반기는 기본적으로 조리용기 측으로 화력을 제공하는 수단이 함께 구비되는 특성상, 자동 교반기를 구매하기 전에 사용하던 가스레인지 등과 같은 기존의 화력기기는 낭비되는 단점으로 인해 더욱 장치의 사용범용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조리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을 자동으로 교반하는 교반 기능은 확보하되 장치의 구조는 매우 간단하게 구현하여 장치의 우수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착수단을 통해 가스레인지 등과 같은 기존의 화력기기에 간편히 부착하여 화력기기와 함께 사용할 수 있어 장치의 우수한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음식물 자동 교반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회전모터의 동력을 기반으로 교반막대가 공전과 동시에 자전하면서 조리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을 교반함으로, 음식물을 매우 신속하게 골고루 교반할 수 있는 음식물 자동 교반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자동 교반기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어 회전력을 공급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하되, 하부는 음식물이 수용된 조리용기에 수용되어 조리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을 교반하는 하나 이상의 교반막대;와, 상기 고정프레임을 조리용기로 화력을 제공하는 화력기기에 간편히 탈착할 수 있는 탈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기반으로 상기 교반막대 자체를 회전시키는 자전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자전수단은 상기 회전모터의 축과 연결되어 상기 축과 함께 회전되되, 하부는 상기 회전판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도록 내부에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는 제1자전기어와, 상기 고정프레임에 의지하여 상기 제1자전기어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편과, 상기 회전판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상기 회전판에 결합되되, 하부는 상기 교반막대와 연결되어 상기 교반막대와 함께 회전되는 자전축과, 상기 자전축 상에 형성되어 상기 자전축과 함께 회전되되, 상기 제1자전기어와 치합되는 제2자전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기반으로 상기 교반막대를 연속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편은 상기 고정프레임을 대신하여 상기 회전모터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상기 회전모터를 승·하강가능 하게 결속하는 승강 가이드와,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되는 환형의 링 기어와, 상기 링 기어와 직교되게 치합되어 상기 링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승강축과, 하부는 상기 승강축에 회전 가능하게 편심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되어 승강편과, 상기 승강축을 결속하면서 상기 고정편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승강편이 편심 운동하면, 상기 고정편과 회전모터 및 그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판을 기반으로 연결되는 상기 교반막대가 승·하강되도록 하는 결속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자동 교반기에 의하면, 조리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을 자동으로 교반하는 교반 기능은 확보하되 장치의 구조는 매우 간단하게 구현하여 장치의 우수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착수단을 통해 가스레인지 등과 같은 기존의 화력기기에 간편히 부착하여 화력기기와 함께 사용할 수 있어 장치의 우수한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모터의 동력을 기반으로 교반막대가 공전과 동시에 자전하면서 조리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을 교반함으로, 음식물을 매우 신속하게 골고루 교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자동 교반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자동 교반기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식물 자동 교반기의 B-B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자동 교반기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자동 교반기의 종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자동 교반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자동 교반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자동 교반기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자동 교반기의 A-A 단면도를,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식물 자동 교반기의 B-B 단면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자동 교반기의 사용상태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자동 교반기의 종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자동 교반기는 고정프레임(10)과, 회전모터(20)와, 회전판(30)과, 교반막대(40)와, 탈착수단(50)을 포함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은 후설될 상기 회전모터(20)의 위치를 견고히 고정시켜 상기 회전모터(20)와 연결되는 후설될 상기 회전판(30)과 교반막대(40)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모터(20)는 상기 고정프레임(10)에 고정되어 회전력을 공급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모터(20)는 상기 회전판(30)으로 회전력을 공급함으로 상기 회전판(30)과 함께 상기 교반막대(4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30)은 상기 회전모터(20)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도록 한다.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30)은 상기 회전모터(20)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교반막대(40)로 전달하는 매개체로, 상기 회전모터(20)의 회전력을 기반으로 상기 교반막대(4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반막대(40)는 상기 회전판(30)에 하나 이상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30)과 함께 회전하되, 하부는 음식물이 수용된 조리용기에 수용되어 조리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을 교반하도록 한다.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반막대(40)는 상기 회전판(30)과 함께 회전되면서 조리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을 교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교반막대(40)는 상기 회전판(30)에 등각 간격으로 2개가 형성되도록 하나, 이러한 개수로 한정하여 구현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수단(50)은 상기 고정프레임(10)을 조리용기로 화력을 제공하는 화력기기(1)에 간편히 탈착할 수 있는 것으로,
화력기기(1)에 볼트(2)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볼트공(51a)이 형성되어 화력기기(1)에 결합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바(51)와, 일단은 상기 고정프레임(10)에 결합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바(5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핀(3) 결합되어 상기 고정바(51)에 의지하여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위치를 설정하는 설정바(52)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하도록 하는 손잡이(53)와, 일단은 상기 고정바(5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프레임(10)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바(51)에 의지하여 상기 고정프레임(10)을 상기 고정바(51) 측으로 탄성적으로 당기는 탄성스프링(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수단(50)의 고정바(51)를 볼트(2) 결합을 통해 간편히 화력기기(1)에 결합 고정시킬 수 있어 상기 고정바(51)와 연결되는 상기 설정바(52)에 결합되는 본 발명의 음식물 자동 교반기(100)를 통상의 화력기기(1)에 편리하게 부착 사용할 수 있어 장치의 우수한 사용범용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화력기기(1)에 연결된 본 발명의 음식물 자동 교반기(100)는 화력기기(1)의 상부에 위치되어 장치의 사용이 요구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바(51)를 기준으로 회동되는 상기 설정바(52)와 함께 조리용기 측으로 하강 위치되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음식물 자동 교반기(100)는 자체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탄성스프링(54)이 탄력적으로 당기는 힘을 극복하고 안정적으로 하강 위치됨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바(51) 또는 설정바(52)에는 조리용기 측에 하강 위치되는 상기 음식물 자동 교반기(100)를 지지하여 위치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단턱(4)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식물 자동 교반기(100)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으면 상기 설정바(52)와 함께 상부로 승강 위치시켜 조리용기로부터 이탈되게 하는데,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54)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을 당기는 탄성력을 기반으로 승강 위치된 상태로 상기 음식물 자동 교반기(1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음식물 자동 교반기(100)의 승강 또는 하강은 상기 손잡이(53)를 통해 사용자가 간편히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스프링(54)은 통상의 쇼크 업소버와 같은 실린더 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음식물 자동 교반기(100)를 화력기기(1)에 간편히 설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장치의 사용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모터(20)의 회전력을 기반으로 상기 교반막대(40) 자체를 회전시키는 자전수단(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자전수단(60)은 상기 회전모터(20)의 축과 연결되어 상기 축과 함께 회전되되, 하부는 상기 회전판(30)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30)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61)과, 상기 회전축(61) 상에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61)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도록 내부에 상기 회전축(61)이 관통되는 구멍(62a)이 형성되는 제1자전기어(62)와, 상기 고정프레임(10)에 의지하여 상기 제1자전기어(62)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편(63)과, 상기 회전판(30)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상기 회전판(30)에 결합되되, 하부는 상기 교반막대(40)와 연결되어 상기 교반막대(40)와 함께 회전되는 자전축(64)과, 상기 자전축(64) 상에 형성되어 상기 자전축(64)과 함께 회전되되, 상기 제1자전기어(62)와 치합되는 제2자전기어(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모터(20)의 회전력은 상기 회전축(61)을 통해 상기 회전판(30)으로 공급되므로 상기 회전판(30)과 함께 상기 교반막대(40)가 회전되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회전축(61) 상에 형성되는 상기 제1자전기어(62)는 상기 회전판(3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아 기본적으로 상기 회전판(30)과 함께 상기 교반막대(40)가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며,
동시에, 상기 자전수단(60)의 자전축(64)은 상기 회전판(3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30)과 함께 회전되므로 상기 자전축(64) 상에 형성되는 상기 제2자전기어(65)가 함께 회전되면서 치합된 상기 제1자전기어(62)의 둘레를 돌면서 자연스럽게 상기 제2자전기어(62)와 함께 상기 자전축(64)의 회전을 유도하게 되어 결국 상기 자전축(64)과 함께 상기 교반막대(40) 자체가 회전(자전)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교반막대(40)는 상기 회전판(30)과 함께 회전(공전)하면서 동시에 스스로 자전함으로 상기 교반막대(40)에 의해 조리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이 매우 효과적으로 교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전축(64)에 상기 교반막대(40)를 간편히 부착하는 교체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교체부(70)는 상기 자전축(64)의 하부에 하부가 개방되도록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교반막대(40)의 상부가 내입되도록 하는 교체홈(71)과, 상기 자전축(64)의 하부 측면에 상기 교체홈(71)과 연통되도록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암나사공(72)과, 상기 암나사공(72)에 체결되어 상기 교체홈(71)에 내입된 상기 교반막대(40)의 상부를 가압 고정하는 교체볼트(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체부(70)의 교체홈(71)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상기 교반막대(40)의 상부를 내입 배치한 후, 상기 자전축(64)의 암나사공(72)에 상기 교체볼트(73)를 체결하여 상기 교체볼트(73)를 통해 상기 교반막대(40)가 견고히 가압 고정되는 방식으로 상기 교반막대(40)를 간편히 설치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체부(70)의 교체홈(71)으로 상기 교반막대(40)의 상부를 내입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교반막대(40)가 하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통상적으로 교반막대(40)는 음식물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제작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교체부(70)를 통해 사용하고자 하는 상기 교반막대(40)를 간편히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장치의 우수한 사용범용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교반막대(40)를 교체하고자 하면 상기 암나사공(72)에 체결된 상기 교체볼트(73)의 체결을 해제한 후, 간편히 다른 교반막대(40)로 교체 사용함은 당연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모터(20)의 회전력을 기반으로 상기 교반막대(40)를 연속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편(63)은 상기 고정프레임(10)을 대신하여 상기 회전모터(20)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수단(80)은 상기 고정프레임(10)에 상기 회전모터(20)를 승·하강가능 하게 결속하는 승강 가이드(81)와, 상기 회전판(30)과 함께 회전되는 환형의 링 기어(82)와, 상기 링 기어(82)와 직교되게 치합되어 상기 링 기어(82)와 함께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피니언 기어(83)와, 상기 피니언 기어(83)와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83)와 함께 회전하는 승강축(84)과, 하부는 상기 승강축(84)에 회전 가능하게 편심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고정프레임(10)에 결합되어 승강편(85)과, 상기 승강축(84)을 결속하면서 상기 고정편(63)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승강편(85)이 편심 운동하면, 상기 고정편(63)과 회전모터(20) 및 그 회전모터(20)와 상기 회전판(30)을 기반으로 연결되는 상기 교반막대(40)가 승·하강되도록 하는 결속편(8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회전모터(20)의 회전력을 기반으로 상기 회전판(30)이 회전하면서 상기 교반막대(40)의 공전과 자전이 유도되는 동시에,
상기 승강수단(80)의 링 기어(82)가 상기 회전판(30)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링 기어(82)와 치합되는 상기 피니언 기어(83)와 함께 상기 승강축(84)이 회전되는데, 이때 상기 승강축(84) 상에 형성되는 상기 승강편(85)이 상기 승강축(84)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편심 운동(승·하강)하면 상기 승강편(85)이 연결된 상기 승강축(84)을 결속하는 상기 결속편(86)이 상기 고정편(63)과 함께 승·하강되면서 결국, 상기 고정편(63)과 연결되는 상기 회전모터(20) 및 상기 교반막대(40)가 함께 연속 승·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교반막대(40)는 상기 회전모터(20)의 회전력을 기반으로 공전과 자전 및 승·하강되면서 조리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을 매우 효과적으로 교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음식물 자동 교반기(100)는 조리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을 자동으로 교반하는 교반 기능은 확보하되 장치의 구조는 매우 간단하게 구현하여 장치의 우수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착수단(50)을 통해 가스레인지 등과 같은 기존의 화력기기(1)에 간편히 부착하여 화력기기(1)와 함께 사용할 수 있어 장치의 우수한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회전모터(20)의 동력을 기반으로 상기 교반막대(40)가 공전과 동시에 자전하면서 조리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을 교반함으로, 음식물을 매우 신속하게 골고루 교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자동 교반기(100)는 다음과 같이 화력기기(1)에 설치하여 음식물을 교반하는 용도로 사용하도록 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수단(50)을 통해 조리용기 측으로 화력을 제공하는 통상의 화력기기(1)에 간편히 설치 고정한 후, 교체부(70)를 통해 조리용기의 음식물 교반에 사용하고자 하는 교반막대(40)를 선택하여 간편히 설치 고정한다.
그런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수단(50)을 통해 상기 음식물 자동 교반기(100)를 하강 배치시켜 상기 교반막대(40)가 조리용기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여 음식물 교반을 준비한다.
그러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모터(20)의 회전력을 기반으로 회전판(30)과 함께 교반막대(40)가 회전(공전)되면서 조리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을 교반하는데, 이때 자전수단(60)을 통해 상기 교반막대(40) 자체가 회전(자전)되면서 조리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이 매우 효과적으로 교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음식물 교반 과정이 완료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수단(50)을 통해 상기 음식물 자동 교반기(100)를 들어올려 조리용기로부터 이탈시킴으로 간편히 음식물 교반 작업이 완료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화력기기 2. 볼트
3. 핀 4. 단턱
10. 고정프레임 20. 회전모터
30. 회전판 40. 교반막대
50. 탈착수단 51. 고정바
52. 설정바 53. 손잡이
54. 탄성스프링 60. 자전수단
61. 회전축 62. 제1자전기어
63. 고정편 64. 자전축
65. 제2자전기어 70. 교체부
71. 교체홈 72. 암나사공
73. 교체볼트 80. 승강수단
81. 승강 가이드 82. 링 기어
83. 피니언 기어 84. 승강축
85. 승강편 86. 결속편
100. 음식물 자동 교반기

Claims (5)

  1. 고정프레임(10);
    상기 고정프레임(10)에 고정되어 회전력을 공급하는 회전모터(20);
    상기 회전모터(20)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회전판(30);
    상기 회전판(3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30)과 함께 회전하되, 하부는 음식물이 수용된 조리용기에 수용되어 조리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을 교반하는 하나 이상의 교반막대(40); 및
    상기 고정프레임(10)을 조리용기로 화력을 제공하는 화력기기(1)에 간편히 탈착할 수 있는 탈착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모터(20)의 회전력을 기반으로 상기 교반막대(40) 자체를 회전시키는 자전수단(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자전수단(60)은 상기 회전모터(20)의 축과 연결되어 상기 축과 함께 회전되되, 하부는 상기 회전판(30)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30)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61)과, 상기 회전축(61) 상에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61)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도록 내부에 상기 회전축(61)이 관통되는 구멍(62a)이 형성되는 제1자전기어(62)와, 상기 고정프레임(10)에 의지하여 상기 제1자전기어(62)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편(63)과, 상기 회전판(30)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상기 회전판(30)에 결합되되, 하부는 상기 교반막대(40)와 연결되어 상기 교반막대(40)와 함께 회전되는 자전축(64)과, 상기 자전축(64) 상에 형성되어 상기 자전축(64)과 함께 회전되되, 상기 제1자전기어(62)와 치합되는 제2자전기어(65)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모터(20)의 회전력을 기반으로 상기 교반막대(40)를 연속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편(63)은 상기 고정프레임(10)을 대신하여 상기 회전모터(20)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수단(80)은 상기 고정프레임(10)에 상기 회전모터(20)를 승·하강가능 하게 결속하는 승강 가이드(81)와, 상기 회전판(30)과 함께 회전되는 환형의 링 기어(82)와, 상기 링 기어(82)와 직교되게 치합되어 상기 링 기어(82)와 함께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피니언 기어(83)와, 상기 피니언 기어(83)와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83)와 함께 회전하는 승강축(84)과, 하부는 상기 승강축(84)에 회전 가능하게 편심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고정프레임(10)에 결합되어 승강편(85)과, 상기 승강축(84)을 결속하면서 상기 고정편(63)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승강편(85)이 편심 운동하면, 상기 고정편(63)과 회전모터(20) 및 그 회전모터(20)와 상기 회전판(30)을 기반으로 연결되는 상기 교반막대(40)가 승·하강되도록 하는 결속편(8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자동 교반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02991A 2022-08-17 2022-08-17 음식물 자동 교반기 KR102494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991A KR102494166B1 (ko) 2022-08-17 2022-08-17 음식물 자동 교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991A KR102494166B1 (ko) 2022-08-17 2022-08-17 음식물 자동 교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166B1 true KR102494166B1 (ko) 2023-01-31

Family

ID=85108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2991A KR102494166B1 (ko) 2022-08-17 2022-08-17 음식물 자동 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1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9092B2 (ja) * 1995-08-21 1998-05-28 有限会社ナカイ カスタードクリームの煮炊き攪拌方法とその装置
JP4113158B2 (ja) * 2004-05-17 2008-07-09 株式会社クボタ 攪拌装置
JP2009252512A (ja) * 2008-04-04 2009-10-29 Nakai:Kk 各種食材の加熱撹拌機用電磁誘導加熱器
KR102075069B1 (ko) * 2019-05-21 2020-02-07 주식회사 램프쿡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9092B2 (ja) * 1995-08-21 1998-05-28 有限会社ナカイ カスタードクリームの煮炊き攪拌方法とその装置
JP4113158B2 (ja) * 2004-05-17 2008-07-09 株式会社クボタ 攪拌装置
JP2009252512A (ja) * 2008-04-04 2009-10-29 Nakai:Kk 各種食材の加熱撹拌機用電磁誘導加熱器
KR102075069B1 (ko) * 2019-05-21 2020-02-07 주식회사 램프쿡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3774A (en) Cooking pot enclosing rotatable spherical chamber
US4951558A (en) Basket lifting mechanism for cooking pot
KR101971833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용기용 뚜껑
KR101964554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용기용 뚜껑
US5533805A (en) Free-standing stirrer appliance
KR101131761B1 (ko) 회전국솥의 교반장치
US6026735A (en) Self stirring cooking assembly
CN104013300A (zh) 一种多功能炒菜机
KR101935922B1 (ko) 자동 조리 장치
CN109527968A (zh) 自动炒菜机
RU154679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хлебопечка
JP2014094072A (ja) 電気炊飯器
KR102494166B1 (ko) 음식물 자동 교반기
KR20090007077A (ko)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
KR102243026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101742441B1 (ko) 음식 교반기를 갖는 조리용 솥
CN108814258A (zh) 一种炒菜机器人
CN210008869U (zh) 自动炒菜机
KR102249510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102243023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102249508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CN113455915A (zh) 一种自动炒菜锅
CN210169696U (zh) 一种炒菜器具及集成自动炒菜灶
KR200182896Y1 (ko) 춘장볶음기
JPH09173216A (ja) 食品炒め調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