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648A -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 Google Patents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3648A
KR20180033648A KR1020160122856A KR20160122856A KR20180033648A KR 20180033648 A KR20180033648 A KR 20180033648A KR 1020160122856 A KR1020160122856 A KR 1020160122856A KR 20160122856 A KR20160122856 A KR 20160122856A KR 20180033648 A KR20180033648 A KR 20180033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ent
fastening
fixing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갈민
Original Assignee
제갈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갈민 filed Critical 제갈민
Priority to KR1020160122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3648A/ko
Publication of KR20180033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06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with strap tigh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41F9/025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혁대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말하면 후크형 버클에서 추가적으로 연결 브라켓을 구비하거나 또는 새로운 개념으로 후크형 또는 슬라이딩 타입이 아닌 걸이형 버클로서 사용자의 신체변화에 적응가능하도록 혁대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혁대가 자연스럽게 풀리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길이 조절도 가능하면서 풀림현상도 예방토록 한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 해결적 수단은,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고정브라켓이 고정 형성되어 있는 밴드와, 상기 고정브라켓에 체결 고정된 복수개의 밴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밴딩공과 일체로 상방향으로 경사진 제1 세로바의 끝단에는 일체로 가로방향으로 제1 체결바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체결바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세로바가 하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제2 세로바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세로바의 끝단은 역방향으로 라운딩 절곡되어 라운딩부를 형성한 후 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태에서 역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2 세로바의 소정의 위치에서 일체로 가로방향으로 제2 체결바가 형성되어 있는 길이조절브라켓과,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는 훅크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 끝단 외주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체결바가 일체로 구비된 체결브라켓이 형성되어 있는 버클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과,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고정브라켓이 고정 형성되어 있는 밴드와, 상기 고정브라켓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체결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절곡된 'ㄷ'형상의 연결브라켓의 외주면 양측에 복수개 이상 체결 고정된 것으로서 일체로 이루어진 밴드형태로서 일측은 상기 연결브라켓을 감싼 형태의 밴딩처리되면서 타측은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후 끝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안착판을 형성한 결합브라켓이 상기 연결브라켓과 결합되어 형성된 길이조절브라켓과,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는 훅크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 끝단 외주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체결바가 일체로 구비된 체결브라켓이 형성되어 있는 버클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과,
상기 길이조절브라켓은 상기 고정브라켓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체결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절곡된 'ㄷ'형상의 연결브라켓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연결브라켓의 하단에는 각각 복수개의 결합브라켓이 구비되되 상기 결합브라켓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되 안쪽으로 절개되어 걸이턱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브라켓이 하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상기 체결브라켓에 구비된 체결바이 상기 걸이턱에 걸려서 체결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과,
일측 끝단에는 'ㄷ'자 형상에서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재차 절곡된 제1 고정브라켓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끝단에는 복수개로 이루어진 'ㄷ'자 형상인 양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체결바가 일체로 구비된 체결브라켓의 직각으로 절곡된 체결바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는 밴드와, 상기 제1 고정브라켓의 양측에 연결밴드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ㄷ'자 형상의 양끝단이 좌우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곡부의 하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일측방향으로 편심되어 상기 절곡부중 어느 하나와 'ㄷ'자 형태의 체결턱을 형성토록 한 착지판이 구비된 연장브라켓과 상기 연장브라켓의 양측에 연결밴드로 결합된 'ㄷ'자 형상 양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제2 고정브라켓으로 이루어진 길이조절브라켓과, 상기 체결바의 타단은 상기 연장브라켓의 체결턱에 체결, 착지판에 착지되어 체결토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과,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ㄷ'자 형상에서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재차 절곡된 제1 고정브라켓이 형성되어 있는 밴드와, 'ㄷ'자 형상의 연장브라켓이 복수개 이상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연결밴드로 연결된 상태에서 일단의 연장브라켓은 상기 제1 고정브라켓과 연결밴드로 연결되고 타단의 연장브라켓은 마주보는 연장브라켓을 가로방향으로 고정밴드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길이조절브라켓과,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는 훅크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 끝단 외주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다음 일단만 재차 직각으로 끝단이 절곡된 체결바가 일체로 구비된 체결브라켓이 형성되어 있는 버클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과,
일측 끝단에는 'ㄷ'자 형상에서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재차 절곡된 제1 고정브라켓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끝단에는 복수개로 이루어진 'ㄷ'자 형상인 양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다음 일단만 재차 직각으로 끝단이 절곡된 체결바가 일체로 구비된 체결브라켓의 직각으로 절곡된 체결바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는 밴드와, 'ㄷ'자 형상의 연장브라켓이 복수개 이상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연결밴드로 연결된 상태에서 일단의 연장브라켓은 상기 제1 고정브라켓과 연결밴드로 연결되고 타단의 연장브라켓은 마주보는 연장브라켓을 가로방향으로 고정밴드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길이조절브라켓과, 상기 체결바의 재차 직각으로 끝단이 절곡된 일단은 상기 연장브라켓에 체결토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신체변화에 적응가능하도록 혁대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혁대가 자연스럽게 풀리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길이 조절도 가능하면서 풀림현상도 예방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Buckle for controling length}
본 발명은 혁대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말하면 후크형 버클에서 추가적으로 연결 브라켓을 구비하거나 또는 새로운 개념으로 후크형 또는 슬라이딩 타입이 아닌 걸이형 버클로서 사용자의 신체변화에 적응가능하도록 혁대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혁대가 자연스럽게 풀리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길이 조절도 가능하면서 풀림현상도 예방토록 한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혁대는 버클과 밴드의 결합수단으로 버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고리나 돌출부를 형성하고, 밴드에는 일정 간격으로 천공된 결합공과 결착된 밴드 끝단을 고정하는 고정띠를 형성하여, 상기 고리나 돌출부를 결합공에 체결할 수 있도록 된 일명 후크형 타입이 있으며,
상기 후크형 타입의 문제점은 장기간 사용 시 버클에 형성된 고리나 돌출부에 체결되는 밴드의 결합공이 늘어나고 찢어지는 등 혁대의 변형이나 파손으로 인한 문제점이 있고, 일정 간격으로 천공된 결합공은 사용자의 신체적인 변화에 따라 혁대의 길이를 인체에 알맞도록 미세하게 조정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천공된 결합공에 맞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별도의 구멍을 뚫어야 하는 문제점이 따르고, 여닫는 과정 또한 복잡한 것이다.
또한, 버클의 고리나 돌출부와 밴드의 결합공을 결착한 후, 밴드의 끝단을 고정띠에 끼워 밴드가 느려뜨려지지 않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과정이 혁대의 결착 및 해체 시마다 반복되어야 하므로 혁대의 사용이 불편하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상황별로 내지 신체변화 별로 기존 맞추어진 결합상태가 더 조여지거나 느슨해져야 할 경우가 발생시 즉시 적용하기가 어려웠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버클에 형성된 톱니형상의 가압부가 밴드에 밀착되도록 하여 혁대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경우 즉 일명 슬라이딩 타입이 있으나, 상기 슬라이딩 타입의 경우는 가압부의 밀착정도에 따라 결합되므로 반복적으로 사용하다 보면, 가압부의 톱니가 무뎌지게되어 밴드가 미끄러져 결착력이 점차 약해지므로 사용자의 작은 신체의 변화에도 혁대가 느슨해지게 되어, 격렬한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혁대가 풀리는 폐단이 따른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후크형과 슬라이딩 타입의 장점만을 구비한 종래기술로서 본출원인이 출원한 실용신안등록 제20-0470117호 고안의 명칭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의 기술적 요지를 살펴보면,
"청구항 2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세로방향으로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밴드와,
상기 결합공에 체결 고정된 것으로서 중앙에 관통공이 길게 천공된 결합관 내측에 스프링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양측으로 체결봉이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재와,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는 훅크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태로 내측 상하면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복수개의 레일이 길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각 복수개의 레일 사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체결공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는 버클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청구항 3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세로방향으로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밴드와,
상기 결합공에 체결 고정된 것으로서 중앙에 관통공이 길게 천공된 결합관 내측에 스프링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양측으로 체결봉이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재와,
일측면 중앙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 내측 끝단에는 회동방지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에는 일측에 힌지에 의해 90도 회동가능한 훅크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태로 내측 상하면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복수개의 레일이 길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각 복수개의 레일 사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체결공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는 버클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버클.
청구항 4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세로방향으로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밴드와,
상기 결합공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봉이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재와,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는 훅크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1 판재와 제2 판재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으로 제1 판재의 상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체결홈부가 다수개 구비되어 있는 버클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청구항 5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일측면 중앙에 너트가 고정되어 있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밴드와,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는 훅크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 가능하도록 공간부가 구비되어 있고 일측면 중앙에는 가이드공이 길게 천공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너트에 체결 고정 가능하도록 볼트가 구비되어 있는 버클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청구항 6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세로방향으로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밴드와,
상기 결합공에 체결 고정된 것으로서 양끝단에는 나사부가 구비된 볼트봉이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재와,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는 훅크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된 상태로 내측 상하면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복수개의 레일이 길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각 복수개의 레일 사이에는 가이드공이 길게 천공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양끝단에 구비된 나사부가 구비된 볼트봉에 체결 고정 가능하도록 너트가 구비되어 있는 버클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청구항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은 양끝단과 중앙은 확개된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를 기술적 요지로 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상기 실용신안권은 후크타입과 슬라이딩 타입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용신안권의 개량된 기술로서 전혀 새로운 타입의 버클의 구조를 이루어 있는 것이다.
한국실용신안 공고 제20-1996-898호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470117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 후크형 버클에서 추가적으로 연결 브라켓을 구비하거나 또는 새로운 개념으로 후크형 또는 슬라이딩 타입이 아닌 걸이형 버클로서 사용자의 신체변화에 적응 가능하도록 혁대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혁대가 자연스럽게 풀리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길이 조절도 가능하면서 풀림현상도 예방토록 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고정브라켓이 고정 형성되어 있는 밴드와, 상기 고정브라켓에 체결 고정된 복수개의 밴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밴딩공과 일체로 상방향으로 경사진 제1 세로바의 끝단에는 일체로 가로방향으로 제1 체결바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체결바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세로바가 하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제2 세로바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세로바의 끝단은 역방향으로 라운딩 절곡되어 라운딩부를 형성한 후 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태에서 역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2 세로바의 소정의 위치에서 일체로 가로방향으로 제2 체결바가 형성되어 있는 길이조절브라켓과,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는 훅크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 끝단 외주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체결바가 일체로 구비된 체결브라켓이 형성되어 있는 버클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과,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고정브라켓이 고정 형성되어 있는 밴드와, 상기 고정브라켓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체결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절곡된 'ㄷ'형상의 연결브라켓의 외주면 양측에 복수개 이상 체결 고정된 것으로서 일체로 이루어진 밴드형태로서 일측은 상기 연결브라켓을 감싼 형태의 밴딩처리되면서 타측은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후 끝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안착판을 형성한 결합브라켓이 상기 연결브라켓과 결합되어 형성된 길이조절브라켓과,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는 훅크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 끝단 외주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체결바가 일체로 구비된 체결브라켓이 형성되어 있는 버클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과,
상기 길이조절브라켓은 상기 고정브라켓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체결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절곡된 'ㄷ'형상의 연결브라켓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연결브라켓의 하단에는 각각 복수개의 결합브라켓이 구비되되 상기 결합브라켓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되 안쪽으로 절개되어 걸이턱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브라켓이 하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상기 체결브라켓에 구비된 체결바이 상기 걸이턱에 걸려서 체결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과,
일측 끝단에는 'ㄷ'자 형상에서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재차 절곡된 제1 고정브라켓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끝단에는 복수개로 이루어진 'ㄷ'자 형상인 양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체결바가 일체로 구비된 체결브라켓의 직각으로 절곡된 체결바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는 밴드와, 상기 제1 고정브라켓의 양측에 연결밴드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ㄷ'자 형상의 양끝단이 좌우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곡부의 하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일측방향으로 편심되어 상기 절곡부중 어느 하나와 'ㄷ'자 형태의 체결턱을 형성토록 한 착지판이 구비된 연장브라켓과 상기 연장브라켓의 양측에 연결밴드로 결합된 'ㄷ'자 형상 양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제2 고정브라켓으로 이루어진 길이조절브라켓과, 상기 체결바의 타단은 상기 연장브라켓의 체결턱에 체결, 착지판에 착지되어 체결토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과,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ㄷ'자 형상에서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재차 절곡된 제1 고정브라켓이 형성되어 있는 밴드와, 'ㄷ'자 형상의 연장브라켓이 복수개 이상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연결밴드로 연결된 상태에서 일단의 연장브라켓은 상기 제1 고정브라켓과 연결밴드로 연결되고 타단의 연장브라켓은 마주보는 연장브라켓을 가로방향으로 고정밴드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길이조절브라켓과,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는 훅크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 끝단 외주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다음 일단만 재차 직각으로 끝단이 절곡된 체결바가 일체로 구비된 체결브라켓이 형성되어 있는 버클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과,
일측 끝단에는 'ㄷ'자 형상에서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재차 절곡된 제1 고정브라켓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끝단에는 복수개로 이루어진 'ㄷ'자 형상인 양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다음 일단만 재차 직각으로 끝단이 절곡된 체결바가 일체로 구비된 체결브라켓의 직각으로 절곡된 체결바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는 밴드와, 'ㄷ'자 형상의 연장브라켓이 복수개 이상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연결밴드로 연결된 상태에서 일단의 연장브라켓은 상기 제1 고정브라켓과 연결밴드로 연결되고 타단의 연장브라켓은 마주보는 연장브라켓을 가로방향으로 고정밴드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길이조절브라켓과, 상기 체결바의 재차 직각으로 끝단이 절곡된 일단은 상기 연장브라켓에 체결토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신체변화에 적응가능하도록 혁대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혁대가 자연스럽게 풀리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길이 조절도 가능하면서 풀림현상도 예방토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실시예 1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실시예 2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도 3인 실시예 2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실시예 3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도 5인 실시예 3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실시예 4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도 7인 실시예 4의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실시예 1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도 1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실시예 2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도 3인 실시예 2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실시예 3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도 5인 실시예 3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실시예 4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도 7인 실시예 4의 분리 사시도이다.
[실시예 1]
본 실시예 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 1은 크게 밴드(100), 길이조절브라켓(200), 버클부재(300)으로 나누어지며,
우선 밴드(100)은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110)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고정브라켓(120)이 고정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길이조절브라켓(200)은 상기 고정브라켓(120)에 체결 고정된 복수개의 밴딩공(2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밴딩공(210)과 일체로 상방향으로 경사진 제1 세로바(220)의 끝단에는 일체로 가로방향으로 제1 체결바(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체결바(23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세로바(220)가 하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제2 세로바(24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세로바(240)의 끝단은 역방향으로 라운딩 절곡되어 라운딩부(250)를 형성한 후 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태에서 역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2 세로바(240)의 소정의 위치에서 일체로 가로방향으로 제2 체결바(26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버클부재(300)은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110)에 체결되는 훅크(310)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 끝단 외주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체결바(321)가 일체로 구비된 체결브라켓(3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 1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실시예 1의 제작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밴드(100)의 일측 끝단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겹쳐서 고정브라켓(120)을 끼울 수 있도록 하여 고정 형성되도록 하되 이와 같은 방법은 도 1에는 재봉식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착탈이 가능하도록 버튼식이든 기타 다른 구조를 갖춘 것이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아무튼, 상기와 같이 고정브라켓(120)을 밴드(100)의 일측에 고정 결합하되 그 결합구조나 방법은 어떤 구조나 방법이든 본 발명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브라켓(120)에 길이조절브라켓(200)을 밴딩공(210)을 통해 일측에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다음, 길이조절방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브라켓(320)의 체결바(321)을 길이조절브라켓(200)의 제1 체결바(230), 제2 체결바(260), 라운딩부(250) 중 어느 하나 즉, 사용자의 허리둘레에 맞추어서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훅크(310)을 통해 고정공(110)에 고정 결합토록 하면 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허리둘레의 변화로 인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을 상기 고정공(110)을 별도로 천공치 아니하고 사익 길이조절브라켓(200)의 제1 체결바(230), 제2 체결바(260), 라운딩부(250)중 가장 적합한 위치에 체결바(321)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토록 함으로서 허리둘레의 변화로 인한 문제점은 해소되리라 사료된다.
즉, 훅크(310)로 인한 조절은 고정공(110)의 간격간의 문제 또는 고정공(110)에 훅크(310)의 장기간의 착탈로 인한 손상에 따른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 본 발명으로서 훅크타입의 벨트의 문제점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허리에 힘을 줌에 따른 자동적으로 벨트의 해지 문제를 갖고 있는 기존의 슬라이딩 타입의 벨트 문제점도 동시에 해결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2]
본 실시예 2의 구성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 2 또한 밴드(100), 슬라이딩부재(200), 버클부재(300)로 크게 나누어지며,
상기 밴드(100)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즉,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110)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고정브라켓(120)이 고정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다음, 상기 길이조절브라켓(4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120)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체결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절곡된 'ㄷ'형상의 연결브라켓(410)의 외주면 양측에 복수개 이상 체결 고정된 것으로서 일체로 이루어진 밴드형태로서 일측은 상기 연결브라켓(410)을 감싼 형태의 밴딩처리되면서 타측은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후 끝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안착판(421)을 형성한 결합브라켓(420)이 상기 연결브라켓(410)과 결합되어 형성된 것이며,
상기 버클부재(300)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즉,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110)에 체결되는 훅크(310)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 끝단 외주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체결바(321)가 일체로 구비된 체결브라켓(3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 2가 상기 실시예 1과 차이점은 길이조절브라켓(400)의 차이점으로서 본 실시예 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의 연결브라켓(410)의 외주면 양측에 복수개 이상 고정 결합된 밴드형태의 결합브라켓(420)의 안착판(421)에 상기 체결바(321)가 체결되는 것으로서 실시예 1의 제1 체결바(230), 제2 체결바(260), 라운딩부(250)의 역할을 상기 결합브라켓(420)이 하는 것이다.
[실시예 3]
본 실시예 3은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길이조절브라켓(400)은 상기 고정브라켓(120)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체결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절곡된 'ㄷ'형상의 연결브라켓(41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연결브라켓(410)의 하단에는 각각 복수개의 결합브라켓(420)이 구비되되 상기 결합브라켓(420)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되 안쪽으로 절개되어 걸이턱(422)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브라켓(320)이 하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상기 체결브라켓(320)에 구비된 체결바(321)이 상기 걸이턱(422)에 걸려서 체결토록 한 것으로서,
상기 실시예 2에서 길이조절브라켓(400)의 형상 및 연결브라켓(410)의 위치 및 구조에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서 체결바(321)이 걸이턱(422)에 걸려서 체결토록 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그 작용 및 효과 등등은 실시예 2와 대동소이한 것이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구성은,
일측 끝단에는 'ㄷ'자 형상에서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재차 절곡된 제1 고정브라켓(12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끝단에는 복수개로 이루어진 'ㄷ'자 형상인 양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체결바(321)가 일체로 구비된 체결브라켓(320)의 직각으로 절곡된 체결바(321)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는 밴드(100)와,
상기 제1 고정브라켓(121)의 양측에 연결밴드(510)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ㄷ'자 형상의 양끝단이 좌우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부(5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곡부(521)의 하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일측방향으로 편심되어 상기 절곡부(521)중 어느 하나와 'ㄷ'자 형태의 체결턱(522)을 형성토록 한 착지판(523)이 구비된 연장브라켓(520)과 상기 연장브라켓(520)의 양측에 연결밴드(510)로 결합된 'ㄷ'자 형상 양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제2 고정브라켓(122)으로 이루어진 길이조절브라켓(500)과,
상기 체결바(321)의 타단은 상기 연장브라켓(520)의 체결턱(522)에 체결, 착지판(523)에 착지되어 체결토록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에서 기술한 실시예1,2,3과 달리 혹크가 존재치 아니하는 것으로서,
상기 일측 체결바(321)는 밴드(100)에 결합되어 있고 타측 체결바(321)은 상기 연장브라켓(520)의 체결턱(522)에 체결, 착지판(523)에 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연장브레켓(520)의 체결턱(522)만큼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용되며 밴드(100)에 별도의 고정공(110)이나 훅크(310)가 구비된 버클부재(300)가 존재치 아니함에도 불구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패션화된 벨트인 것이다.
[실시예 5]
본 실시예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구성은,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110)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ㄷ'자 형상에서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재차 절곡된 제1 고정브라켓(121)이 형성되어 있는 밴드(100)와,
'ㄷ'자 형상의 연장브라켓(520)이 복수개 이상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연결밴드(510)로 연결된 상태에서 일단의 연장브라켓(520)은 상기 제1 고정브라켓(121)과 연결밴드(510)로 연결되고 타단의 연장브라켓(520)은 마주보는 연장브라켓(520)을 가로방향으로 고정밴드(530)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길이조절브라켓(500)과,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110)에 체결되는 훅크(310)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 끝단 외주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다음 일단만 재차 직각으로 끝단이 절곡된 체결바(321)가 일체로 구비된 체결브라켓(320)이 형성되어 있는 버클부재(300)로 이루어진 것이며,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들을 혼합한 것으로서 그 작용은 대동소이하다.
[실시예 6]
본 실시예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구성은,
일측 끝단에는 'ㄷ'자 형상에서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재차 절곡된 제1 고정브라켓(12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끝단에는 복수개로 이루어진 'ㄷ'자 형상인 양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다음 일단만 재차 직각으로 끝단이 절곡된 체결바(321)가 일체로 구비된 체결브라켓(320)의 직각으로 절곡된 체결바(321)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는 밴드(100)와,
'ㄷ'자 형상의 연장브라켓(520)이 복수개 이상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연결밴드(510)로 연결된 상태에서 일단의 연장브라켓(520)은 상기 제1 고정브라켓(121)과 연결밴드(510)로 연결되고 타단의 연장브라켓(520)은 마주보는 연장브라켓(520)을 가로방향으로 고정밴드(530)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길이조절브라켓(500)과,
상기 체결바(321)의 재차 직각으로 끝단이 절곡된 일단은 상기 연장브라켓(520)에 체결토록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 또한 상기 실시예들을 혼합한 것이므로 그 작용 및 효과는 대동소이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총 실시예 6가지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방식의 차이점이 있으나 결국, 사용자가 신체변화에 적응가능하도록 혁대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혁대가 자연스럽게 풀리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길이 조절도 가능하면서 풀림현상도 예방토록 한 것이다.
100 : 밴드 110 : 고정공
120 : 고정브라켓 121 : 제1 고정브라켓
122 : 제2 고정브라켓 200 : 슬라이딩부재
200, 400, 500 : 길이조절브라켓
210 : 밴딩공 220 : 제1 세로바
230 : 제1 체결바 240 : 제2 세로바
250 : 라운딩부 260 : 제2 체결바
300 : 버클부재 310 : 훅크
320 : 체결브라켓 321 : 체결바
410 : 연결브라켓 420 : 결합브라켓
421 : 안착판 422 : 걸이턱
510 : 연결밴드 520 : 연장브라켓
521 : 절곡부 522 : 체결턱
523 : 착지판

Claims (6)

  1.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110)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고정브라켓(120)이 고정 형성되어 있는 밴드(100)와,
    상기 고정브라켓(120)에 체결 고정된 복수개의 밴딩공(2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밴딩공(210)과 일체로 상방향으로 경사진 제1 세로바(220)의 끝단에는 일체로 가로방향으로 제1 체결바(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체결바(23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세로바(220)가 하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제2 세로바(24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세로바(240)의 끝단은 역방향으로 라운딩 절곡되어 라운딩부(250)를 형성한 후 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태에서 역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2 세로바(240)의 소정의 위치에서 일체로 가로방향으로 제2 체결바(260)가 형성되어 있는 길이조절브라켓(200)과,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110)에 체결되는 훅크(310)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 끝단 외주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체결바(321)가 일체로 구비된 체결브라켓(320)이 형성되어 있는 버클부재(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2.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110)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고정브라켓(120)이 고정 형성되어 있는 밴드(100)와,
    상기 고정브라켓(120)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체결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절곡된 'ㄷ'형상의 연결브라켓(410)의 외주면 양측에 복수개 이상 체결 고정된 것으로서 일체로 이루어진 밴드형태로서 일측은 상기 연결브라켓(410)을 감싼 형태의 밴딩처리되면서 타측은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후 끝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안착판(421)을 형성한 결합브라켓(420)이 상기 연결브라켓(410)과 결합되어 형성된 길이조절브라켓(400)과,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110)에 체결되는 훅크(310)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 끝단 외주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체결바(321)가 일체로 구비된 체결브라켓(320)이 형성되어 있는 버클부재(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브라켓(400)은 상기 고정브라켓(120)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체결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절곡된 'ㄷ'형상의 연결브라켓(41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연결브라켓(410)의 하단에는 각각 복수개의 결합브라켓(420)이 구비되되 상기 결합브라켓(420)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되 안쪽으로 절개되어 걸이턱(422)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브라켓(320)이 하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상기 체결브라켓(320)에 구비된 체결바(321)이 상기 걸이턱(422)에 걸려서 체결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4. 일측 끝단에는 'ㄷ'자 형상에서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재차 절곡된 제1 고정브라켓(12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끝단에는 복수개로 이루어진 'ㄷ'자 형상인 양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체결바(321)가 일체로 구비된 체결브라켓(320)의 직각으로 절곡된 체결바(321)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는 밴드(100)와,
    상기 제1 고정브라켓(121)의 양측에 연결밴드(510)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ㄷ'자 형상의 양끝단이 좌우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부(5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곡부(521)의 하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일측방향으로 편심되어 상기 절곡부(521)중 어느 하나와 'ㄷ'자 형태의 체결턱(522)을 형성토록 한 착지판(523)이 구비된 연장브라켓(520)과 상기 연장브라켓(520)의 양측에 연결밴드(510)로 결합된 'ㄷ'자 형상 양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제2 고정브라켓(122)으로 이루어진 길이조절브라켓(500)과,
    상기 체결바(321)의 타단은 상기 연장브라켓(520)의 체결턱(522)에 체결, 착지판(523)에 착지되어 체결토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5.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110)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ㄷ'자 형상에서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재차 절곡된 제1 고정브라켓(121)이 형성되어 있는 밴드(100)와,
    'ㄷ'자 형상의 연장브라켓(520)이 복수개 이상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연결밴드(510)로 연결된 상태에서 일단의 연장브라켓(520)은 상기 제1 고정브라켓(121)과 연결밴드(510)로 연결되고 타단의 연장브라켓(520)은 마주보는 연장브라켓(520)을 가로방향으로 고정밴드(530)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길이조절브라켓(500)과,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110)에 체결되는 훅크(310)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 끝단 외주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다음 일단만 재차 직각으로 끝단이 절곡된 체결바(321)가 일체로 구비된 체결브라켓(320)이 형성되어 있는 버클부재(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6. 일측 끝단에는 'ㄷ'자 형상에서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재차 절곡된 제1 고정브라켓(12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끝단에는 복수개로 이루어진 'ㄷ'자 형상인 양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다음 일단만 재차 직각으로 끝단이 절곡된 체결바(321)가 일체로 구비된 체결브라켓(320)의 직각으로 절곡된 체결바(321)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는 밴드(100)와,
    'ㄷ'자 형상의 연장브라켓(520)이 복수개 이상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연결밴드(510)로 연결된 상태에서 일단의 연장브라켓(520)은 상기 제1 고정브라켓(121)과 연결밴드(510)로 연결되고 타단의 연장브라켓(520)은 마주보는 연장브라켓(520)을 가로방향으로 고정밴드(530)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길이조절브라켓(500)과,
    상기 체결바(321)의 재차 직각으로 끝단이 절곡된 일단은 상기 연장브라켓(520)에 체결토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KR1020160122856A 2016-09-26 2016-09-26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KR201800336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856A KR20180033648A (ko) 2016-09-26 2016-09-26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856A KR20180033648A (ko) 2016-09-26 2016-09-26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648A true KR20180033648A (ko) 2018-04-04

Family

ID=61975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856A KR20180033648A (ko) 2016-09-26 2016-09-26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36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818Y1 (ko) * 2019-06-11 2020-06-09 백우민 탄성 체결 방식의 버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818Y1 (ko) * 2019-06-11 2020-06-09 백우민 탄성 체결 방식의 버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1784B2 (en) Anti-rotation link
USD860818S1 (en) Watch
AU2015200559B2 (en) A belt fastener system including a buckle mechanism
US9560900B2 (en) Adjustable watch strap
AU2016213864B2 (en) Lower spine brace
EP3769639A1 (en) Band length-adjustable hook-fixing type belt buckle
KR20180033648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KR200470117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US20100071116A1 (en) Adjustable belt
JP3167683U (ja) 簡易装着帯
JP5989149B2 (ja) 鼻緒の末端整形処理用端部品及びその端部品を使用した鼻緒の挿げ構造並びに同鼻緒の挿げ方法
US9131764B2 (en) Eyeglass fillet fastener
JP2008054995A (ja) かばんの長さ調節ベルト
KR200387187Y1 (ko) 혁대
KR200208185Y1 (ko) 혁대용 버클
JP2001069869A (ja) ペット用胴輪
CN215737287U (zh) 表带及具有该表带的手表
KR200486702Y1 (ko) 가죽 허리띠
CN206964171U (zh) 具有收迭带体功能的扣具
JP6432011B1 (ja) 装身具の長さ調整機能付き留め具
JP2006271479A (ja) バングルバンド
JP3210732U (ja) 日常用下腿義足ソケットの後方型板バネ足への取付構造
KR200394419Y1 (ko) 끈부재 길이조절용 버클
JP3025989U (ja) 腰部締め用の伸縮ベルト
JP2004154383A (ja) バック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