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562Y1 - 혁대 버클 - Google Patents

혁대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562Y1
KR200473562Y1 KR2020130006424U KR20130006424U KR200473562Y1 KR 200473562 Y1 KR200473562 Y1 KR 200473562Y1 KR 2020130006424 U KR2020130006424 U KR 2020130006424U KR 20130006424 U KR20130006424 U KR 20130006424U KR 200473562 Y1 KR200473562 Y1 KR 2004735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socket
buckle
band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4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홍덕
Original Assignee
조홍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홍덕 filed Critical 조홍덕
Priority to KR20201300064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5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5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5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4Buckle with movable pro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혁대를 착용하는 결속부위가 튀어나와 옷맵시를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혁대의 안정된 착용감을 제공하여 혁대의 착용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혁대 버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구멍을 갖는 혁대 띠와; 상기 혁대 띠의 일선단부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와, 상기 혁대 띠의 타선단부가 인입되기 위한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에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혁대 띠의 구멍에 관통되면서 상기 혁대 띠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결속핀을 가지는 버클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핀은 일단에 상기 소켓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위한 회전부와; 타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소켓부의 선단부에 간섭되도록 형성되기 위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서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면서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므로, 혁대를 착용하는 혁대 버클의 결속부위가 튀어나와 옷맵시를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혁대 버클{BELT BUCKLE}
본 고안은 혁대 버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혁대를 착용하는 결속부위가 튀어나와 옷맵시를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혁대의 안정된 착용감을 제공하여 혁대의 착용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혁대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장 바지, 캐주얼 바지 및 청바지 등(이하 통칭하여 '바지'라 함)을 입을 경우 바지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혁대를 착용한다.
종래의 혁대는 천연 또는 인조 피혁 재질의 혁대 띠(1)와, 허리를 감싼 혁대 띠(1)의 선단이 인입된 상태에서 혁대 띠(1)에 형성된 구멍(1a)들 중 어느 한 구멍에 끼워지도록 혁대 띠(1)의 일단에 고정된 버클(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일반 사각 프레임 구조로 제공되는 버클(2)은 혁대 띠(1)가 고정될 수 있도록 된 버클(2)의 중앙 정도에 체결핀(3)이 힌지 결합된 형태이다.
또한 상기 버클(2)의 프레임에 힌지 결합된 체결핀(3)은 반대쪽인 프레임에 간섭되는 길이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혁대를 착용하는 방법은, 우선 혁대 띠(1)로 허리를 두르고 혁대 띠의 선단을 버클(2)의 내부로 인입 한 후, 혁대 띠(1)를 당겨 허리를 조인 상태에서 체결핀(3)은 혁대 띠(1)에 형성된 구멍들 중에 어느 한 구멍(1a)에 끼워진다.
그리고 당기고 있던 혁대 띠(1)를 놓으면 혁대 띠(1)는 인입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인출되면서 체결핀(3)이 버클(2)의 프레임에 접하게 되어 혁대 착용이 완료된다.
반대로 착용한 혁대를 풀기 위해서는 혁대 띠(1)의 선단을 인입 방향으로 당겨 허리를 조인다. 그러면 구멍(1a)에 끼워진 체결핀(3)은 몸의 전방으로 선회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체결핀(3)을 구멍(1a)에서 빼낸 후에 당기던 혁대 띠(1)를 놓으면 혁대 띠(1)가 버클(2)에서 인출되면서 착용 해제가 이루어진다.
종래의 경우 혁대 띠가 심하게 변형되면서 자주 사용하는 구멍 및 그 주변의 손상이 심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혁대는 허리에 착용시 버클에 착용되는 혁대 띠의 결속부위가 무리하게 튀어나오도록 되어 있어 바지 겉으로 착용되는 혁대의 모양이 옷맵시를 떨어뜨리거나 튀어나온 부위로 인하여 신체의 움직임에 따른 체결핀에 옷이 걸리거나 의자에 앉는 경우 착용자의 배 부위가 튀어나와 보이거나 혁대 띠에 의해 심하게 압박되는 등 여러 불편함이 따랐다.
한편, 2003. 4. 7. 등록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11045호는 쉽게 풀릴 수 있는 혁대용 버클을 개시하고 있으나, 후술하는 본원 발명과 달리 상기 공지기술은 혁대 띠가 버클의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을 개시하지 않고 있다.
KR 등록실용신안공보 Y1 20-0311045 (2003. 04.07)
본 고안의 목적은 혁대를 착용하는 혁대 버클의 결속부위가 튀어나와 옷맵시를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혁대 버클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혁대 버클의 결속부위가 튀어나와 혁대의 착용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혁대 버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혁대의 안정된 착용감을 제공하여 혁대 착용자의 편안한 혁대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멍을 갖는 혁대 띠와; 상기 혁대 띠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혁대 띠의 구멍에 관통되면서 인입된 혁대 띠의 이동을 제한하는 결속핀을 갖는 버클을 포함하여 구비되고, 상기 결속핀은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버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부와; 상기 몸체의 타단에 각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혁대 띠의 구멍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버클 내에서 상기 혁대 띠의 결속 부위가 완전히 수용되도록 안내하는 띠 결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 버클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멍을 갖는 혁대 띠와; 상기 혁대 띠의 일선단부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와, 상기 혁대 띠의 타선단부가 인입되기 위한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에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혁대 띠의 구멍에 관통되면서 상기 혁대 띠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결속핀을 가지는 버클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핀은, 몸체의 일단에 상기 소켓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을 가지는 회전부와; 상기 몸체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소켓부의 선단부에 간섭되도록 형성되기 위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서 일정 경사각으로 연장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 버클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결속핀은 직선형이되 두 번 꺾인 구조이며, 상기 경사부가 상기 걸림부에서 꺾이는 직선으로 연장되어, 상기 혁대 띠가 상기 소켓부의 안쪽으로 밀착되도록 유도함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 버클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부의 경사각은 한쪽이 147도이고, 어느 한쪽이 141도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 버클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부는 그 하측단부가 오목하게 배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혁대 띠의 구멍에 삽입되는 상기 결속핀을 안내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 버클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버클의 소켓부는 상기 혁대 띠가 인입되는 한쪽이 낮고 한쪽은 높은 프레임 구조로서, 상기 소켓부는 낮은 일단에 그 중심부가 상측으로 다소 돌출되어 상기 버클로 인입되는 상기 혁대 띠가 높이 편차 없이 안내되도록 하는 인입부와; 상기 혁대 띠가 지나가는 소켓부의 타단에 종으로 횡단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속핀의 회전부가 힌지 결합되기 위한 힌지봉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 버클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구멍을 갖는 혁대 띠와; 상기 혁대 띠의 일선단부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와, 상기 혁대 띠의 타선단부가 인입되기 위한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에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혁대 띠의 구멍에 관통되면서 상기 혁대 띠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결속핀을 가지는 버클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핀은 일단에 상기 소켓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위한 회전부와; 타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소켓부의 선단부에 간섭되도록 형성되기 위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서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면서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므로, 혁대를 착용하는 혁대 버클의 결속부위가 튀어나와 옷맵시를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혁대 띠가 인입되는 버클의 일단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버클의 결속핀의 일단이 경사각을 이루도록 하여 버클 안쪽으로 인입되는 혁대 띠가 버클 안쪽에서 완전히 밀착하면서 착용될 수 있도록 하여 혁대 버클의 결속부위가 튀어나와 혁대의 착용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혁대의 안정된 착용감을 제공하여 혁대 착용자의 편안한 혁대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혁대 버클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혁대 버클을 보인 전체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혁대 버클의 착용을 보인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혁대 버클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혁대 버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정면도,
도 7은 도 4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의 체결핀을 보인 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혁대 띠가 버클에 결속되는 것을 보인 작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혁대 구조를 보인 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혁대 버클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혁대는 구멍(110)이 형성된 혁대 띠(100)와; 상기 혁대 띠(100)의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구멍(110)에 끼워 혁대 띠(100)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버클(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혁대 띠(100)는 천연 또는 인조 피혁 재질의 띠로 이루어지며,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일정 길이만큼 제조되어 제공된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버클(200)은 상기 혁대 띠(100)의 일선단부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210)와, 상기 혁대 띠(100)의 타선단부가 인입되기 위한 소켓부(220)와, 상기 소켓부(220)에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혁대 띠(100)의 구멍(110)에 관통되면서 상기 혁대 띠(100)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결속핀(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210)는 상기 혁대 띠(100)의 일선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상기 혁대 띠(100)를 강압하여 압착할 수 있도록 톱니부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클(200)의 소켓부(220)는 상기 혁대 띠가 인입되는 한쪽이 낮고 한쪽은 높은 프레임 구조이다.
상기 소켓부(220)는 일단에 그 중심부가 상측으로 다소 돌출되어 상기 버클(200)로 인입되는 상기 혁대 띠(100)가 높이 편차 없이 안내되도록 하는 인입부(221)와; 상기 혁대 띠(100)가 지나가는 소켓부(220)의 타단에 종으로 횡단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속핀(230)의 회전부(231)가 힌지 결합되기 위한 힌지봉(2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소켓부(220)의 인입부(221)는 도 8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앙부가 상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공간(S1)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혁대 띠(100)의 인입에 따른 높이 편차를 없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소켓부 내로 진입하는 혁대 띠의 높이 편차를 최대한 없애도록 하여 인입 전후의 혁대 띠의 튀어나온 돌출을 줄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힌지봉(222)은 그 중앙 정도에 상기 결속핀(230)의 일단부가 힌지 결합할 경우 걸려 이동 범위가 제한되도록 하는 걸림홈(222a)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속핀(230)은 일단에 상기 소켓부(220)의 힌지봉(22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위한 회전부(231)와; 타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소켓부(220)의 선단부에 간섭되도록 형성되기 위한 걸림부(232)와; 상기 걸림부(232)에서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면서 연장되는 경사부(23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속핀(230)은 직선형이되 두 번 꺾인 구조로써, 상기 경사부(233)가 상기 걸림부(232)에서 꺾이는 직선으로 연장되어, 상기 혁대 띠(100)가 상기 소켓부(220)의 안쪽으로 밀착되도록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231)는 하측에 상기 소켓부(220)의 힌지봉(222)에 형성된 걸림홈(222a)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23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부(232)의 하측면(232a)은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혁대 띠(100)의 구멍(110)에 삽입되는 상기 결속핀(230)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걸림부(232)가 상기 혁대 띠(100)의 구멍(110)에 결속 또는 해체가 이루어질 경우 상기 걸림부(232)의 볼록하게 형성된 하측면(232a)의 형성으로 결속핀(230)이 혁대 띠(100)의 구멍(110)에서 자연스럽게 출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부(233)의 꺾임 각도는 상기 걸림부(232)의 하측단과 맞닿는 안쪽이 141도이고, 상기 걸림부(232)와 맞닿는 바깥쪽이 147도로 기울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통상의 가죽 혁대 띠가 한쪽으로 밀리 않고 잦은 사용으로 혁대 띠의 구멍이 커지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최적화된 경사각을 유지하기 위함이며, 최적화된 경사각에서 각도가 너무 크거나 작게 되면 결속핀이 버클 외부로 돌출되거나 버클 내부로 치우치게 되어 착용감을 떨어뜨리는 요인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부(233)가 직선으로 일정 꺾임 각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상기 소켓부(220) 내측으로 인입되는 혁대 띠(100)가 최대한으로 꺾이도록 하여 혁대 띠(100)의 결속부위가 소켓부(220) 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혁대 띠(100)의 인입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상기 소켓부(220)의 인입부(221)는 도 8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앙부가 상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공간(S1)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결속핀(230)의 경사부(233) 각도 꺾임에 맞추어 상기 소켓부(220)의 인입부(221)가 일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소켓부(220)로 인입되는 상기 혁대 띠(100)의 결속부위가 제약 없이 인입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혁대 띠(100)의 결속부위가 상기 소켓부(220)의 안쪽에서 바깥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억제하여 최소화하는 구조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고안의 혁대 버클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혁대 버클을 보인 전체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혁대 버클의 착용을 보인 상태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혁대 띠가 버클에 결속되는 것을 보인 작용 상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과 같이 구성된 혁대를 착용함에 있어서, 혁대 띠(100)로 허리를 두르고 혁대 띠(100)의 선단을 버클(200)의 내부로 인입한 후 혁대 띠(100)를 당겨 허리를 조인 상태에서 결속핀(230)을 혁대 띠(100)에 형성된 구멍(110)들 중에 어느 한 구멍에 끼운다.
다음, 당기고 있던 혁대 띠(100)를 놓으면 혁대 띠(100)는 인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인출되면서 결속핀(230)이 버클(200)의 소켓부(220)에 접하게 되어 혁대 착용이 완료된다.
반대로 착용한 혁대를 풀기 위해서는 혁대 띠(100)의 선단을 인입 방향으로 당겨 허리를 조인 다음, 구멍(110)에 끼워진 결속핀(230)은 몸의 전방으로 선회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결속핀(230)을 구멍(110)에서 빼낸 후에 당기던 혁대 띠(100)를 놓으면 혁대 띠(100)가 버클(200)에서 인출되면서 착용 해제가 이루어진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종래의 혁대 띠(1)는 허리에 착용시 버클(200)에 착용되는 혁대 띠(1)의 결속부위가 바깥쪽으로 일정 폭(S2)만큼 무리하게 튀어나오도록 되어 있어 바지 겉으로 착용되는 혁대의 모양이 좋지 못하였으나, 본 고안의 혁대 버클에서는 상기 버클(200)의 결속핀(230)에 형성된 경사부(233) 꺾임 각도에 맞추어 상기 소켓부(220)의 인입부(221)가 일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소켓부(220)로 인입되는 상기 혁대 띠(100)의 결속부위가 제약이 없고, 상기 혁대 띠(100)의 결속부위가 상기 소켓부(220)의 안쪽에서 튀어나오는 것을 억제하도록 하는 구조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옷맵시를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고, 혁대 띠의 튀어나온 부위로 인하여 신체의 움직임에 따른 결속핀에 옷이 걸리거나 의자에 앉는 경우 착용자의 배 부위가 튀어나와 보이거나 혁대 띠에 의해 심하게 압박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혁대 띠 110 : 구멍
200 : 버클 210 : 고정부
220 : 소켓부 230 : 결속핀

Claims (6)

  1. 혁대 띠가 인입되는 소켓부와, 상기 혁대 띠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혁대 띠의 구멍에 관통되면서 인입된 혁대 띠의 이동을 제한하는 결속핀을 갖는 버클로서,
    상기 결속핀은,
    몸체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버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부와;
    상기 몸체의 타단에 꺾이도록 형성되어 상기 혁대 띠의 구멍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버클 내에서 상기 혁대 띠의 결속 부위가 완전히 수용되도록 안내하는 띠 결속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소켓부는 경사지거나 굴절되어 일부가 낮게 위치하고 나머지 일부는 높게 위치하는 프레임 구조로서,
    상기 혁대 띠가 상기 소켓부의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결속핀이 상기 소켓부의 두께 내에 위치하도록 직선형이되, 꺾이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 버클.
  2. 혁대 띠(100)의 일선단부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210)와, 상기 혁대 띠(100)의 타선단부가 인입되기 위한 소켓부(220)와, 상기 소켓부(220)에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혁대 띠(100)의 구멍(110)에 관통되면서 상기 혁대 띠(100)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결속핀(230)을 가지는 버클(200)로서,
    상기 결속핀(230)은,
    몸체의 일단에 상기 소켓부(22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231a)을 가지는 회전부(231)와;
    상기 몸체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소켓부(220)의 선단부에 간섭되도록 형성되기 위한 걸림부(232)와;
    상기 걸림부(232)에서 일정 꺾임 각도로 연장되는 경사부(233)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고,
    상기 소켓부(220)는 경사지거나 굴절되어 일부가 낮게 위치하고 나머지 일부는 높게 위치하는 프레임 구조로서,
    상기 혁대 띠(100)가 상기 소켓부(220)의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결속핀(230)이 상기 소켓부(220)의 두께 내에 위치하도록 직선형이되, 꺾이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 버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핀(230)은 직선형이되 두 번 꺾인 구조이며,
    상기 경사부(233)가 상기 걸림부(232)에서 꺾이는 직선으로 연장되어,
    상기 혁대 띠(100)가 상기 소켓부(220)의 안쪽으로 밀착되도록 유도함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 버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233)의 꺾임 각도는 상기 걸림부(232)의 하측단과 맞닿는 안쪽이 141도이고, 상기 걸림부(232)와 맞닿는 바깥쪽이 147도로 기울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 버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232)는 그 하측면(232a)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혁대 띠(100)의 구멍(110)에 삽입되는 상기 결속핀(230)을 안내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 버클.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220)의 일단은 그 중심부가 상측으로 다소 돌출되어 상기 버클(200)로 인입되는 상기 혁대 띠(100)가 높이 편차 없이 안내되도록 하는 인입부(2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 버클.
KR2020130006424U 2013-08-01 2013-08-01 혁대 버클 KR2004735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424U KR200473562Y1 (ko) 2013-08-01 2013-08-01 혁대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424U KR200473562Y1 (ko) 2013-08-01 2013-08-01 혁대 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562Y1 true KR200473562Y1 (ko) 2014-07-09

Family

ID=51999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424U KR200473562Y1 (ko) 2013-08-01 2013-08-01 혁대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56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295B1 (ko) * 2016-11-28 2018-10-04 송광수 혁대용 버클
KR200491818Y1 (ko) 2019-06-11 2020-06-09 백우민 탄성 체결 방식의 버클
KR200492263Y1 (ko) 2019-06-11 2020-09-07 백우민 회전 체결 방식의 버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5313A (ja) * 1996-04-22 1997-11-04 Roozu Serabii:Kk ベルト用バックル
JP2000034609A (ja) 1998-07-11 2000-02-02 Loris Abate Sarl ベルト
KR200231510Y1 (ko) 2001-01-30 2001-07-04 송광수 의류벨트용 버클
KR101249325B1 (ko) 2012-09-17 2013-04-02 김근식 혁대 버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5313A (ja) * 1996-04-22 1997-11-04 Roozu Serabii:Kk ベルト用バックル
JP2000034609A (ja) 1998-07-11 2000-02-02 Loris Abate Sarl ベルト
KR200231510Y1 (ko) 2001-01-30 2001-07-04 송광수 의류벨트용 버클
KR101249325B1 (ko) 2012-09-17 2013-04-02 김근식 혁대 버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295B1 (ko) * 2016-11-28 2018-10-04 송광수 혁대용 버클
KR200491818Y1 (ko) 2019-06-11 2020-06-09 백우민 탄성 체결 방식의 버클
KR200492263Y1 (ko) 2019-06-11 2020-09-07 백우민 회전 체결 방식의 버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0070B1 (ko) 허리둘레 조절구 및 그것이 구비된 바지
JP3084683U (ja)
FI123401B (fi) Solki hihnalle, jossa on joukko paloja
KR100797639B1 (ko) 귀걸이 끈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마스크
US20120004587A1 (en) Braces using lacing systems
US20130298311A1 (en) Pants closure system
US9801432B2 (en) Buckle
KR200473562Y1 (ko) 혁대 버클
JP3737019B2 (ja) バックル
JP2012016516A (ja) マスクの締め紐長さ調整具およびマスク
CN106687007A (zh) 将带状物一端与一个物体连接的快速锁定装置
US2131898A (en) Pajamas
KR200411067Y1 (ko) 귀걸이 끈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마스크
CN104856373A (zh) 胸扣
JP6593907B1 (ja) 衣服用ベルト
KR20080092203A (ko) 혁대의 자동신축장치
KR200459301Y1 (ko) 넥타이 착용이 간편한 와이셔츠
KR20210006179A (ko) 벨트 고정 장치 및 그 장치가 구비된 버클
KR101717043B1 (ko) 의류 허리 둘레선 조절장치
US2924827A (en) Buckle construction with decorative panel
US11272763B2 (en) Magnetic clasp system
US2074287A (en) Clamp buckle
US20150250641A1 (en) Anti-Snor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200469383Y1 (ko) 허리 벨트 조임쇠 장치
US2860398A (en) Expansible buck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