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858B1 - 조리용기 덮개 - Google Patents

조리용기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858B1
KR101932858B1 KR1020170113680A KR20170113680A KR101932858B1 KR 101932858 B1 KR101932858 B1 KR 101932858B1 KR 1020170113680 A KR1020170113680 A KR 1020170113680A KR 20170113680 A KR20170113680 A KR 20170113680A KR 101932858 B1 KR101932858 B1 KR 101932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plate
filter
cooking
cooking vessel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태
이운학
Original Assignee
이승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태 filed Critical 이승태
Priority to KR1020170113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기 덮개에 관한 것으로, 생선을 굽거나 튀김을 요리를 할경우에 유해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리용기 덮개에 관한 것이다.
조리용기의 상단에 구비되어 조리중인 음식물 및 기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리용기 덮개에 있어서, 반원형의 투명한 재질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측에 결합홀이 형성된 투명판, 필터하우징과 필터케이스 및 필터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필터를 구비하여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투명판에 형성된 결합홀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Description

조리용기 덮개{Cooking vessel cover}
본 발명은 조리용기 덮개에 관한 것으로, 생선을 굽거나 튀김을 요리를 할경우에 유해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리용기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튀김을 할때나 생선 및 고기를 구울때 기름이 튀는 것을 방지하며 유해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조리용기에 덮개를 덮어 사용한다.
그런데, 일반적인 조리용기 덮개는 조리용기 덮개에 형성된 홀을 통해서 유해가스 및 수증기를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홀을 통해 배출되는 수증기는 수증기 전체가 다 배출되지 못하고 조리용기 덮개의 내부에 맺히게 된다.
상기 조리용기 덮개에 맺힌 수분은 수분이 많이 경우에 다시 조리용기 내부로 유입되거나 조리중인 음식물을 꺼내거나 뒤집기 위해서 조리용기 덮개를 들었을 경우 덮개에 맺혀있던 수분이 조리용기 내부로 유입되어 조리용기 내부의 기름이 폭발하게 되어 사용자가 화상을 입게되는 안전상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리용기를 통해 조리되는 음식물에서는 유해가스가 발생되는데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기관지 염과 폐암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07849110000호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조리용기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튀기거나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제거함과 더불어 조리용기 덮개를 조리용기에 덮었을 경우에 조리중 발생한 수분이 조리용기로 유입되지 않도록 된 조리용기 덮개를 제공함에 기술적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덮개는 조리용기의 상단에 구비되어 조리중인 음식물 및 기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리용기 덮개에 있어서, 반원형의 투명한 재질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측에 결합홀이 형성된 투명판, 필터하우징과 필터케이스 및 필터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필터를 구비하여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투명판에 형성된 결합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모듈의 필터하우징에는 필터케이스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하측에는 투명판에 형성된 결합홀에 필터모듈을 끼움 결합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하우징은 연성이 있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케이스는 상하 분리되는 구조로 구성됨과 더불어 하측에는 유해가스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홀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측에는 필터링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용기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튀기거나 굽는 등의 조리를 할경우 조리용기 덮개에 구비된 필터와 수분 저장링에 의해 조리중 발행산 유해가스가 제거됨과 더불어 조리중 발생한 수분이 조리용기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된 조리용기 덮개를 제공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덮개의 사시도.
도 2는 조리용기 덮개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덮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조리용기 덮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덮개는 투명판과 필터모듈 및 수분저장링과 손잡이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투명판은 반원 형상으로 중앙에 필터모듈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홀이 형성된다. 상기 투명판의 일측 상단에는 손잡이가 고정부재를 통해서 결합된다.
필터모듈은 실리콘으로 형성된 필터하우징과 내부에 필터가 장착되는 필터케이스 및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하우징에는 필터케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하우징의 하측에는 필터모듈을 투평만에 형성된 결합홀에 삽입하여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케이스는 상하로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필터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필터케이스의 하측에는 유해가스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홀이 형성되며 상측에는 필터링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이 형성된다.
수분 저장링은 실리콘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내측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투명판의 외측이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수분 저장링의 하단면에는 조리용기에 밀착되는 밀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밀착부는 다양한 조리용기의 크기에 대응하기 위해 넓게 형성된다.
상기 수분 저장링의 내측에는 수분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가 형성된다. 상기 저장부는 투명판에 맺힌 수증기가 투명판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할 경우에 조리용기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수분을 저장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다.
상기 필터하우징과 수분 저장링은 연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수분 저장링과 필터 하우징이 연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이유는 투명판에서 보다 손쉽게 수분 저장링과 필터모듈을 탈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조리용기 덮개를 조리중인 조리용기의 상단에 위치시킨다. 상기 조리용기 덮개가 조리용기 상단에 위치하면 조리용기 덮개의 무게에 의해 밀착부가 조리용기 상측에 밀착되어 밀폐된다.
상기 상태에서 조리용기에서 조리중인 음식물에 의해 유해가스가 발생된다. 상기 발생된 유해가스는 조리용기 덮개의 상측에 구비된 필터모듈의 필터로 유입되어 유해한 가스 및 냄새는 포집되어 배출되지 않게 되고 공기는 필터모듈 상측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조리중 발생한 수분은 덮개에 맺힌다음 덮개의 내주연을 따라 이동하여 수분저장링에 형성된 저장에 저장되게 된다.
따라서, 조리중 발생한 수증기가 조리용기로 유이되는 것이 방지되게 되어, 조리중인 음식물 또는 기름에 수분이 유입되어 기름이 폭발하여 화상을 입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잇게 된다.
또한 조리중에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배출하지 않고 필터에 포집하기 때문에 조리중인 사람이 유해가스에 의한 각종 질병으로 부터 예방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10 : 투명판, 20 : 수분 저장링, 30 : 필터모듈, 40 : 손잡이

Claims (4)

  1. 조리용기의 상단에 구비되어 조리중인 음식물 및 기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반원형의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투명판, 내측에 수분 저장부가 구비됨과 더불어 투명판의 외측이 끼움 결합되는 수분 저장링이 구비되며, 상기 수분 저장링의 일측에는 투명판을 끼워서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분 저장링의 재질은 연성이 있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수분 저장링에 형성된 수분저장부에는 조리중 발생한 수증기가 투명판 내부에 맺힌뒤 투명판의 내측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여 수분저장부에 수분이 저장되어 조리용기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조리용기 덮개에 있어서,
    반원형의 투명한 재질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측에 결합홀이 형성되고 손잡이가 구비된 투명판,
    연성이 있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손쉽게 필터모듈의 탈착이 가능하게 형성된 필터하우징과,
    내부에 필터가 구비되며 필터를 쉽게 교환하기 위해 상하 분리되는 구조로 구성됨과 더불어 하측에는 유해가스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필터링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이 형성된 필터케이스를 구비하여 구성된 필터모듈,
    상기 필터케이스는 투명판에 형성된 결합홀에 삽입되어되며, 상기 필터모듈의 필터하우징에는 필터케이스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하측에는 투명판에 형성된 결합홀에 필터모듈을 끼움 결합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덮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113680A 2017-09-06 2017-09-06 조리용기 덮개 KR101932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680A KR101932858B1 (ko) 2017-09-06 2017-09-06 조리용기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680A KR101932858B1 (ko) 2017-09-06 2017-09-06 조리용기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858B1 true KR101932858B1 (ko) 2018-12-26

Family

ID=65006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680A KR101932858B1 (ko) 2017-09-06 2017-09-06 조리용기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8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27684B3 (de) * 2019-10-15 2021-02-18 Exklusiv-Hauben Gutmann Gmbh Ventilierter Kochdecke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235B1 (ko) * 2010-10-12 2010-12-21 박진수 조리용 쿠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235B1 (ko) * 2010-10-12 2010-12-21 박진수 조리용 쿠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27684B3 (de) * 2019-10-15 2021-02-18 Exklusiv-Hauben Gutmann Gmbh Ventilierter Kochdeckel
EP3808234A3 (de) * 2019-10-15 2021-06-16 Exklusiv-Hauben Gutmann GmbH Ventilierter kochdeck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663B1 (ko) 전기 압력 밥솥용 증기 배출부 조립체
EP3583878A1 (en) Air-based fryer
JP6930819B2 (ja) 一体型飲料用こし器蓋
AU2005305837A1 (en) Improved frying pan
KR102051551B1 (ko) 조리용기를 위한 휴대용 연기정화장치
US20040187702A1 (en) Forced Venting Fry Utensil
KR101932858B1 (ko) 조리용기 덮개
KR20080060271A (ko) 내부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조절기가 달린 냄비
AU2010100489A4 (en) Portable oil filtering apparatus
KR101128051B1 (ko) 조리기구용 다용도 냄비뚜껑
KR102174138B1 (ko) 사용 식용유의 정제장치
ES2412056T3 (es) Aparato de cocción que comprende un receptáculo para alimentos y un elemento de filtrado
KR200421281Y1 (ko) 분리형 숯불구이 불판
KR101147287B1 (ko) 튀김 기름용 여과장치
KR20100114290A (ko) 가열용기용 뚜껑
KR102166998B1 (ko) 튀김 조리 장치
JP3133663U (ja) 油浄化器
KR200454747Y1 (ko) 쌀씻는 용기
GB2422292A (en) Deep fat fryer with means for emptying oil
KR20160006331A (ko) 냄비 뚜껑 어셈블리
KR100433315B1 (ko) 조리기
KR101086819B1 (ko) 조리용 깔끔 기름 제거기
KR200451270Y1 (ko) 조리용기용 뚜껑
JPS5817551Y2 (ja) 揚げ物鍋
KR200444820Y1 (ko) 조리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