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279B1 -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5279B1 KR101775279B1 KR1020160084418A KR20160084418A KR101775279B1 KR 101775279 B1 KR101775279 B1 KR 101775279B1 KR 1020160084418 A KR1020160084418 A KR 1020160084418A KR 20160084418 A KR20160084418 A KR 20160084418A KR 101775279 B1 KR101775279 B1 KR 1017752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pressing member
- torsion spring
- latch
- pie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2—Buckle with fixed prong
- A44B11/223—Buckle with fixed prong fixed on a movable element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41F9/025—Adjustable belts or girdle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의의 허리단 일측에 내측중첩부와 외측중첩부가 절개 형성되고, 상기 내측중첩부와 상기 외측중첩부에 고정되어 하의의 허리둘레를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중첩부의 외주면에 부착되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래치부가 형성되는 가이드스트랩 및 상기 외측중첩부의 내주면에 부착되되, 상기 가이드스트랩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외측중첩부와 결합되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래치부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의 상방에 위치하여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몸체부에 결합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걸림편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을 갖는 위치조절구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편이 상기 래치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걸림편의 일단부는 상기 토션스프링과 접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압부재와 접지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시 상기 걸림편의 타단부가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하강하고, 이에 따라 상기 걸림편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걸림편의 일단부를 상승시켜 상기 토션스프링을 압축함으로써 상기 걸림편이 걸림해제되도록 하여 조작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조건 변화에 따라 하의의 허리둘레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지나 치마와 같은 하의의 허리둘레는 사이즈에 따라 정해진 치수로 제조, 판매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의 허리둘레에 맞는 하의를 구매하여 착용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하의를 구매한 후 과식, 다이어트 등으로 허리둘레가 증감하게 되면 하의를 버리거나 비용을 지불하면서 허리둘레를 수선해야 하는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한다. 특히,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나 청소년의 경우 키, 몸무게와 함께 허리둘레가 급격하게 증가하기 때문에 하의가 찢어지거나 해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사이즈가 맞지 않아 버릴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부터 다양한 형태의 하의용 허리둘레 조절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66613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의의 내측중첩부에 부착되어 위치고정수단(3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가이드레일(200)과, 하의의 외측중첩부에 부착되어 가이드레일(200)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수단(300)을 포함하는 허리둘레 조절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 1의 경우 가이드레일(200)을 고정하기 위한 가압구(320)가 일측으로 경사져 돌출된 스틱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상의의 착용이나 탈의시 상의가 걸려 찢어지기 쉽고, 특히 니트류 등의 경우에는 올이 걸려 풀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 제10-1458960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함)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8)이 좌우로 관통개재되는 슬라이더본체(2)와, 슬라이더본체(2)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래치부(20) 및 제1래치부(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가이드레일(8)을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는 제2래치부(26)를 포함하는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1)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 2의 경우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토션스프링(28)이 제2래치부(26)와 함께 회동축(27)에 병렬로 결합됨으로써 제1래치부(20)의 가압시 큰 힘이 요구되고,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종래기술 2와 같이 토션스프링(28)과 제2래치부(26)가 동일한 회동축(27)에 결합되면 제2래치부(26)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 토션스프링(28)의 일단부는 제2래치부(26)에 걸리고 타단부는 슬라이더본체(2)에 걸려야 하며, 이는 종래기술 2 뿐 아니라 대부분의 탄성 부여 방식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결합 구조이다. 그러나 상술한 결합 구조에 의하면 제1래치부(20)를 가압하여 제2래치부(26)의 걸림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해 반드시 토션스프링(28)의 탄성력을 초과하는 힘을 인가해야 하기 때문에 어린이나 노약자가 간편하게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토션스프링(28)과 제2래치부(26)가 축결합되면 토션스프링(28)의 형태와 앞서 설명한 결합 구조상 제1래치부(20)에서 제2래치부(26)와 접지되는 부분이 일측으로 편중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제1래치부(20)를 가압하면 제2래치부(26)와 접촉하지 않은 제1래치부(20)의 타측이 상대적으로 부상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이 반복될 경우 제1래치부(26)가 헐거워져 슬라이더본체(2)로부터 분리되거나 파손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작은 힘으로 간편하게 조작이 가능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의의 착용이나 탈의시 상의가 걸려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하의의 허리단 일측에 내측중첩부와 외측중첩부가 절개 형성되고, 상기 내측중첩부와 상기 외측중첩부에 고정되어 하의의 허리둘레를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중첩부의 외주면에 부착되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래치부가 형성되는 가이드스트랩; 및 상기 외측중첩부의 내주면에 부착되되, 상기 가이드스트랩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외측중첩부와 결합되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래치부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의 상방에 위치하여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몸체부에 결합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걸림편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을 갖는 위치조절구;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편이 상기 래치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걸림편의 일단부는 상기 토션스프링과 접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압부재와 접지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시 상기 걸림편의 타단부가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하강하고, 이에 따라 상기 걸림편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걸림편의 일단부를 상승시켜 상기 토션스프링을 압축함으로써 상기 걸림편이 걸림해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편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시 상기 걸림편이 회전하여 상기 홈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토션스프링은 스테인레스 강선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부재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축이 프레스에 의한 버링가공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몸체부에는 횡방향을 따라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스트랩의 내측에는 상기 개구부로 삽입되는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위치조절구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스트랩의 외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재봉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스트랩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몸체부에 삽입되어 상기 내측중첩부와 재봉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제2몸체부에 형성되는 고리와, 상기 외측중첩부의 외측에서 상기 외측중첩부를 관통하여 상기 고리와 체결되는 마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걸림편의 일단부에 가압부재가 접지되고, 타단부에는 토션스프링이 접지됨으로써 사용자가 가압부재를 누를 경우 지렛대 원리에 의해 작은 힘으로 토션스프링을 압축시켜 걸림편의 걸림 상태를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어린이나 노약자 등 손가락 힘이 약한 사용자도 간편하게 조작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가 토션스프링과 걸림편에 의해 양측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가압부재의 반복적인 사용에도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가압부재가 일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모서리가 라운드진 사각형 단면 구조를 가져 상의의 착용 또는 탈의시 상의가 걸려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1에 따른 허리둘레 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 2에 따른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의 투과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를 구성하는 위치조절구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8 및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2는 종래기술 2에 따른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의 투과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를 구성하는 위치조절구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8 및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를 구성하는 위치조절구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8 및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100)는 가이드스트랩(110)과 위치조절구(120)를 포함한다.
가이드스트랩(110)은 하의(10)의 허리둘레를 증감시키기 위한 것으로 유연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하의(10)의 허리단 내측중첩부(11)의 외주면에 재봉 등의 방식을 통해 부착, 고정된다.
가이드스트랩(110)의 상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래치부(111)가 형성된다. 래치부(111)의 경우 요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 형성된 구조를 가져 요홈에 위치조절구(120)의 걸림편(123)이 삽입되어 걸릴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걸림편(123)이 걸리는 요홈의 위치에 따라 하의(10)의 허리둘레가 증가 또는 감소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스트랩(110)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부(112)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가이드스트랩(110)의 외측, 즉, 가이드부(112)의 배면에는 재봉홈(113)이 형성된다. 재봉홈(113)은 가이드스트랩(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요입된 구조를 가져 가이드스트랩(110)을 하의(10)의 내측중첩부(11)에 재봉할 때 가이드 기능을 하는 동시에 봉제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치조절구(120)의 슬라이딩으로 인한 마모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위치조절구(120)는 가이드스트랩(110)의 고정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하의(10)의 외측중첩부(12)의 내주면에 부착되며, 제1몸체부(121)와, 제2몸체부(122)와, 걸림편(123)과, 가압부재(124) 및 토션스프링(1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몸체부(121)는 내측으로 가이드스트랩(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횡방향을 따라 관통된 중공 구조를 가진다. 제1몸체부(121)의 내측벽에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개구부(121a)가 형성되고, 이러한 개구부(121a)에 앞서 설명한 가이드스트랩(110)의 가이드부(112)가 삽입된다.
따라서 위치조절구(120)가 가이드스트랩(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허리둘레 조절을 위해 횡방향으로 슬라이딩될 경우 개구부(121a)가 가이드부(112)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보다 원활한 위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개구부(121a)의 폭이 가이드부(112)의 폭과 동일하게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제1몸체부(121)의 상단에는 가압부재(124)의 노출을 위한 장공(121d)이 형성되고, 내측벽과 외측벽에는 걸림편(123)의 결합을 위한 힌지공(121b)(121c)이 각각 형성된다.
제2몸체부(122)는 제1몸체부(121)와 유사하게 횡방향으로 관통된 중공 구조를 가지고 제1몸체부(121)의 외측벽에 접합된다. 제1몸체부(121)와 제2몸체부(122)의 접합은 작업 비용이나 편의성을 고려할 때 리벳으로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접합수단이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공지된 다양한 접합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몸체부(122)의 외측벽에는 고리(126)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고리(126)는 마감부재(127)와 함께 위치조절구(120)를 하의(10)의 외측중첩부(12)에 고정하는 데 이용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126)와 마감부재(127)가 외측중첩부(12)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위치한 상태에서 마감부재(127)의 핀(127a)을 외측중첩부(12)에 관통시킨 다음 고리(126)에 걸어 절곡하면 위치조절구(120)가 외측중첩부(12)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마감부재(127)는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태와 색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13)는 가이드스트랩(110)을 감싸도록 제2몸체부(122)를 관통하여 내측중첩부(11)와 재봉되고, 이로 인해 가이드스트랩(11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가이드스트랩(110)의 래치부(111)에 의해 피부나 옷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13)로는 내측중첩부(11)와 동일한 직물을 이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나 디자인적 요소를 고려하여 특정 패턴이나 색상을 가진 직물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걸림편(123)은 제1몸체부(121)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몸체부(121)의 힌지공(121b)(121c)에 걸림편(123)의 양측 돌기가 삽입됨으로써 걸림편(123)이 힌지공(121b)(121c)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편(123)은 힌지공(121b)(121c)으로부터 양단까지의 거리가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되, 걸림편(123)의 일단부는 래치부(111)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견고하게 걸릴 수 있도록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진다.
가압부재(124)는 걸림편(123)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제1몸체부(121)에 결합된다. 이 경우, 가압부재(124)는 장공(121d)을 통해 일부가 노출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가압부재(124)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부(124a)가 형성되고, 이러한 걸림턱부(124a)가 장공(121d)에 걸려 가압부재(124)의 이탈이 방지된다. 가압부재(124)는 대략 사각형 단면 구조를 가지되,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상의가 걸려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가압부재(124)의 하부에는 걸림편(123)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124b)이 형성된다. 따라서 가압부재(124)를 가압하여 하강시키면 걸림편(123)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홈(124b)에 수용되며, 이를 통해 가압부재(124)가 하강한 상태에서 토션스프링(125)의 탄성에 의해 뒤틀리거나 일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토션스프링(125)은 가압부재(124)의 내측에 결합되어 가압부재(124)와 걸림편(123)을 각각 상방과 하방으로 탄성 지지한다. 본 발명에서 토션스프링(125)은 대략 V형의 스테인레스 강선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버링가공(burring)을 통해 가압부재(124)의 내측에 고정된다.
즉, 토션스프링은 통상 샤프트를 이용하여 탄성이 요구되는 위치에 고정되는데, 이와 같이 샤프트를 이용하면 샤프트를 토션스프링에 삽입한 후 다시 홀에 끼워야 하기 때문에 조립 과정이 번거롭고 오랜 시간이 소요되나, 버링가공에 의하면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조립 공정과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부재(124)의 내측에 토션스프링(125)을 삽입하고, 토션스프링(125)의 회전축을 홀(124c)에 위치시킨 다음 홀(124c)을 프레스 펀치로 가공하면 홀(124c)의 내측이 원통형으로 확장되면서 토션스프링(125)의 회전축이 고정된다.
이상으로 위치조절구(120)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위치조절구(120)에서 걸림편(123), 가압부재(124), 토션스프링(125)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조작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바 이하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편(123)이 래치부(111)에 걸린 상태, 즉, 위치조절구(120)가 고정된 상태에서 걸림편(123)의 일단부는 가압부재(124)와 접지되고, 걸림편(123)의 타단부는 토션스프링(125)과 접지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걸림편(123)의 상방에 가압부재(124)를 형성하고, 가압부재(124)의 내측에 토션스프링(125)을 결합하여 걸림편(123)의 양단부가 각각 토션스프링(125)과 가압부재(124)와 접지되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더 작은 힘으로도 걸림편(123)의 걸림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편(123)과 가압부재(124)의 접지 부분이 힘점이 되고, 걸림편(123)의 회전축이 받침점이 되며, 걸림편(123)과 토션스프링(125)의 접지 부분이 작용점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압부재(124)를 누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편(123)의 일단부가 하강함으로써 걸림편(123)이 받침점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하고, 그 결과 걸림편(123)의 타단부가 상승하여 토션스프링(125)을 압축시키면서 래치부(111)로부터 이탈되어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토션스프링(125)의 탄성력보다 작은 힘으로 걸림편(123)을 걸림해제시킬 수 있도록 작용점은 걸림편(123)의 절곡된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걸림편(123)은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인 힌지공(121b)으로부터 양단까지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는데, 작용점이 절곡부에 위치하면 받침점에서 작용점까지의 길이가 받침점에서 힘점까지의 길이보다 짧아지기 때문에 지렛대 원리에 의해 토션스프링(125)을 압축하기 위한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압부재(124)가 토션스프링(125)과 걸림편(123)에 의해 양측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가압부재(124)의 가압시 일측이 부상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가압부재(124)의 반복적인 사용에도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허리단 일측에 내측중첩부(11)와 외측중첩부(12)가 절개 형성된 하의(10)가 제공된다. 이후, 하의(10)의 내측중첩부(11)에 가이드스트랩(110)이 부착된다. 가이드스트랩(110)은 재봉홈(113)을 이용하여 내측중첩부(11)에 용이하게 재봉될 수 있다. 계속하여, 외측중첩부(12)에 위치조절구(120)가 부착된다. 위치조절구(120)는 외측중첩부(12)를 관통한 마감부재(127)의 핀(127a)을 제2몸체부(122)의 고리(126)에 삽입하여 절곡시키는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위치조절구(120)의 부착이 완료되면 위치조절구(120)의 제1몸체부(121) 내측으로 가이드스트랩(110)을 삽입하고, 사용자의 허리둘레에 맞게 위치조절구(120)를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딩시킨다.
이 경우, 걸림편(123)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절곡부가 형성된 방향으로 위치조절구(120)를 슬라이딩시키면 걸림편(123)이 래치부(111)에 걸려 위치조절구(120)의 이동이 제한되나, 역방향으로 위치조절구(120)를 슬라이딩시키면 걸림편(123)의 절곡부가 토션스프링(125)을 압축시키면서 래치부(111)를 타고 상승하여 인접한 홈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계속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조절구(120)를 외측중첩부(12)에 부착할 때에는 걸림편(123)이 래치부(111)에 걸리는 방향이 하의(10)의 허리둘레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설정되고, 걸림편(123)이 래치부(111)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방향이 하의(10)의 허리둘레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설정된다.
한편, 위치조절구(120)는 가압부재(124)의 누름 조작을 통해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 또는 고정해제된다. 구체적으로, 가압부재(124)를 누르면 걸림편(123)이 래치부(111)로부터 이탈되어 위치조절구(120)가 슬라이딩 가능하기 때문에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가압부재(124)를 놓으면 걸림편(123)이 래치부(111)의 홈에 걸려 위치조절구(120)가 고정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하의 11 : 내측중첩부
12 : 외측중첩부 13 : 커버
100 :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 110 : 가이드스트랩
111 : 래치부 112 : 가이드부
113 : 재봉홈 120 : 위치조절구
121 : 제1몸체부 121a : 개구부
121b, 121c : 힌지공 121d : 장공
122 : 제2몸체부 123 : 걸림편
124 : 가압부재 124a : 걸림턱부
124b : 홈 124c : 홀
125 : 토션스프링 126 : 고리
127 : 마감부재 127a : 핀
12 : 외측중첩부 13 : 커버
100 :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 110 : 가이드스트랩
111 : 래치부 112 : 가이드부
113 : 재봉홈 120 : 위치조절구
121 : 제1몸체부 121a : 개구부
121b, 121c : 힌지공 121d : 장공
122 : 제2몸체부 123 : 걸림편
124 : 가압부재 124a : 걸림턱부
124b : 홈 124c : 홀
125 : 토션스프링 126 : 고리
127 : 마감부재 127a : 핀
Claims (7)
- 하의의 허리단 일측에 내측중첩부와 외측중첩부가 절개 형성되고, 상기 내측중첩부와 상기 외측중첩부에 고정되어 하의의 허리둘레를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중첩부의 외주면에 부착되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래치부가 형성되는 가이드스트랩; 및
상기 외측중첩부의 내주면에 부착되되, 상기 가이드스트랩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외측중첩부와 결합되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래치부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의 상방에 위치하여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몸체부에 결합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걸림편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을 갖는 위치조절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편이 상기 래치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걸림편의 일단부의 절곡부는 상기 토션스프링과 접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압부재와 접지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시 상기 걸림편의 타단부가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하강하고, 이에 따라 상기 걸림편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걸림편의 일단부를 상승시켜 상기 토션스프링을 압축함으로써 상기 걸림편이 걸림해제되도록 하되,
상기 걸림편의 회전축에서 절곡부까지의 길이가 상기 걸림편의 회전축에서 타단부까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편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시 상기 걸림편이 회전하여 상기 홈에 수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스프링은 스테인레스 강선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부재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축이 프레스에 의한 버링가공을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에는 횡방향을 따라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스트랩의 내측에는 상기 개구부로 삽입되는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위치조절구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스트랩의 외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재봉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스트랩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몸체부에 삽입되어 상기 내측중첩부와 재봉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부에 형성되는 고리와, 상기 외측중첩부의 외측에서 상기 외측중첩부를 관통하여 상기 고리와 체결되는 마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4418A KR101775279B1 (ko) | 2016-07-04 | 2016-07-04 |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4418A KR101775279B1 (ko) | 2016-07-04 | 2016-07-04 |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75279B1 true KR101775279B1 (ko) | 2017-09-05 |
Family
ID=59924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4418A KR101775279B1 (ko) | 2016-07-04 | 2016-07-04 |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527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2563B1 (ko) * | 2018-04-26 | 2019-06-26 | 주식회사 씨엔어스 | 치마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와 그 설치방법 |
KR101972818B1 (ko) * | 2019-02-01 | 2019-08-23 | 정재표 | 길이 조절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975852B2 (ja) | 2009-09-15 | 2012-07-11 | ▲海▼ 五 朴 | ウエスト調節具およびそれが備えられたズボン |
KR101384879B1 (ko) * | 2012-10-08 | 2014-04-29 | 박해오 | 허리둘레 조절장치 |
KR101458960B1 (ko) * | 2014-06-02 | 2014-11-07 | 방종호 |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 |
-
2016
- 2016-07-04 KR KR1020160084418A patent/KR10177527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975852B2 (ja) | 2009-09-15 | 2012-07-11 | ▲海▼ 五 朴 | ウエスト調節具およびそれが備えられたズボン |
KR101384879B1 (ko) * | 2012-10-08 | 2014-04-29 | 박해오 | 허리둘레 조절장치 |
KR101458960B1 (ko) * | 2014-06-02 | 2014-11-07 | 방종호 |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2563B1 (ko) * | 2018-04-26 | 2019-06-26 | 주식회사 씨엔어스 | 치마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와 그 설치방법 |
KR101972818B1 (ko) * | 2019-02-01 | 2019-08-23 | 정재표 | 길이 조절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434011C (zh) | 保持件 | |
US10085528B2 (en) | Clasp, watch band, and watch | |
KR101775279B1 (ko) |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 | |
CA2635891C (en) | Cinching sleeve for ties | |
CN104519840B (zh) | 用于固定肩关节的矫形器械 | |
KR200466613Y1 (ko) | 허리둘레 조절장치 | |
JP2016202899A (ja) | 締め輪クラスプ | |
CN211833163U (zh) | 饰品用紧固部件、饰品用紧固件以及饰品 | |
US2723417A (en) | Handle assembly | |
KR20170102775A (ko) |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 |
KR101992563B1 (ko) | 치마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와 그 설치방법 | |
KR200473562Y1 (ko) | 혁대 버클 | |
KR200444929Y1 (ko) | 허리 사이즈 조절 액세서리 및 그를 구비한 하의 | |
KR101717043B1 (ko) | 의류 허리 둘레선 조절장치 | |
KR102011118B1 (ko) | 개선된 스냅 단추 | |
KR20170123302A (ko) |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 |
KR200484741Y1 (ko) | 버클을 사용하지 않는 벨트 | |
CN106347292B (zh) | 具有安全防护的调节装置 | |
US4070976A (en) | Upper thread take-up levers for sewing machines | |
KR101698149B1 (ko) | 허리둘레 조절장치 | |
JP6243594B2 (ja) | 吊下げ保持具 | |
KR101590931B1 (ko) | 의류 허리단 둘레 조절장치 및 그를 포함한 허리단 둘레 조절이 가능한 의류 | |
KR102138491B1 (ko) |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및 이의 부착방법 | |
US2860398A (en) | Expansible buckle | |
KR200183194Y1 (ko) | 의복벨트용 버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