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247B1 - 간격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간격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247B1
KR101278247B1 KR1020130028883A KR20130028883A KR101278247B1 KR 101278247 B1 KR101278247 B1 KR 101278247B1 KR 1020130028883 A KR1020130028883 A KR 1020130028883A KR 20130028883 A KR20130028883 A KR 20130028883A KR 101278247 B1 KR101278247 B1 KR 101278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uide rail
elevating member
elevating
oper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인선
Original Assignee
백인선
백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인선, 백종환 filed Critical 백인선
Priority to KR1020130028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2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2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간격 조절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간격 조절장치는: 내측 고정부에 구비되고, 상측에 래치부가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이 이동하는 안내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측 고정부에 구비되는 설치부재와, 안내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작동부재와, 작동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승강 이동으로 전환하여 래치부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는 작동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간격 조절장치{DEVICE FOR CONTROLLING SPACE}
본 발명은 간격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동부재를 설치부재에서 슬라이드방식으로 이동하여 승강부재를 승강 이동하여 가이드레일에 걸어주거나 걸림 해제함으로써 바지의 허리 둘레 또는 모자의 둘레 사이즈를 간편하게 조절하도록 하는 간격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복의 바지, 스커트, 점퍼 등의 허리 둘레의 길이를 조절하는 데 허리 밴드에 조절구를 이용하여 조절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사이즈 조정은 바지, 스커트 등의 상체나 다리에 착용하는 의복에 한정되지 않고, 모자나 신발 등, 신체의 일부를 피복하는 것 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의복에 있어서도 적절한 장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모자는 헤드부에 맞추기 위해, 신발은 다리에 맞추기 위해, 사이즈 조절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범용적인 사이즈 조정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특허등록번호 제10-0666219호(발명의 명칭: 허리 사이즈 조정이 가능한 바지)가 제시된바 있다.
종래의 사이즈 조절장치는, 바지의 허리 사이즈를 조절한 후 걸고리의 걸림부를 전측에서 힌지 회동하여 닫아주면 걸림부가 가이드레일의 걸림홈과 결합되면서 허리사이즈가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걸고리의 걸림부가 전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젖힐 때 공간활용의 제약이 있어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상측에서 버튼식으로 젖히는 사이즈 조절장치가 있으나 전체 구성이 복잡하고, 탄성 스프링 및 힌지 등이 더 구비됨으로써 구조가 복잡하고, 그로 인해 제조비용이 증가하며, 사이즈 조절시 버튼을 항상 누르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작동부재를 설치부재에서 슬라이드방식으로 이동하여 승강부재를 승강 이동하여 가이드레일에 걸어주거나 걸림 해제함으로써 바지의 허리 둘레 또는 모자의 둘레 사이즈를 간편하게 조절하도록 하는 간격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간격 조절장치는, 내측 고정부에 구비되고, 상측에 래치부가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이 이동하는 안내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측 고정부에 구비되는 설치부재; 상기 안내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작동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승강 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래치부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이동을 조절하는 작동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전환부는, 상기 래치부에 걸려지는 걸림부가 하측에 형성되는 승강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작동부재의 슬라이드 동작을 연동하여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상하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부는, 상기 작동부재 또는 상기 승강부재의 측면에 형성되는 이동축; 및 상기 이동축이 삽입되고, 상기 승강부재 또는 작동부재에 경사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사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의 상측에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래치부에 걸려지도록 상승한 상기 승강부재를 탄성 복귀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부재 또는 승강부재의 측면에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 또는 상기 설치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는, 작동부재를 설치부재에서 슬라이드방식으로 이동하여 승강부재를 승강 이동하여 가이드레일에 걸어주거나 걸림 해제함으로써 바지의 허리 둘레 또는 모자의 둘레 사이즈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의 바지 적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의 정면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립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의 배면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립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의 걸림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의 걸림 해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의 바지 적용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의 정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의 조립상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의 걸림 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의 걸림 해제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조절장치(100)는, 의복의 바지, 스커트, 점퍼 등의 허리 둘레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모자의 헤드부 둘레 길이 및 구두의 사이즈 조절 등, 즉 고정물(2)의 내측 고정부(4)와 외측 고정부(6) 사이의 둘레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절장치(100)는 고정물(2)인 바지의 허리 둘레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태로 도시하겠으며, 내측 고정부(4)는 바지의 허리에 내측이 배치되는 내측 중첩부이고, 외측 고정부(6)는 바지의 허리 둘레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중첩부이다.
즉, 내측 고정부(4)는 고정물(2)인 바지의 주머니 내측과 결합되되, 허리단(3)에서 중첩되는 부분이고, 외측 고정부(6)는 고정물(2)인 바지의 주머니 외측과 결합되되, 허리단(3)에서 중첩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내,외측 고정부(4)(6)는 고정물(2)인 바지의 주머니단(8)이 절개되어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내,외측 고정부(4)(6)는 바지, 스커트를 포함한 의복, 모자, 신발 등의 고정물(2)에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100)는, 가이드레일(20), 설치부재(20), 작동부재(30) 및 작동전환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이드레일(10)은 고정물(2)의 내측 고정부(4)의 일면에 가로방향으로 재봉되는 상태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가이드레일(10)의 상측 면에는 걸림을 위한 래치부(12)가 길이방향으로 설정 간격을 갖도록 다수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레일(10)의 측면에는 설치부재(20)의 안내부(22) 내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드돌부(23)가 삽입되어 유동 없이 슬라이드 이동되게 하는 삽입홈부(16)가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레일(10)이 설치부재(20)의 안내부(22)에서 상하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해준다.
가이드레일(10)은 래치부(12)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상측으로 편평한 지지면(14)이 형성된다.
지지면(14)은 후술하는 작동부재(3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접촉돌부(32)가 지지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0)은 내측 고정부(4)에 재봉을 통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레일(10)에는 재봉 작업시 재봉라인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되는 함몰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설치부재(20)는 가이드레일(10)이 이동하는 안내부(1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측 고정부(6)에 구비된다.
설치부재(20)는 고정물(2)의 외측 고정부(6)에 후술하는 고정부재(70)를 통해 결합된다.
설치부재(20)의 배면에는 외측 고정부(6)의 구멍에 끼워지는 결합돌부(62)가 형성된다.
설치부재(20)에는 안내부(22)에 삽입되는 가이드레일(10)을 덮어주기 위한 가림천(90)이 삽입된다.
설치부재(20)의 안내부(22) 바닥에는 가이드레일(10)의 저면을 지지하여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돌부(80)가 구비된다.
지지돌부(80)는 안내부(22)의 바닥 길이 방향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가림천(90)은 안내부(22)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작동부재(30)의 측면을 밀어 지지하는 가압돌기(29)에 의해 안내부(22)의 하측 부위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 배치된다.
가압돌기(29)는 안내부(22)의 내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가림천(70)은 내측 고정부(4) 외측에 양단이 재봉되는 것으로서, 양단을 제외한 중심부위는 가이드레일(10)의 두께를 보상할 수 있도록 내측 고정부(4) 외측면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배치된다.
한편, 고정부재(70)는 외측 고정부(6)의 외면으로 노출되는 구성으로서, 설치부재(20)는 외측 고정부(6)의 외부에 배치되는 고정부재(70)의 결합돌부(72)가 설치부재(20)의 결합홀부(64)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된다.
결합홀부(64)는 설치부재(20)의 일 측면에 수평으로 2개 이상 관통 형성된다.
결합돌부(72)는 결합홀부(64)에 삽입된 후, 단부가 압착되어 고정되거나 쐐기 형상으로 원주방향으로 다단 돌출 형성되어 압입(壓入)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작동부재(30)는 안내부(22)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구성이다.
작동부재(30)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밀어 주거나 당겨줄 수 있도록 설치부재(20)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푸쉬부(34)가 구비된다.
푸쉬부(34)는 설치부재(20)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노출되어 밀어 줄수 있도록 구성된다.
작동부재(90)는 판재형태로 이루어지고, 푸쉬부(34)는 버튼 형태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작동전환부(40)는 작동부재(30)의 슬라이드 이동을 승강 이동으로 전환하여 래치부(12)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어 가이드레일(10)의 이동을 조절하는 구성이다.
작동전환부(40)는 래치부(12)에 걸려지는 걸림부(52)가 하측에 형성되는 승강부재(50)와, 작동부재(30)와 승강부재(50)에 마련되고, 작동부재(30)의 슬라이드 동작을 연동하여 승강부재(50)를 승강시키는 상하이동부(60)를 포함한다.
상하이동부(60)는, 작동부재(30) 또는 승강부재(50)의 측면에 형성되는 이동축(62)와, 이동축(62)이 삽입되도록 승강부재(50) 또는 작동부재(30)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홈(64)을 포함한다.
이동축과 가이드홈은 2개 형성된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1개 또는 3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작동부재(30)의 하부에는 가이드레일(10)의 지지면(14) 또는 설치부재(20)의 안내부(22) 바닥에 면적을 줄이면서 접촉되어 마찰을 줄이도록 접촉돌부(32)가 형성된다.
접촉돌부(32)는 중심부에 요홈을 갖도록 양측 저면으로 동일한 높이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부재(50)는 판재형태로 이루어진다.
작동부재(30)의 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36)가 형성된다,
설치부재(20)의 안내부(22) 내면에는 작동부재(30)가 전,후 슬라이드 이동시 후진 이동을 제한하도록 걸림돌기(36)에 걸려지는 이동제한턱(26)이 형성된다.
도 1에 및 도 3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36)의 전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작동부재(30)가 설치부재(20)의 안내부(22)에 삽입되어 조립될 때, 걸림돌기(36)의 경사면을 타고 삽입되면서 이동제한턱(26)에 걸려짐으로써 후진 방향 이탈이 방지되는 상태로 조립된다.
설치부재(20)의 안내부(22) 내면에는 작동부재(30)의 슬라이드 이동시 작동부재(30)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도록 걸림돌기(36)가 삽입되는 수평이동홈(28)이 형성된다.
수평이동홈(28)은 이동제한턱(28)에 접하는 상태로 구비된다.
승강부재(50)의 상측에는 작동부재(30)가 원상복귀하면서 걸림부(52)가 가이드레일(10)의 래치부(12)에 걸려지도록 상승한 승강부재(50)를 탄성 복귀시키는 탄성부(54)가 구비된다.
탄성부(54)는 승강부재(50)의 중심 돌출부에서 양측으로 벌려지면서 자유단 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한 쌍 형성되어 설치부재(20)의 안내부(22) 저면에 지지되어 하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된다.
탄성부(54)는 승강부재(5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된다.
탄성부(54)는 승강부재(50)에 탄성력 발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한 개 또는 3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설치부재(20) 또는 승강부재(50)의 측면에는 가이드홈부(24)가 형성된다.
가이드홈부(24)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승강부재(50) 또는 설치부재(20)의 측면에는 가이드홈부(24)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는 가이드돌부(5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승강부재(50)의 승강시 가이드돌부(56)가 설치부재(20)의 가이드홈부(24)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승강부재(50)가 설치부재(20)에 대해 좌우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승강하게 안내해준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간격조절장치(100)를 작동하기 전 상태를 살펴 본다.
작동부재(10)를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탄성부(54)가 설치부재(20)의 안내부(22) 저면에 지지되어 하측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므로 승강부재(50)가 하측으로 하강하게 되면서 걸림부(52)가 가이드레일(10)의 래치부(12)에 걸려져 가이드레일(10)이 설치부재(20)에서 전후 이동이 방지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바지, 스커트, 점퍼, 모자, 신발 등의 고정물(2)의 록킹(locking)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내측고정부(4)와 외측고정부(60)의 간격을 조절하지 못하게 한다.
이때, 작동부재(50)에 구비된 이동축(62) 역시 하강하여 경사홈(64)을 경사지게 밀어주어 작동부재(10)를 후방(도면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로 있게 된다. 이 경우, 이동축(62)는 경사홈(64)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작동부재(30)의 걸림돌기(36)가 수평이동홈(28)을 통해 이동하여 이동제한턱(26)에 걸려지므로 작동부재(50)의 후진이동이 제한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간격조절장치(100)를 작동하는 상태를 살펴 본다.
푸쉬부(34)를 통해 작동부재(30)를 전진(도면에서 우측방향)하여 밀어주면, 작동부재(30)의 경사홈(64)이 이동축(52)을 경사지게 밀어줌에 따라 승강부재(50)가 탄성부(54)를 탄성 압축하면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작동부재(30)의 하측에 구비된 걸림부(52) 역시 상승하면서 래치부(12)와의 걸림이 해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간격을 조절하는 상태로 가이드레일(10)이 고정된 내측 고정부(4)와 설치부재(20)가 고정된 외측 고정부(6)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면 된다.
그리고, 간격조절이 완료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푸쉬부(34)를 놓아주면 탄성 압축된 탄성부(54)의 원상복귀에 의해 승강부재(50)가 하강함에 따라 작동축(62)과 경사홈(64)에 연동된 작동부재(30)의 후진 이동과 함께 걸림부(52)가 래치부(12)에 걸려지면서 록킹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 고정물 4 : 내측 고정부
6 : 외측 고정부 10 : 가이드레일
12 : 래치부 20 : 설치부재
22 : 안내부 24 : 가이드홈부
26 : 이동제한턱 28 : 수평이동홈
30 : 작동부재 32 : 접촉돌부
34 : 푸쉬부 36 : 걸림돌기
40 : 작동전환부 50 : 승강부재
52 : 걸림부 54 : 탄성부
56 : 가이드돌부 60 : 상하이동부
62 : 이동축 64 : 경사홈
70 : 고정부재 72 : 결합돌부
80 : 지지돌부 100: 간격조절장치

Claims (4)

  1. 내측 고정부에 구비되고, 상측에 래치부가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이 이동하는 안내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측 고정부에 구비되는 설치부재;
    상기 안내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작동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승강 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래치부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는 작동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전환부는,
    상기 래치부에 걸려지는 걸림부가 하측에 형성되는 승강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작동부재의 슬라이드 동작을 연동하여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상하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는,
    상기 작동부재 또는 상기 승강부재의 측면에 형성되는 이동축; 및
    상기 이동축이 삽입되고, 상기 승강부재 또는 작동부재에 경사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사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의 상측에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래치부에 걸려지도록 상승한 상기 승강부재를 탄성 복귀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부재 또는 승강부재의 측면에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 또는 상기 설치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장치.
KR1020130028883A 2013-03-18 2013-03-18 간격 조절장치 KR101278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883A KR101278247B1 (ko) 2013-03-18 2013-03-18 간격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883A KR101278247B1 (ko) 2013-03-18 2013-03-18 간격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8247B1 true KR101278247B1 (ko) 2013-07-05

Family

ID=48996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883A KR101278247B1 (ko) 2013-03-18 2013-03-18 간격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824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352Y1 (ko) 2013-11-07 2014-04-18 이은실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KR101630186B1 (ko) * 2014-12-30 2016-06-14 백종환 분리형 간격 조절장치
WO2017150776A1 (ko) * 2016-03-02 2017-09-08 (주)씨엔어스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KR101826266B1 (ko) 2017-02-10 2018-02-06 백종환 분리형 간격 조절장치
WO2018212433A1 (ko) * 2017-05-15 2018-11-22 정지옹 길이 조절 장치
KR102312844B1 (ko) 2020-09-15 2021-10-14 백종환 의류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452Y1 (ko) 2005-03-11 2005-06-13 (주)아반토 허리 사이즈 조절장치
KR101060070B1 (ko) 2009-09-15 2011-08-29 박해오 허리둘레 조절구 및 그것이 구비된 바지
KR101187156B1 (ko) 2012-02-10 2012-09-28 문현태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KR20120008262U (ko) * 2011-05-24 2012-12-04 박해오 허리둘레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452Y1 (ko) 2005-03-11 2005-06-13 (주)아반토 허리 사이즈 조절장치
KR101060070B1 (ko) 2009-09-15 2011-08-29 박해오 허리둘레 조절구 및 그것이 구비된 바지
KR20120008262U (ko) * 2011-05-24 2012-12-04 박해오 허리둘레 조절장치
KR101187156B1 (ko) 2012-02-10 2012-09-28 문현태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352Y1 (ko) 2013-11-07 2014-04-18 이은실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KR101630186B1 (ko) * 2014-12-30 2016-06-14 백종환 분리형 간격 조절장치
WO2017150776A1 (ko) * 2016-03-02 2017-09-08 (주)씨엔어스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KR101826266B1 (ko) 2017-02-10 2018-02-06 백종환 분리형 간격 조절장치
WO2018212433A1 (ko) * 2017-05-15 2018-11-22 정지옹 길이 조절 장치
KR102312844B1 (ko) 2020-09-15 2021-10-14 백종환 의류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247B1 (ko) 간격 조절장치
KR101387050B1 (ko) 간격 조절장치
JP6050314B2 (ja) 引出し用の引き出しガイド
KR20180037090A (ko) 러기지 핸들 및 핸들바
KR101265161B1 (ko) 허리 사이즈 조절장치
KR101187156B1 (ko)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CN208131353U (zh) 一种易滑升降滑座结构
DE60303512D1 (de) An- und ausziehvorrichtung für einen stützstrumpf
KR20200110935A (ko) 옷걸이
EA200200181A1 (ru) Игла с кулисным механизмом для вязальной машины
CN206721542U (zh) 挂式折叠烫衣板
CN203554564U (zh) 用于智能电视机的伸缩式摄像组件
KR101630186B1 (ko) 분리형 간격 조절장치
KR101282481B1 (ko) 의자의 등받이 높낮이 조절 구조
KR20170044474A (ko)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
CN210118050U (zh) 一种上下滑动式的左右双侧门结构
CN107349075A (zh) 一种皮肤检查用医疗挡帘
KR20120113069A (ko) 도어 스토퍼
CN209622440U (zh) 一种佩戴式终端安装装置
KR20210043229A (ko) 옷걸이
KR101826266B1 (ko) 분리형 간격 조절장치
KR20110063391A (ko) 옷걸이 보조구
CN205934446U (zh) 一种烧毛机
KR102249614B1 (ko) 슬라이딩식으로 설치되는 보조챙을 갖는 모자
CN213908711U (zh) 一种便于安装的和服服饰挂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