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2369A - 길이 조절이 용이한 벨트용 배럴타입 버클 - Google Patents

길이 조절이 용이한 벨트용 배럴타입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2369A
KR20100042369A KR1020080101492A KR20080101492A KR20100042369A KR 20100042369 A KR20100042369 A KR 20100042369A KR 1020080101492 A KR1020080101492 A KR 1020080101492A KR 20080101492 A KR20080101492 A KR 20080101492A KR 20100042369 A KR20100042369 A KR 20100042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uckle
length
barrel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0817B1 (ko
Inventor
송광수
Original Assignee
(주)제이앤커뮤니티
송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앤커뮤니티, 송광수 filed Critical (주)제이앤커뮤니티
Priority to KR1020080101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817B1/ko
Publication of KR20100042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 A44B1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with strap tigh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2Buckle with fixed prong
    • A44B11/223Buckle with fixed prong fixed on a movable element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 조절이 용이한 벨트용 배럴타입 버클에 관한 것으로, 벨트의 일측을 잡아주는 압지수단을 나사결합이 아닌 압착결합으로 구조 변경시켜 벨트를 절단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편리하게 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부위의 손상도 구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벨트(50)의 일측이 삽입되어 길이 조절될 수 있도록 버클몸체(10)의 상부몸체(14)에 대해 양측 길이방향의 돌출된 측부몸체(12)를 사이로 하부몸체(16)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버클몸체(10)가 길이방향 양측으로 관통된 공간의 벨트체결구(24)를 형성하며, 상기 벨트체결구(24) 한쪽에는 상부몸체(14)의 저부 한쪽으로 벨트(50)의 타측이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벨트체결구(24)의 공간 틈새보다 큰 높이의 벨트통과구(20)가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벨트체결구(24) 다른 한쪽의 하부몸체(16) 저부에는 벨트(50) 타측의 벨트구멍(52)이 끼움체결될 수 있도록 버클촉(3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버클촉(30) 반대편의 하부몸체(16) 옆으로는 벨트체결구(24) 공간으로 삽입된 벨트(50)의 일측에 대해 회전동작되어 누름압착될 수 있도록 내측에 압지돌기(42a)(42b)가 돌출된 압착고정판(40)이 힌지결합된다.
버클몸체, 위치결정홈, 버클촉, 길이조절, 압착고정판, 압지돌기

Description

길이 조절이 용이한 벨트용 배럴타입 버클{Buckle for barrel type belt easy to controlled length}
본 발명은 벨트의 일측을 버클몸체 자체의 공간 속으로 삽입시켜 길이 고정시킨 상태에서 벨트의 타측을 사용자 신체쪽인 안쪽의 버클촉으로 끼워넣어 착용하는 벨트용 배럴타입 버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벨트의 일측을 잡아주는 압지수단을 나사결합이 아닌 누름동작에 의한 압착결합으로 구조 변경시켜 길이 조절시 벨트를 절단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편리하게 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부위의 손상도 구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길이 조절이 용이한 벨트용 배럴타입 버클에 관한 것이다.
잘 알다시피 의류용 벨트(Belt)는 착용자의 허리에 맞게 길이 조절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일단에 버클(Buckle)이 체결되어 제품 완성되는데, 버클을 통해 벨트의 일정 부분이 통과되어 길이 조절된 상태에서 버클에 의해 벨트의 길이가 착용자의 허리에 맞게 조절되어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버클은 벨트의 길이조절 및 고정수단으로서의 기본적인 기능은 물론, 착용자의 멋을 부리는 중요한 액세서리 기능 도 중요하여 다양한 장식 형태가 소개되는 있다.
이러한 버클은 다양한 형태의 모양과 새로운 기능의 추가로 사용편의를 의해 발전되어 왔다. 예컨대 사각틀의 버클몸체 한쪽에 체결고리가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 고리형태의 버클구조를 보면, 사전에 벨트의 일측을 버클몸체 일측에 결합고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에 가착용하고 벨트의 타측을 버클몸체를 통과시켜 상기 버클몸체 한쪽의 체결고리에 해당 벨트구멍을 끼워넣어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예시한 통상의 판상타입 버클을 보면, 역시 사전에 벨트의 일측을 버클몸체 일측에 결합고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에 가착용하고, 벨트(2)의 타측을 사용자의 신체쪽인 버클몸체(1) 하부에 구성시킨 푸시로드(6) 등의 걸림수단을 통과시켜 사용자의 허리에 맞게 푸시로드(6)의 걸림판(4)에 벨트(2)의 걸림턱(3)이 걸림압지되어 착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통상의 버클구조는 사전에 사용자의 허리크기에 맞게 벨트의 전체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벨트의 한쪽부분을 적절하게 절단시킨 상태에서 벨트의 일측을 버클몸체의 일측에 결속고정시키고, 자유로운 벨트의 타측을 버클몸체 일측에 결속고정된 벨트의 일측 위쪽(바깥쪽)으로 통과시켜 걸림수단으로 체결고정시킴으로서 사용자의 허리에 맞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통상의 버클구조는 사전에 길이 조절하지 않은 자유로운 벨트의 타측이 사전에 길이 조절시킨 벨트의 일측 위쪽으로 노출되는 구조적인 특징이 있어, 사용자가 처음 버클을 사용하기 위해 벨트 길이를 조절하고자 전체 벨트 길이를 정확하게 절단해야 하는 불편과 벨트 타측이 벨트 일측의 바깥쪽에 노출되어 흔들거릴 수 있다는 구조적인 특징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기존의 고리타입이나 판상타입의 구조적인 특징에 불편을 느끼거나 보다 새로운 기능성 및 장식성을 갖고자 하는 배럴타입이 소개되고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종래의 배럴타입 버클을 보면, 사전에 벨트(150)의 일측이 삽입되어 길이 고정될 수 있도록 버클몸체(110)의 상부쪽에 양쪽으로 관통된 벨트체결구(124)가 공간 형성되고, 한쪽의 상기 벨트체결구(124) 아래쪽으로 버클몸체(110)의 하부쪽 일측에 벨트(150)의 타측이 통과 체결되는 벨트통과구(120)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벨트통과구(120) 반대편의 다른 한쪽의 벨트체결구(124) 저부에 벨트(150) 타측의 벨트구멍이 끼움체결되는 버클촉(130)이 돌출형성된 구성관계를 이루었다.
그리고 벨트통과구(120)가 위치한 버클촉(130) 반대편의 벨트체결구(124) 한쪽에는 즉, 버클몸체(110)의 하부몸체(116) 일측에는 양쪽으로 고정나사(140)가 나사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구멍(140)이 형성되었으며, 이는 상기 벨트체결구(124)로 삽입시킨 벨트(150)의 일측이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나사구멍(140)을 통해 고정나사(140)를 나사체결시키는 결합구조를 이루었다.
이와 같이 새롭게 소개되고 있는 배럴타입의 버클은 버클몸체(110)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사전에 벨트(150)를 삽입시켜 위치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벨트체결구(124)의 공간을 형성시키고, 상기 벨트체결구(124)를 통해 전체적인 벨트(150)의 길이가 사전에 결정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시 자유로운 벨트(150)의 타측을 통과시켜 사용자의 허리크기에 맞게 길이 조절하여 끼움고정시키는 벨트통과 구(120)와 버클촉(130)이 상기 벨트체결구(124) 아래쪽인 하부몸체(116) 저부 양쪽에 각각 돌출된 제품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소개된 배럴타입 버클은 상기한 바와 같이, 버클몸체(110)의 벨트체결구(124) 공간 속으로 벨트(150)의 일측을 삽입시켜 사용자에 맞게 상기 벨트체결구(124) 밖으로 벨트(150)의 노출길이를 조절시킨 상태에서 고정나사(140)로써 상기 벨트체결구(124)에 삽입된 벨트(150)의 일측을 결합고정시켰다.
따라서 한번 길이조절된 벨트(150)를 재차 길이조절하기 위해서는 번거롭게 별도의 드라이버로서 고정나사(140)를 힘들게 나사분리시켜야 하는 구조적인 불편이 있었다. 또한 한번 나사체결로서 결합고정된 벨트(150)의 일측에는 고정나사(140)가 체결된 흔적이 발생될 수밖에 없어 미관상은 물론 몇차례 분리 및 체결시에는 해당부분이 구조적으로 약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벨트의 일측을 버클몸체 자체의 공간 속으로 삽입시켜 길이 고정시킨 상태에서 자유로운 벨트의 타측을 사용자 신체쪽인 안쪽의 버클촉으로 끼워넣어 착용하는 벨트용 배럴타입 버클을 제공하되, 벨트의 일측을 잡아주는 압지수단을 고정나사에 의한 나사결합이 아닌 자체 힌지동작되는 누름동작에 의한 압착결합으로 구조 변경시켜 사전에 길이 조절시 벨트를 절단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편리하게 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착결합되는 고정부위의 손상도 구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길이 조절이 용이한 벨트용 배럴타입 버클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벨트용 배럴타입 버클은, 기본적으로 사전에 벨트의 일측이 삽입되어 길이 조절될 수 있도록 버클몸체의 상부몸체에 대해 양측 길이방향의 돌출된 측부몸체를 사이로 하부몸체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버클몸체가 길이방향 양측으로 관통된 공간의 벨트체결구를 형성하며, 상기 벨트체결구 한쪽에는 상부몸체의 저부 한쪽으로 벨트의 타측이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벨트체결구의 공간 틈새보다 큰 높이의 벨트통과구가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벨트체결구 다른 한쪽의 하부몸체 저부에는 벨트 타측의 벨트구멍이 끼움체결될 수 있도록 버클촉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버클촉 반대편의 하부몸체 옆으로는 벨트체결구 공간으로 삽입된 벨트의 일측에 대해 회전동작되어 누름압착될 수 있도록 내측에 압지돌기가 돌출된 압착고정판이 힌지결합된 구성관계를 이룬다.
특히 압착고정판은 내측에 압지돌기가 구성되되, 상기 압지돌기는 톱날형태로서 내측 양쪽으로 돌출 형성되거나, 마찰력이 높은 막대형상의 고무재질로서 설치결합되어 돌출 구성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착고정판은 양쪽의 측부몸체에 요홈 형성된 위치결정홈에 동일 선상에서 안착 지지될 수 있도록 양측으로 위치결정턱이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버클촉은 촉몸체 상측에 상대적으로 좁게 돌출된 촉머리에 대해 내부가 관통된 걸림볼이 끼움체결된 상태에서 탭핑작업으로 상기 촉머리의 상단이 상기 걸림볼의 상단에 압착고정된다.
또한 벨트체결구는 바깥쪽 한쪽이 밀폐 형성되거나 또는 개방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구덮개로써 밀폐마감되는 것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나아가 상부몸체는 사전에 벨트체결구에 삽입 조절되어 길이 고정된 벨트의 일측이 외부로 일부분 노출될 수 있도록 장식홈이 형성된 구성상을 특징을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이 용이한 벨트용 배럴타입 버클은, 벨트의 일측을 잡아주는 압지수단이 고정나사에 의한 나사결합이 아닌 자체 힌지동작되는 누름동작에 의한 압착결합으로 구조 변경됨으로서 사전에 전체적인 벨트길이 조절시 벨트 의 일측을 절단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편리하게 벨트의 전체길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본 발명에서 벨트의 일측을 결속고정시키기 위해 적용시킨 압착고정판이 기존의 고정나사에 의한 결속방식과는 달리 압착고정되는 결합방식인 관계로 고정부위의 벨트 손상을 구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나아가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 하였던 기존의 고정나사 결속방식에서는 기대하기 곤란한 수시로 벨트 일측의 결속상태를 분리해제 및 결속고정이 가능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벨트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결속부위의 구조적인 손상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럴타입 버클은 착용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버클의 타측을 끼움고정시키는 버클촉이 납땜용접을 통한 결합방식 이외에도, 버클몸체에 일체형성된 촉몸체에 대해 별도의 걸림볼을 탭핑작업으로 깨끗하고 정확하게 일체결합시킬 수 있어 버클촉을 구성시키는 작업성이 단순화되고 제품 자체의 고급스러운 장식성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벨트의 일측을 버클몸체 자체의 공간 속으로 삽입시켜 길이 고정시킨 상태에서 벨트의 타측을 사용자 신체쪽인 안쪽의 버클촉으로 끼워넣어 착용하는 벨트용 배럴타입 버클의 구체적인 구성관계 및 작용효과를 첨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물론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성원리를 용이하게 전달시키기 위한 바람 직한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권리범위에서의 보다 다양한 응용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특히 구성관계의 설명편의상 벨트의 일측과 타측은 사전에 먼저 벨트체결구에 압착고정되는 부분을 일측으로 표현하고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사용자의 허리크기에 맞게 잡아당겨 벨트통과구를 통과하면서 버클촉에 끼움고정되는 부분을 타측으로 표현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관계가 쉽게 전달될 수 있도록 도시한 도면중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럴타입 버클의 사용전 압착고정판(40)이 버클본체(10)의 양쪽 측부몸체(12)와 동일선상에 안착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배럴타입 버클의 벨트(50)에 대한 압착고정수단으로 적용시킨 압착고정판(40)을 하부몸체(16)로부터 들어올려 이격시킨 기본 실시예 및 응용 실시예의 압착고정판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a 및 도 5b 그리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버클을 구성하는 버클몸체(10)의 상부 양쪽으로 공간 형성된 벨트체결구(24) 공간 안으로만 그리고 공간 밖으로까지 벨트(50)의 일측을 삽입되어 노출시키고 하부몸체(16)에 힌지결합된 압착고정판(40)을 회전압착시켜 길이고정시킨 압착고정판(40)의 작동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7a 및 도 7b는 도 5a 내지 도 6b의 사전작업을 통해 본 발명 버클몸체의 상부 양쪽의 벨트체결구(24)로 벨트(50)의 일측이 압착고정된 상태에서 벨트(50)의 타측을 사용자의 신체쪽인 버클몸체(10) 하부 한쪽에 돌출된 벨트통과구(20)로 통과시키고 버클촉(30)에 끼워 체결시킨 하부(배면)방향 및 상부(정면)방 향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럴타입 버클의 다른 실시예로서 버클몸체(10) 상부 양쪽으로 공간형성되어 벨트(50)의 일측이 삽입 위치하는 벨트체결구(24)의 개방된 일측을 별도의 체결구덮개(60)로써 밀폐시킨 결합상태 및 분리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아울러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럴타입 버클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버클몸체(10) 상부 양쪽으로 공간형성되어 벨트(50)의 일측이 삽입 위치하는 벨트체결구(24)의 일측이 밀폐된 하부방향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배럴타입 버클을 구성하는 버클몸체의 하부몸체(16)에 돌출형성되어 벨트(50)의 벨트구멍(52)이 끼움체결되는 버클촉(30)의 단면구조 및 상기 버클촉(30)의 상단이 탭핑기(상세도면 생략)의 탭핑팁(70) 회전동작에 따라 확대되어 압착고정되는 작동상태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버클은 벨트(50)의 일측이 버클몸체(10) 안쪽으로 공간형성된 벨트체결구(24) 안에 삽입위치되어 결합고정되거나 또는 벨트(50)의 일측이 상기 벨트체결구(24) 밖(측방)으로 일부 노출되는 배럴타입의 작동관계를 기본적으로 구성하며, 착용전 사전에 버클몸체(10) 안쪽의 벨트체결구(24)에 대해 삽입되어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결합고정된 벨트(50)의 일측과는 달리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상태의 상기 벨트(50)의 타측을 상기 벨트체결구(24)보다 틈새(간격)이 크게 돌출되어 상기 벨트체결구(24) 한쪽에 형성된 벨트통과구(20)로 통과시키면서 상기 벨트통과구(20) 반대편의 버클촉(30)에 벨트(50)의 해당 벨트구멍(52)이 끼움고정시킴으로서 착용할 수 있는 구성관계를 이룬다.
특히 본 발명의 배럴타입 버클은 벨트체결구(24)로 삽입되는 벨트(50)의 일측에 대한 압착고정시 압지수단인 압착고정판(40)에 의해 압착고정되는 벨트(50)의 해당부분이 구조적으로 안정되면서 확실하게 결속지지될 수 있으면서도 훼손도 거의 발생되지 않도록 톱날형태의 금속재질이나 또는 마찰력이 높은 고무재질의 막대형태로 돌출 형성됨에 기본적인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의 배럴타입 버클은 버클몸체(10) 자체에 길이방향으로 벨트(5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부몸체(14)와 하부몸체(16)가 양쪽의 측부몸체(12)와 일체구조로 형성되며, 특히 본 발명의 버클에서 하부몸체(16)는 양쪽으로 분리 형성되어 버클몸체(10) 아래쪽 공간에서 압착고정판(40)이 한쪽의 하부몸체(16) 옆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삽입되는 벨트(50)를 압착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기존의 배럴타입 버클에서 고정나사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구멍을 갖는 벨트체결구와는 전혀 다른 작동관계를 이루게 되는데, 버클몸체(10)의 양쪽에 길이방향으로 일정높이 돌출된 측부몸체(12)의 일측(앞쪽)과 타측(상대적으로 뒤쪽)에 틀형태로서 일체결합되며, 당연히 벨트통과구(20)가 위치하는 쪽 일측의 하부몸체(16)는 반대편 타측의 하부몸체(16)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이들 양쪽의 측부몸체(12)에 일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일측의 하부몸체(16) 옆(중앙부위 안쪽)으로 벨트(50)을 압착고정시키는 압착고정판(40)이 회전동작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벨트통과구(20)쪽의 압착고정판(40) 일측은 양측으로 힌지핀(46)이 돌출 형성되어 양쪽의 하부몸체(16)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압착고정판(40)의 타측은 양측으로 위치결정턱(44)이 돌출 형성되어 양쪽의 하부몸체(16) 중간 내측에 요홈 형성된 위치결정홈(18)에 회전동작되어 상기 하부몸체(16)의 상단과 동일선상에서 위치하여 안착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벨트통과구(20)쪽의 압착고정판(40) 일측은 그 저부에 벨트(50)의 일측을 압착고정시키는 압지돌기(42a)(42b)가 돌출 구성되는데, 기본적으로는 상기 압착고정판(40)의 금속재질과 동일하게 도 5a의 기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톱날형태의 압지돌기(42a)가 상기 압착고정판(40) 저부 양쪽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며, 특히 양쪽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상기 기본 실시예의 압지돌기(42a)는 각각 복수개씩 구성되어 벨트(50)를 양쪽에서 안정되면서 확실하게 누름압착하여 결속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압착고정판(40) 저부에 구성시키는 압지돌기(42b)는 도 5b의 응용 실시예에서와 같이 금속재질이 아닌 마찰력이 높은 고무재질의 막대형태로서 형성되어 일체로 결합구성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배럴타입 버클을 구성하는 압착고정판(40)은 기존의 나사체결 결합구조가 아닌 누름압착에 의한 결합방식을 제공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수시로 벨트(50)의 일측에 대해 회전압착하여 결속고정하고 회전분리하여 고정해제할 수 있는 다양한 압지돌기(42a)(42b)가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럴타입 버클은 사전에 벨트체결구(24)를 통해 벨트(50)의 일측이 압착고정되어 길이 결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허리에 착용할 때,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벨트(50)의 타측을 벨트체결구(24)를 통해 상기 벨트체결구(24) 안쪽의 사용자의 신체쪽으로 집어넣어 끼움 고정시키는데, 이때 상기 벨트통과구(20)를 통과한 벨트(50) 타측은 해당 벨트구멍(52)이 상기 벨트체결구(24) 하측인 한쪽의 하부몸체(16)에 돌출 형성된 버클촉(30)에 끼움고정됨으로서 벨트(50)의 착용상태가 완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배럴타입 버클에 적용되는 버클촉(30)은 통상의 버클촉과 같이 단일구조로서 형성되어 한쪽의 하부몸체(16)에 납땜용접으로 일체결합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10a 및 도 10b의 확대도면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 버클촉(30)이 촉몸체(32) 상측에 상대적으로 좁게 촉머리(34)가 돌출되고, 내부가 관통된 걸림볼(36)이 상기 촉머리(34)에 대해 끼움체결된 상태에서 통상의 탭핑작업으로 상기 촉머리(34)의 상단이 상기 걸림볼(36)의 상단에 압착고정되어 리벳형태와 같이 마감처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촉머리(34)에 대한 걸림볼(36)의 탭핑작업은 통상의 탭핑기의 탭핑팁(70)이 고속으로 회전동작되면서 상기 촉머리(34)의 상단이 곡면확장되면서 상기 걸림볼(36)이 이탈되지 않고 일체구조화 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배럴타입 버클은 기존의 배럴타입 버클에서와 같이 사전에 벨트(50)의 일측이 벨트체결구(24) 바깥쪽으로 일부분이 노출되어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결합고정되게 할 수도 있으나, 도 8a 및 도 8b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벨트체결구(24) 안에 위치결정시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압착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벨트체결구(24)의 개방된 타측에 대해 별도의 체결구덮개(60)로써 밀폐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 9의 또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벨트(50)의 일측이 삽입되는 쪽이 아닌 상기 벨트체결구의 타측(바깥쪽)이 밀폐된 형태로서 구성될 수도 있 다.
특히 도 8a 및 도 8b의 다른 실시예에서 벨트체결구(24)의 개방된 타측에 대해 끼움결합되어 밀폐시키게 되는 체결구덮개(60)는 일측(안쪽)으로 상기 벨트체결구(24) 타측에 대해 밀착끼움될 수 있을 단면적 크기로 끼움돌부(6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부(64)가 삽입되면서 외부 노출되는 타측의 덮개측부(62)는 당연히 상기 벨트체결구(24)의 타측 단면적 크기에 맞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배럴타입 버클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기존의 고리타입이나 판상타입과는 달리 착용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벨트(50)의 타측이 버클몸체(10) 밖으로 노출되지 않고 안쪽인 사용자의 신체쪽으로 숨겨지는 구조적인 특성상, 사전에 버클몸체(10)에 일측이 삽입되는 상기 벨트(50)가 상기 버클몸체(10) 밖으로 일부분 노출되어 장식성이 높아질 수 있도록 상기 버클몸체(10)에 다양한 장식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통상의 판상타입 버클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배럴타입 버클에 구성된 벨트통과구와 벨트체결구로 벨트의 일측을 삽입시켜 나사체결로서 길이 조절시킨 작업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럴타입 버클의 하부방향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배럴타입 버클의 압착고정판을 들어올린 기본 실시예 및 응용 실시예의 구조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버클을 구성하는 버클몸체의 상부 양쪽으로 공간 형성된 벨트체결구 안으로 벨트의 일측을 삽입시키고 하부몸체에 힌지결합된 압착고정판을 회전압착시켜 길이고정시킨 작업상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버클을 구성하는 버클몸체의 상부 양쪽으로 공간 형성된 벨트체결구 안으로 벨트의 일측을 삽입시키고 하부몸체에 힌지결합된 압착고정판을 회전압착시켜 길이고정시킨 작업상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5a 내지 도 6b의 사전작업을 통해 본 발명 버클몸체의 상부 양쪽의 벨트체결구로 벨트의 일측이 압착고정된 상태에서 벨트의 타측을 사용자의 신체쪽인 버클몸체 하부 한쪽에 돌출된 벨트통과구로 통과시키고 버클촉에 끼워 체결시킨 하부(배면)방향 및 상부(정면)방향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럴타입 버클의 다른 실시예로서 버클몸체 상부 양쪽으로 공간형성되어 벨트의 일측이 삽입 위치하는 벨트체결구의 개방된 일측을 별도의 체결구덮개로 밀폐시킨 결합상태 및 분리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럴타입 버클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버클몸체 상부 양쪽으로 공간형성되어 벨트의 일측이 삽입 위치하는 벨트체결구의 일측이 밀폐된 하부방향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배럴타입 버클을 구성하는 버클몸체의 하부몸체에 돌출형성되어 벨트의 벨트구멍이 끼움체결되는 버클촉의 단면구조 및 버클촉의 상단이 탭핑기의 탭핑팁 회전동작에 따라 확대되어 압착고정되는 작동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버클몸체 12 : 측부몸체
14 : 상부몸체 16 : 하부몸체
18 : 위치결정홈 20 : 벨트통과구
22 : 장식홈 24 : 벨트체결구
26 : 조작홈 30 : 버클촉
32 : 촉몸체 34 : 촉머리
36 : 걸림볼 40 : 압착고정판
42a,42b : 압지돌기 44 : 위치결정턱
46 : 힌지핀 50 : 벨트
52 : 벨트구멍 60 : 체결구덮개
62 : 덮개측부 64 : 끼움돌부

Claims (7)

  1. 사전에 벨트(50)의 일측이 삽입되어 길이 조절될 수 있도록 버클몸체(10)의 상부몸체(14)에 대해 양측 길이방향의 돌출된 측부몸체(12)를 사이로 하부몸체(16)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버클몸체(10)가 길이방향 양측으로 관통된 공간의 벨트체결구(24)를 형성하며,
    상기 벨트체결구(24) 한쪽에는 상부몸체(14)의 저부 한쪽으로 벨트(50)의 타측이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벨트체결구(24)의 공간 틈새보다 큰 높이의 벨트통과구(20)가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벨트체결구(24) 다른 한쪽의 하부몸체(16) 저부에는 벨트(50) 타측의 벨트구멍(52)이 끼움체결될 수 있도록 버클촉(3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버클촉(30) 반대편의 하부몸체(16) 옆으로는 벨트체결구(24) 공간으로 삽입된 벨트(50)의 일측에 대해 회전동작되어 누름압착될 수 있도록 내측에 압지돌기(42a)(42b)가 돌출된 압착고정판(40)이 힌지결합된 구성관계를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이 용이한 벨트용 배럴타입 버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착고정판(40)은 내측에 압지돌기(42a)(42b)가 구성되되, 상기 압지돌기(42a)는 톱날형태로서 내측 양쪽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이 용이한 벨트용 배럴타입 버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착고정판(40)은 내측에 압지돌기(42a)(42b)가 구성되되, 상기 압지돌기(42b)는 마찰력이 높은 막대형상의 고무재질로서 설치결합되어 돌출 구성된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이 용이한 벨트용 배럴타입 버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착고정판(40)은 양쪽의 측부몸체(12)에 요홈 형성된 위치결정홈(18)에 동일 선상에서 안착 지지될 수 있도록 양측으로 위치결정턱(44)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이 용이한 벨트용 배럴타입 버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클촉(30)은 촉몸체(32) 상측에 상대적으로 좁게 돌출된 촉머리(34)에 대해 내부가 관통된 걸림볼(36)이 끼움체결된 상태에서 탭핑작업으로 상기 촉머리(34)의 상단이 상기 걸림볼(36)의 상단에 압착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이 용이한 벨트용 배럴타입 버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벨트체결구(24)는 바깥쪽 한쪽이 밀폐 형성되거나 또는 개방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구덮개(60)로써 밀폐마감되는 것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이 용이한 벨트용 배럴타입 버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14)는 사전에 벨트체결구(24)에 삽입 조절되어 길이 고정된 벨트(50)의 일측이 외부로 일부분 노출될 수 있도록 장식홈(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이 용이한 벨트용 배럴타입 버클.
KR1020080101492A 2008-10-16 2008-10-16 길이 조절이 용이한 벨트용 배럴타입 버클 KR101080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492A KR101080817B1 (ko) 2008-10-16 2008-10-16 길이 조절이 용이한 벨트용 배럴타입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492A KR101080817B1 (ko) 2008-10-16 2008-10-16 길이 조절이 용이한 벨트용 배럴타입 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369A true KR20100042369A (ko) 2010-04-26
KR101080817B1 KR101080817B1 (ko) 2011-11-07

Family

ID=42217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492A KR101080817B1 (ko) 2008-10-16 2008-10-16 길이 조절이 용이한 벨트용 배럴타입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8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117Y1 (ko) * 2011-10-20 2013-11-28 제갈민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KR101400786B1 (ko) * 2013-08-14 2014-05-29 송광수 의복벨트용 일체형 버클 어셈블리
WO2019182235A1 (ko) * 2018-03-23 2019-09-26 김차수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2186U (ko) * 1978-08-25 1980-03-01
US4477949A (en) 1983-04-18 1984-10-23 Calabro Anthony S Belt buckle construction
KR200268746Y1 (ko) * 2002-01-03 2002-03-18 김선광 의복벨트용 버클의 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117Y1 (ko) * 2011-10-20 2013-11-28 제갈민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KR101400786B1 (ko) * 2013-08-14 2014-05-29 송광수 의복벨트용 일체형 버클 어셈블리
WO2019182235A1 (ko) * 2018-03-23 2019-09-26 김차수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0817B1 (ko) 201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2760B2 (ja) コードロック
WO2010033623A1 (en) Headwear garment
KR101080817B1 (ko) 길이 조절이 용이한 벨트용 배럴타입 버클
WO2014129731A1 (ko) 버클
KR200321107Y1 (ko) 방진마스크의 걸이밴드 조절구조
KR100952410B1 (ko) 벨트의 양면 사용 및 분리가 용이한 버클
EP3415032A1 (en) Clasp for accessories and accessory using same
JP4787009B2 (ja) 締結金具の構造
USD557171S1 (en) Longhorn style ornament
KR101633423B1 (ko) 시계줄의 길이가 미세하게 조절되고 조절끈의 단부가 노출되지 않는 손목 시계줄 체결구조
KR101632531B1 (ko) 버클장치
JPWO2014024280A1 (ja) ベルトアジャスタ
JPH08308616A (ja) 装身具の中留構造
KR20100005103U (ko) 귀걸이 조립체
JP2001224412A (ja) 装身具用止め金具
KR200231510Y1 (ko) 의류벨트용 버클
JP3153911U (ja) 指輪
EP1029466A1 (en) Fastenings
EP0476133A1 (en) Fastening and ornament provided with the same
JP6679953B2 (ja) バンド、美錠付き時計バンドおよび時計
JPH02131704A (ja) 引手を着脱できるスライドフアスナー用スライダー
TWM298498U (en) Ratchet structure for screw driver
KR100558777B1 (ko) 목걸이용 장식부재 체결장치
KR19980021094U (ko) 톱니형 체결수단을 가지는 버클
KR100674424B1 (ko) 클립형 배꼽 피어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