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673Y1 -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 - Google Patents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6673Y1 KR200486673Y1 KR2020180001277U KR20180001277U KR200486673Y1 KR 200486673 Y1 KR200486673 Y1 KR 200486673Y1 KR 2020180001277 U KR2020180001277 U KR 2020180001277U KR 20180001277 U KR20180001277 U KR 20180001277U KR 200486673 Y1 KR200486673 Y1 KR 20048667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nd
- buckle
- pushing
- fixing
- fitting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6—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A44B11/008—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extensibl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41F9/025—Adjustable belts or girdl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41F1/008—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4—Buckle with movable prong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은, 표면에 복수의 고정공이 천공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밴드; 상기 밴드의 일 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밴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연장방향을 따라 내부가 관통된 끼움 홈이 형성된 푸싱부 고정파트와, 상기 끼움 홈에 삽입되어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끼움 홈의 양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을 매개로 상기 끼움 홈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밀려나는 푸싱부를 구비한 푸싱부재; 상기 밴드의 타 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연장되어 상기 푸싱부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버클;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수천 년간 사용된 고정공과 후크만을 사용하여 조절되는 벨트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 벨트가 고정공과 고정공 사이의 길이 조절이 불가능한 구조였지만, 본원의 벨트는 미세한 허리사이즈의 변화라도 정확하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버클장치를 추가하여 복부의 불편함을 완전히 해소하는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천 년간 사용된 고정공과 후크만을 사용하여 조절되는 벨트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 벨트가 고정공과 고정공 사이의 길이 조절이 불가능한 구조였지만, 본원의 벨트는 미세한 허리사이즈의 변화라도 정확하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버클장치를 추가하여 복부의 불편함을 완전히 해소하는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벨트 줄의 세부적인 길이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벨트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천 년간 사용된 고정공과 후크만을 사용하여 조절되는 벨트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신체변화에 따라 자유롭게 벨트 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벨트 줄의 풀림현상도 예방할 수 있는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혁대는 위와 장이 움직이는 상하 방향에 대해서 직각으로 압력을 가하므로 소화기관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혁대 착용자는 서 있다가 앉거나 혹은 식사로 인해 복부팽만 시 복부에 가해지는 압박고통으로 인하여 혁대 착용을 꺼리고 멜빵으로 대신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복부에 압박이 가해질 경우 혁대 착용자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혁대를 풀어 다시 길이를 느슨하게 조절해야 한다.
즉, 종래의 혁대는 구조적으로 신축되지 않기 때문에, 식후(특히 과식 후)에 복부가 팽만하거나 복부가 눌리는 신체 자세로부터 복부에 압박감이 가해질 경우, 혁대 착용자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혁대를 풀어야 하고, 이로 인해 착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벨트 버클이 개발되고 있다.
먼저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 20-0470117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은 기존 버클에 사용되는 고리 또는 돌출부 즉, 후크형 버클과 톱니형상으로 이루어져 밴드를 톱니가 가압하여 고정하는 슬라이딩 타입의 버클을 함께 결합하여 후크형 버클과 슬라이딩 타입 버클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소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자가 신체변화에 적응 가능하도록 혁대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혁대가 자연스럽게 풀리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착용자가 상황에 따라 길이 조절도 가능하면서 풀림현상도 예방토록 한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버클은 착용자의 신체변화에 적응 가능하도록 혁대의 길이조절이 가능하지만, 지정된 위치로만 버클의 이동이 가능하여 미세조정이 어려우므로 제대로 된 착용자 맞춤식의 조절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 20-0292972호 ‘가변버클’은 착용자의 복부압의 변화에 맞게 길이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변버클로서 편리한 사용이 가능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며,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허리밴드와 버클이 구비되며 착용자의 복부압에 따라 신축되는 버클에 있어서, 허리밴드의 일측단부가 고정되는 고정클램프(100)와 허리밴드의 타측단부가 삽입되어 허리둘레의 사이즈에 맞게 조절되는 가동클램프(200)가 상기 고정클램프로부터 형성되는 연결바아(150)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연결바아에는 탄성부재(151)가 삽입되어져 착용자의 복부압에 따라 상기 고정클램프(100)가 연결바아(150)를 따라 이동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식전/식후 복부의 변화에 맞게 길이조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이점을 가지는 가변버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벨트 줄의 연장을 위해 버클을 이중으로 구성해야하므로 버클 제작비용이 높아지며, 그만큼 불필요하게 버클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용자의 신체변화에 따라 자유롭게 벨트 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벨트 줄의 풀림현상도 예방토록 한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고안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푸싱 조작을 통해 버클에 삽입된 밴드의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버클에 삽입된 밴드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밴드가 버클에 고정된 이후에도 고정된 위치를 계속해서 유지하여 풀림을 방지하는 물리적 결합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고정 상태를 해제할 때에 밴드를 버클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은, 표면에 복수의 고정공이 천공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밴드; 상기 밴드의 일 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밴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연장방향을 따라 내부가 관통된 끼움 홈이 형성된 푸싱부 고정파트와, 상기 끼움 홈에 삽입되어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끼움 홈의 양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을 매개로 상기 끼움 홈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밀려나는 푸싱부를 구비한 푸싱부재; 상기 밴드의 타 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연장되어 상기 푸싱부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버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버클은,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는 후크가 구비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 양 측에 각각 기립 형성되는 측벽부 및, 한 쌍의 상기 측벽부를 통해 지지되어 상기 베이스부와의 사이에 상기 밴드가 삽입되는 밴드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벽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연장된 상기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벨트버클은, 상기 밴드의 타 단부와 상기 버클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밴드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접촉되어 패스너를 매개로 상기 밴드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와, 상기 한 쌍의 상기 고정부의 단부를 연결하되, 상기 고정부 및 상기 밴드의 타 단부와의 사이에 상기 푸싱부 고정파트가 삽입될 수 있는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푸싱 고정부를 포함하는 밴드 연장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버클은, 상기 측벽부에서 상기 슬라이드홈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버클편과,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버클편으로 분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은,
1) 간단한 푸싱 조작을 통해 버클에 삽입된 밴드의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고,
2) 버클에 삽입된 밴드를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고,
3) 밴드가 버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의 물리적 결합구성을 제공하며,
4) 나아가 이러한 고정 상태를 해제할 때에는 상기한 구성들이 존재함에도 밴드를 버클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벨트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버클 및 푸싱부재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푸싱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버클 및 푸싱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은 본 고안의 푸싱부재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푸싱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버클 및 푸싱부재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푸싱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버클 및 푸싱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은 본 고안의 푸싱부재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푸싱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벨트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벨트버클(300)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것으로서, 연장된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복수의 고정공이 천공된 밴드(100);, 이 밴드(100)의 일 단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는 후크(331)와, 후크(331)에 걸리고 남은 밴드(100)가 통과하여 고정되는 걸림고리가 구비된 버클(300);이 기본으로 구성된다.
밴드(100)는 비닐소재나 합성수지, 가죽, 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서, 허리를 감싸 바지를 고정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와 폭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버클(300)은 밴드(100)의 일 단부에 구비된다. 밴드(100)에 형성된 고정공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전체 밴드(100)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으나 한 쪽 단부에 몰려 5 내지 10개 사이의 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고정공이 형성된 단부의 반대 측 단부에 버클(300)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버클(300)에는 후크(331)가 구비되는데, 이 후크(331)가 고정공 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며 그 용도는 밴드(100)를 사용자의 허리춤에 두른 후 적절한 길이로 고정하는데 후크(331)와 고정공이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버클(300)에는 후크(331) 이외에도 걸림고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걸림고리는 밴드(100)에서 고정공 중 어느 하나에 후크(331)가 끼워진 후 남은 밴드(100)의 부위를 끼워 고정하는, 다시 말해 거치기능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버클(300) 및 푸싱부재(200)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버클(300)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버클(300)은 기본적으로 베이스부(310)와, 베이스부(310)의 폭방향 양 측에 각각 기립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부(320), 측벽부(320)를 통해 지지되어 베이스부(310)와의 사이에 밴드(100)가 삽입되는 밴드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측벽부(32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연장된 슬라이드 홈(321)이 더 형성되고, 덮개부의 측면 일 측에는 후크(331)(및 걸림고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버클(300)의 형태는 후크(331)(와 걸림고리)를 제외하면 일반적으로 육면체에서 전, 후면이 관통된 형태를 가지며, 관통된 면 중 적어도 한 면으로 밴드(100)가 삽입되도록 하고, 반대 측 면에는 후크(331)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버클(300)은 적어도 두 개의 버클(300) 편으로 나누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되, 여기서 버클(300) 편이라 함은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버클편(301)과,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버클편(302)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측벽부(320) 구성이 상하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고, 더 나아가 두 버클(300)편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각 버클(300)편을 결합하는 별도의 패스너(미도시) 및 패스너가 결합되는 패스너 결합홈(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버클(300)의 양 측벽부(320)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연장된 슬라이드 홈(3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슬라이드 홈(321)에는 후술할 푸싱부재(200)가 각각 끼워져 슬라이드 홈(3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푸싱부재(2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버클(300) 및 푸싱부재(2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푸싱부재(20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푸싱부재(200)는 앞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밴드(100)가 버클(300)에 고정될 때에 적용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밴드(100)는 일 단부가 버클(300)에 고정되어야 한다. 다만, 기존의 버클(300)의 경우에는 밴드(100)를 고정하는 부위가 톱니나 암수 결합방식 등 한번 결합된 이후에 쉽게 빠지지 않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이는 다시 말해 한번 밴드(100)를 버클(300)에 고정시키면 전체 밴드(100)의 길이가 고정되어 버리는 결과가 발생하였다. 그런데 밴드(100)에 구비된 고정공은 일정 간격마다 천공되어 있되, 기존의 고정공 간의 사이 간격은 보통 2센티미터 내지 1인치 정도로 비교적 넓은 간격을 가지고 있어 고정공의 위치를 바꾸는 것으로 복부의 팽창정도에 따라 상술한 기존의 고정공 간의 사이 간격보다 작은 범위에서 밴드(100)의 길이를 변경하기에는 바람직하지 못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밴드(100)의 길이를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푸싱부재(200)에는 다음의 구성이 더 포함되어야 한다.
먼저, 밴드(100)의 일 단부에는 밴드 연장체(230)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밴드 연장체(230)는 밴드(100)의 단부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두 장의 고정부(231)와 이 고정부(231)의 단부를‘ㄷ’형태로 연결하는 푸싱 고정부(232)를 구비하되 이 ‘ㄷ’형태의 입구 측에 밴드(100)의 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별도의 잠금 수단(혹은 패스너)을 통해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된 부위를 제외한 ‘ㄷ'의 내측에는 안착공간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안착공간에는 푸싱부 고정파트(210)가 삽입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푸싱부 고정파트(210)와 별개로 바 형상의 연장부 고정파트(미도시)가 위치할 수도 있다. 이 연장부 고정파트는 푸싱부 고정파트(210)를 안착공간에 삽입하기 위한 연장된 구성으로서, 연장부 고정파트의 양 단이 다시 푸싱부 고정파트(210)의 양 단과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푸싱부 고정파트(210)는 연장부 고정파트와 비교하였을 때 밴드(10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푸싱부 고정파트(210)는 연장부 고정파트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밴드(100)와 푸싱부 고정파트(210)는 모두 버클(300)의 밴드 삽입공간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각 부재들의 폭이나 길이 등이 조절되어야 할 것이되, 도면에는 이 중 가장 적합하면서도 제조 및 사용에 용이한 것을 기준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이며 따라서 최대한 도면을 기준으로 제조하되, 꼭 필요한 변경점이 있다면 이를 교체하여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이라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푸싱부 고정파트(210)는 폭방향을 따라 양 끝단을 연결하도록 관통된 연결홈(25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연결홈(250)의 양 측 입구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서, 두 개의 푸싱부(220)가 구비된다.
푸싱부(220)는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나사나 못 등과 유사한 구조를 갖춘 것으로서, 앞선 연결홈(250)의 입구에 삽입되는 기둥(221)과, 이 기둥(221)의 단부에서 기둥(221)의 직경보다 클뿐더러 연결홈(250)의 입구 직경보다도 크게 연장된 헤드(222)가 구비될 수 있다.
기둥(221)의 경우 연결홈(250)에 삽입되는 부위이며, 되도록 기둥(221)의 연장된 길이는 연결홈(250)의 길이의 절반보다 작은 것이 선호되고(앞뒤로 하나씩 끼워져야 하므로) 따라서 연결홈(250)에는 양 입구를 통해 푸싱부(220)의 기둥(221)이 삽입되되, 두 기둥(221)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서 스프링(240)이 연결홈(250)에 더 내장될 수 있다. 이 때 스프링(240)은 바람직하게는 원통의 사이로 기둥(221)이 끼워지도록 하되 스프링(240)의 단부가 헤드(222)보다 직경이 작기 때문에 헤드(222)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두 푸싱부(220)는 모두 스프링(240)을 통해 연결홈(250)의 외측으로 튀어나가려는 힘을 받게 된다.
이 때, 헤드(222)의 구성을 다시 살펴보면,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함입된 두 개의 함입파트(223) 및, 이 함입파트(223)의 기둥(221) 측면에서 돌출 연장된 고정돌기(224)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고정돌기(224)는 앞서 서술한 슬라이드 홈(321)과 대응되어 활용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도 5를 추가로 참조하여 다시 슬라이드 홈(321)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의 푸싱부재(20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슬라이드 홈(321)의 구조를 보면 측벽부(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 형태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측벽부(320)에서 슬라이드 홈(321)이 형성된 위치로부터 베이스부(310)와의 경계부위 혹은 커버부(330)와의 경계부위까지 일정 간격마다 돌출 연장된 복수의 돌출부(322)가 구비된다. 이 돌출부(322)의 사이에는 앞서 설명한 고정돌기(224)가 끼워지게 되며, 따라서 푸싱부(220)의 고정돌기(224)는 스프링(240)에 의해 푸싱부(220)가 움직이면서 동시에 돌출부(322)가 형성된 측벽부(320) 측을 향해 밀리게 되므로, 결론적으로는 이 복수 개의 돌출부(322) 사이에 형성된 공간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버클(300)에서 슬라이드 홈(321)을 통해 튀어나온 푸싱부재(200)의 헤드(222)를 눌러 푸싱부(220)의 고정돌기(224)를 돌출부(322) 사이로부터 빼내어 푸싱부재(200)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따라서 푸싱부재(200)를 밀거나 당기게 되면 밴드(100)의 길이가 변경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동작을 통해 길이를 조절한 후에 다시 푸싱부(220)의 고정돌기(224)를 돌출부(322) 사이로 끼우게 되면, 푸싱부재(200)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전체적인 밴드(100)의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슬라이드 홈(321)의 양 단부는 라운딩 처리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라운딩 처리로 인해 푸싱부(220)가 슬라이드 홈(321)의 가장 끝단으로 이동하더라도 날카로운 모서리가 없어 푸싱부(2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버클(300)의 기본 구조에 더하여, 버클(300)의 구동 및 고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버클(30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 1 버클편(301)과 제 2 버클편(302)의 2개로 나누어진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각 버클(300)편을 연결하는 구조는 기본적으로는 두 개의 버클(300)편을 모두 가로지르는 패스너 결합홈(미도시)을 형성하고, 이 패스너 결합홈의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두어 홈에 패스너(미도시)를 결합시킴으로써 두 편을 고정하는 방식을 기본으로 한다.
다만, 제 1,2 버클(300)편의 측벽부(320)에서 서로 접촉하는 면에는 밴드 삽입 공간 측으로 편심되어 돌출된 제 1 돌기(303)와, 밴드 삽입공간의 반대 측으로 편심되어 돌출된 제 2 돌기(304) 중 어느 하나가 서로 교차되도록 구비된다. 이는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제 1 버클편(301)에 제 1 돌기(303)가 형성되었다면, 제 2 버클편(302)에는 제 2 돌기(304)가 형성되고 혹은 그 반대의 경우로 제 1 버클편(301)에 제 2 돌기(304)가 형성되었다면, 제 2 버클편(302)에는 제 1 돌기(303)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버클편(301)에 형성된 제 1 돌기(303) 혹은 제 2 돌기(304)와 제 2 버클편(302)에 형성된 제 2 돌기(304) 혹은 제 1 돌기(303)가 서로 엇갈려 결합됨으로써 두 버클(300)편이 더욱 견고한 결합구조를 갖출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 나아가, 베이스부(310) 및 커버부(330)에는 측벽부(320)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연장된 푸싱부 가이드(35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때 푸싱부 고정파트(210)는 이 푸싱부 가이드(350) 사이 공간으로 끼움 결합되는 연장 고정파트(211)의 구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는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연장 고정파트(211)가 푸싱부 가이드(350) 사이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며, 더 나아가 푸싱부 가이드(350)는 앞선 푸싱부재(200)의 헤드(222)가 이 푸싱부 가이드(350)에 걸려 버클(300)의 내부로 과도하게 이동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출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푸싱부 가이드(350)에서 버클(300)로 푸싱부재(200)가 유입되는 입구 측 단부에는, 테이퍼 처리된 경사단면(35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푸싱부 고정파트(210)에는 경사단면(351)과 접촉하는 부위를 내측으로 함입한 가이드 단면(212)이 더 구비될 수 있어 가이드 단면(212)을 통해 푸싱부 고정파트(210)가 푸싱부 가이드(350)에 접촉하면서 발생되는 마모 등의 현상이 보다 더디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출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푸싱부재(2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나아가, 푸싱부(220)에서 기둥(221)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둥(221)은 연장방향을 따라 제 1,2,3 영역(이 영역은 기둥(221)이 삽입되는 끼움 홈의 입구와 가까운 순서대로 명명한 것이다.)으로 구분되되, 제 1 영역의 외주면을 감싸는 마찰링(225)과, 제 3 영역의 외주면을 감싸는 걸림링(226)이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제 2 영역에는 후술하겠지만 제 3 영역에 위치한 걸림링(226)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돌기(213)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걸림돌기(213)는 걸림링(226)에 걸리는 것 외에는 최대한 다른 구성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하므로) 내측으로 함입된 기둥 함입부(227)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마찰링(225)은 신축성 재질의 제 1 구조층(228)과, 이 제 1 구조층(228)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기둥(221)의 다른 부위보다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코팅 처리된 제 2 구조층(229)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되도록 제 1 구조층(228)이 형성되었을 때 전체 직경이 끼움 홈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도록 함으로써 이 제 1 구조층(228)의 직경과 신축성을 통해 제 2 구조층(229)을 밀어 끼움 홈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구성한다. 이 때 제 2 구조층(229)은 마찰계수가 커 끼움 홈의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기둥(221)의 위치를 고정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앞선 내용에서도 언급되었다시피 걸림링(226)은 끼움 홈의 입구를 향해 평탄면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때 끼움 홈의 입구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는 걸림링(226)의 평탄면이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기(21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다른 부위인 마찰링(225)과 제 2 영역은 이 걸림돌기(213)에 걸리지 않고 지나칠 수 있겠지만(마찰링(225)의 경우 신축성을 가져 쉽게 통과 가능하다.) 제 3 영역에 위치한 걸림링(226)은 이 걸림돌기(213)에 걸려 더 이상 끼움 홈으로부터 기둥(22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갖출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고안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밴드 200: 푸싱부재
210: 푸싱부 고정파트 211: 연장 고정파트
212: 가이드 단면 213: 걸림돌기
220: 푸싱부 221: 기둥
222: 헤드 223: 함입파트
224: 고정돌기 225: 마찰링
226: 걸림링 227: 기둥 함입부
228: 제 1 구조층 229: 제 2 구조층
230: 밴드 연장체 231: 고정부
232: 푸싱 고정부 240: 스프링
250: 연결홈 300: 버클
301: 제 1 버클편 302: 제 2 버클편
303: 제 1 돌기 304: 제 2 돌기
310: 베이스부 320: 측벽부
321: 슬라이드 홈 322: 돌출부
330: 커버부 331: 후크
350: 푸싱부 가이드 351: 경사단면
210: 푸싱부 고정파트 211: 연장 고정파트
212: 가이드 단면 213: 걸림돌기
220: 푸싱부 221: 기둥
222: 헤드 223: 함입파트
224: 고정돌기 225: 마찰링
226: 걸림링 227: 기둥 함입부
228: 제 1 구조층 229: 제 2 구조층
230: 밴드 연장체 231: 고정부
232: 푸싱 고정부 240: 스프링
250: 연결홈 300: 버클
301: 제 1 버클편 302: 제 2 버클편
303: 제 1 돌기 304: 제 2 돌기
310: 베이스부 320: 측벽부
321: 슬라이드 홈 322: 돌출부
330: 커버부 331: 후크
350: 푸싱부 가이드 351: 경사단면
Claims (13)
-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로서,
표면에 복수의 고정공이 천공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밴드;
상기 밴드의 일 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밴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연장방향을 따라 내부가 관통된 끼움 홈이 형성된 푸싱부 고정파트와, 상기 끼움 홈에 삽입되어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끼움 홈의 양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을 매개로 상기 끼움 홈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밀려나는 푸싱부를 구비한 푸싱부재;
상기 밴드의 타 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연장되어 상기 푸싱부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버클;을 포함하되,
상기 버클은,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는 후크가 구비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 양 측에 각각 기립 형성되는 측벽부 및, 한 쌍의 상기 측벽부를 통해 지지되어 상기 베이스부와의 사이에 상기 밴드가 삽입되는 밴드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와, 상기 측벽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연장된 상기 슬라이드 홈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위치로부터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커버부와의 경계부위를 향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복수로 돌출 연장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푸싱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사이 간격에 대응되는 폭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돌출부 사이에 끼워지는 고정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버클은,
상기 밴드의 타 단부와 상기 버클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밴드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접촉되어 패스너를 매개로 상기 밴드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와,
상기 한 쌍의 상기 고정부의 단부를 연결하되, 상기 고정부 및 상기 밴드의 타 단부와의 사이에 상기 푸싱부 고정파트가 삽입될 수 있는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푸싱 고정부를 포함하는 밴드 연장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상기 측벽부에서 상기 슬라이드 홈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버클편과,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버클편으로 분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버클편의 측벽부에서 서로 접촉하는 면에는,
상기 밴드 삽입 공간 측으로 편심되어 돌출된 제 1 돌기와, 상기 밴드 삽입공간의 반대 측으로 편심되어 돌출된 제 2 돌기 중 어느 하나가 서로 교차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홈의 양 단부는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부는,
상기 끼움 홈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을 매개로 이동하는 기둥과,
상기 기둥보다 큰 직경을 가져 상기 끼움 홈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외주면 일부를 내측으로 함입한 함입파트가 형성된 헤드를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드 홈에 상기 함입파트가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측벽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연장된 푸싱부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푸싱부 고정파트는,
상기 푸싱부 가이드 사이 공간으로 끼움 결합되는 연장 고정파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부 가이드에서 상기 버클로 상기 푸싱부재가 유입되는 입구 측 단부에는,
테이퍼 처리된 경사단면이 구비되고,
상기 푸싱부 고정파트에는,
상기 경사단면과 접촉하는 부위를 내측으로 함입한 가이드 단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연장방향을 따라 제 1,2,3 영역으로 구분되되,
상기 제 1 영역의 외주면을 감싸는 마찰링과,
상기 제 3 영역의 외주면을 감싸는 걸림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링은,
신축성 재질의 제 1 구조층과,
상기 제 1 구조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둥의 다른 부위보다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코팅 처리된 제 2 구조층을 구비하여,
상기 제 1 구조층이 상기 제 2 구조층을 가압하여 상기 제 2 구조층이 상기 끼움 홈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링은,
상기 끼움 홈의 입구를 향해 평탄면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 홈의 입구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걸림링의 평탄면이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1277U KR200486673Y1 (ko) | 2018-03-23 | 2018-03-23 |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 |
CN201820691211.8U CN208463097U (zh) | 2018-03-23 | 2018-05-10 | 可调节带长度的钩固定式带扣 |
EP19772018.8A EP3769639A4 (en) | 2018-03-23 | 2019-01-09 | STRAP-LENGTH-ADJUSTABLE BELT BUCKLE WITH HOOK ATTACHMENT |
PCT/KR2019/000330 WO2019182235A1 (ko) | 2018-03-23 | 2019-01-09 |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 |
US17/040,915 US20210015216A1 (en) | 2018-03-23 | 2019-01-09 | Band length-adjustable hook-fixing type belt buckle |
JP2021500767A JP2021516601A (ja) | 2018-03-23 | 2019-01-09 | バンドの長さ調節が可能なフック固定式ベルトバックル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1277U KR200486673Y1 (ko) | 2018-03-23 | 2018-03-23 |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6673Y1 true KR200486673Y1 (ko) | 2018-06-19 |
Family
ID=6274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1277U KR200486673Y1 (ko) | 2018-03-23 | 2018-03-23 |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10015216A1 (ko) |
EP (1) | EP3769639A4 (ko) |
JP (1) | JP2021516601A (ko) |
KR (1) | KR200486673Y1 (ko) |
CN (1) | CN208463097U (ko) |
WO (1) | WO2019182235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1030053A (ja) * | 2019-08-14 | 2021-03-01 | 隆太郎 渡邉 | 調整バックル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08030A (zh) * | 2019-07-06 | 2019-09-06 | 青岛农业大学 | 一种便携式样方调查装置及其使用方法 |
US20220133052A1 (en) * | 2020-03-05 | 2022-05-05 | Eric Adjesson | Bedding System Facilitating Comforter Staying Tucked and Providing for Efficient Making of Bed |
CN111838887B (zh) * | 2020-07-31 | 2021-12-24 | 郴州永盛鞋业有限公司 | 一种便于紧固调节的鞋带扣 |
CA3191089A1 (en) * | 2020-08-28 | 2022-03-03 | Scott V. Evans | Belt buckle |
IL286648B2 (en) * | 2021-09-23 | 2024-09-01 | Berman Reuben | A symmetrical belt for the garmen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3960U (ko) * | 1996-11-21 | 1997-02-19 | 양준석 | 의복 허리띠용 버클의 길이조절장치 |
KR200470117Y1 (ko) * | 2011-10-20 | 2013-11-28 | 제갈민 |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9310U (ko) * | 1990-01-18 | 1991-02-26 | ||
KR960000898Y1 (ko) * | 1993-11-29 | 1996-02-03 | 김영수 | 벨트의 내외측 위치변경과 미세조절 기능을 갖는 버클 |
KR960006268Y1 (ko) * | 1994-06-13 | 1996-07-23 | 김윤화 | 길이 조절이 간편한 혁대 |
JPH09296317A (ja) * | 1996-05-09 | 1997-11-18 | Yoshiaki Kawai | ベルトのバックル及びサイズ調節器具 |
FR2778068B1 (fr) * | 1998-04-30 | 2000-06-16 | Applic De Brevets Sab Soc D | Fermoir extensible a boucle pour ceinture de pantalon |
EP1072207A1 (fr) * | 1999-07-19 | 2001-01-31 | Jacques Malsoute | Ceinture de pantalon à fermoir extensible |
KR200292972Y1 (ko) | 2002-07-24 | 2002-10-28 | 박정배 | 가변버클 |
KR101080817B1 (ko) * | 2008-10-16 | 2011-11-07 | 송광수 | 길이 조절이 용이한 벨트용 배럴타입 버클 |
CN204306173U (zh) * | 2014-12-23 | 2015-05-06 | 昆山喜来豹皮具有限公司 | 扣针可调式腰带扣 |
KR20180001277U (ko) | 2016-10-26 | 2018-05-04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주차설비용 신호표시장치 |
-
2018
- 2018-03-23 KR KR2020180001277U patent/KR200486673Y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5-10 CN CN201820691211.8U patent/CN208463097U/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9
- 2019-01-09 JP JP2021500767A patent/JP2021516601A/ja active Pending
- 2019-01-09 WO PCT/KR2019/000330 patent/WO201918223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01-09 EP EP19772018.8A patent/EP3769639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9-01-09 US US17/040,915 patent/US20210015216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3960U (ko) * | 1996-11-21 | 1997-02-19 | 양준석 | 의복 허리띠용 버클의 길이조절장치 |
KR200470117Y1 (ko) * | 2011-10-20 | 2013-11-28 | 제갈민 |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1030053A (ja) * | 2019-08-14 | 2021-03-01 | 隆太郎 渡邉 | 調整バックル |
JP7185110B2 (ja) | 2019-08-14 | 2022-12-07 | 隆太郎 渡邉 | 調整バックル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769639A1 (en) | 2021-01-27 |
EP3769639A4 (en) | 2021-12-08 |
US20210015216A1 (en) | 2021-01-21 |
CN208463097U (zh) | 2019-02-05 |
WO2019182235A1 (ko) | 2019-09-26 |
JP2021516601A (ja) | 2021-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86673Y1 (ko) |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 | |
US3824654A (en) | Connector or an adjuster | |
US5184352A (en) | Molded plastic belt with integral locking mechanism | |
US8429798B1 (en) | Fastening device | |
KR20200007764A (ko) | 체결 구조체 | |
US11284680B2 (en) | Flexible interlocking closure | |
US5318505A (en) | Medical belt | |
US20160045798A1 (en) | Flag football belt and flags | |
KR20170102775A (ko) |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 |
KR100660271B1 (ko) | 후킹 장치 | |
US20100071116A1 (en) | Adjustable belt | |
KR101577051B1 (ko) | 압박력 조절구조를 구비하는 복대 | |
KR101873676B1 (ko) | 양면 벨트 사용 가능한 자동 신장 버클 | |
US9142199B1 (en) | Length-adjustable strap | |
KR101847716B1 (ko) | 자동 신장 버클 | |
KR200427532Y1 (ko) | 탄력 신축구조를 가진 허리 벨트용 버클 | |
CN205250554U (zh) | 一种弹力腰带扣 | |
KR101866689B1 (ko) |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 | |
KR200208185Y1 (ko) | 혁대용 버클 | |
CN220655754U (zh) | 一种医用腰椎固定器 | |
US2173468A (en) | Garment support | |
US10925329B2 (en) | Nursing cover | |
JPH065780Y2 (ja) | 医療用ベルト | |
KR200311044Y1 (ko) | 중부하 직포벨트 버클 | |
KR200387187Y1 (ko) | 혁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