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818Y1 - 탄성 체결 방식의 버클 - Google Patents

탄성 체결 방식의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818Y1
KR200491818Y1 KR2020190002382U KR20190002382U KR200491818Y1 KR 200491818 Y1 KR200491818 Y1 KR 200491818Y1 KR 2020190002382 U KR2020190002382 U KR 2020190002382U KR 20190002382 U KR20190002382 U KR 20190002382U KR 200491818 Y1 KR200491818 Y1 KR 2004918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turn means
elastic return
fasten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3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우민
Original Assignee
백우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우민 filed Critical 백우민
Priority to KR20201900023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8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8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8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8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hooks engaging end-pieces on the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8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uperposing one part on top of the other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혁대의 양 측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블록부 및 제2블록부와, 상기 제1블록부에 구비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블록부에는 링 형상의 걸림 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와 걸림 고리의 결합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고, 유지 보수(손상된 버클 또는 벨트의 단독교환)가 용이한 버클이다.

Description

탄성 체결 방식의 버클{BUCKLE OF ELASTIC FIXING TYPE}
본 고안은 혁대의 양 측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블록부 및 제2블록부와, 상기 제1블록부에 구비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블록부에는 링 형상의 걸림 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와 걸림 고리의 결합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체결수 있고, 유지 보수(손상된 버클 또는 벨트의 단독교환)가 용이한 버클이다.
일반적으로 정장 바지, 캐주얼 바지 및 청바지 등을 입을 경우 바지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버클을 착용한다.
이러한 혁대는 도 1에 일부 도시된 바와 같이 천연 또는 인조 피혁 재질의 혁대(H) 양 측단에 제1블록부(100)와 제2블록부(200)를 포함하며, 이러한 제1블록부(100)와 제2블록부(200)가 상호 체결되어 버클로서 기능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버클(아래의 선행기술로 제시된 실용실안에서 개시됨)은 체결하기가 어렵고 유지 보수(손상된 버클 또는 벨트의 단독교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버클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73562호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76926호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혁대의 양 측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블록부 및 제2블록부와, 상기 제1블록부에 구비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블록부에는 링 형상의 걸림 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와 걸림 고리의 결합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체결수 있고, 유지 보수(손상된 버클 또는 벨트의 단독교환)가 용이한 버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혁대(H)의 양 측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블록부(100) 및 제2블록부(200)와 상기 제1블록부(100)에 구비되는 체결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블록부(100)는 판체 형상의 제1블록 본체(110)를 포함하되, 상기 제1블록 본체(110) 중 제2블록부(200) 방향 측면에 요홈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제2블록부(200)는 판체 형상의 제2블록 본체(210)를 포함하되, 상기 제2블록 본체(210) 중 제1블록(110) 방향 측면에 링 형상의 걸림 고리(220)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제1블록부 본체(110)의 요홈부(120)에 구비되고, 제1블록부 본체(110)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 고리(220)에 걸림된 후 탄성 복귀 수단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탄성 체결 방식의 버클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요홈부(120)는 제1블록 본체(11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요홈부(121) 및 제2요홈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한 쌍의 요홈부(120)에 각각 구비되는 제1체결부(310) 및 제2체결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체결부(310)는 상기 제1요홈부(121)에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작동 바아(311)와, 상기 제1요홈부(121)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작동 바아(311)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탄성 복귀 수단(312)과, 상기 제1작동 바아(311)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 고리(220)에 삽입되는 제1후크부(3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부(320)는 상기 제2요홈부(122)에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작동 바아(321)와, 상기 제2요홈부(122)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작동 바아(321)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탄성 복귀 수단(322)과, 상기 제2작동 바아(321)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 고리(220)에 삽입되는 제2후크부(323)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1체결부(310)와 제2체결부(320)는 제1블록부(100)의 폭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1체결부(310)의 제1후크부(313)와 제2체결부(320)의 제2후크부(323)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1블록 본체(110) 중 상기 제1블록 본체(110)의 일 측 외측단에서 제1요홈부(121)사이 부분에는 내부에 제1수용 공간(1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블록 본체(110)의 타 측 외측단에서 제2요홈부(122)사이 부분에는 내부에 제2수용 공간(113)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 공간(112)의 폭 방향 양 측에는 제1관통공(111)이 형성되되, 상기 제1관통공(111)의 직경은 제1수용 공간(11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2수용 공간(113)의 폭 방향 양 측에는 제2관통공(114)이 형성되되, 상기 제2관통공(114)의 직경은 제2수용 공간(11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 복귀 수단(312)은 상기 제1수용 공간(112) 내부에 배치되어 제1수용 공간(112)의 내벽에 걸림되고, 제2탄성 복귀 수단(322)은 제2수용 공간(113) 내부에 배치되어 제2수용 공간(113)의 내벽에 걸림되며, 상기 제1작동 바아(311)는 상기 제1수용 공간(112) 내부에 배치된 제1탄성 복귀 수단(312) 내부와 제1관통공(111)을 관통한 후 일정 길이만큼 제1블록 본체(110)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2작동 바아(321)는 상기 제2수용 공간(113) 내부에 배치된 제2탄성 복귀 수단(322) 내부와 제2관통공(114)을 관통한 후 일정 길이만큼 제1블록 본체(110)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1탄성 복귀 수단(312)의 일 측에는 제1걸림부(311-1)가 돌출되어 제1탄성 복귀 수단(312)과 연동되고, 상기 제2탄성 복귀 수단(322)의 일 측에는 제2걸림부(322-1)가 돌출되어 제2탄성 복귀 수단(322)에 연동되며, 상기 제1작동 바아(311)와 제2작동 바아(321)가 제1블록 본체(110)의 중앙부로 이동 한 후 상기 제1탄성 복귀 수단(312) 및 제2탄성 복귀 수단(322)에 의해 원래 위치로 이동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해 종래보다 보다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고, 유지 보수(손상된 버클 또는 벨트의 단독교환) 또한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블록 본체와 체결부의 작동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과 걸림 고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혁대(H)의 양 측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블록부(100) 및 제2블록부(200)와 상기 제1블록부(100)에 구비되는 체결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블록부(100)는 판체 형상의 제1블록 본체(110)를 포함하되, 상기 제1블록 본체(110) 중 제2블록부(200) 방향 측면에 요홈부(1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블록부(200)는 판체 형상의 제2블록 본체(210)를 포함하되, 상기 제2블록 본체(210) 중 제1블록(110) 방향 측면에 링 형상의 걸림 고리(2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제1블록부 본체(110)의 요홈부(120)에 구비되고, 제1블록부 본체(110)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 고리(220)에 걸림된 후 탄성 복귀 수단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즉, 제1블록부 본체(110)에 체결부(300)가 설치되고, 제2블록부 본체(120)에 걸림 고리(220)가 설치된다. 상기 체결부(300)가 상기 걸림 고리(220)에 걸림되어 제1블록부 본체(110)와 제2블록부 본체(210)가 상호 체결된다.
상기 요홈부(120)는 제1블록 본체(11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요홈부(121) 및 제2요홈부(1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한 쌍의 요홈부(120)에 각각 구비되는 제1체결부(310) 및 제2체결부(3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체결부(310)는 제1요홈부(121)에 설치되고, 제2체결부(320)는 제2요홈부(122)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1체결부(310)는 상기 제1요홈부(121)에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작동 바아(311)와, 상기 제1요홈부(121)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작동 바아(311)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탄성 복귀 수단(312)과, 상기 제1작동 바아(311)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 고리(220)에 삽입되는 제1후크부(3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후크부(3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작동 바아(311)의 끝단에서 높이 방향으로 절곡되는 수직부(313-1)와 상기 수직부(313-1)의 끝단에서 제1블록 본체(110)의 외측 방향(방향2)로 절곡되는 수평부(313-2)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부(313-2)와 수직부(313-1)가 상기 걸림 고리(200)의 개방부(200A)에 삽입된 후 사용자가 상기 제1작동 바아(311)의 노출부(311A)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제1작동 바아(311)는 제1블록 본체(110)의 외측 방향(방향2)로 이동하며 이는 상기 제1탄성 복귀 수단(312)에 의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제1탄성 복귀 수단(312)은 널리 알려진 코일 스프링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탄성 복귀 수단(312)이 압축된 후 복원력에 의해 원래 길이로 복귀하며 이러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작동 바아(311)가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제2체결부(320)도 상기 제2요홈부(122)에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작동 바아(321)와, 상기 제2요홈부(122)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작동 바아(321)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탄성 복귀 수단(322)과, 상기 제2작동 바아(321)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 고리(220)에 삽입되는 제2후크부(32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후크부(323) 역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작동 바아(321)의 끝단에서 높이 방향으로 절곡되는 수직부(323-1)와 상기 수직부(323-1)의 끝단에서 제1블록 본체(110)의 외측 방향(방향2)로 절곡되는 수평부(323-2)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부(323-2)와 수직부(323-1)가 상기 걸림 고리(200)의 개방부(200A)에 삽입된 후 사용자가 상기 제2작동 바아(321)의 노출부(321A)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제2작동 바아(321)는 제1블록 본체(110)의 외측 방향(방향2)로 이동하며 이는 상기 제2탄성 복귀 수단(312)에 의한다.
상기 걸림 고리(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 개방부(220A)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체결부(310)와 제2체결부(320)는 제1블록부(100)의 폭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체결부(310)의 제1후크부(313)와 제2체결부(320)의 제2후크부(323)가 마주보도록 배치되되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작동 바아(311)가 이동하기 위해 상기 제1블록 본체(110) 중 상기 제1블록 본체(110)의 일 측 외측단에서 제1요홈부(121)사이 부분에는 내부에 제1수용 공간(1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블록 본체(110)의 타 측 외측단에서 제2요홈부(122)사이 부분에는 내부에 제2수용 공간(113)이 형성된다. 즉, 제1요홈부(121)에서 일 측 외측단의 제1볼록 본체(110B) 내부에 제1수용 공간(112)이 형성되고, 제2요홈부(122)에서 타 측 외측단의 제1블록 본체(110C) 내부에 제2수용 공간(113)이 형성된다.
상기 제1수용 공간(112)의 폭 방향 양 측에는 제1관통공(111)이 형성되되, 상기 제1관통공(111)의 직경은 제1수용 공간(11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동일하게 상기 제2수용 공간(113)의 폭 방향 양 측에는 제2관통공(114)이 형성되되, 상기 제2관통공(114)의 직경은 제2수용 공간(11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탄성 복귀 수단(312)은 상기 제1수용 공간(112) 내부에 배치되어 제1수용 공간(112)의 내벽에 걸림되고, 제2탄성 복귀 수단(322)은 제2수용 공간(113) 내부에 배치되어 제2수용 공간(113)의 내벽에 걸림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탄성 복귀 수단(312)의 양 측은 제1수용 공간(112)의 내부 양측벽에 걸림된다. 또한 제2탄성 복귀 수단(322)의 양 측 역시 제2수용 공간(113)의 내부 양측벽에 걸림된다.
이때, 상기 제1작동 바아(311)는 상기 제1수용 공간(112) 내부에 배치된 제1탄성 복귀 수단(312) 내부와 제1관통공(111)을 관통한 후 일정 길이만큼 제1블록 본체(110) 외부로 특정 길이(311A)만큼 노출된다.
동일하게 상기 제2작동 바아(321)역시 상기 제2수용 공간(113) 내부에 배치된 제2탄성 복귀 수단(322) 내부와 제2관통공(114)을 관통한 후 일정 길이만큼 제1블록 본체(110) 외부로 특정 길이(321A)만큼 노출된다.
상기 제1탄성 복귀 수단(312)의 일 측에는 제1걸림부(311-1)가 돌출되어 제1탄성 복귀 수단(312)과 연동되고, 상기 제2탄성 복귀 수단(322)의 일 측에는 제2걸림부(322-1)가 돌출되어 제2탄성 복귀 수단(322)에 연동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제1작동 바아(311)와 제2작동 바아(321)가 제1블록 본체(110)의 중앙부로 이동 한 후 상기 제1탄성 복귀 수단(312) 및 제2탄성 복귀 수단(322)에 의해 원래 위치로 이동하도록 한다.
도 3에서 도면상 좌측에 배치된 제1체결부(310)를 대상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작동 바아(311)는 코일 스프링 등과 같은 제1탄성 복귀 수단(312) 내부를 통과하고 있다. 상기 제1탄성 복귀 수단(312)은 제1수용 공간(112)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수용 공간(112)의 양 측에는 제1관통공(111)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제1관통공(111)을 통해 상기 제1작동 바아(311)가 관통하여 제1블록 본체(110B)를 관통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작동 바아(311)의 노출된 부분(311A)을 가압하면 상기 제1작동 바아(311)는 방향1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1작동 바아(311)는 걸림부(311-1)를 통해 제1탄성 복귀 수단(312)이 압축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후크부(313)가 걸림 고리(220)의 개방부(220A)에 삽입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제1작동 바아(311)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압축된 제1탄성 복귀 수단(312)가 원래 크기로 보구기하여 제1작동 바아(311)는 방향2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부(313)가 걸림 고리(220)에 걸림된다. 이때, 상기 제1작동 바아(311)의 노출된 부분(311A)이 상기 제1블록 본체(110)로부터 노출됨은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블록부(100)와 제2블록부(200)가 상호 결합된다. 물론 상기 제1블록부(100)와 제2블록부(200)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작동 바아(311)의 노출된 부분(311A)을 가압하면 상기 후크부(313)가 걸림 고리(220)의 개방부로 이동하여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제1블록부 110 : 제1블록 본체
120 : 요홈부 121 : 제1요홈부
122 : 제2요홈부 200 : 제2블록부
210 : 제2블록 본체 220 : 걸림 고리
300 : 체결부 310 : 제1체결부
311 : 제1작동 바아 312 : 제1탄성 복귀 수단
313 : 후크부 320 : 제2체결부
321 : 제2작동 바아 322 : 제2탄성 복귀 수단
323 : 후크부

Claims (4)

  1. 혁대(H)의 양 측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블록부(100) 및 제2블록부(200)와 상기 제1블록부(100)에 구비되는 체결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블록부(100)는 판체 형상의 제1블록 본체(110)를 포함하되, 상기 제1블록 본체(110) 중 제2블록부(200) 방향 측면에 요홈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제2블록부(200)는 판체 형상의 제2블록 본체(210)를 포함하되, 상기 제2블록 본체(210) 중 제1블록(110) 방향 측면에 링 형상의 걸림 고리(220)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제1블록부 본체(110)의 요홈부(120)에 구비되고, 제1블록부 본체(110)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 고리(220)에 걸림된 후 탄성 복귀 수단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탄성 체결 방식의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120)는 제1블록 본체(11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요홈부(121) 및 제2요홈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한 쌍의 요홈부(120)에 각각 구비되는 제1체결부(310) 및 제2체결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체결부(310)는 상기 제1요홈부(121)에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작동 바아(311)와, 상기 제1요홈부(121)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작동 바아(311)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탄성 복귀 수단(312)과, 상기 제1작동 바아(311)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 고리(220)에 삽입되는 제1후크부(3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부(320)는 상기 제2요홈부(122)에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작동 바아(321)와, 상기 제2요홈부(122)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작동 바아(321)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탄성 복귀 수단(322)과, 상기 제2작동 바아(321)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 고리(220)에 삽입되는 제2후크부(323)를 포함하는 탄성 체결 방식의 버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310)와 제2체결부(320)는 제1블록부(100)의 폭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1체결부(310)의 제1후크부(313)와 제2체결부(320)의 제2후크부(323)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탄성 체결 방식의 버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 본체(110) 중 상기 제1블록 본체(110)의 일 측 외측단에서 제1요홈부(121)사이 부분에는 내부에 제1수용 공간(1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블록 본체(110)의 타 측 외측단에서 제2요홈부(122)사이 부분에는 내부에 제2수용 공간(113)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 공간(112)의 폭 방향 양 측에는 제1관통공(111)이 형성되되, 상기 제1관통공(111)의 직경은 제1수용 공간(11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2수용 공간(113)의 폭 방향 양 측에는 제2관통공(114)이 형성되되, 상기 제2관통공(114)의 직경은 제2수용 공간(11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 복귀 수단(312)은 상기 제1수용 공간(112) 내부에 배치되어 제1수용 공간(112)의 내벽에 걸림되고, 제2탄성 복귀 수단(322)은 제2수용 공간(113) 내부에 배치되어 제2수용 공간(113)의 내벽에 걸림되며,
    상기 제1작동 바아(311)는 상기 제1수용 공간(112) 내부에 배치된 제1탄성 복귀 수단(312) 내부와 제1관통공(111)을 관통한 후 일정 길이만큼 제1블록 본체(110)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2작동 바아(321)는 상기 제2수용 공간(113) 내부에 배치된 제2탄성 복귀 수단(322) 내부와 제2관통공(114)을 관통한 후 일정 길이만큼 제1블록 본체(110)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1탄성 복귀 수단(312)의 일 측에는 제1걸림부(311-1)가 돌출되어 제1탄성 복귀 수단(312)과 연동되고, 상기 제2탄성 복귀 수단(322)의 일 측에는 제2걸림부(322-1)가 돌출되어 제2탄성 복귀 수단(322)에 연동되며,
    상기 제1작동 바아(311)와 제2작동 바아(321)가 제1블록 본체(110)의 중앙부로 이동 한 후 상기 제1탄성 복귀 수단(312) 및 제2탄성 복귀 수단(322)에 의해 원래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탄성 체결 방식의 버클.
KR2020190002382U 2019-06-11 2019-06-11 탄성 체결 방식의 버클 KR2004918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382U KR200491818Y1 (ko) 2019-06-11 2019-06-11 탄성 체결 방식의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382U KR200491818Y1 (ko) 2019-06-11 2019-06-11 탄성 체결 방식의 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818Y1 true KR200491818Y1 (ko) 2020-06-09

Family

ID=71070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382U KR200491818Y1 (ko) 2019-06-11 2019-06-11 탄성 체결 방식의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818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3076A (ko) * 2005-10-20 2007-04-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안전벨트용 버클 스트랩의 길이조절장치
KR200438450Y1 (ko) * 2006-11-06 2008-02-19 대하산업주식회사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KR200473562Y1 (ko) 2013-08-01 2014-07-09 조홍덕 혁대 버클
KR200476926Y1 (ko) 2014-12-11 2015-04-14 유상수 착탈식 버클
KR20180033648A (ko) * 2016-09-26 2018-04-04 제갈민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3076A (ko) * 2005-10-20 2007-04-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안전벨트용 버클 스트랩의 길이조절장치
KR200438450Y1 (ko) * 2006-11-06 2008-02-19 대하산업주식회사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KR200473562Y1 (ko) 2013-08-01 2014-07-09 조홍덕 혁대 버클
KR200476926Y1 (ko) 2014-12-11 2015-04-14 유상수 착탈식 버클
KR20180033648A (ko) * 2016-09-26 2018-04-04 제갈민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38460A1 (en) Buckle
US2629156A (en) Catch for necklaces
US20090094798A1 (en) Low profile cord lock
US6154936A (en) Two-piece quick release buckle and strap adjuster
NZ199805A (en) Buckle with parts resiliently engagable
SU1553009A3 (ru) Замок дл ремней безопасности
US8997314B2 (en) Fastening tool for string body
US20080115334A1 (en) Drawstring toggle
US20130232743A1 (en) Buckle
KR200491818Y1 (ko) 탄성 체결 방식의 버클
US4937923A (en) Positive-lock quick-release buckle
US5379493A (en) Belt buckle with replaceable ornamental face plates
TW201325493A (zh) 繩索扣
NO140127B (no) Beslag beregnet for aa festes til et toeystykke
US3134221A (en) Coupling
KR200476926Y1 (ko) 착탈식 버클
US11559113B2 (en) Plug for buckle, and buckle
US20190211572A1 (en) Horizontal supporter for scaffolds
US11627783B2 (en) Lever-controllable magnetic buckle
US3177547A (en) Safety belt buckle
KR20130131575A (ko) 버클
US8464406B2 (en) Quick release buckle assembly
TWM536859U (zh) 繩帶扣
US3237260A (en) Clamping device
US2699587A (en) Coupled fi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