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960B1 -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960B1
KR101458960B1 KR1020140067060A KR20140067060A KR101458960B1 KR 101458960 B1 KR101458960 B1 KR 101458960B1 KR 1020140067060 A KR1020140067060 A KR 1020140067060A KR 20140067060 A KR20140067060 A KR 20140067060A KR 101458960 B1 KR101458960 B1 KR 101458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plate
slider body
rail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종호
Original Assignee
방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종호 filed Critical 방종호
Priority to KR1020140067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14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양측이 개구된 케이스형상으로 상면판의 가운데부분에는 상측개구부가 형성되고 후면판의 외측면에는 외측허리단이 부착설치되며 내측 전후방에는 상하부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레일홈이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단이 좌우로 관통개재되는 슬라이더본체와, 상기 슬라이더본체의 좌우양측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좌우측 승강대가 구비되고 좌우측 승강대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단 사이에 설치되며 슬라이더본체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된 좌우측 승강대의 상단부에는 누름판이 고정부착되고 슬라이더본체의 내측 하부에 위치된 좌우측 승강대 사이에는 하부연결대가 고정부착되며 하부연결대의 상면부 전방에는 가이드레일의 하부 레일홈에 걸림체결되거나 걸림해제되는 하부래치돌기가 돌출형성된 제1래치부와, 상기 슬라이더본체의 상측개구부가 형성된 부분에 전후로 관통개재되는 회동축이 구비되고 회동축에는 슬라이더본체의 내측 전방에 위치된 상태로 토션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상부래치부재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상부래치부재의 상부누름대는 상측개구부를 통해 누름판의 하면부에 맞닿아 탄성지지하면서 상부래치부재의 상부래치돌기가 가이드레일의 상부 레일홈에 걸림체결되거나 걸림해제되는 제2래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A waist size adjusting device for clothes}
본 발명은 남성용 바지나 여성용 스커트 등 하의의 허리둘레를 간편하게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양측이 개구된 케이스형상으로 상면판의 가운데부분에는 상측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후면판의 외측면에는 외측허리단이 부착설치되며 내측 전방에는 상하부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레일홈이 형성된 가이드레일이 좌우로 관통개재되고 내측 후방에는 내측허리단에 가이드레일과 함께 설치되는 가이드단이 좌우로 관통개재되는 슬라이더본체와, 상기 슬라이더본체의 좌우양측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좌우측 승강대가 구비되고 좌우측 승강대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단 사이에 설치되며 슬라이더본체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된 좌우측 승강대의 상단부에는 누름판이 고정부착되고 슬라이더본체의 내측 하부에 위치된 좌우측 승강대 사이에는 하부연결대가 고정부착되며 하부연결대의 상면부 전방에는 가이드레일의 하부 레일홈에 걸림체결되거나 걸림해제되는 하부래치돌기가 돌출형성된 제1래치부와, 상기 슬라이더본체의 상측개구부가 형성된 부분에 전후로 관통개재되는 회동축이 구비되고 회동축에는 슬라이더본체의 내측 전방에 위치된 상태로 토션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상부래치부재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상부래치부재의 상부누름대는 상측개구부를 통해 누름판의 하면부에 맞닿아 탄성지지하면서 상부래치부재의 상부래치돌기가 가이드레일의 상부 레일홈에 걸림체결되거나 걸림해제되는 제2래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남성용 바지 또는 여성용 스커트와 같은 하의는 사이즈가 고정된 상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자신의 체형보다 약간 큰 사이즈의 하의를 구입하는 것이 보편적이나 이로 인해 옷맵시가 떨어지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성장속도가 빠른 청소년의 경우에는 자신의 늘어난 허리 사이즈에 맞는 하의를 새롭게 구입하거나 수선을 의뢰하여 허리둘레 사이즈를 최대한 늘려서 착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1187156호에서는 의류 허릿단 부분의 한 곳 또는 좌우 2 곳이 분리되게 절개 형성된 내측 허릿단과 외측 허릿단의 중첩부에 설치되는 허리둘레선 조절장치에 있어서, 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레일홈이 형성되어 상기 내측 허릿단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재봉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외측 허릿단의 내면에 부착되며, 상단의 일측으로 승강가이드가 돌출 형성된 부착 몸체와, 상기 가이드레일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와 직교하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승강가이드가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부착몸체에 결합된 래치하우징과,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래치돌기가 하부 양측 중 어느 한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서 상부로 탄발되는 코일스프링이 끼워지는 스터드가 상기 하부에 형성되며 상단부에 형성된 승강안내구가 상기 승강가이드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가이드레일의 레일홈에 상기 래치돌기가 걸리는 래치플레이트로 구성된 슬라이더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둘레선 조절장치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가이드레일의 레일홈이 하부에만 일렬로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더의 래치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된 하나의 래치돌기가 누름편의 누름작동에 따라 가이드레일의 레일홈에 걸림지지되도록 되어 있어 하부 한쪽에서만 가이드레일을 걸림지지하는 구조로 전체적인 지지력이 약해 착용자가 복부에 약간의 힘을 가하거나 허리를 굽히는 등의 행동을 하는 경우 레일홈으로부터 래치돌기가 이탈되거나 래치돌기와 레일홈이 파손되어 허리둘레선 조절장치가 풀리면서 하의가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어 별도로 허리띠를 함께 착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제1래치부의 누름판을 누름작동시 누름판이 제2래치부에 구비된 상부래치부재의 상부누름대를 눌러 상부래치돌기가 회동축으로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되어 슬라이더본체의 내측 전방에 좌우로 관통개재되는 가이드레일의 상부 레일홈으로부터 걸림해제되도록 하면서 제1래치부의 좌우측 승강대 사이에 구비된 하부연결대의 하부래치돌기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가이드레일의 하부 레일홈으로부터 걸림해제되도록 하여 내측허리단의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단이 좌우이동가능하게 하고, 누름판의 누름해제시에는 회동축에 축설된 토션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부래치돌기가 하방으로 회전되어 상부 레일홈에 걸림체결되도록 하면서 상부누름대가 누름판을 상승시켜 좌우측 승강대의 상승에 따라 하부연결대의 하부래치돌기가 가이드레일의 하부 레일홈에 걸림체결되도록 하여 가이드레일의 상하부에서 제1래치부와 제2래치부가 동시에 걸림체결되거나 걸림해제되는 방식으로 허리둘레조절장치가 손상되지 않고 가이드레일에 보다 견고하게 걸림지지되면서 하의의 허리둘레를 안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좌우양측이 개구된 케이스형상으로 상면판의 가운데부분에는 상측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후면판의 외측면에는 외측허리단이 부착설치되며 내측 전방에는 상하부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레일홈이 형성된 가이드레일이 좌우로 관통개재되고 내측 후방에는 내측허리단에 가이드레일과 함께 설치되는 가이드단이 좌우로 관통개재되는 슬라이더본체와, 상기 슬라이더본체의 좌우양측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좌우측 승강대가 구비되고 좌우측 승강대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단 사이에 설치되며 슬라이더본체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된 좌우측 승강대의 상단부에는 누름판이 고정부착되고 슬라이더본체의 내측 하부에 위치된 좌우측 승강대 사이에는 하부연결대가 고정부착되며 하부연결대의 상면부 전방에는 가이드레일의 하부 레일홈에 걸림체결되거나 걸림해제되는 하부래치돌기가 돌출형성된 제1래치부와, 상기 슬라이더본체의 상측개구부가 형성된 부분에 전후로 관통개재되는 회동축이 구비되고 회동축에는 슬라이더본체의 내측 전방에 위치된 상태로 토션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상부래치부재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상부래치부재의 상부누름대는 상측개구부를 통해 누름판의 하면부에 맞닿아 탄성지지하면서 상부래치부재의 상부래치돌기가 가이드레일의 상부 레일홈에 걸림체결되거나 걸림해제되는 제2래치부로 구성된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래치부의 누름판을 누름작동시 누름판이 제2래치부에 구비된 상부래치부재의 상부누름대를 눌러 상부래치돌기가 회동축으로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되어 슬라이더본체의 내측 전방에 좌우로 관통개재되는 가이드레일의 상부 레일홈으로부터 걸림해제되면서 제1래치부의 좌우측 승강대 사이에 구비된 하부연결대의 하부래치돌기가 하강되어 가이드레일의 하부 레일홈으로부터 걸림해제되면서 내측허리단의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단이 좌우이동되고, 누름판의 누름해제시에는 회동축에 축설된 토션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부래치돌기가 하방으로 회전되어 상부 레일홈에 걸림체결되면서 상부누름대가 누름판을 상승시켜 좌우측 승강대의 상승에 따라 하부연결대의 하부래치돌기가 가이드레일의 하부 레일홈에 걸림체결되어 가이드레일의 상하부에서 제1래치부와 제2래치부가 동시에 걸림체결되거나 걸림해제되는 방식으로 허리둘레조절장치가 손상되지 않고 가이드레일에 보다 견고하게 걸림지지되면서 하의의 허리둘레를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의 전체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의 슬라이더본체에 제1래치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의 슬라이더본체 내측 전후방에 내측허리단의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단이 끼움결합되는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의 종단면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의 누름판을 누름작동시 제1래치부의 하부래치돌기와 제2래치부의 상부래치돌기가 가이드레일의 상하부 레일홈으로부터 걸림해제된 상태의 단면개략도
도 6은 도 4의 A-A'선의 종단면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가 하의의 내,외측허리단 사이에 설치된 상태의 횡단면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가 하의의 내,외측허리단 사이에 설치된 상태의 전면개략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1)는 도 1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남성용 바지나 여성용 스커트 등 하의의 허리둘레를 간편하게 조절하는 장치로서, 좌우양측이 개구된 케이스형상으로 상면판(5)의 가운데부분에는 상측개구부(6)가 형성되어 있고 후면판(7)의 외측면에는 외측허리단(3)이 부착설치되며 내측 전방에는 상하부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레일홈(9a)(9b)이 형성된 가이드레일(8)이 좌우로 관통개재되고 내측 후방에는 내측허리단(4)에 가이드레일(8)과 함께 설치되는 가이드단(10)이 좌우로 관통개재되는 슬라이더본체(2)와, 상기 슬라이더본체(2)의 좌우양측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좌우측 승강대(21)가 구비되고 좌우측 승강대(21)는 가이드레일(8)과 가이드단(10) 사이에 설치되며 슬라이더본체(2)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된 좌우측 승강대(21)의 상단부에는 누름판(22)이 고정부착되고 슬라이더본체(2)의 내측 하부에 위치된 좌우측 승강대(21) 사이에는 하부연결대(23)가 고정부착되며 하부연결대(23)의 상면부 전방에는 가이드레일(8)의 하부 레일홈(9b)에 걸림체결되거나 걸림해제되는 하부래치돌기(24)가 돌출형성된 제1래치부(20)와, 상기 슬라이더본체(2)의 상측개구부(6)가 형성된 부분에 전후로 관통개재되는 회동축(27)이 구비되고 회동축(27)에는 슬라이더본체(2)의 내측 전방에 위치된 상태로 토션스프링(28)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상부래치부재(29)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상부래치부재(29)의 상부누름대(30)는 상측개구부(6)를 통해 누름판(22)의 하면부에 맞닿아 탄성지지하면서 상부래치부재(29)의 상부래치돌기(31)가 가이드레일(8)의 상부 레일홈(9a)에 걸림체결되거나 걸림해제되는 제2래치부(26)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더본체(2)는 도 1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의의 외측허리단(3) 내측면에 고정부착되면서 내측허리단(4)의 가이드레일(8)을 따라 좌우이동되는 부분으로, 좌우양측이 개구된 케이스형상으로 상면판(5)의 가운데부분에는 상측개구부(6)가 형성되어 있고 후면판(7)의 외측면에는 외측허리단(3)이 부착설치되며 내측 전방에는 상하부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레일홈(9a)(9b)이 형성된 가이드레일(8)이 좌우로 관통개재되고 내측 후방에는 내측허리단(4)에 가이드레일(8)과 함께 설치되는 가이드단(10)이 좌우로 관통 개재(介在)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슬라이더본체(2)는 수직으로 세워진 장방형 판형상의 후면판(7)이 구비되어 있고 후면판(7)의 상,하단부에는 각각 전방으로 상면판(5)과 하면판(11)이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으며 상면판(5)의 전방끝단에는 수직하방으로 상측전면판(12)이 절곡형성되어 있고 하면판(11)의 전방끝단에는 수직상방으로 하측전면판(13)이 절곡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더본체(2)가 좌우양측이 개구된 케이스형상을 이루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판(7)은 중간부분에 복수개의 핀체결공(14)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어 있어 외측허리단(3)의 내측면 끝부분에 후면판(7)의 외측면이 맞닿은 상태에서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결합핀(15)이 외측허리단(3)의 외측에서 후면판(7)의 핀체결공(14)을 통해 관통체결되면서 슬라이더본체(2)가 외측허리단(3)에 고정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측전면판(12)과 후면판(7)은 상부 가운데부분에 회동축관통공(16a)(16b)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회동축관통공(16a)(16b)을 통해 제2래치부(26)의 회동축(27)이 슬라이더본체(2)의 상부 가운데부분에 전후수평방향으로 관통개재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판(5)의 좌우양측 중간부분에는 각각 상측승강대관통공(17)이 천공되어 있어 좌우측 승강대(21)의 상부가 상측승강대관통공(17)을 통해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면판(11)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양측 중간부분에 각각 하측승강대관통공(18)이 상면판(5)의 상측승강대관통공(17)과 상하 일직선상에 천공되어 있어 누름판(22)의 누름작동시 좌우측 승강대(21)의 하부가 하측승강대관통공(18)을 통해 하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측전면판(12)과 하측전면판(13)은 상하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어 도 3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사이에 가이드레일(8)의 전면 가운데부분에 돌출형성된 레일스트랩(19)이 가이드결합되면서 슬라이더본체(2)가 가이드레일(8)을 따라 안정되게 좌우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8)은 내측허리단(4)의 외측면에 가이드단(10)과 함께 부착되면서 슬라이더본체(2)의 내측을 좌우방향으로 관통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단(10)에 의해 가이드레일(8)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게 가려지면서 슬라이더본체(2)가 보다 안정적으로 좌우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래치부(20)는 도 1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판(22)의 누름작동에 따라 승강작동되면서 가이드레일(8)의 하부 레일홈(9b)에 걸림체결되거나 걸림해제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상기 슬라이더본체(2)의 좌우양측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좌우측 승강대(21)가 구비되고 좌우측 승강대(21)는 가이드레일(8)과 가이드단(10) 사이에 설치되며 슬라이더본체(2)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된 좌우측 승강대(21)의 상단부에는 누름판(22)이 고정부착되고 슬라이더본체(2)의 내측 하부에 위치된 좌우측 승강대(21) 사이에는 하부연결대(23)가 고정부착되며 하부연결대(23)의 상면부 전방에는 가이드레일(8)의 하부 레일홈(9b)에 걸림체결되거나 걸림해제되는 하부래치돌기(24)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래치부(20)는 좌우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좌우측 승강대(21)의 상부가 슬라이더본체(2)의 상면판(5) 좌우양측에 천공된 상측승강대관통공(17)을 관통하여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고 좌우측 승강대(21)의 상단부는 수평으로 위치된 누름판(22)의 하면부에 고정부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좌우측 승강대(21)의 하부는 슬라이더본체(2)의 하면판(11) 좌우양측에 천공된 하측승강대관통공(18)을 통해 하방으로 관통되게 설치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누름판(22)은 제2래치부(26)의 토션스프링(28)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상부래치부재(29)의 상부누름대(30) 상단부에 맞닿아 상방으로 탄성지지되도록 되어 있어 누름판(22)을 눌러 하강시킨 상태에서 누름해제하면 토션스프링(2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부누름대(30)가 상방으로 회전되면서 누름판(22)을 상승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연결대(23)는 슬라이더본체(2)의 내측 하부에 위치된 좌우측 승강대(21) 사이에 좌우수평으로 연결된 상태로 하부연결대(23)의 전방이 가이드레일(8)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고 하부연결대(23)의 상면부 전방 가운데부분에 하부래치돌기(24)가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누름판(22)의 누름작동으로 좌우측 승강대(21)가 하강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래치돌기(24)가 가이드레일(8)의 하부 레일홈(9b)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하부연결대(23)의 하면부가 하면판(11)에 맞닿아 좌우측 승강대(21)가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승강대(21)는 슬라이더본체(2)의 내측 상부에 위치되는 부분의 좌측면이나 우측면에 걸림돌기(25)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판(22)의 누름해제에 따라 제2래치부(26)에 구비된 토션스프링(2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좌우측 승강대(21)가 상승시 걸림돌기(25)가 상면판(5)에 맞닿아 좌우측 승강대(21)가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는 하부연결대(23)의 하부래치돌기(24)가 가이드레일(8)의 하부 레일홈(9b)에 삽입되어 걸림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래치부(26)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래치부(20)를 탄성지지하면서 누름판(22)의 누름작동에 따라 상부래치부재(29)가 회전되어 가이드레일(8)의 상부 레일홈(9a)에 걸림체결되거나 걸림해제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상기 슬라이더본체(2)의 상측개구부(6)가 형성된 부분에 전후로 관통개재되는 회동축(27)이 구비되고 회동축(27)에는 슬라이더본체(2)의 내측 전방에 위치된 상태로 토션스프링(28)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상부래치부재(29)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상부래치부재(29)의 상부누름대(30)는 상측개구부(6)를 통해 누름판(22)의 하면부에 맞닿아 탄성지지하면서 상부래치부재(29)의 상부래치돌기(31)가 가이드레일(8)의 상부 레일홈(9a)에 걸림체결되거나 걸림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래치부(26)는 슬라이더본체(2)의 후면판(7) 상부 가운데부분 및 상측전면판(12)의 상부 가운데부분에 천공된 회동축관통공(16a)(16b)을 통해 전후수평방향으로 회동축(27)이 관통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축(27)의 전방에 끼워지는 상부래치부재(29)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상으로 된 몸체의 상부에 상부누름대(30)가 우측 대각선 상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부누름대(30)의 상부는 상면판(5)의 상측개구부(6)를 관통하여 상부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누름판(22)의 하면부에 맞닿아 있으며 상부래치부재(29)의 좌측면에는 하방으로 절곡된 상부래치돌기(31)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션스프링(28)은 회동축(27)의 전방에 상부래치부재(29)와 함께 끼워지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끝단이 상측전면판(12)의 상단부에 걸림지지되고 타측끝단이 상부래치부재(29)의 상부누름대(30)에 걸림지지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토션스프링(28)에 의해 상부래치부재(29)의 상부래치돌기(31)가 회동축(27)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되게 탄성지지되면서 상부누름대(30)는 상방으로 회전되게 탄성지지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누름대(30)의 끝단에 맞닿아 있는 제1래치부(20)의 누름판(22)은 상부누름대(30)에 의해 함께 상방으로 탄성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래치부(20)의 누름판(22)을 누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래치부(26)의 상부래치부재(29)가 회동축(27)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부래치돌기(31)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가이드레일(8)의 상부 레일홈(9a)으로부터 걸림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좌우측 승강대(21)의 하강에 따라 하부연결대(23)의 하부래치돌기(24)가 하강이동되어 가이드레일(8)의 하부 레일홈(9b)으로부터 걸림해제되어 허리둘레조절장치(1)가 가이드레일(8)을 따라 자유롭게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맞게 조절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래치부(20)의 누름판(22)을 누름해제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래치부(26)의 상부래치부재(29)가 토션스프링(2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동축(27)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부래치돌기(31)가 하향이동되어 가이드레일(8)의 상부 레일홈(9a)에 걸림체결되고 이와 동시에 상부래치부재(29)의 상부누름대(30)가 상향이동되면서 제1래치부(20)의 누름판(22)을 상승시켜 좌우측 승강대(21)의 상승에 따라 하부연결대(23)의 하부래치돌기(24)가 상승이동되고 가이드레일(8)의 하부 레일홈(9b)에 걸림체결되어 허리둘레조절장치(1)가 견고하게 위치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1)를 사용하여 바지나 스커트 등 하의의 허리둘레를 간편하게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의의 외측허리단(3)의 내측면 끝부분에 슬라이더본체(2)의 후면판(7)이 맞닿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결합핀(15)을 외측허리단(3)의 외측에서 후면판(7)에 천공된 핀체결공(14)을 통해 관통체결하여 허리둘레조절장치(1)가 외측허리단(3)의 내측면에 고정부착되도록 하고 하의의 내측허리단(4)의 외측면에는 상하부에 각각 복수개의 레일홈(9a)(9b)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8)과 가이드단(10)을 부착하되 상기 가이드레일(8)이 제1래치부(20)의 좌우측 승강대(21)를 기준으로 슬라이더본체(2)의 내측 전방에 좌우로 관통개재되고 가이드단(10)은 슬라이더본체(2)의 내측 후방에 좌우로 관통개재되도록 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8)과 가이드단(10)의 양측끝부분을 내측허리단(4)에 함께 봉제처리하여 허리둘레조절장치(1)가 가이드레일(8) 및 가이드단(10)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의복의 허리둘레가 조절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착용자가 의복의 허리둘레를 조절하기 위해 제1래치부(20)의 누름판(22)을 누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래치부(26)의 상부래치부재(29)가 회동축(27)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부래치돌기(31)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가이드레일(8)의 상부 레일홈(9a)으로부터 걸림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좌우측 승강대(21)의 하강에 따라 하부연결대(23)의 하부래치돌기(24)가 하강이동되어 가이드레일(8)의 하부 레일홈(9b)으로부터 빠져나와 걸림해제되어 허리둘레조절장치(1)가 가이드레일(8)을 따라 자유롭게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맞게 하의의 허리둘레조절이 이루어지며, 착용자에게 맞게 허리둘레가 조절된 상태에서 착용자가 제1래치부(20)의 누름판(22)을 누름해제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래치부(26)의 상부래치부재(29)가 토션스프링(2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동축(27)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부래치돌기(31)가 하향이동되어 가이드레일(8)의 상부 레일홈(9a)에 걸림체결되고 이와 동시에 상부래치부재(29)의 상부누름대(30)가 상향이동되면서 제1래치부(20)의 누름판(22)을 상승시켜 좌우측 승강대(21)의 상승에 따라 하부연결대(23)의 하부래치돌기(24)가 상승이동되고 가이드레일(8)의 하부 레일홈(9b)에 걸림체결되어 허리둘레가 조절된 허리둘레조절장치(1)의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누름판(22)을 누르는 방식에 따른 제1래치부(20)의 승강작동 및 제2래치부(26)의 상부래치부재(29)의 회전으로 내측허리단(4)의 외측면에 부착된 가이드레일(8)의 상하부 레일홈(9b)에 하부연결대(23)의 하부래치돌기(24)와 상부래치부재(29)의 상부래치돌기(31)가 함께 걸림체결되거나 걸림해제되면서 허리둘레조절장치(1)가 손상되지 않고 가이드레일(8)에 보다 견고하게 걸림지지되면서 하의의 허리둘레를 안정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1. 허리둘레조절장치 2. 슬라이더본체
3. 내측허리단 4. 외측허리단
5. 상면판 6. 상측개구부
7. 후면판 8. 가이드레일
9a, 9b. 레일홈 10. 가이드단
11. 하면판 12. 상측전면판
13. 하측전면판 14. 핀체결공
15. 결합핀 16a, 16b. 회동축관통공
17. 상측승강대관통공 18. 하측승강대관통공
19. 레일스트랩 20. 제1래치부
21. 승강대 22. 누름판
23. 하부연결대 24. 하부래치돌기
25. 걸림돌기 26. 제2래치부
27. 회동축 28. 토션스프링
29. 상부래치부재 30. 상부누름대
31. 상부래치돌기

Claims (5)

  1. 좌우양측이 개구된 케이스형상으로 상면판(5)의 가운데부분에 상측개구부(6)가 형성되고 후면판(7)의 외측면에는 외측허리단(3)이 부착설치되며 내측 전후방에는 상하부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레일홈(9a)(9b)이 형성된 가이드레일(8)과 가이드단(10)이 좌우로 관통개재되는 슬라이더본체(2)와, 상기 슬라이더본체(2)의 좌우양측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좌우측 승강대(21)가 구비되고 좌우측 승강대(21)는 가이드레일(8)과 가이드단(10) 사이에 설치되며 슬라이더본체(2)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된 좌우측 승강대(21)의 상단부에는 누름판(22)이 고정부착되고 슬라이더본체(2)의 내측 하부에 위치된 좌우측 승강대(21) 사이에는 하부연결대(23)가 고정부착되며 하부연결대(23)의 상면부 전방에는 가이드레일(8)의 하부 레일홈(9b)에 걸림체결되거나 걸림해제되는 하부래치돌기(24)가 돌출형성된 제1래치부(20)와, 슬라이더본체(2)의 상측개구부(6)가 형성된 부분에 전후로 관통개재되는 회동축(27)이 구비되고 회동축(27)에는 슬라이더본체(2)의 내측 전방에 위치된 상태로 토션스프링(28)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상부래치부재(29)가 회전되게 끼워지며 상부래치부재(29)의 상부누름대(30)는 상측개구부(6)를 통해 누름판(22)의 하면부에 맞닿아 탄성지지하면서 상부래치부재(29)의 상부래치돌기(31)가 가이드레일(8)의 상부 레일홈(9a)에 걸림체결되거나 걸림해제되는 제2래치부(2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본체(2)는 수직으로 세워진 장방형 판형상의 후면판(7)이 구비되고 후면판(7)의 상,하단부에는 각각 전방으로 상면판(5)과 하면판(11)이 절곡형성되어 있으며 상면판(5)의 전방끝단에는 수직하방으로 상측전면판(12)이 절곡형성되고 하면판(11)의 전방끝단에는 수직상방으로 하측전면판(13)이 절곡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전면판(12)과 후면판(7)의 상부 가운데부분에는 회동축관통공(16a)(16b)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어 회동축관통공(16a)(16b)을 통해 제2래치부(26)의 회동축(27)이 슬라이더본체(2)의 상부 가운데부분에 전후수평으로 관통개재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전면판(12)과 하측전면판(13)은 상하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어 그 사이에 가이드레일(8)의 전면 가운데부분에 돌출형성된 레일스트랩(19)이 가이드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래치부(20)는 좌우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좌우측 승강대(21)의 상부가 슬라이더본체(2)의 상면판(5) 좌우양측에 천공된 상측승강대관통공(17)을 관통하여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고 좌우측 승강대(21)의 하부는 슬라이더본체(2)의 하면판(11) 좌우양측에 천공된 하측승강대관통공(18)을 통해 하방으로 관통되게 설치되며, 상기 좌우측 승강대(21)는 슬라이더본체(2)의 내측 상부에 위치되는 부분의 좌측면이나 우측면에 걸림돌기(25)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누름판(22)의 누름해제에 따라 토션스프링(2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좌우측 승강대(21)가 상승시 걸림돌기(25)가 상면판(5)에 맞닿아 좌우측 승강대(21)가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래치부재(29)는 링형상으로 된 몸체의 상부에 상부누름대(30)가 우측 대각선 상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돌출형성되고 상부래치부재(29)의 좌측면에는 하방으로 절곡된 상부래치돌기(31)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션스프링(28)은 회동축(27)의 전방에 상부래치부재(29)와 함께 끼워지면서 일측끝단이 상측전면판(12)의 상단부에 걸림지지되고 타측끝단이 상부래치부재(29)의 상부누름대(30)에 걸림지지되어 토션스프링(28)에 의해 상부래치부재(29)의 상부래치돌기(31)가 회동축(27)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되게 탄성지지되면서 상부누름대(30)는 상방으로 회전되게 탄성지지되며 상부누름대(30)의 끝단에 맞닿아 있는 제1래치부(20)의 누름판(22)은 상부누름대(30)에 의해 함께 상방으로 탄성지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
KR1020140067060A 2014-06-02 2014-06-02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 KR101458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060A KR101458960B1 (ko) 2014-06-02 2014-06-02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060A KR101458960B1 (ko) 2014-06-02 2014-06-02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8960B1 true KR101458960B1 (ko) 2014-11-07

Family

ID=52287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060A KR101458960B1 (ko) 2014-06-02 2014-06-02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9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922B1 (ko) 2017-05-15 2017-07-19 정지옹 길이 조절 장치
KR101775279B1 (ko) * 2016-07-04 2017-09-05 주식회사 씨엔어스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
WO2017150776A1 (ko) * 2016-03-02 2017-09-08 (주)씨엔어스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070B1 (ko) * 2009-09-15 2011-08-29 박해오 허리둘레 조절구 및 그것이 구비된 바지
KR101187156B1 (ko) * 2012-02-10 2012-09-28 문현태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KR200466613Y1 (ko) * 2011-05-24 2013-04-25 박해오 허리둘레 조절장치
KR101384879B1 (ko) * 2012-10-08 2014-04-29 박해오 허리둘레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070B1 (ko) * 2009-09-15 2011-08-29 박해오 허리둘레 조절구 및 그것이 구비된 바지
KR200466613Y1 (ko) * 2011-05-24 2013-04-25 박해오 허리둘레 조절장치
KR101187156B1 (ko) * 2012-02-10 2012-09-28 문현태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KR101384879B1 (ko) * 2012-10-08 2014-04-29 박해오 허리둘레 조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0776A1 (ko) * 2016-03-02 2017-09-08 (주)씨엔어스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KR101775279B1 (ko) * 2016-07-04 2017-09-05 주식회사 씨엔어스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
KR101754922B1 (ko) 2017-05-15 2017-07-19 정지옹 길이 조절 장치
WO2018212433A1 (ko) * 2017-05-15 2018-11-22 정지옹 길이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8960B1 (ko)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
DE102014211085A1 (de) Kinder-Hochstuhl
KR101387050B1 (ko) 간격 조절장치
WO2017150776A1 (ko)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US11807516B2 (en) Safety stirrup for horse riding
KR101474391B1 (ko) 하의용 허리단 치수 조절장치
KR101357448B1 (ko) 의류의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KR20120138278A (ko) 유아용 카시트의 안전벨트
KR101423206B1 (ko) 의복용 허리둘레조절장치
KR200472352Y1 (ko)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US2570001A (en) Pole climber
KR101754922B1 (ko) 길이 조절 장치
KR101775279B1 (ko)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
KR101985613B1 (ko)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KR101826266B1 (ko) 분리형 간격 조절장치
RS20161146A1 (sr) Pamučne gaćice sa segmentom za naduvavanje za prevenciju razvoja displazije kukova u novorođenčadi i pravilan dovršetak razvoja nedovoljno dobro razvijenog dela čašice zgloba kuka na rođenju kod sve novorođene dece
US20160309853A1 (en) Adjustable belt with gear system
US2211187A (en) Buckle
US536390A (en) Buckle
US2134224A (en) Clasp for garment supporters and the like
JP2014073221A (ja) ロック機構付きスライドアジャスタ
KR102191474B1 (ko) 허리둘레길이 조절장치
CN210582063U (zh) 一种带扣衣服用系扣解扣装置
JP2013248142A (ja) ストッパー機構付きバックル
CN217429380U (zh) 一种微调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