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117Y1 -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 Google Patents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117Y1
KR200470117Y1 KR2020110009324U KR20110009324U KR200470117Y1 KR 200470117 Y1 KR200470117 Y1 KR 200470117Y1 KR 2020110009324 U KR2020110009324 U KR 2020110009324U KR 20110009324 U KR20110009324 U KR 20110009324U KR 200470117 Y1 KR200470117 Y1 KR 2004701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hole
state
hook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3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565U (ko
Inventor
제갈민
Original Assignee
제갈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갈민 filed Critical 제갈민
Priority to KR20201100093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117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5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5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1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6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41F9/025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6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A44B11/008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exten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혁대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존 버클에 사용되는 고리 또는 돌출부 즉, 후크형 버클과 톱니형상으로 이루어져 밴드를 톱니가 가압하여 고정하는 슬라이딩 타입의 버클을 함께 결합하여 후크형 버클과 슬라이딩 타입 버클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소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신체변화에 적응가능하도록 혁대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혁대가 자연스럽게 풀리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길이 조절도 가능하면서 풀림현상도 예방토록 한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구체적 해결적 수단은,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세로방향으로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밴드와, 상기 결합공에 체결 고정된 것으로서 중앙에 관통공이 길게 천공된 결합관 내측에 스프링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양측으로 체결봉이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재와,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는 훅크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태로 내측 상하면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복수개의 레일이 길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각 복수개의 레일 사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체결공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는 버클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사용자가 신체변화에 적응가능하도록 혁대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혁대가 자연스럽게 풀리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길이 조절도 가능하면서 풀림현상도 예방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Buckle for controling length}
본 고안은 혁대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존 버클에 사용되는 고리 또는 돌출부 즉, 후크형 버클과 톱니형상으로 이루어져 밴드를 톱니가 가압하여 고정하는 슬라이딩 타입의 버클을 함께 결합하여 후크형 버클과 슬라이딩 타입 버클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소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신체변화에 적응가능하도록 혁대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혁대가 자연스럽게 풀리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길이 조절도 가능하면서 풀림현상도 예방토록 한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혁대는 버클과 밴드의 결합수단으로 버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고리나 돌출부를 형성하고, 밴드에는 일정 간격으로 천공된 결합공과 결착된 밴드 끝단을 고정하는 고정띠를 형성하여, 상기 고리나 돌출부를 결합공에 체결할 수 있도록 된 일명 후크형 타입이 있으며,
상기 후크형 타입의 문제점은 장기간 사용 시 버클에 형성된 고리나 돌출부에 체결되는 밴드의 결합공이 늘어나고 찢어는 등 혁대의 변형이나 파손으로 인한 문제점이 있고, 일정 간격으로 천공된 결합공은 사용자의 신체적인 변화에 따라 혁대의 길이를 인체에 알맞도록 미세하게 조정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천공된 결합공에 맞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별도의 구멍을 뚫어야 하는 문제점이 따르고, 여닫는 과정 또한 복잡한 것이다.
또한, 버클의 고리나 돌출부와 밴드의 결합공을 결착한 후, 밴드의 끝단을 고정띠에 끼워 밴드가 느려뜨려지지 않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과정이 혁대의 결착 및 해체 시마다 반복되어야 하므로 혁대의 사용이 불편하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상황별로 내지 신체변화 별로 기존 맞추어진 결합상태가 더 조여지거나 느슨해져야 할 경우가 발생시 즉시 적용하기가 어려웠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버클에 형성된 톱니형상의 가압부가 밴드에 밀착되도록 하여 혁대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경우 즉 일명 슬라이딩 타입이 있으나, 상기 슬라이딩 타입의 경우는 가압부의 밀착정도에 따라 결합되므로 반복적으로 사용하다 보면, 가압부의 톱니가 무뎌지게되어 밴드가 미끄러져 결착력이 점차 약해지므로 사용자의 작은 신체의 변화에도 혁대가 느슨해지게 되어, 격렬한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혁대가 풀리는 폐단이 따른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 버클에 사용되는 고리 또는 돌출부 즉, 후크형 버클과 톱니형상으로 이루어져 밴드를 톱니가 가압하여 고정하는 슬라이딩 타입의 버클을 함께 결합하여 후크형 버클과 슬라이딩 타입 버클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소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신체변화에 적응가능하도록 혁대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혁대가 자연스럽게 풀리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길이 조절도 가능하면서 풀림현상도 예방토록 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세로방향으로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밴드와, 상기 결합공에 체결 고정된 것으로서 중앙에 관통공이 길게 천공된 결합관 내측에 스프링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양측으로 체결봉이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재와,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는 훅크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태로 내측 상하면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복수개의 레일이 길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각 복수개의 레일 사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체결공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는 버클부재로 이루어진 것과,
삭제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세로방향으로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밴드와, 상기 결합공에 체결 고정된 것으로서 중앙에 관통공이 길게 천공된 결합관 내측에 스프링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양측으로 체결봉이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재와, 일측면 중앙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 내측 끝단에는 회동방지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에는 일측에 힌지에 의해 90도 회동가능한 훅크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태로 내측 상하면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복수개의 레일이 길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각 복수개의 레일 사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체결공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는 버클부재로 이루어진 것과,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세로방향으로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밴드와, 상기 결합공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봉이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재와,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는 훅크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1 판재와 제2 판재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으로 제1 판재의 상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체결홈부가 다수개 구비되어 있는 버클부재로 이루어진 것과,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일측면 중앙에 너트가 고정되어 있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밴드와,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는 훅크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 가능하도록 공간부가 구비되어 있고 일측면 중앙에는 가이드공이 길게 천공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너트에 체결 고정 가능하도록 볼트가 구비되어 있는 버클부재로 이루어진 것과,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세로방향으로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밴드와, 상기 결합공에 체결 고정된 것으로서 양끝단에는 나사부가 구비된 볼트봉이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재와,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는 훅크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된 상태로 내측 상하면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복수개의 레일이 길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각 복수개의 레일 사이에는 가이드공이 길게 천공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양끝단에 구비된 나사부가 구비된 볼트봉에 체결 고정 가능하도록 너트가 구비되어 있는 버클부재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가이드공은 양끝단과 중앙은 확개된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신체변화에 적응가능하도록 혁대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혁대가 자연스럽게 풀리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길이 조절도 가능하면서 풀림현상도 예방토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실시예 1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적용되는 슬라이딩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도 1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실시예 2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도 5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실시예 3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도 7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도 7의 작동상태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실시예 4의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도 10의 분리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실시예 5의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도 12의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실시예 1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도 1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적용되는 슬라이딩부재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도 1의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실시예 2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도 5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실시예 3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도 7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도 7의 작동상태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실시예 4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도 10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실시예 5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있어서 도 12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일측에는 밴드(100)에 천공된 다수개의 고정공(110)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는 훅크(310)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밴드(100)의 끝단에 고정 결합된 슬라이딩부재(200)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훅크(310)가 고정공(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버클부재(300) 내측에서 슬라이딩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기술분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의 훅크형 버클과 슬라이딩타입의 버클을 결합하여 각 타입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고자 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크게 본 고안은 밴드(100), 슬라이딩부재(200), 버클부재(300)으로 나눌 수 있으며 우선, 밴드(100)은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110)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세로방향으로 결합공(120)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며,
슬라이딩부재(200)는 상기 결합공(120)에 체결 고정된 것으로서 중앙에 관통공(211)이 길게 천공된 결합관(210) 내측에 스프링(220)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220) 양측으로 체결봉(230)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며,
버클부재(300)은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110)에 체결되는 훅크(310)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내부에 공간부(320)가 형성된 상태로 내측 상하면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20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복수개의 레일(330)이 길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각 복수개의 레일(330) 사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체결공(340)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실시예의 제작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밴드(100)의 일측 끝단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겹쳐서 결합공(120)이 형성되도록 하되 이와 같은 방법은 도 2에는 재봉식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착탈이 가능하도록 버튼식이든 기타 다른 구조를 갖춘 것이라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아무튼, 상기와 같이 결합공(120)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120)에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딩부재(200)을 고정 결합하되 그 결합구조나 방법은 어떤 구조나 방법이든 본 고안에 속하며, 일단 결합공(120)에 슬라이딩부재(200)를 결합한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220)에 의해 체결봉(230)이 자동적으로 탄성적으로 인입출 가능하도록 되는 것이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재(200)를 공간부(320)의 내측 상하면에 구비된 레일(330)을 따라 슬라이딩토록 하되 상하면에 천공된 체결공(340)에 상기 체결봉(230)이 일치되면 슬라이딩이 멈출 것이며 사용자가 원하면 상기 체결봉(230)을 가압하여 좌우로 슬라이딩하면 좌우에 천공된 또 다른 체결공(340)에 체결봉(230)이 체결 고정되어 결국 밴드(100)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때 중요한 것은 훅크(310)은 고정공(110)에 고정된 상태이어야 하며 당연히 고정된 상태인 것이다.
즉, 사용자가 식사를 한 후 허리둘레의 미세한 변화로 인하여 벨트가 조일 경우 상기 혹크(310)을 해지치 아니하고 체결봉(230)을 가압하여 슬라이딩하여 또 다른 체결공(340)에 체결함으로서 미세한 허리둘레의 변화로 인한 문제점은 해소되리라 사료된다.
즉, 훅크(310)로 인한 조절은 고정공(110)의 간격간의 문제 또는 고정공(110)에 훅크(310)의 장기간의 착탈로 인한 손상에 따른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 본 고안으로서 훅크타입의 벨트의 문제점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허리에 힘을 줌에 따른 자동적으로 벨트의 해지 문제를 갖고있는 기존의 슬라이딩 타입의 벨트 문제점도 동시에 해결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의 구성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 또한 밴드(100), 슬라이딩부재(200), 버클부재(300)로 크게 나누어지며,
밴드(100)나 슬라이딩부재(200)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으로서 즉, 밴드(100)은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110)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세로방향으로 결합공(120)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며,
슬라이딩부재(200)은 상기 결합공(120)에 체결 고정된 것으로서 중앙에 관통공(211)이 길게 천공된 결합관(210) 내측에 스프링(220)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220) 양측으로 체결봉(230)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가 상기 실시예 1과 차이점은 훅크의 차이점으로서 본 실시예는 일측면 중앙에는 홀(30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305) 내측 끝단에는 회동방지턱(3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305)에는 일측에 힌지(360)에 의해 90도 회동가능한 훅크(370)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내부에 공간부(320)가 형성된 상태로 내측 상하면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20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복수개의 레일(330)이 길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각 복수개의 레일(330) 사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체결공(340)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는 버클부재(300)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실시예는 실시예 1 또는 기존의 훅크형상이 아니라 버클부재(300) 전방에 홀(305)을 구비하고 상기 홀(305) 내측에 힌지(360)에 의해 훅크(370)를 회동 가능토록 하고 상기 훅크(370)가 180도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동방지턱(350)을 구비하여 훅크(370)를 90도만 회동토록 함으로서 훅크(370)가 고정공(110)에 결합후 해지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기타, 슬라이딩부재(200)의 제작 및 작동관계등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으로서 실시예 1 보다 외관상으로 심플하고 컴팩트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밴드(100)의 경우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동일한 것으로서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110)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세로방향으로 결합공(120)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다음, 본 실시예의 슬라이딩부재(200)는 상기 실시예 1, 2와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서 즉, 상기 결합공(120)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봉(240)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서, 단순히 결합공(120)에 체결봉(240)이 결합된 상태이다.
다음, 버클부재(300)는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110)에 체결되는 훅크(310)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는 실시예 1과 동일하지만 타측에는 제1 판재(380)와 제2 판재(390)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으로 제1 판재(380)의 상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체결홈부(381)가 다수개 구비되어 있는 구조이다.
즉,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재(200)인 체결봉(240)이 제1 판재(380)의 상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형성된 체결홈부(381)를 따라 사용자가 슬라이딩 체결함으로서 훅크(310)가 고정공(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벨트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그 작용 및 효과 등등은 실시예 1과 대동소이한 것이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에서 기술한 실시예와 달리 밴드(100)와 버클부재(300)만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밴드(100)은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110)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일측면 중앙에 너트(131)가 고정되어 있는 결합부재(130)가 구비된 구조이며,
버클부재(300)은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110)에 체결되는 훅크(310)가 구비된 점은 실시예 1과 동일하지만 타측에는 상기 결합부재(130)가 삽입 가능하도록 공간부(320)가 구비되어 있고 일측면 중앙에는 가이드공(301)이 길게 천공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너트(131)에 체결 고정 가능하도록 볼트(302)가 구비되어 있는 버클부재(30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즉, 본 실시예 4의 경우에는 밴드(100)의 일측 끝단에 결합부재(130)가 별도로 밴드(100)와 착탈 또는 고정 결합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재(130)의 일측면 중앙에는 너트(131)가 구비되어 있다는 것이다.
물론, 상기 결합부재(130)가 밴드(100)와 어떤 방식이나 구조로 결합되어 있든 본 고안에 속하는 것이며 너트(131)의 형태나 구조 또한 도 11에는 단순히 대표적인 형상을 도시하였을 뿐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나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다음, 버클부재(300)는 일측면 중앙에 가이드공(301)이 길게 가로방향으로 천공되어 있어 상기 결합부재(130)이 결합된 상태의 밴드(100)가 공간부(320)로 슬라이딩되어 결합된 후 상기 너트(131)에 볼트(302)를 결합하여 결합부재(130)가 더이상 슬라이딩되지 아니하도록 하며 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볼트(302)를 해지한 후 밴드(100)의 길이를 조절한 후 볼트(302)로 재차 체결하면 간단하게 벨트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며, 그 효과나 목적 등등은 사익 실시예 1에 기재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실시예 5]
본 실시예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그 구체적인 구성은,
크게 밴드(100), 슬라이딩부재(200), 버클부재(300)로 이루어져 있고,
밴드(100)은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110)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세로방향으로 결합공(120)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며,
슬라이딩부재(200)는 상기 결합공(120)에 체결 고정된 것으로서 양끝단에는 나사부가 구비된 볼트봉(240)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다음, 버클부재(300)은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110)에 체결되는 훅크(310)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내부에는 공간부(320)가 형성된 상태로 내측 상하면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20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복수개의 레일(330)이 길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각 복수개의 레일(330) 사이에는 가이드공(303)이 길게 천공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재(200)의 양끝단에 구비된 나사부가 구비된 볼트봉(240)에 체결 고정 가능하도록 너트(304)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공(303)은 양끝단과 중앙은 확개된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실시예는 슬라이딩부재(200)가 밴드(100)의 결합공(120)에 볼트봉(240)이 체결되어 버클부재(300)의 공간부(320)으로 레일(330)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일정 위치에서 상기 볼트봉(240)의 양끝단에 각각 너트(304)를 이용하여 버클부재(300)에 긴밀하게 밀착 고정함으로서 벨트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공(303)의 양끝단과 중앙에 확개된 타원형을 구비하여 그 위치에 볼트봉(240)을 위치시킨 후 너트(304)로 체결 고정토록 하는 것이며 벨트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훅크(310)는 고정공(11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너트(304)를 해지한 후 볼트봉(240)을 좌우로 슬라이딩하여 위치시킨 후 너트(304)로 고정 체결하면 되는 것이며, 그 효과 등등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총 실시예 5가지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방식의 차이점이 있으나 결국, 훅크를 고정공에 고정한 상태에서 벨트 즉, 밴드부분을 벌크부재에서 일정간격으로 좌우로 슬라이딩하여 조절토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미세한 신체변화에 따른 벨트의 조임 및 느슨한 현상을 간편하게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00 : 밴드 110 : 고정공
120 : 결합공 130 : 결합부재
131 : 너트 200 : 슬라이딩부재
210 : 결합관 211 : 관통공
220 : 스프링 230 : 체결봉
240 : 볼트봉 300 : 버클부재
301 : 가이드공 302 : 볼트
303 : 가이드공 304 : 너트
305 : 홀 310 : 훅크
320 : 공간부 330 : 레일
340 : 체결공 350 : 회동방지턱
360 : 힌지 370 : 훅크
380 : 제1 판재 381 : 체결홈부
390 : 제2 판재

Claims (7)

  1. 삭제
  2.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110)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세로방향으로 결합공(120)이 형성되어 있는 밴드(100)와,
    상기 결합공(120)에 체결 고정된 것으로서 중앙에 관통공(211)이 길게 천공된 결합관(210) 내측에 스프링(220)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220) 양측으로 체결봉(230)이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재(200)와,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110)에 체결되는 훅크(310)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내부에 공간부(320)가 형성된 상태로 내측 상하면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20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복수개의 레일(330)이 길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각 복수개의 레일(330) 사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체결공(340)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는 버클부재(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3.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110)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세로방향으로 결합공(120)이 형성되어 있는 밴드(100)와,
    상기 결합공(120)에 체결 고정된 것으로서 중앙에 관통공(211)이 길게 천공된 결합관(210) 내측에 스프링(220)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220) 양측으로 체결봉(230)이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재(200)와,
    일측면 중앙에는 홀(30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305) 내측 끝단에는 회동방지턱(3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305)에는 일측에 힌지(360)에 의해 90도 회동가능한 훅크(370)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내부에 공간부(320)가 형성된 상태로 내측 상하면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20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복수개의 레일(330)이 길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각 복수개의 레일(330) 사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체결공(340)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는 버클부재(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4.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110)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세로방향으로 결합공(120)이 형성되어 있는 밴드(100)와,
    상기 결합공(120)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봉(240)이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재(200)와,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110)에 체결되는 훅크(310)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1 판재(380)와 제2 판재(390)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으로 제1 판재(380)의 상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체결홈부(381)가 다수개 구비되어 있는 버클부재(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5.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110)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일측면 중앙에 너트(131)가 고정되어 있는 결합부재(130)가 구비된 밴드(100)와,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110)에 체결되는 훅크(310)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부재(130)가 삽입 가능하도록 공간부(320)가 구비되어 있고 일측면 중앙에는 가이드공(301)이 길게 천공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너트(131)에 체결 고정 가능하도록 볼트(302)가 구비되어 있는 버클부재(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6. 표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공(110)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세로방향으로 결합공(120)이 형성되어 있는 밴드(100)와,
    상기 결합공(120)에 체결 고정된 것으로서 양끝단에는 나사부가 구비된 볼트봉(240)이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재(200)와,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110)에 체결되는 훅크(310)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내부에는 공간부(320)가 형성된 상태로 내측 상하면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20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복수개의 레일(330)이 길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각 복수개의 레일(330) 사이에는 가이드공(303)이 길게 천공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재(200)의 양끝단에 구비된 나사부가 구비된 볼트봉(240)에 체결 고정 가능하도록 너트(304)가 구비되어 있는 버클부재(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303)은 양끝단과 중앙은 확개된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KR2020110009324U 2011-10-20 2011-10-20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KR200470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324U KR200470117Y1 (ko) 2011-10-20 2011-10-20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324U KR200470117Y1 (ko) 2011-10-20 2011-10-20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565U KR20130002565U (ko) 2013-04-30
KR200470117Y1 true KR200470117Y1 (ko) 2013-11-28

Family

ID=50741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324U KR200470117Y1 (ko) 2011-10-20 2011-10-20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1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673Y1 (ko) * 2018-03-23 2018-06-19 김차수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85110B2 (ja) * 2019-08-14 2022-12-07 隆太郎 渡邉 調整バックル
JP6828933B1 (ja) * 2020-07-03 2021-02-10 株式会社ブルーボード 衣服用ベルト
JP6902306B1 (ja) * 2021-02-05 2021-07-14 株式会社ブルーボード 衣服用ベルト
KR102357711B1 (ko) * 2021-04-09 2022-02-08 박규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898Y1 (ko) * 1993-11-29 1996-02-03 김영수 벨트의 내외측 위치변경과 미세조절 기능을 갖는 버클
KR200292972Y1 (ko) 2002-07-24 2002-10-28 박정배 가변버클
KR200385636Y1 (ko) 2005-03-04 2005-06-01 박삼례 끈부재 길이조절용 버클장치
KR20100042369A (ko) * 2008-10-16 2010-04-26 (주)제이앤커뮤니티 길이 조절이 용이한 벨트용 배럴타입 버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898Y1 (ko) * 1993-11-29 1996-02-03 김영수 벨트의 내외측 위치변경과 미세조절 기능을 갖는 버클
KR200292972Y1 (ko) 2002-07-24 2002-10-28 박정배 가변버클
KR200385636Y1 (ko) 2005-03-04 2005-06-01 박삼례 끈부재 길이조절용 버클장치
KR20100042369A (ko) * 2008-10-16 2010-04-26 (주)제이앤커뮤니티 길이 조절이 용이한 벨트용 배럴타입 버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673Y1 (ko) * 2018-03-23 2018-06-19 김차수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
WO2019182235A1 (ko) 2018-03-23 2019-09-26 김차수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
JP2021516601A (ja) * 2018-03-23 2021-07-08 キム, チャ−ソウKIM, Cha−Sou バンドの長さ調節が可能なフック固定式ベルトバック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565U (ko) 201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117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WO2007053522A9 (en) LIGHTWEIGHT ARTICLE WITH ADJUSTABLE RETAINING STRAP
WO2008007194A8 (en) Bone plate with complex, adjacent holes joined by a bend relief zone
ZA200801671B (en) Compounds and their salts specific to the ppar receptors and the egf recepters and their use in the medical fields
CN207506047U (zh) 一种腕带长度调节机构及一种可穿戴设备
RU2013153616A (ru) Регулируемая застёжка браслета
DE602005005265D1 (de) Eine Steckzunge mit einem Greifer und Sicherheitsgurt zur Benutzung desselben
WO2009072326A1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9044395A3 (en) Orthopedic fastening device and kit for using the same
CN202233405U (zh) 便捷式表带
CN204218108U (zh) 滑动式双向伸缩皮带扣
TWI636777B (zh) Easy to tighten tight band
US20160341230A1 (en) Furniture and other item assembly method and system
CN204218109U (zh) 单层双向伸缩自动皮带扣
CN203234427U (zh) 一种镜子
CN204218075U (zh) 三层伸缩皮带扣
CN105266919A (zh) 一种实验动物固定器
CN210204245U (zh) 一种防踢被子固定夹
CN218886750U (zh) 一种实验猴防撕扯铭牌
KR20180033648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TWM556711U (zh) 可便捷鬆緊之束緊帶
CN204218082U (zh) 手拧式腰带扣
CN202035558U (zh) 一种腰带扣
CN204962202U (zh) 摄影三脚架上快速固定伞的装置
CN204218071U (zh) 一种可伸缩的皮带自动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