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820Y1 -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820Y1
KR200444820Y1 KR2020080015722U KR20080015722U KR200444820Y1 KR 200444820 Y1 KR200444820 Y1 KR 200444820Y1 KR 2020080015722 U KR2020080015722 U KR 2020080015722U KR 20080015722 U KR20080015722 U KR 20080015722U KR 200444820 Y1 KR200444820 Y1 KR 2004448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opening
body portion
food
expans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혜
Original Assignee
김신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신혜 filed Critical 김신혜
Priority to KR2020080015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8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8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8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83Water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기구에 있어서, 내부에 조리물이 수용되는 조리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조리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면이 개방되며,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조리몸체부와, 상기 조리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조리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배출부와, 복수개의 천공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조리몸체부의 내면에 설치되는 거름망과, 상기 개구부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조리몸체부의 개방된 상면 중 일영역을 차폐하는 음식물이탈방지판 및 상면 일측에 증기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리몸체부의 상면 및 배출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조리몸체부와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조리몸체부의 일측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개구부에 복수개의 천공이 형성된 거름망을 설치하며, 조리몸체부의 상면에 음식물이탈방지판을 설치함으로써 건더기와 국물을 분리하는 조리과정이 매우 용이하고,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조리기구, 연통, 개구부, 거름망

Description

조리기구{A untensil for cooking}
본 고안은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조리몸체부의 일측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개구부에 복수개의 천공이 형성된 거름망을 설치하며, 조리몸체부의 상면에 음식물이탈방지판을 설치함으로써 건더기와 국물을 분리하는 조리과정이 매우 용이하고,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구 중 음식을 끓이고, 튀기고, 삶고, 볶는 데 쓰는 조리 용구로 냄비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냄비는 운두가 낮고 손잡이가 고정된 몸체부와, 몸체부를 덮는 덮개로 형성되어 몸체부에 조리물을 넣고 조리물을 가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조리물은 주로 고체상태의 건더기와, 액체상태의 국물로 나뉘게 되는데 필요에 따라 건더기를 냄비에 두고 국물만 버리는 조리법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냄비를 사용하여 쑥을 삶고자 할 경우 삶아진 쑥은 냄비에 남긴상태에서 쑥을 삶기위한 물은 버려야 하나, 종래의 냄비는 원통형상으로 쑥과 버려야 할 물을 따로 나누기 위한 구조가 전혀 없으므로 쑥이 냄비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냄비를 천천히 기울여 물을 버리거나 다른 기구를 사용하여 쑥을 냄비내에 잔존하 도록 쑥을 지지하고 냄비와 발생된 틈을 통해 물을 버리게 됨으로써 그 조리과정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조리시간이 현저하게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리몸체부의 일측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개구부에 복수개의 천공이 형성된 거름망을 설치하며, 조리몸체부의 상면에 음식물이탈방지판을 설치함으로써 건더기와 국물을 분리하는 조리과정이 매우 용이하고,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조리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증기배출공이 형성된 덮개부에 덮개의 온도변화에 따라 증기배출공을 개폐하는 증기개폐부를 포함함으로써 불필요한 열손실을 방지하고, 내부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조리물의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조리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기구에 있어서, 내부에 조리물이 수용되는 조리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조리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면이 개방되며,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조리몸체부와, 상기 조리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조리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배출부와, 복수개의 천공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조리몸체부의 내면에 설치되는 거름망과, 상기 개구부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조리몸체부의 개방된 상면 중 일영역을 차폐하는 음식물이탈방 지판 및 상면 일측에 증기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리몸체부의 상면 및 배출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조리몸체부와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 일측에 취부되고, 상기 덮개의 온도변화에 따라 상기 증기배출공을 개폐하는 증기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증기개폐부는, 일단부가 상기 덮개 일측에 취부되고, 상기 덮개의 온도가 상승하면 팽창하는 제1 열팽창판과, 상기 제1 팽창판 상부에 적층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 팽창판의 일단부와 함께 상기 덮개 일측에 취부되며, 상기 덮개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팽창되되, 상기 제1 열팽창판의 팽창율보다 낮은 팽창율을 갖는 제2 열팽창판 및 일측에 상기 제1 열팽창판 및 제2 열팽창판의 타단부가 취부되고, 상기 증기배출공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열팽창판과 상기 제2 열팽창판가 팽창됨에 따라 상기 증기배출공의 개방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몸체부의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보조 배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거름망은 상기 조리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리몸체부는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양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된 결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름망은 양측 단부에 상기 결합돌부와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이 상기 결합돌부에 삽입되어 상기 조립몸체부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음식물이탈방지판은 상기 거름망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거름망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거름망에 의해 상기 조립몸체부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기구에 있어서, 내부에 조리물이 수용되는 조리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조리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면이 개방되는 조리몸체부와, 복수개의 천공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조리몸체부의 개방된 상면 중 일영역을 차폐하는 음식물이탈방지판 및 상면 일측에 증기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리몸체부의 상면 및 배출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조리몸체부와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조리몸체부의 일측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개구부에 복수개의 천공이 형성된 거름망을 설치하며, 조리몸체부의 상면에 음식물이탈방지판을 설치함으로써 건더기와 국물을 분리하는 조리과정이 매우 용이하고,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증기배출공이 형성된 덮개부에 덮개의 온도변화에 따라 증기배출공을 개폐하는 증기개폐부를 포함함으로써 불필요한 열손실을 방지하고, 내부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조리물의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참조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의 전체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는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1)는 조리몸체부(10)와, 배출부(20)와, 거름망(30)과, 음식물이탈방지판(40)과, 덮개(50) 및 증기개폐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리몸체부(10)는 내부에 조리물이 수용되는 조리공간(11)이 형성되고, 조리공간(1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면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일측면에는 개구부(12)가 형성되고, 외측면 중 개구부(12)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손잡이(13)가 형성된다. 이러한 조리몸체부(10)는 조리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손잡이(13)를 통해 조리된 조리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배출부(20)는 조리몸체부의 개구부(12) 둘레를 따라 조리몸체부(10)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이 때, 배출부(20)는 개구부(12)를 통해 조리공간(11)과 연통되는 배출구(21)가 형성되어 조리물의 국물이 외부로 이동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거름망(30)은 다수의 천공(31)이 형성된 판체로 제작되고, 조리몸체부(10)의 개구부(12)를 차폐하도록 조리몸체부(10)에 설치됨으로써 조리된 조리물의 건더기와 국물을 분리하는 경우 건더기가 조리몸체부(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국물만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서는 거름망(30)을 조리몸체부(10)와 별개의 구성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조리몸체부(10)의 일측에 다수의 천공(31)을 형성하여 조리몸체부(10)와 거름망(30)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음식물이탈방지판(40)은 개구부(1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조리몸체부(10)의 개방된 상면 중 일영역을 차폐하고, 조리몸체부(10)의 상면에 설치되며, 조리된 조리물의 건더기와 국물을 분리하기 위해 본 고안의 조리기구(1)를 기울이게 될 경우 조리몸체부(1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건더기 또는 국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음식물이탈방지판(40)은 건더기 또는 국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음식물이탈방지판(40)의 폭이 과도하게 클 경우 본 조리공간(11)의 조리물을 넣기에 매우 불편할 뿐 아니라 조리시 조리물의 조리과정을 체크할 수 없게 되어 조리기구(1)의 본 기능이 발휘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음식물이탈방지판(40)의 폭이 커질수록 본 고안의 조리기구의 무게가 늘어나기 때문에 음식물이탈방지판(40)의 폭을 최소화하여 무게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덮개(50)는 하부의 형상이 조리몸체부(10)의 상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조리몸체부(10)의 상면에 결합되어 개방된 조리몸체부(10)의 상면을 차폐하는 역할 을 하며, 상면 일측에 조리물을 가열하면서 발생되는 증기가 배출되도록 증기배출공(51)이 형성된다.
그리고, 덮개(50)는 측부에 배출부(20)의 형상과 대응되는 배출부덮개부(52)가 형성되어 조리몸체부(10)의 상면을 차폐함과 동시에 배출부(20) 또한 차폐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인 53은 덮개손잡이이다.
증기개폐부(60)는 일단부가 덮개(50)의 일측에 취부되는 제1 열팽창판(61)과, 제1 열팽창판(61) 상부에 적층되고 일단부가 제1 열팽창판(61)의 일단부와 함께 덮개(50)의 일측에 취부되는 제2 열팽창판(62) 및 일측에 제1 열팽창판(61) 및 제2 열팽창판(62)의 타단부가 취부되는 개폐밸브(63)를 포함하며, 덮개(50)의 온도변화에 따라 증기배출공(51)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열팽창판(61)은 덮개(50)의 온도가 상하강함에 따라 비례하여 팽창 및 수축되는 열팽창율을 갖는다.
제2 열팽창판(62)은 제1 열팽창판(61)과 같이 덮개(50)의 온도가 상하강함에 따라 비례하여 팽창 및 수축되는 열팽창율을 갖되, 제2 열팽창판(62)의 팽창율은 제1 열팽창판(61)의 팽창율보다 작게 형성된다.
개폐밸브(63)는 증기배출공(51)을 차폐하는 초기상태에서 덮개(50)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제1 열팽창판(61)과 제2 열팽창판(62)이 팽창되어 증기배출공(51)을 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의 동작설명을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를 사용하여 건더기와 국물을 분리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조리몸체부(10)의 조리공간(11)에 조리물을 넣고 덮개(50)를 조리몸체부(10)에 결합한 후 조리몸체부(10)를 가열하게 된다. 이후, 조리물이 가열됨에 따라 증기가 발생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개폐밸브(63)는 초기 증기배출공(51)을 차폐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조리물에서 발생된 증기는 증기배출공(51)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대류현상에 의해 조리기구(1)의 내부에서 이동된다. 이후, 조리기구(1)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증기의 온도가 덮개에 전도되어 덮개(5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제1 열팽창판(61)과 제2 열팽창판(62)이 상방으로 만곡되고, 이에 따라 개패밸브가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증기배출공(51)을 개방하게 된다.
이후 조리기구(1)의 내부에서 대류하던 증기는 개방된 증기배출공(51)을 통해 배출되면서 조리물이 조리된다.
이렇게 조리된 조리물의 건더기와 국물을 분리하기 위해 조리몸체부(10)를 기울이게 되면, 조리물의 국물은 거름망(30)의 천공(31)을 통해 배출구로 배출되고, 거름망(30)의 천공(31)의 직경보다 큰 건더기는 조리몸체부(10)의 내부에 남게 된다. 이때, 조리몸체부(10) 기울임의 각도가 커지게 되면서 조리몸체부(10)의 내부에 잔존한 건더기는 조리몸체부(1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외부로 이탈하게 되는 데, 음식물이탈방지판이 상기한 건더기의 이탈을 저지하면서 건더기는 조리몸체부(1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내부에 잔존하게 된다.
도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의 실시예는 기본적인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조리몸체부(10)의 일측에 외측으로 보조 배출부(20')가 돌출형성된 것이다.
이에, 조리된 조리물의 건더기와 국물을 분리하지 않고, 다른 그릇에 조리물을 넘기고자 할 경우 보조 배출부(20')를 통해 조리물을 넘김으로써 건더기와 국물이 분리되지 않고 다른 그릇으로 넘겨진다.
이때, 덮개(50)는 보조 배출부(20')의 배출구를 차폐할 수 있도록 보조배출부덮개부(5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이탈방지판과 거름망이 결합된 조리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및 도8의 실시예는 기본적인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거름망(30)을 조립몸체부(10)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몸체부(10)는 개구부(12)가 형성된 양측단부로부터 결합돌부(14)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거름망(30)이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거름망(30)은 양측 단부에 조리몸체부(10)의 결합돌부(14)와 대응되는 결합홈(32)이 형성되어 결합홈(32)이 결합돌부(14)에 삽입됨으로써 조리몸체부(10)에 결합된다.
음식물이탈방지판(40)은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거름망(30)이 조리몸체부(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거름망 통과홈(41)이 형성되고, 조리몸체부(10)의 상부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음식물이탈방지판(40)은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한 거름망(30)의 상부에 결합되어 거름망(30)과 같이 조리몸체부(10)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며, 개구부(12)의 상부에 위치되어 조리몸체부(10)의 개방된 상면 중 일영역을 차폐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조리기구(1)를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 조리기구로부터 거름망(30) 또는 거름망(30) 및 음식물이탈방지판(40)을 분리함으로써 조리기구(1)의 세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9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의 실시예는 기본적인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조리 몸체부(10)에 형성된 개구부(12)와, 거름망(30) 및 배출부(50)를 생략하고, 음식물이탈방지판(40)에 다수의 천공(40')을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조리된 조리물의 건더기와 국물을 분리하기 위해 조리몸체부(10)를 기울이는 경우 조리물의 국물은 음식물이탈방지판(40)의 천공(40')을 통해 배출구로 배출되고, 건더기는 조리몸체부(10)의 내부에 남게 된다. 그리고, 조리몸체부(10) 기울임의 각도가 커지게 되면서 조리몸체부(10)의 내부에 잔존한 건더기는 조리몸체부(1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외부로 이탈하게 되는데, 음식물이탈방지판(40)이 상기한 건더기의 이탈을 저지하면서 건더기는 조리몸체부(1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내부에 잔존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개구부(12)와, 거름망(30) 및 배출부(20)의 구성을 생략하고, 천공(40')이 형성된 음식물이탈방지판(40)에서 국물의 배출의 배출 및 건더기의 이탈방지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름망(30) 및 배출부(20)를 형성하는데 소비되는 재료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들을 제작하기 위한 제작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거름망(20) 및 배출부(30)의 무게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본 고안의 조리기구(1)의 무게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의 전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의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패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를 사용하여 건더기와 국물을 분리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의 분해사시도.
도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의 분해사시도,
도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이탈방지판과 거름망이 결합된 조리기구의 분해사시도
도9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의 분해사시도.
<주요도면부호에 관한 설명>
1 : 조리기구 10 : 조리몸체부
11 : 조리공간 12 : 개구부
13 : 손잡이 20 : 배출부
21 : 배출구 30 : 거름망
31 : 천공 40 : 음식물이탈방지부
50 : 덮개 51 : 증기배출공
52 : 배출부덮개부 52' : 보조배출부덮개부
53 : 덮개손잡이 60 : 증기개폐부
61 : 제1 열팽창판 62 : 제2 열팽창판
63 : 개폐밸브

Claims (8)

  1.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기구에 있어서,
    내부에 조리물이 수용되는 조리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조리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면이 개방되며,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조리몸체부와;
    상기 조리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조리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배출부와;
    복수개의 천공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조리몸체부의 내면에 설치되는 거름망과;
    상기 개구부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조리몸체부의 개방된 상면 중 일영역을 차폐하는 음식물이탈방지판 및;
    상면 일측에 증기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리몸체부의 상면 및 배출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조리몸체부와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일측에 취부되고, 상기 덮개의 온도변화에 따라 상기 증기배출공을 개폐하는 증기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개폐부는,
    일단부가 상기 덮개 일측에 취부되고, 상기 덮개의 온도가 상승하면 팽창하는 제1 열팽창판과;
    상기 제1 팽창판 상부에 적층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 팽창판의 일단부와 함께 상기 덮개 일측에 취부되며, 상기 덮개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팽창되되, 상기 제1 열팽창판의 팽창율보다 낮은 팽창율을 갖는 제2 열팽창판 및;
    일측에 상기 제1 열팽창판 및 제2 열팽창판의 타단부가 취부되고, 상기 증기배출공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열팽창판과 상기 제2 열팽창판가 팽창됨에 따라 상기 증기배출공의 개방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몸체부의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보조 배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은 상기 조리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몸체부는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양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된 결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름망은 양측 단부에 상기 결합돌부와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이 상기 결합돌부에 삽입되어 상기 조립몸체부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이탈방지판은 상기 거름망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거름망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거름망에 의해 상기 조립몸체부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8. 삭제
KR2020080015722U 2008-03-14 2008-11-26 조리기구 KR2004448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722U KR200444820Y1 (ko) 2008-03-14 2008-11-26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343 2008-03-14
KR2020080015722U KR200444820Y1 (ko) 2008-03-14 2008-11-26 조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820Y1 true KR200444820Y1 (ko) 2009-06-12

Family

ID=41349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722U KR200444820Y1 (ko) 2008-03-14 2008-11-26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8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337Y1 (ko) 2009-11-19 2011-09-05 윤지훈 물 배출용 냄비보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337Y1 (ko) 2009-11-19 2011-09-05 윤지훈 물 배출용 냄비보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80078A1 (en) Food steamer
CN106175477B (zh) 无油空气炸锅
JP4572253B2 (ja) 調理容器蓋の臭い排出装置
KR200466332Y1 (ko) 압력 밥솥
KR200444820Y1 (ko) 조리기구
JP3746503B2 (ja) グリル及びこれを備えた調理装置
KR200421281Y1 (ko) 분리형 숯불구이 불판
KR102453282B1 (ko) 연기커버가 구비된 에어순환식 로스터
KR200459672Y1 (ko) 안전 압력 밥솥
KR940007035Y1 (ko) 다목적 구이판을 구비한 전열조리용기
KR20039364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JP5630762B2 (ja) 調理容器およびその蓋
KR200196698Y1 (ko) 숯불구이용 로스터
KR200277433Y1 (ko) 구이판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KR101708435B1 (ko) 유증기 여과장치 부착형 렌지 겸용 구이기
KR100690401B1 (ko)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KR102165571B1 (ko) 증기 유도체
KR20160093836A (ko) 고기가 눌어붙지 않는 석쇠
KR101858909B1 (ko) 튀김통 또는 조리기구의 바닥에 쌓인 튀김 부유물의 탄화를 방지하는 버너구조
KR101453838B1 (ko) 직화구이용 조리용기
KR200421229Y1 (ko) 다기능 직화 조리기
KR100433315B1 (ko) 조리기
KR100717079B1 (ko) 가스버너가 내장된 테이블 및 이에 사용되는 구이판
KR200407505Y1 (ko) 육류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