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352Y1 -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352Y1
KR200472352Y1 KR2020130009154U KR20130009154U KR200472352Y1 KR 200472352 Y1 KR200472352 Y1 KR 200472352Y1 KR 2020130009154 U KR2020130009154 U KR 2020130009154U KR 20130009154 U KR20130009154 U KR 20130009154U KR 200472352 Y1 KR200472352 Y1 KR 2004723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guide rail
ratchet
movable
mov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1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실
Original Assignee
이은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실 filed Critical 이은실
Priority to KR20201300091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3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3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3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41F9/025Adjustable belts or girdles

Abstract

본 고안은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의에 형성된 허리단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포개어진 허리단의 양 끝단을 고정시켜 허리둘레 사이드를 조절하는 허리둘레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허리단의 일측 끝단에 고정되며 정면에 래칫이 돌출 형성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과 대면하게 허리단의 타측 끝단에 고정되며, 내부에 가이드 레일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의 관통부에 위치하되 이동블록의 상면과 하면에 힌지 체결되어 가이드 레일에 형성된 래칫을 향해 회전하여 래칫과 맞물리는 가동체 및 상기 이동블록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동체가 래칫과 맞물린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가동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가 개시된다. 이에 따라서, 이동블록이 밴딩 가공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최소의 부품수를 갖기 때문에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고 따라서 생산시간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고정레버와 가동체에 형성된 가동레버가 허리단의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고정레버와 가동레버의 누름 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어 허리둘레 사이즈의 조절이 간편하다.

Description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Waist size adjusting device}
본 고안은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최소의 부품수를 갖고 허리둘레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의의 허리단 일측 끝단에 래칫이 형성된 가이드가 고정되고, 허리단의 타측 끝단에 탄성편이 일체로 형성된 이동블록이 고정되어 이동블록에 설치된 래칫과 맞물리거나 이격되는 가동체의 작동에 따라 허리둘레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최소화된 부품수에 의해 생산시간과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지 또는 치마와 같은 하의는 착용자의 하반신에 착용하는 의복의 한 종류로 하의의 상부에는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단이 형성되고, 이 허리단의 일측은 절개되어 결속수단에 의해 붙였다 떼었다 가능하게 결속된다.
그리고, 허리단의 절개부위에 구비되는 결속수단으로 지퍼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퍼는 바지의 경우 전면에 마련되고, 치마의 경우 정면, 측면, 후면 등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마련되어 착용자가 하의를 편리하게 입거나 벗을 수 있도록 허리단을 넓히거나 좁히게 된다.
한편, 허리둘레 사이즈에 따라 몇 가지의 사이즈로 제작되는 기성복의 경우 하의를 구매한 후에 착용자가 살이 쪄서 허리둘레가 증가하게 되면 허리단의 둘레 조절이 어려워 착용자의 허리둘레 사이즈에 맞게 하의를 새로 구매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신체가 급격히 성장하는 청소년들의 경우 대부분 교복을 착용하게 되는데, 교복을 장기간 입기 위해서는 신체 성장을 예상하여 저학년의 학생들이 교복 하의를 크게 구입하여 입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청소년들이 갑자기 성장하게 되는 경우 하의의 길이는 하단을 뜯어 늘릴 수 있으나 허리둘레의 증가는 교복을 교체하거나 허리단을 뜯어 사이즈를 늘리는 의류 수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허리단을 뜯어 수선하는 경우 옷 맵시가 나빠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실용신안등록 제20-0466613호의 "허리둘레 조절장치"가 있다. 선행기술의 허리둘레 조절장치는 하의의 허리단 절개부위 일측에 재봉되며 래치부가 형성된 가이드 레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이동부재, 이동부재의 상부에서 힌지축 결합되어 래치부에 걸림되는 가압구, 이동부재와 대면하여 설치되고 허리단 절개부위 타측에 재봉되는 보조부재로 구성되며, 래치부에 걸림되는 가압구의 복귀를 위해 힌지축에 스프링이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선행기술은 그 부품수가 많고 형상이 복잡하여 부품의 제작 및 조립에 어려움이 있어 생산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가압구를 하부를 향해 누름 조작한 상태에서 이동부재를 가압구의 누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힘을 주어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6613호(2013.04.19)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최소의 부품수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부품 제작이 쉽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어 생산시간 및 제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한 방향으로 누름 조작할 수 있도록 레버가 형성된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하의에 형성된 허리단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포개어진 허리단의 양 끝단을 고정시켜 허리둘레 사이드를 조절하는 허리둘레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허리단의 일측 끝단에 고정되며 정면에 래칫이 돌출 형성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과 대면하게 허리단의 타측 끝단에 고정되며, 내부에 가이드 레일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의 관통부에 위치하되 이동블록의 상면과 하면에 힌지 체결되어 가이드 레일에 형성된 래칫을 향해 회전하여 래칫과 맞물리는 가동체 및 상기 이동블록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동체가 래칫과 맞물린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가동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블록은 상기 허리단의 타측 끝단과 접촉하는 정면부와, 상기 관통부를 중심으로 일측 정면부와 타측 정면부 각각에서 관통부를 지나는 가이드 레일의 상단과 하단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정면부의 타측에 형성된 연결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레버 및 상기 연결부 사이의 정면부에 형성되어 가동체와 힌지 결합되는 힌지 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면부와 연결부 및 탄지편은 밴딩 가공에 의해 단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블록은 상기 허리단의 타측 정면에 구비되는 장식 버튼과 고정되되, 상기 장식 버튼은 허리단의 타측을 관통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블록의 연결부 정면에는 결속 홀이 형성되어 허리단의 타측을 관통한 연장부의 끝단이 결속 홀을 향해 절곡되어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동체는 상기 이동블록의 관통부 전방에 위치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과 하단이 이동블록의 관통부를 향해 절곡되며 이동블록의 관통부에 형성된 힌지 핀과 결속되는 힌지 홀이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수직부의 이면에 형성되고 이동블록의 관통부에 개재되는 가이드 레일의 래칫과 걸림되는 걸림턱 및 상기 이동블록의 연결부에 형성된 고정레버와 대면하도록 상기 수평부에 형성되는 가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탄지편은 일측 및 타측 연결부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대편의 연결부를 향해 연장되되 탄지편의 끝단이 가동체에 형성된 걸림턱의 반대편을 가압하여 걸림턱이 래칫과 맞물리게 탄성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지편은 원호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가동체를 탄성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허리둘레 사이즈를 조절하게 되는 이동블록이 밴딩 가공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최소의 부품수를 갖기 때문에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고 따라서 생산시간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이동블록에 형성된 고정레버와 가동체에 형성된 가동레버가 허리단의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고정레버와 가동레버의 누름 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어 허리둘레 사이즈의 조절이 간편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의복용 허리 둘레 조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의복용 허리 둘레 조절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의복용 허리 둘레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의복용 허리 둘레 조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허리둘레 조절장치는 바지 또는 치마와 같은 하의에 형성된 허리단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포개어진 허리단의 양 끝단을 고정시켜 허리둘레 사이즈를 조절하는 것으로, 가이드 레일(100), 이동블록(200), 가동체(300), 탄지편(40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100)과 이동블록(200)은 하의에 형성된 허리단의 일측 끝단(10)과 타측 끝단(20)에 각각 고정되어 허리단의 일측 끝단(10)과 타측 끝단(20)을 포개었을 때 가이드 레일(100)을 따라 이동블록(200)이 슬라이딩하여 하의의 허리둘레 사이즈를 조절하게 된다.
이를 더욱 자세히 살펴보면, 가이드 레일(100)은 허리단의 일측 끝단(10)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허리단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허리단의 일측 정면이 바느질에 의해 고정된다. 즉, 가이드 레일(100)에는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고정 홀(11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홀(112)을 통해 허리단의 일측 끝단(10)과 바느질되어 가이드 레일(100)이 허리단의 일측 끝단(10)에 고정된다.
또한, 가이드 레일(100)의 정면에는 래칫(110)이 형성되어 이동블록(200)이 가이드 레일(100)에서 임의적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이동블록(200)에 설치되는 가동체(300)가 래칫(110)과 맞물려 이동블록(200)의 슬라이딩을 단속하게 된다.
이러한, 래칫(1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가동체(300)와 맞물려 임의적으로 이동블록(200)이 슬라이딩하는 것을 단속하게 된다.
이렇게, 가이드 레일(100)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되는 이동블록(200)은 가이드 레일(100)과 대면하게 허리단의 타측 끝단(20)에 고정되며, 내부에 가이드 레일(100)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하는 관통부(210)가 형성된다. 이러한 이동블록(200)은 정면부(220), 연결부(230), 고정레버(240), 힌지 핀(250)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부연하자면, 정면부(220)는 허리단의 타측 끝단(20)과 접촉하도록 플레이트의 형상을 갖고 정면부(220) 중앙에 가동체(300)가 위치하는 관통부(2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부(210)는 이동블록(200)의 정면부(220) 일부를 절개한 형태를 갖고, 이동블록(2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이동블록(200)이 가이드 레일(100)에 설치되었을 때 가이드 레일(100)이 이동블록(2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하게 되고, 관통부(210)를 통해 가이드 레일(100)에 형성된 래칫(110)이 노출된다.
또한, 관통부(210)를 중심으로 정면부(220)의 일측과 정면부(220)의 타측 각각에서 관통부(210)를 지나는 가이드 레일(100)의 상단과 하단을 감싸도록 연결부(230)가 형성되며, 상기 정면부(220)의 타측에 형성된 연결부(230)의 상면에 고정레버(240)가 형성된다. 그리고, 정면부(220)의 일측과 정면부(220)의 타측 사이의 관통부(210)에 가동체(300)와 힌지 결합되는 힌지 핀(250)이 형성된다.
이러한 정면부(220) 및 연결부(230)는 밴딩 가공에 의해 단일체로 형성되며, 관통부(210)의 타측에 형성되는 연결부(230)에 마련되는 고정레버(240)는 용접, 납땜 등에 의해 연결부(230)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이동블록(200)의 정면부(220)가 허리단의 타측 끝단(20)에 고정되도록 이동블록(200)의 정면부(22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블록(20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된 결속 홀(260)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속 홀(260)은 허리단 타측 끝단(20)의 정면에 구비되는 장식 버튼(500)과 연결되어 허리단의 타측 끝단(20) 정면과 배면에 각각 장식 버튼(500)과 이동블록(200)이 위치하게 된다. 즉, 장식 버튼(500)은 도 5의 원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단의 타측 끝단(20) 정면에 구비되는데, 이때, 장식 버튼(500)은 허리단의 타측 끝단(20)을 관통하는 핀과 같은 형상의 연장부(510)가 장식 버튼(500)의 배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장식 버튼(500)이 허리단의 타측 끝단(20) 정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연장부(510)가 허리단의 타측 끝단(20)을 관통하여 연장부(510)의 끝단이 허리단 타측의 끝단(20) 배면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허리단의 타측 끝단(20)을 관통한 연장부(510)의 끝단이 이동블록(200)의 정면부(220)에 형성된 결속 홀(260)을 향해 절곡되어 결속 홀에 끼워짐으로써, 장식 버튼(500)과 이동블록(200)이 허리단의 타측 끝단(20)에 고정된다.
이때, 장식 버튼(500)의 연장부(5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를 향해 절곡되어 결속 홀(260)과 결합될 수도 있지만, 이와는 반대로 연장부(510)가 외측을 향해 절곡되어 결속 홀(260)과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연장부(510)를 대신하여 장식 버튼(500)을 관통하는 볼트가 허리단의 타측 끝단(20)을 관통하여 이동블록(200)의 정면부(220)와 나사 체결됨으로써, 허리단의 타측 끝단(20) 정면과 배면에 장식 버튼(500)과 이동블록(200)이 위치하여 고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허리단의 일측 끝단(10)과 허리단의 타측 끝단(20)에 각각 가이드 레일(100)과 이동블록(200)이 대면하도록 고정되고, 이동블록(2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이드 레일(100)이 관통하여 조립되면, 이동블록(200)이 가이드 레일(100)을 따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에 따라 허리단 둘레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동블록(200)이 무단으로 슬라이딩하지 않도록 이동블록(200)의 관통부(210)에는 가동체(300)가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100)과 맞물려 이동블록(200)의 슬라이딩을 단속하게 된다.
이러한 가동체(300)는 이동블록(200)의 관통부(210)에 형성된 힌지 핀(250)과 힌지 체결되도록 형성되는데, 가동체(300)는 수직부(310), 수평부(320), 걸림턱(330), 가동레버(340)로 구성된다. 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수직부(310)는 플레이트의 형상을 갖고 이동블록(200)의 관통부(210) 정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수평부(320)는 수직부(310)의 상단과 하단이 이동블록(200)의 관통부(210)를 향해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이동블록(200)의 관통부(210)에 형성된 힌지 핀(250)과 결속되는 힌지 홀(322)이 형성된다.
또한, 걸림턱(330)은 이동블록(200)의 관통부(210)에 개재되는 가이드 레일(100)의 래칫(110)과 걸림되도록 수직부(310)의 이면에서 가이드 레일(100)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가동레버(340)는 이동블록(200)의 연결부(230)에 형성된 고정레버(240)와 대면하도록 수평부(320)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가동레버(340)와 고정레버(240)를 함께 잡고 누르는 것에 따라 가동레버(340)가 고정레버(240)를 향해 가까워지면서 걸림턱(330)을 래칫(110)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된다.
즉, 이와 같은 가동체(300)의 작동은 이동블록(200)의 관통부(210)에 형성된 힌지 핀(250)과 가동체(300)에 형성된 힌지 홀(322)의 결합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힌지 홀(322)과 힌지 핀(250)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가동레버(34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걸림턱(330)이 형성되어 가동레버(340)가 고정레버(240)를 향해 가까워지는 것에 따라 걸림턱(330)이 가이드 레일(100)의 래칫(110)으로부터 멀어지는 회전을 하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가동레버(340)가 고정레버(240)로부터 멀어지는 것에 따라 걸림턱(330)이 래칫(110)과 맞물리도록 가까워지게 되는 시소운동을 하여 가이드 레일(100)에서의 이동블록(200)의 슬라이딩을 단속하게 된다.
한편, 가동체(300)가 평상 시 가이드 레일(100)의 래칫(110)과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동블록(200)에는 탄지편(400)이 마련된다. 이러한, 탄지편(400)은 이동블록(200)과 밴딩가공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탄지편(400)은 관통부(210)를 중심으로 일측에 형성된 연결부(230) 및 타측에 형성된 연결부(230)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대편의 연결부를 향해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탄지편(400)의 끝단이 가동체(300)에 형성된 걸림턱(330)의 반대편을 가압하여 걸림턱(330)이 래칫(110)과 맞물리게 탄성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탄지편(400)은 도 2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30)에서 가동체(300)에 형성된 걸림턱(330)의 반대편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가동체(3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의 사용을 도 4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의복용 허리 둘레 조절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의복용 허리 둘레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허리단 일측의 끝단(10) 정면에 바느질되어 고정된 가이드 레일(100)은 허리단 타측의 끝단(20) 배면에 고정된 이동블록(200)과 조립되어 이동블록(20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따라 허리둘레의 사이즈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평상 시 가동체(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지편(400)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걸림턱(330)이 가이드 레일(100)의 래칫(110)과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여 가동체(300)가 가이드 레일(100)을 따라 슬라이딩하지 않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허리둘레의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가 가동체(300)에 형성된 가동레버(340)를 이동블록(200)에 형성된 고정레버(240)를 향해 누름 조작하게 되면 가동체(300)의 걸림턱(330)이 가이드 레일(100)의 래칫(110)으로부터 이격되어 이동블록(200)을 가이드 레일(100)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걸림턱(330)을 래칫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블록(20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에 따라 허리단의 둘레 사이즈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허리단의 둘레 사이즈를 조절한 후에는 사용자가 가압하고 있던 가동레버(340)로부터 손을 띄게 되면 탄지편(400)에서 발휘되는 탄성력에 의해 걸림턱(330)이 래칫(110)과 맞물리게 되어 허리둘레 사이즈가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는 가동체(3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지편(400)이 이동블록(200)과 일체로 형성되고, 이러한 이동블록(200)은 밴딩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별도의 부품이 필요치 않아 생산시간 및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가동체(300)의 걸림턱(330)이 가이드 레일(100)의 래칫(110)과 맞물린 상태가 되도록 가동체(3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지편(400)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를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가동체(30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래칫(110)과 이격된 걸림턱(330)을 래칫과 맞물리도록 이동블록(200)에 형성된 탄지편(4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가동체(300)를 탄성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탄지편(400)이 원호의 형성을 갖게 되면 연결부(230)에서 반대편의 연결부(230)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탄지편(400)에 비해 원호의 형상을 갖는 탄지편(400)에서 작용하는 탄성력이 탄지편(400)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발휘되어 가동체(300)의 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허리단의 일측 끝단(10)에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100)이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도록 허리단의 일측 끝단(10)에 가림천(30)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가림천(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단의 일측 끝단(10)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100)의 정면에 위치하는데, 가림천(30)은 가이드 레일(100)보다 긴 길이를 갖는 띠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폭이 가이드 레일(100)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가림천(30)의 양 끝단이 바느질에 의해 허리단의 일측 끝단(1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 레일(100)의 정면에 위치하는 가림천(30)은 가이드 레일(100)과 함께 이동블록(200)을 관통하게 되는데, 이때 가림천(30)은 이동블록(200)에 설치된 가동체(300)의 정면을 지나도록 조립된다. 따라서, 가림천(30)은 이동블록(200)의 정면부(220)와 가동체(300) 사이를 지나게 되어 가이드 레일(100)이 사용자에게 보이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10 : 허리단의 일측 끝단 20 : 허리단의 타측 끝단
30 : 가림천 100 : 가이드 레일
110 : 레칫 200 : 이동블록
210 : 관통부 220 : 정면부
230 : 연결부 240 : 고정레버
250 : 힌지 핀 260 : 결속 홀
300 : 가동체 310 : 수직부
320 : 수평부 322 : 힌지 홀
330 : 걸림턱 340 : 가동레버
400 : 탄지편 500 : 장식 버튼
510 : 연장부

Claims (7)

  1. 하의에 형성된 허리단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포개어진 허리단의 양 끝단을 고정시켜 허리둘레 사이드를 조절하는 허리둘레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허리단의 일측 끝단에 고정되며 정면에 래칫이 돌출 형성된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과 대면하게 허리단의 타측 끝단에 고정되며, 내부에 가이드 레일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의 관통부에 위치하되 이동블록의 상면과 하면에 힌지 체결되어 가이드 레일에 형성된 래칫을 향해 회전하여 래칫과 맞물리는 가동체; 및
    상기 이동블록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동체가 래칫과 맞물린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가동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록은,
    상기 허리단의 타측 끝단과 접촉하는 정면부;
    상기 관통부를 중심으로 일측 정면부와 타측 정면부 각각에서 관통부를 지나는 가이드 레일의 상단과 하단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정면부의 타측에 형성된 연결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레버; 및
    상기 연결부 사이의 정면부에 형성되어 가동체와 힌지 결합되는 힌지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면부와 연결부 및 탄지편은 밴딩 가공에 의해 단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록은 상기 허리단의 타측 정면에 구비되는 장식 버튼과 고정되되,
    상기 장식 버튼은 허리단의 타측을 관통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블록의 연결부 정면에는 결속 홀이 형성되어 허리단의 타측을 관통한 연장부의 끝단이 결속 홀을 향해 절곡되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는,
    상기 이동블록의 관통부 전방에 위치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상단과 하단이 이동블록의 관통부를 향해 절곡되며 이동블록의 관통부에 형성된 힌지 핀과 결속되는 힌지 홀이 형성된 수평부;
    상기 수직부의 이면에 형성되고 이동블록의 관통부에 개재되는 가이드 레일의 래칫과 걸림되는 걸림턱; 및
    상기 이동블록의 연결부에 형성된 고정레버와 대면하도록 상기 수평부에 형성되는 가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지편은 일측 및 타측 연결부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대편의 연결부를 향해 연장되되 탄지편의 끝단이 가동체에 형성된 걸림턱의 반대편을 가압하여 걸림턱이 래칫과 맞물리게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지편은 원호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가동체를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KR2020130009154U 2013-11-07 2013-11-07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KR2004723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154U KR200472352Y1 (ko) 2013-11-07 2013-11-07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154U KR200472352Y1 (ko) 2013-11-07 2013-11-07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352Y1 true KR200472352Y1 (ko) 2014-04-18

Family

ID=51489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154U KR200472352Y1 (ko) 2013-11-07 2013-11-07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35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115B1 (ko) 2015-01-26 2015-03-30 임정옥 사이즈 조절장치
KR101698149B1 (ko) 2016-08-16 2017-01-19 성선경 허리둘레 조절장치
CN114747815A (zh) * 2022-04-06 2022-07-15 大连大杨服装定制科技有限公司 一种可自动收腰的男士西裤及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850B1 (ko) 2008-08-01 2009-02-26 이종태 하의의 허리단 둘레조절장치
KR20090104796A (ko) * 2009-09-15 2009-10-06 박해오 허리둘레 조절구 및 그것이 구비된 바지
KR101278247B1 (ko) 2013-03-18 2013-07-05 백인선 간격 조절장치
KR20130092212A (ko) * 2012-02-10 2013-08-20 유명석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850B1 (ko) 2008-08-01 2009-02-26 이종태 하의의 허리단 둘레조절장치
KR20090104796A (ko) * 2009-09-15 2009-10-06 박해오 허리둘레 조절구 및 그것이 구비된 바지
KR20130092212A (ko) * 2012-02-10 2013-08-20 유명석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KR101278247B1 (ko) 2013-03-18 2013-07-05 백인선 간격 조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115B1 (ko) 2015-01-26 2015-03-30 임정옥 사이즈 조절장치
KR101698149B1 (ko) 2016-08-16 2017-01-19 성선경 허리둘레 조절장치
CN114747815A (zh) * 2022-04-06 2022-07-15 大连大杨服装定制科技有限公司 一种可自动收腰的男士西裤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3454B2 (en) Belt head with replaceable buckle portion
KR200472352Y1 (ko)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KR101187156B1 (ko)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CN107406021A (zh) 车辆用座椅的表皮固定构造、车辆用座椅的操作杆装置及车辆用座椅
US8656561B2 (en) Releasable button for fabrics and clothing
KR101265161B1 (ko) 허리 사이즈 조절장치
US10681947B2 (en) Garment button with slidable track for tightening and loosening of a garment
KR101357448B1 (ko) 의류의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JP2006283239A (ja) ウエスト調節用アジャスタ
JP2019107441A (ja) ブレスレット留め金
US3088184A (en) Sliding buckle for strap ends
CN106795674A (zh) 线迹结构
US3440667A (en) Adjustable belt
KR20130092212A (ko)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JP2009136669A (ja) 調節用鉤ホック
KR20170102775A (ko)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CN108283347A (zh) 连接装置和表带结构
KR101350647B1 (ko) 후크 겸용 컨실드 지퍼
JP5548063B2 (ja) 衣服のウエストサイズ調節具及びそのウエストサイズ調節具を備えた衣服
KR101909935B1 (ko) 청바지용 백포켓 및 청바지와의 부착 방법
US2998627A (en) Fastening devices for wearing apparel
KR20090121570A (ko) 바지의 허리 사이즈를 신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후크장치
CN205443613U (zh) 一种绷缝车压脚
JP2019190525A (ja) クリップ
JP4563355B2 (ja) 調節金具及び調節金具を用いた衣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