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2775A -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2775A
KR20170102775A KR1020160025346A KR20160025346A KR20170102775A KR 20170102775 A KR20170102775 A KR 20170102775A KR 1020160025346 A KR1020160025346 A KR 1020160025346A KR 20160025346 A KR20160025346 A KR 20160025346A KR 20170102775 A KR20170102775 A KR 20170102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guide rail
waist band
guide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해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엔어스
박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엔어스, 박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엔어스
Priority to KR1020160025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2775A/ko
Priority to CN201610229760.9A priority patent/CN107149189A/zh
Priority to MX2018010448A priority patent/MX2018010448A/es
Priority to CA2948685A priority patent/CA2948685C/en
Priority to PCT/KR2016/007346 priority patent/WO2017150776A1/ko
Publication of KR20170102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7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41F1/008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9/00Devices or methods for trimming, levelling or straightening the hems of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리가 굵어지거나 여위는 등의 신체변화에 대응하여 하의(바지 또는 치마)의 허리단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의의 허리단을 좌우 양측에서 각각 앞쪽 허리단과 뒤쪽 허리단으로 분리하되 앞쪽 허리단이 뒤쪽 허리단의 끝단부에 중첩되도록 형성되고, 뒤쪽 허리단에 래크부가 형성된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앞쪽 허리단에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가 설치되어 뒤쪽 허리단과 앞쪽 허리단이 연결되며,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시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으로 지지되어 상기 래크부에 걸려지는 걸쇠가 설치되되, 상기 탄성부재는 중간부위가 코일형으로 권취되어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고, 상기 중간부위로부터 연장되는 일측단부는 상기 가압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되어 가압부의 저면을 지지하는 한편, 상기 중간부위로부터 연장되는 다른 일측단부는 상기 가압부 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기 이동부재의 상측면에서 개구부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고정편에 걸어 고정되어 있다.

Description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WAIST SIZE ADJUSTING DEVICE FOR TROUSERS OR SKIRT}
본 발명은 허리가 굵어지거나 여위는 등의 신체변화에 대응하여 하의(바지 또는 치마)의 허리단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성복의 사이즈는 평균신장을 기준으로 제작되고 있어서 야위고 키가 큰 체형의 사람에게는 품이 크고 기장이 짧게 되는 반면에 뚱뚱하고 키가 작은 체형의 사람에게는 기장을 맞게 입을 경우 품이 잘 맞지 않아 불편하게 된다.
그리하여 위와 같은 불편함을 보완하기 위하여 기성복의 제작기준을 정할 때 평균신장을 다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마다 소매길이와 옷기장도 다단계로 세분화하여 맞춤복에 근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요즈음 현대사회의 사람들은 음식물 섭취량에 비해 운동량이 적어 허리살 및 뱃살증가로 허리굵기가 굵은 비만인 체형의 사람이 늘고 있고, 이와 반대로 극심한 다이어트로 인해 몸이 가늘게 마른 체형의 사람도 늘고 있으며, 특히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층은 성장에 따라 키와 함께 허리둘레가 증가되어 하의를 구입할 때와 구입 후 장기간 시간이 지나면서 허리크기의 변화로 하의를 입지 못하거나 또는 비용을 지불하면서 하의의 허리단의 둘레를 늘리거나 줄이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일시적으로 식사량이 많은 경우에도 배가 나와 허리단이 조이게 됨으로써 불편한 경우도 발생된다.
하지만, 하의의 길이는 쉽게 줄이거나 늘릴 수 있고 대개는 키 크기가 어느 한 순간에 급격히 자라나지는 않기에 한 번의 교정된 상태에서 하의가 낡을 때까지 거의 변함이 없게 된다.
그러나 신체의 성장이나 식사량 따라 허리둘레의 길이는 불규칙적이고도 빠르게 변화될 수 있어서, 하의를 구입한 후 오랜 기간을 입을 수 없는 경우가 매우 많고 빠르게 발생되어 바지를 재구입하여야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수선점에서 하의의 허리둘레 사이즈를 변경하게 되나 이때 길이확장에는 한계가 있으며 또한 최초 제작시 추구한 옷맵시를 잃게 되어 하의가 소망하는 멋을 추구할 수가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하의의 제작시 소정 크기로 봉재된 허리부 직물지의 크기로 인하여 늘릴 수 있는 폭이 극히 제한되는 문제와 이와 같은 여백을 이용한 늘림은 바지 전체의 디자인에 많은 지장을 초래시켜 결국 바지의 형태의 변형을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하의의 허리단의 길이를 봉재에 의하여 수선하지 않고도 착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언제나 용이하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허리단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길이조절레버의 걸림상태를 해제하거나 걸림상태를 유지시키는 탄성부재를 용이하게 제작함과 아울러 결합할 수 있도록 된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의의 허리단을 좌우 양측에서 각각 앞쪽 허리단과 뒤쪽 허리단으로 분리하고, 상기 앞쪽 허리단과 뒤쪽 허리단을 길이조절이 가능한 허리둘레조절구로 연결하여, 허리둘레조절구의 길이를 가변시켜 허리둘레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중간부위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뒤쪽 허리단의 분리부위에 인접하여 횡방향으로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면을 따라 형성된 래크부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레일; 기 가이드 레일의 양측 가이드부와 맞물려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부에 걸쇠를 결합하기 위한 개구부와 힌지편이 형성된 이동부재; 상기 힌지편에 힌지축으로 결합되되, 힌지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일단에는 개구부 외측으로 노출되어 이동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되는 가압부가 형성되는 한편 힌지결합부위를 중심으로 다른 일단에는 개구부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래크부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는 걸쇠; 중간부위가 코일형으로 권취되어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고, 상기 중간부위로부터 연장되는 일측단부는 상기 가압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되어 가압부의 저면을 지지하는 한편, 상기 중간부위로부터 연장되는 다른 일측단부는 상기 가압부 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기 이동부재의 상측면에서 개구부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고정편에 걸어 고정되는 탄성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타측면과 접합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앞쪽 허리단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이 뒤쪽 허리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가이드 레일을 덮도록 설치되되 좌우 양측 끝단만 고정되는 은폐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홈에 상기 은폐부가 관통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가이드 레일과 함께 은폐부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걸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걸고리와 체결되는 결합핀이 형성되어 있는 마감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앞쪽 허리단의 내측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마감부재의 결합핀을 앞쪽 허리단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여 고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의 고정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재봉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에 의하면, 청소년기 성장으로 인하여 허리둘레가 커지더라도 하의의 허리단을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맞게 조절할 수 있어 새로운 바지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허리단 길이조절장치가 앞쪽 허리단 및 뒤쪽 허리단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허리단이 허리둘레에 맞게 되므로 하의 착용 시 허리단의 접힘에 의해 발생되는 주름을 방지하여 옷맵시가 살아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단 길이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단 길이조절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4의 A-A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단 길이조절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허리단 길이조절장치는 도 4 및 도 5에 의거 후술되는 바와 같이 하의의 허리단을 좌우 양측에서 앞쪽 허리단(2a)과 뒤쪽 허리단(2b)으로 분리하고, 앞쪽 허리단(2a)이 뒤쪽 허리단(2b) 위에 중첩되도록 형성한 상태에서, 뒤쪽 허리단(2b)에는 가이드 레일(20)을 고정하고, 앞쪽 허리단(2a)에는 이동부재(30)를 고정부재(40)를 매개로 고정하여 앞쪽 허리단(2a)과 뒤쪽 허리단(2b)을 연결하며, 상기 이동부재(30)를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이동시켜 고정되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허리단의 길이를 허리둘레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이를 위한 가이드 레일(20)은 허리단의 길이를 조절하는데 필요한 길이와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20)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중간부위는 양측 가장자리에 비해 후방으로 돌출되어, 중간부위는 뒤쪽 허리단(2b)에 고정되는 고정부(21)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21)의 양측 가장자리는 가이드부(22)(23)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고정부(21)를 뒤쪽 허리단(2b)에 고정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가이드부(22)(23)가 뒤쪽 허리단(2b)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이동부재(30)가 이동시 간섭받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21)를 뒤쪽 허리단(2b)에 재봉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부(21)의 길이방햐을 따라 재봉용 홈(24)을 미리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22)(23) 중에서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가이드부(23)에는 소정 간격의 돌기와 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래크부를 이룬다. 상기 래크부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걸쇠(50)와 맞물려 이동부재(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부재(30)는 사각판재가 장방형의 슬라이드 홈(31)을 형성하도록 절곡되되, 양 절곡단부는 상기 고정부(21)에 대응되는 폭만큼 이격되어 가이드홈(34)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이동부재(30)는 슬라이드 홈(31)내에 가이드 레일(20)의 양측 가이드부(22)(23)가 맞물리고 고정부(21)와 가이드부(22)(23)간에 형성되는 단차면에 가이드홈(34)이 맞물려 가이드 레일(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하면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부재(30)의 상부에는 걸쇠(50)를 설치하기 위한 개구부(3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32)의 중간에 힌지편(33)이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걸쇠(50)는 중간부위가 힌지축(55)에 의해 상기 힌지편(33)에 힌지결합되는 한편, 힌지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연장되는 가압부(51)는 개구부(32) 외측으로 노출되어 이동부재(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되는 한편 힌지결합부위를 중심으로 다른 일측으로 연장되는 걸림편(52)은 개구부(32) 내측으로 절곡되어 가이드 레일(20)의 래크부에 맞물리도록 연장된다.
한편, 상기 힌지축(55)에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60)가 설치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한 상기 걸쇠(50)의 걸림편(52)이 가이드 레일(20)의 래크부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항상 가압한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부재(60)는 탄성재질의 와이어로 형성되는데, 그 중간부위가 코일형으로 권취되어 상기 힌지축(55)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55)에 결합된 중간부위로부터 연장되는 일측단부는 상기 가압부(5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되어 가압부의 저면을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한편, 상기 중간부위로부터 연장되는 다른 일측단부는 상기 가압부(51) 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기 이동부재(30)의 상측면에서 개구부(32)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고정편(53)에 걸어 고정된다.
상기 이동부재(30)의 절곡단부와 대향된 타측면에는 상기 이동부재(30)를 앞쪽 허리단(2a)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40)가 부착된다.
상기 고정부재(40)도 상기 이동부재(30)와 마찬가지로 사각판재가 장방형으로 절곡되어 슬라이드 홈(41)을 형성한다. 그리고 고정부재(40)의 양 절곡단부가 이루는 면에는 상기 이동부재(30)의 가이드홈(34)와 연통되도록 개구부(42)가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30)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0)에서 개구부(42)의 대향면에는 걸고리(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고리(43)는 고정부재(40)를 앞쪽 허리단(2a)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걸고리(43)를 이용하여 고정부재(40)를 앞쪽 허리단(2a)에 고정하는 수단으로는 재봉 등에 의하여 결합될 수도 있지만, 결합핀(71)이 형성된 마감부재(70)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마감부재(70)는 판재 형태로 이루어져 일측면에는 상기 걸고리(43)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절곡가능한 결합핀(71)이 하나 이상 돌출되고 그 반대측면에는 로고나 장식무늬를 형성하거나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부재(40)를 앞쪽 허리단(2a)에 고정할 때에는 상기 걸고리(43)가 형성된 면을 앞쪽 허리단(2a)의 내측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마감부재(70)의 결합핀(71)을 앞쪽 허리단(2a)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걸고리(43)를 통과할 때까지 관통시킨 후, 상기 결합핀(71)이 걸고리(43)를 덮도록 절곡시키면 체결된다. 이때 상기 마감부재(70)에서 결합핀(71)이 형성된 면의 반대측면은 앞쪽 허리단(2a)에서 외부로 노출되므로 로고가 형성된 경우 홍보물로 이용될 수 있고 장식무늬가 형성된 경우 심미감을 줄 수 있어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0)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홈(41)은 가이드 레일(2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는 은폐부(80)가 관통결합되어, 이동부재(30)가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이동될 때 고정부재(40)도 은폐부(80)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여 은폐부(80)의 간섭없이 이동부재(3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은폐부(80)는 가이드 레일(20)이 뒤쪽 허리단(2b)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가이드 레일(20)을 덮어씌우는 부재로서, 주로 허리단과 동일 재질로 형성되어 잘 표시나지 않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은폐부(80)는 뒤쪽 허리단(2b)에서 상부와 하부가 고정되지 않고 가이드 레일(20)의 좌우 양측 끝단 쪽만 재봉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은폐부(80)는 양측 끝단을 뒤쪽 허리단(2b)에 재봉하여 고정하기 이전에 고정부재(40)의 슬라이드 홈(41)에 관통결합하여야 고정부재(40)가 은폐부(80)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A-A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허리단 길이조절장치를 채용하기 위한 하의(1)의 허리단은 좌우 양측에서 앞쪽 허리단(2a)과 뒤쪽 허리단(2b)으로 분리되고, 앞쪽 허리단(2a)이 뒤쪽 허리단(2b)의 끝단부 위에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뒤쪽 허리단(2b)에는 가이드 레일(20)이 횡방향으로 재봉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은폐부(80)가 상기 가이드 레일(20)이 노출되지 않도록 덮은 상태에서 좌우 양측이 뒤쪽 허리단(2b)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20)에는 이동부재(30)의 슬라이딩 홈(31)이 결합되어 이동부재(30)가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은폐부(80)에는 고정부재(40)의 슬라이딩 홈(31)이 결합되어 고정부재(40)가 은폐부(80)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40)는 마감부재(70)를 통해 앞쪽 허리단(2a)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30)와 고정부재(40)는 일체로 이동할 수 있게 서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30)에는 탄성부재(60)의 작용으로 항상 가이드 레일(20)의 래크부에 맞물리게 되는 걸쇠(5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앞쪽 허리단(2a)과 뒤쪽 허리단(2b)은 가이드 레일(20)과 이동부재(30), 고정부재(40) 및 마감부재(7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허리단의 길이는 이동부재(30)의 걸쇠(50)가 가이드 레일(20)에 걸려 있는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만일, 허리단의 길이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부재(30)에 설치된 걸쇠(50)의 가압부(50)를 누르면 탄성부재(60)의 작용에 의해 걸쇠(50)의 걸림편(52)이 힌지축(55)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선회되어 가이드 레일(20)의 래크부에서 분리됨으로써 이동부재(30)가 가이드 레일(20)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걸쇠(50)의 걸림편(52)이 가이드 레일(20)의 래크부에서 분리되도록 가압부(50)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이동부재(30) 즉 앞쪽 허리단(2a)을 이동시켜 앞쪽 허리단(2a)과 뒤쪽 허리단(2b)의 중첩길이를 조절하여 허리단의 길이를 자신의 허리에 맞는 길이로 조절 후, 가압부(50)를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60)의 작용에 의해 걸쇠(50)의 걸림편(52)이 힌지축(55)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선회되어 가이드 레일(20)의 래크부에 맞물리게 됨으로써 이동부재(30)가 가이드 레일(20)에서 슬라이딩되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는 이동부재(30)를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이동시켜 고정되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허리단을 수선하지 않고도 착용자가 언제나 용이하고 편리하게 허리단의 길이를 허리둘레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20 -- 가이드 레일, 21 -- 고정부,
22,23 -- 가이드부, 24 -- 재봉용 홈,
30 -- 이동부재, 31 -- 슬라이드 홈,
32 -- 개구부, 33 -- 힌지편,
34 -- 가이드홈, 40 -- 고정부재,
41 -- 슬라이드 홈, 42 -- 개구부,
43 -- 걸고리, 50 -- 걸쇠,
51 -- 가압부, 52 -- 걸림편,
55 -- 힌지축, 60 -- 탄성부재,
70 -- 마감부재, 71 -- 결합핀,
80 -- 은폐부.

Claims (4)

  1. 하의의 허리단을 좌우 양측에서 각각 앞쪽 허리단과 뒤쪽 허리단으로 분리하고, 상기 앞쪽 허리단과 뒤쪽 허리단을 길이조절이 가능한 허리둘레조절구로 연결하여, 허리둘레조절구의 길이를 가변시켜 허리둘레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중간부위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뒤쪽 허리단의 분리부위에 인접하여 횡방향으로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면을 따라 형성된 래크부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양측 가이드부와 맞물려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부에 걸쇠를 결합하기 위한 개구부와 힌지편이 형성된 이동부재;
    상기 힌지편에 힌지축으로 결합되되, 힌지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일단에는 개구부 외측으로 노출되어 이동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되는 가압부가 형성되는 한편 힌지결합부위를 중심으로 다른 일단에는 개구부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래크부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는 걸쇠;
    중간부위가 코일형으로 권취되어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고, 상기 중간부위로부터 연장되는 일측단부는 상기 가압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되어 가압부의 저면을 지지하는 한편, 상기 중간부위로부터 연장되는 다른 일측단부는 상기 가압부 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기 이동부재의 상측면에서 개구부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고정편에 걸어 고정되는 탄성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타측면과 접합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앞쪽 허리단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이 뒤쪽 허리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가이드 레일을 덮도록 설치되되 좌우 양측 끝단만 고정되는 은폐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홈에 상기 은폐부가 관통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가이드 레일과 함께 은폐부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걸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걸고리와 체결되는 결합핀이 형성되어 있는 마감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앞쪽 허리단의 내측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마감부재의 결합핀을 앞쪽 허리단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여 고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고정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재봉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KR1020160025346A 2016-03-02 2016-03-02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KR2017010277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346A KR20170102775A (ko) 2016-03-02 2016-03-02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CN201610229760.9A CN107149189A (zh) 2016-03-02 2016-04-14 用于调节裤子或者裙子的腰带的围长的装置
MX2018010448A MX2018010448A (es) 2016-03-02 2016-07-07 Dispositivo para ajustar la longitud de la porcion de cintura de los gluteos.
CA2948685A CA2948685C (en) 2016-03-02 2016-07-07 Device for adjusting girth of waistband of pants or skirt
PCT/KR2016/007346 WO2017150776A1 (ko) 2016-03-02 2016-07-07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346A KR20170102775A (ko) 2016-03-02 2016-03-02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919A Division KR20170123302A (ko) 2017-10-27 2017-10-27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775A true KR20170102775A (ko) 2017-09-12

Family

ID=59743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346A KR20170102775A (ko) 2016-03-02 2016-03-02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170102775A (ko)
CN (1) CN107149189A (ko)
MX (1) MX2018010448A (ko)
WO (1) WO20171507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613B1 (ko) * 2018-01-22 2019-06-03 방종호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87771A (zh) * 2018-06-20 2018-11-27 乐见协 供电维修中使用的具有定位感应的电气绝缘服
CN114053664B (zh) * 2021-11-08 2022-09-09 安徽宏祺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智能的深蹲辅助器
CN114747815A (zh) * 2022-04-06 2022-07-15 大连大杨服装定制科技有限公司 一种可自动收腰的男士西裤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140Y1 (ko) * 2007-07-04 2007-11-06 이종태 하의의 허리단 둘레조절장치
KR101060070B1 (ko) * 2009-09-15 2011-08-29 박해오 허리둘레 조절구 및 그것이 구비된 바지
KR200466613Y1 (ko) * 2011-05-24 2013-04-25 박해오 허리둘레 조절장치
KR101278247B1 (ko) * 2013-03-18 2013-07-05 백인선 간격 조절장치
KR101458960B1 (ko) * 2014-06-02 2014-11-07 방종호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
CN204409698U (zh) * 2014-12-30 2015-06-24 李棠华 可伸缩的连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613B1 (ko) * 2018-01-22 2019-06-03 방종호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49189A (zh) 2017-09-12
MX2018010448A (es) 2019-11-18
WO2017150776A1 (ko) 201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5852B2 (ja) ウエスト調節具およびそれが備えられたズボン
US8574026B2 (en) Clothing article including a built-in bra
US6367086B1 (en) Garment with a lower abdominal support and an insert therefor
KR20170102775A (ko)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US2599769A (en) Sport shorts
US6385777B1 (en) Clothes-adjusting apparatus
US8357025B2 (en) Object for covering bra and bikini clasps, and mechanism for fastening same
KR20170123302A (ko)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JP4748853B2 (ja) 乳房カップを有する衣料
US1970129A (en) Fastening device
US3828370A (en) Band adjusting device for garments
KR200444929Y1 (ko) 허리 사이즈 조절 액세서리 및 그를 구비한 하의
US2077002A (en) Adjustable waist band for trousers
US20110092133A1 (en) Clothing article including a built-in bra
US2126022A (en) Foot and leg covering, overgaiter, and the like
JP3139017U (ja) きもの
US1986508A (en) Combination shirt and invisible suspenders
KR100387408B1 (ko) 의복의 허리사이즈가 조절가능한 걸림부재, 훅크구성체, 고리구성체 및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EP2862462B1 (en) An item of clothing comprising a waistband
US3271782A (en) Trouser waistband construction
US2755481A (en) Adjustable waist and seat for garments
KR101811368B1 (ko) 아웃도어용 벨트 구조체
US20140304892A1 (en) Leg Wear with Sliding Closure
US2023194A (en) Garment construction
CN202722595U (zh) 双向拉合裤腰调节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