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613Y1 - 허리둘레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허리둘레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613Y1
KR200466613Y1 KR2020110004492U KR20110004492U KR200466613Y1 KR 200466613 Y1 KR200466613 Y1 KR 200466613Y1 KR 2020110004492 U KR2020110004492 U KR 2020110004492U KR 20110004492 U KR20110004492 U KR 20110004492U KR 200466613 Y1 KR200466613 Y1 KR 200466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waist circumference
adjusting device
circumference adjusting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4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262U (ko
Inventor
박해오
Original Assignee
박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해오 filed Critical 박해오
Priority to KR2020110004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613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2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2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6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41F9/025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14Ski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허리둘레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하의(바지 또는 치마)의 허리둘레부에 부착되어 허리둘레가 살찌거나 여위는 등의 신체변화에 따라 허리둘레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한 허리둘레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의의 허리단 일측에 분리되도록 절개형성되는 내측 및 외측중첩부에 설치되어 허리둘레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허리둘레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래치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이 상기 내측중첩부와 면접하여 횡방향으로 재봉되며, 타측면은 길이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제1 삽입부가 형성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상부와 힌지축에 의하여 힌지결합되어 상기 래치부에 걸림고정되는 가압구와, 상기 이동부재의 타측면과 접합되어 상기 외측중첩부과 결합되도록 하나 이상의 걸고리가 형성되는 보조부재로 구성되는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허리둘레 조절장치{Waist size adjusting device}
본 고안은 허리둘레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하의(바지 또는 치마)의 허리둘레부에 부착되어 허리둘레가 살찌거나 여위는 등의 신체변화에 따라 허리둘레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한 허리둘레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인 하의(바지 또는 치마)는 허리둘레가 착용자의 연령대 및 성별에 따라 보편화 된 치수로 생산되고 있고, 이러한 치수에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맞는 바지 및 치마를 구입하여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요즈음 현대사회의 사람들은 섭취량이 많은 반면에 운동량이 적어 허리의 뱃살증가로 인한 비만이 계속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층은 성장에 따라 키와 함께 허리둘레가 증가되어 바지를 구입할 때와 구입 후 착용에서 시간이 지나면서 허리크기의 증가로 바지를 입지 못하거나 또는 비용을 지불하면서 바지의 허리둘레를 확장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하의의 길이는 쉽게 줄이거나 늘릴 수 있고 대개는 키 크기가 어느 한 순간에 급격히 자라나지는 않기에 한 번의 교정된 상태에서 하의가 낡을 때까지 거의 변함이 없게 된다.
그러나 허리는 상기한 비만에 의한 허리둘레의 증가가 불규칙적이고도 빠르게 발생되며 또한 성장에 따라서도 쉽게 증가되고 있어 하의를 구입한 후 오랜 기간을 입을 수 없는 문제가 매우 많고 빠르게 발생되어 바지를 재구입하여야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수선 점에서 허리둘레 사이즈를 늘리게 되나 이 때 허리 확장에는 한계가 있으며 또한 재단에서 추구한 옷맵시를 잃게 되어 바지가 소망하는 멋을 추구할 수가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즉, 바지의 재단에서 소정한 크기로 재단 봉재 된 허리부 직물지의 크기로 인하여 늘린 수 있는 폭이 극히 적고 한정되는 문제와 이와 같은 여백을 이용한 늘림은 바지 전체의 디자인에 많은 지장을 초래시켜 결국 바지의 형태의 변형을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하의 착용자의 변하는 신체조건에 따라 허리둘레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별도의 조절장치를 하의 허리단에 구비하여 허리둘레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허리둘레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의의 허리단 일측에 분리되도록 절개형성되는 내측 및 외측중첩부에 설치되어 허리둘레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허리둘레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래치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이 상기 내측중첩부와 면접하여 횡방향으로 재봉되며, 타측면은 길이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제1 삽입부가 형성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상부와 힌지축에 의하여 힌지결합되어 상기 래치부에 걸림고정되는 가압구와, 상기 이동부재의 타측면과 접합되어 상기 외측중첩부과 결합되도록 하나 이상의 걸고리가 형성되는 보조부재로 구성되는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는, 상기 외측중첩부의 외측에서 삽입되어 상기 걸고리와 결합되기 위하여 결합핀이 형성되는 마감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구는, 가압을 한 후 원상복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구와 이동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탄성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내측중첩부에 재봉이 용이하도록 횡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하의의 허리단에 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에 의하면, 청소년기 성장으로 인하여 허리둘레가 커지더라도 하의의 허리단을 착용자의 허리둘레 맞게 조절할 수 있어 새로운 바지구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절장치가 내측 및 외측 중첩부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므로 하의 착용 시 생기는 주름을 방지하여 옷맵시가 살아나는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단면도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의 허리둘레 조절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허리둘레 조절장치가 적용되는 하의(100)는, 적어도 한 곳 이상 분리되게 절개되어 서로 중첩되도록 중첩부가 형성된다. 상기 중첩부는 하의(100)의 허리단 내측과 결합되는 내측 중첩부(110)와, 허리단 바깥쪽과 결합되는 외측 중첩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의(100)의 내측 및 외측 중첩부(110, 120)의 구성은 공지기술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내측 및 외측 중첩부(110, 120)의 사이에 본 고안의 허리둘레 조절장치가 설치되는 것이고, 그 연결 부위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옷맵시를 살리도록 가이드레일(200) 및 위치고정수단(300)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허리둘레 조절수단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가이드레일(200)은, 상부에 래치부(201)가 형성되고, 일측면이 상기 내측중첩부(110)와 면접하여 횡방향으로 재봉되며, 타측면은 길이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20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중첩부(110)에 재봉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돌기부(202) 반대측에 안내홈(20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200)은 천으로 구성되는 하의(100)에 재봉이 용이하도록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위치고정수단(300)은 하의(100)의 허리단에 둘 이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제1 삽입부(311)가 형성되는 이동부재(310)와, 상기 이동부재(310)의 상부와 힌지축(322)에 의하여 힌지결합되어 상기 래치부(201)에 걸림고정되는 가압구(320)와, 상기 이동부재(310)의 타측면과 접합되어 상기 외측중첩부(120)와 결합되도록 하나 이상의 걸고리(331)가 형성되며, 상기 걸고리(331)의 내측면으로 후술할 삽입천(130)이 삽입되기 위한 제2 삽입부(332)가 형성되는 보조부재(33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보조부재(330)에는, 상기 외측중첩부(120)의 외측에서 삽입되어 상기 걸고리(331)와 결합되기 위하여 결합핀(341)이 형성되는 마감부재(3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부재(330)는 상기 외측중첩부(120)에 재봉 등에 의하여 결합될 수도 있지만, 수려한 미관을 나타냄과 동시에 원활한 체결을 위하여 마감부재(340)를 이용하여 마감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340)의 표면에는 회사의 선전을 위한 제조사의 로고 등을 인쇄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걸고리(331)는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후술할 내측 중첩부(110)와 재봉되는 삽입천(130)이 제2 삽입부(332)에 삽입되더라도 상기 이동부재(310)가 간섭받지 않고 원활하게 슬라이딩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가압구(320)는, 가압을 한 후 원상복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구(320)와 이동부재(310) 사이에 삽입되어 탄성으로 지지하는 스프링(32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321)은 판스프링 또는 텐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바지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치마 등의 하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하의(100)의 내측중첩부(110) 일측에 상기 가이드레일(200)의 안내홈(203)을 재봉한 후, 상기 이동부재(310)의 제1 삽입부(311)를 삽입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2 삽입부(332)의 내측에 삽입천(130)을 삽입하여 상기 내측 중첩부(110)과 재봉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외측 중첩부(120)의 외측에서 상기 마감부재(340)의 결합핀(341)을 이용하여 강제 천공하여 삽입한 후 상기 결합핀(341)을 걸고리(331)에 걸리도록 서로 마주보도록 내측으로 휘어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정된 위지고정수단(300)이 하의(100)의 허리단에 결합되면, 하의 착용자는 상기 가압구(320)을 가압하여 본인의 허리둘레에 맞춰 하의(100)의 허리단을 조절한 후 가압을 해제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가압구(320)은 래치부(201)에 삽입되어 상기 위치고정수단(300)이 고정되어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맞춰지는 것이다.
이후, 과식 또는 성장에 의하여 허리둘레의 변화가 있는 경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가압구(320)를 가압하여 래치부(201)에 의해 고정된 위치고정수단(300)을 후퇴시켜 허리둘레를 맞춰 바지를 착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하의 110 : 내측중첩부
120 : 외측중첩부 130 : 삽입천
200 : 가이드레일 201 : 래치부
202 : 돌기부 203 : 안내홈
300 : 위치고정수단 310 : 이동수단
311 : 제1 삽입부 320 : 가압구
321 : 스프링 322 : 힌지축
330 : 보조부재 331 : 걸고리
332 : 제2 삽입부 340 : 마감부재
341 : 결합핀

Claims (5)

  1. 하의(100)의 허리단 일측에 분리되도록 절개형성되는 내측 및 외측중첩부(110, 120)에 설치되어 허리둘레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허리둘레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래치부(201)가 형성되고, 일측면이 상기 내측중첩부(110)와 면접하여 횡방향으로 재봉되며, 타측면은 길이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202)가 형성되는 가이드레일(200) 및
    상기 가이드레일(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제1 삽입부(311)가 형성되는 이동부재(310)와, 상기 이동부재(310)의 상부와 힌지축(322)에 의하여 힌지결합되어 상기 래치부(201)에 걸림고정되는 가압구(320)와, 상기 이동부재(310)의 타측면과 접합되어 상기 외측중첩부(120)와 결합되도록 하나 이상의 걸고리(331)가 형성되는 보조부재(330)로 구성되는 위치고정수단(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둘레 조절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330)에는,
    상기 외측중첩부(120)의 외측에서 삽입되어 상기 걸고리(331)와 결합되기 위하여 결합핀(341)이 형성되는 마감부재(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둘레 조절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구(320)는,
    가압을 한 후 원상복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구(320)와 이동부재(310) 사이에 삽입되어 탄성으로 지지하는 스프링(3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둘레 조절장치.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00)은,
    상기 내측중첩부(110)에 재봉이 용이하도록 횡방향으로 안내홈(20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둘레 조절장치.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수단(300)은,
    하의(100)의 허리단에 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둘레 조절장치.
KR2020110004492U 2011-05-24 2011-05-24 허리둘레 조절장치 KR200466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492U KR200466613Y1 (ko) 2011-05-24 2011-05-24 허리둘레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492U KR200466613Y1 (ko) 2011-05-24 2011-05-24 허리둘레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262U KR20120008262U (ko) 2012-12-04
KR200466613Y1 true KR200466613Y1 (ko) 2013-04-25

Family

ID=47517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492U KR200466613Y1 (ko) 2011-05-24 2011-05-24 허리둘레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61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960B1 (ko) * 2014-06-02 2014-11-07 방종호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
KR101474391B1 (ko) * 2014-07-19 2014-12-23 형배 김 하의용 허리단 치수 조절장치
WO2017150776A1 (ko) * 2016-03-02 2017-09-08 (주)씨엔어스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KR102081381B1 (ko) 2019-12-27 2020-02-25 정지옹 길이조절이 가능한 착탈형 결합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879B1 (ko) * 2012-10-08 2014-04-29 박해오 허리둘레 조절장치
KR101387050B1 (ko) * 2013-02-15 2014-04-18 백인선 간격 조절장치
KR101278247B1 (ko) * 2013-03-18 2013-07-05 백인선 간격 조절장치
KR101717043B1 (ko) * 2016-01-19 2017-03-27 권현숙 의류 허리 둘레선 조절장치
KR101754922B1 (ko) * 2017-05-15 2017-07-19 정지옹 길이 조절 장치
KR101992563B1 (ko) * 2018-04-26 2019-06-26 주식회사 씨엔어스 치마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와 그 설치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12A (ja) 1996-06-17 1998-01-06 Atsushi Matsuki ズボン、スカートのウエスト寸法調整用スライダー
JP2002129408A (ja) 2000-10-20 2002-05-09 Morito Co Ltd ウェストサイズ調節具
KR20060105636A (ko) * 2005-04-01 2006-10-11 모리토 가부시키가이샤 웨이스트 조절용 어저스터
KR20090104796A (ko) * 2009-09-15 2009-10-06 박해오 허리둘레 조절구 및 그것이 구비된 바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12A (ja) 1996-06-17 1998-01-06 Atsushi Matsuki ズボン、スカートのウエスト寸法調整用スライダー
JP2002129408A (ja) 2000-10-20 2002-05-09 Morito Co Ltd ウェストサイズ調節具
KR20060105636A (ko) * 2005-04-01 2006-10-11 모리토 가부시키가이샤 웨이스트 조절용 어저스터
KR20090104796A (ko) * 2009-09-15 2009-10-06 박해오 허리둘레 조절구 및 그것이 구비된 바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960B1 (ko) * 2014-06-02 2014-11-07 방종호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
KR101474391B1 (ko) * 2014-07-19 2014-12-23 형배 김 하의용 허리단 치수 조절장치
WO2017150776A1 (ko) * 2016-03-02 2017-09-08 (주)씨엔어스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CN107149189A (zh) * 2016-03-02 2017-09-12 Cnus株式会社 用于调节裤子或者裙子的腰带的围长的装置
KR102081381B1 (ko) 2019-12-27 2020-02-25 정지옹 길이조절이 가능한 착탈형 결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262U (ko) 2012-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6613Y1 (ko) 허리둘레 조절장치
JP4975852B2 (ja) ウエスト調節具およびそれが備えられたズボン
KR101384879B1 (ko) 허리둘레 조절장치
KR100673798B1 (ko) 목 둘레 조절기능 부착셔츠
CN201440934U (zh) 尺寸可调式服装
CN203670368U (zh) 一种包缝机的安装支板
WO2017150776A1 (ko)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KR20130092212A (ko)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US10588366B2 (en) Ventilation for article of apparel
JP6530476B1 (ja) 股下寸法を調整可能な衣服
JP3964595B2 (ja) 被服のウエストサイズ伸縮自在構造
KR100387408B1 (ko) 의복의 허리사이즈가 조절가능한 걸림부재, 훅크구성체, 고리구성체 및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KR20170123302A (ko)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US20190153660A1 (en) Sleeve-finishing assist-tool for garments
KR200484741Y1 (ko) 버클을 사용하지 않는 벨트
KR101909935B1 (ko) 청바지용 백포켓 및 청바지와의 부착 방법
KR20090004533U (ko) 바지위로 삐짐을 방지하는 구조의 셔츠
US20150013860A1 (en) Retractable flexible handle
JP3984265B2 (ja) 衣服
KR200490996Y1 (ko) 옷깃 세움 가이더
US1027009A (en) Attachment for sewing-machines.
JP3175207U (ja) 袖付き衣服
KR200283094Y1 (ko) 작업복
JP4022028B2 (ja) 被服ベルトの伸縮自在構造
JP3072238U (ja) 作業用エプロ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