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689B1 -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689B1
KR101866689B1 KR1020170038981A KR20170038981A KR101866689B1 KR 101866689 B1 KR101866689 B1 KR 101866689B1 KR 1020170038981 A KR1020170038981 A KR 1020170038981A KR 20170038981 A KR20170038981 A KR 20170038981A KR 101866689 B1 KR101866689 B1 KR 101866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uckle
string
mounting plate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부
Original Assignee
박상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부 filed Critical 박상부
Priority to KR1020170038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2Buckle with fixed prong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는, 일 측단에 고정홈이 형성된 벨트줄;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평행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길이방향 단부에 각각 직교되게 연결되는 투입부 및 배출부와, 상기 투입부와 상기 배출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후면 일 측에 상기 벨트줄의 고정홈이 끼움결합되도록 고정돌기가 형성된 전방 장착판과, 상기 전방 장착판의 후면에서 상기 벨트줄의 표면을 압박하는 후방 누름판을 포함하는 벨트 조임부로 구성되는 버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Belt Assembly with Length Controllable and fixable Buckle}
본 발명은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단일 버클을 통해 벨트줄을 고정하거나 전체 길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벨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클은 의복이나 가방 등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벨트를 결속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서, 버클의 한쪽 끝은 벨트의 한쪽 끝과 결합되고, 다른 한쪽에는 벨트의 다른 쪽 끝부분을 결속하기 위한 수단이 갖추어져 있다.
다만 이러한 벨트들은 대부분 최초의 벨트줄의 길이가 정해지면 이후 더 이상 벨트줄의 전체 길이를 제어할 수 없어 허리사이즈가 늘어가는 경우 등의 상황에서 더는 활용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음의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먼저 국내 등록특허 제 0855350호“허리띠의 버클구조”는 바지가 허리에 고정되도록 하는 벨트(belt) 일측단에 고정되는 버클(buckle)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내측이 개방된 사각링 형태의 버클몸체와, 벨트가 삽입되는 벨트공이 중앙에 형성된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 상하 양끝단에 형성되며 버클몸체 상/하부를 감싸는 중공관에 의해 버클몸체에 고정되는 슬라이드부재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허리띠의 버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버클은 벨트줄을 교체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벨트의 손상우려가 큰 아웃도어나 특수용도로 활용되기에는 다소 문제가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다음으로 국내 등록특허 제 1399176호 “벨트용 버클”은 버클몸체의 내측에서 마주하는 제1측벽이 형성되어 제1측벽의 단부가 제1브릿지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이 제1브릿지의 내측으로 벨트가 통과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측벽의 사이에는 상기 벨트와 접촉하여 고정시키는 걸림쇠가 설치되어 있는 벨트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버클몸체의 제1측벽과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는 제2측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주하는 제2측벽의 중간에는 제2브릿지가 가로질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측벽의 단부에 근접하여 마주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중간이 절곡되어 일측 단부에 톱니부가 형성된 고정쇠가 상기 구멍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버클에 관한 것이다. 위와 같은 버클 또한 벨트줄을 연장시키려면 벨트줄 자체를 갈아야하므로 벨트줄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데에는 다소 문제가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단일 버클을 통해 벨트줄을 고정하거나 전체 길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벨트 어셈블리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허리둘레보다 긴 길이의 벨트줄을 연결하여 벨트를 형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벨트의 길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벨트줄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잠글 수도 있는 단일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벨트줄을 길이조절로커에 고정시키는 데 있어, 별도의 화학적 본딩 등의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은 상태로 벨트줄을 길이조절로커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클 내부의 다양한 돌출구조를 통해 벨트줄을 고정시킨 이후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는, 일 측단에 고정홈이 형성된 벨트줄;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평행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길이방향 단부에 각각 직교되게 연결되는 투입부 및 배출부와, 상기 투입부와 상기 배출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후면 일 측에 상기 벨트줄의 고정홈이 끼움결합되도록 고정돌기가 형성된 전방 장착판과, 상기 전방 장착판의 후면에서 상기 벨트줄의 표면을 압박하는 후방 누름판을 포함하는 벨트 조임부로 구성되는 버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버클은, 상기 전방 장착판과 상기 배출부와의 사이 공간으로서, 상기 벨트줄이 상기 전방 장착판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관통되는 배출공과, 상기 투입부와 상기 전방 장착판과의 사이 공간으로서, 상기 벨트줄이 상기 투입부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관통되는 삽입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벨트줄은, 상기 고정돌기에 결합된 상기 벨트줄의 타 단이 상기 배출공에 삽입 관통되어 배출되고, 상기 배출된 벨트줄의 타 단이 상기 삽입공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전방 장착판의 전면에 장착된 상기 벨트줄의 전면과 밀착된 상태로 상기 배출공을 다시 통과하여 고정되되, 밀착된 상기 벨트줄의 마찰력으로 인해 잠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입부 및 상기 배출부는, 상기 한 쌍의 연장부의 길이방향 단부에 직교되게 연결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에서 상기 전방 장착판과 가까운 측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 연장된 누름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에 의하면,
1) 사용자의 허리둘레보다 긴 길이의 벨트줄의 일 측을 둥글게 말아 이를 잠금으로써 여분의 벨트줄 길이를 제공할 수 있고,
2) 단일 버클을 통해 벨트줄의 고정 및 길이조절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3) 길이조절로커에 벨트줄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부위를 특수하게 형성하여 별도의 후처리 없이도 고정시킨 벨트줄이 빠지지 않도록 하며,
4) 나아가 버클 내부에 다양한 돌출구조가 벨트줄과 연계하여 마찰력 만으로도 잠김 상태에서 쉽게 벨트줄이 풀어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벨트 어셈블리의 체결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버클에서 배출부, 투입부 및 후방 누름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버클에서 마찰돌기와 밀착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버클에서 고정돌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벨트 어셈블리는, 벨트줄(100)과 버클(200)로 구성된다.
본 설명에 사용된 방향을 먼저 명시하자면, 현재 도 1에서 버클(200)이 보여지고 있는 방향은 후방이며, 반대측이 전방이 될 것이고, 중심을 기준으로 배출부(230)가 위치한 방향이 좌측, 투입부(220)가 위치한 방향이 우측이 되며, 위쪽을 상방 아래쪽을 하방이라 하고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다.
벨트줄(100)의 경우, 천이나 직물, 가죽, 인조가죽, 합성직물, 비닐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사람의 몸에 두르거나 기타 다양한 대상에 두를 수 있되 쉽게 끊어지거나 상처입지 않는 충분한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버클(200)은 금속이나 나무, 플라스틱과 같이 외부 충격에도 잘 파손되거나 손상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의 버클(200)은 벨트줄(100)의 일 단부가 버클(200)에 고정된 상태에서 다른 단부가 둘러진 후에 버클(200)을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벨트의 일 측단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고정홈(110)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어 버클(200)에도 고정홈(110)이 끼움결합되도록 고정돌기(244)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버클(200)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버클(20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연장부(210)와 이 연장부(21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 단부에 각각 직교되게 연결되는 투입부(220) 및 배출부(23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투입부(220)와 배출부(230)의 사이에는 전방 장착판(241) 및 후방 누름판(242)으로 구성되는 벨트 조임부(240)가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전방 장착판(241)은 도면에서 나타나있듯이 버클(200)의 전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전방 장착판(241)의 후면 일 측에는 벨트줄(100)의 고정홈(110)이 끼움결합되는 고정돌기(244)가 형성된다. 즉, 고정돌기(244) 또한 고정홈(110)이 형성된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후방 누름판(242)은 전방 장착판(241)의 후면에 위치하는 것이되, 그 면적이 전방 장착판(241)과 동일할 필요는 없다. 이 후방 누름판(242)은 전방 장착판(241)의 후면에 위치한 벨트줄(100)의 표면을 추가로 압박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벨트 어셈블리의 체결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버클(200)의 구성에 있어서 전방 장착판(241)과 배출부(230)의 사이 공간은 배출공(231)으로, 투입부(220)와 전방 장착판(241)의 사이공간은 삽입공(221)으로 명명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배출공(231)과 삽입공(221)을 통해 버클(200)에 벨트줄(100)을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고정돌기(244)에 결합된 벨트줄(100)의 타 단이 배출공(231)에 삽입 관통되어 배출되고, 배출된 벨트줄(100)의 타 단은 다시 삽입공(221)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통과하여 삽입되어 전방 장착판(241)의 전면이자 전방 장착판(241)의 전방에 원래 위치하고 있던 벨트줄(10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다시 배출공(231)을 통과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벨트줄(100)은 전방 장착판(241)의 전면과 배출공(231)을 통과하면서 밀착되게 되며, 이 때 밀착에 의한 마찰력으로 1차적으로 고정되고, 나아가 배출공(231)을 지나 위치하는 배출부(230)의 후면에서 벨트줄(100)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밀려 위치하기 때문에 여기서 발생하는 강한 마찰력으로 벨트의 잠금상태를 형성하고, 잠금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단일 버클(200)로도 벨트줄(100)의 고정과 잠금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버클에서 배출부, 투입부 및 후방 누름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시 버클(200)의 상세 구성으로 돌아와, 투입부(220)와 배출부(230)는 다음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장 먼저 수평판(233)은 한 쌍의 연장부(210)의 길이방향 단부에 직교되게 연결되는 것이며, 이 수평판(233)에서 전방 장착판(241)과 가까운 측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 연장된 누름벽(23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투입부(220)와 배출부(230)가 단순하게 수평판(233)만 존재하거나 누름벽(232)만 존재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으나, 수평판(233)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삽입공(221) 또는 배출공(231)을 통해 유입된 벨트줄(100)이 거의 평행하게 수평판(233)의 후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대로 지지되지 않아 조금만 힘을 주더라도 좌우로 움직일 수 있으며, 누름벽(232)만 존재하는 경우라면 앞선 수평판(233)만 존재하는 경우와 달리 힘을 주더라도 좌우로 움직이지는 않겠지만, 과도한 힘이 한 부분에 집중되기 때문에 오히려 벨트줄(100)이 쉽게 끊어져버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각각의 장점을 취하되, 단점을 줄일 수 있는 두 구성을 동시에 적용하여 활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누름벽(232)에는 벨트줄(100)과 맞닿는 후면 일 측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된 복수개의 마찰돌기(235)가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마찰돌기(235)를 통해 누름벽(232)이 벨트줄(100)을 압박하는 경우보다는 힘을 가하는 면적이 줄어들어 강력한 압박이 제공되지는 않겠지만, 보다 지엽적으로 다양한 위치에 압박을 가할 수 있어 오히려 기존 구성 대비 확실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배출부(230)의 경우 앞선 결합구성에서 설명한 것을 다시 한 번 떠올려보면, 벨트줄(100)이 각각 밀착된 상태에서 배출부(230)의 후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고 하였다. 이 때, 마찰돌기(235)의 구성은 이 배출부(230)의 후면에 밀착된 벨트줄(100)을 한 번 더 압박하는 효과를 갖게 되므로 보다 강력한 고정구성을 갖출 수 있게 되는 중요한 구성이라 하겠다.
따라서 이 마찰돌기(235)와 벨트줄(100)간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마찰돌기(235)의 경우 누름벽(232)의 표면 마찰계수보다 큰 표면 마찰계수를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이 경우, 표면 마찰계수가 커지면 보다 벨트줄(100)의 표면을 미끄러지지 않고 강하게 붙잡을 수 있는 구성으로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 나아가, 누름벽(232)에는 이 마찰돌기(235)와 연계하여 벨트줄(100)의 표면을 압박함으로써 벨트줄(100)이 용이하게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밀착부(300)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버클에서 마찰돌기와 밀착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즉, 벨트줄(100)의 표면을 압박하도록 마찰돌기(235)의 일 측으로부터 벨트줄이 위치항 방향, 구체적으로는 누름벽(232)의 상면 일 측이자 배출공(231)이 위치한 방향을 향해 연장된 것으로서, 높이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탄성 재질의 밀착부(300)를 더 구성하는 것이다.
이 밀착부(300)는 누름벽(232)의 상부 표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마찰돌기(235)로부터 배출공(231)이 위치한 방향을 향해 연장된 것으로서, 높이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되 탄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밀착부(300)가 마찰돌기(235)보다 더욱 높은 높이로 형성되어있어 벨트줄(100)과 가장 먼저 맞닿게 되나 탄성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벨트줄(100)과 강한 밀착을 형성하며, 동시에 추가적으로 마찰돌기(235)까지 벨트줄(100)에 닿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밀착부(300)의 종단면은, 마찰돌기(235)와 맞닿은 밀착부(300)의 시작점(301)으로부터 제1 변곡점(302)까지 제1 곡도로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 연장된 제1 돌출연장부(305)와, 제1 변곡점(302)으로부터 제2 변곡점(303)까지 제1 곡도보다 큰 제2 곡도로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 연장된 제2 돌출연장부(306)와, 제2 변곡점(303)으로부터 투입부(220)와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한 종료점(304)까지 제1곡도보다 작은 제3 곡도로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 연장된 제3 돌출연장부(30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여기서 시작점(301)은 종단면을 기준으로 마찰돌기와 맞닿은 위치를 의미하며, 이 시작점(301)으로부터 제1 변곡점(302)까지 제1 곡도로 볼록하게 돌출된 제1 돌출연장부(305)가 위치한다. 이 제1 돌출연장부(305)는 벨트줄(100)의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것으로서, 벨트줄(100)이 고정된 상태에서 움직일 때에 제1 돌출연장부(305)에 의해 벨트줄(100)에 압박을 가할 수 있어 벨트줄(100)이 쉽게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 제1 변곡점(302)으로부터 제2 변곡점(303)까지는 제1 곡도보다 큰 제2 곡도로 볼록하게 돌출 연장된 제2 돌출연장부(306)가 위치한다. 이 때, 제1 돌출연장부(305)와 제2 돌출연장부(306)는 원을 4등분하였을 때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형성하며, 동시에 그 길이는 제1 돌출연장부(305)보다 작게(바람직하게는 절반 이하) 형성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하겠다. 따라서, 제1 돌출연장부(305)의 반대측 방향에서 볼록하게 돌출되는 연장선의 위치로서 제2 돌출연장부(306)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2 돌출연장부(306)는 벨트줄(100)의 진행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되, 다만 그 표면이 둥글게 형성되어 벨트줄(100)을 삽입할 때 용이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후 이 제2 돌출연장부(306)의 후방에는 종료점(304)이자 배출공(231)과 가장 가까운 위치까지 내측으로 볼록하게 연장된 제3 돌출연장부(307)가 위치한다. 이 때, 제3 돌출연장부(307)의 경우 제1 곡도보다 작은 제3 곡도로 오목하게 연장되게 되는데, 이 부분은 벨트줄(100)이 삽입되어 고정된 이후 벨트줄(100)에 압력이 가해질 때, 벨트줄(100)이 일정부분 돌출되어 보관될 수 있는 부분이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벨트줄(100)이 쉽게 끊어지지 않을뿐더러 압력에 의해 밀려날 때 역행을 방지함으로써 길이조절 이후 효과적으로 벨트줄(10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후방 누름판(242)의 상세한 구성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앞선 설명에서 후방 누름판(242)은 벨트줄(100)을 누르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이 벨트줄(100)은 삽입공(221)을 통해 삽입되어 들어온 벨트줄(100)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버클(200)은 전방 장착판(241)의 후면에서 고정된 벨트줄(100)의 후면을 누르는 역할을 하며, 따라서 벨트줄(100)이 전방 장착판(241)에서 빠지지 않도록 보조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후방 누름판(242)에는 누름부(243)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 누름부(243)는 투입부(220)와 마주보는 위치로부터 배출부(230)와 마주보는 위치까지 높이가 증가되도록 경사지게 연장된 것으로서, 강력하게 압박할 수 있는 경사구성을 통해 쉽게 벨트줄(100)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더 나아가, 누름부(243)의 구성으로 벨트줄(100)의 표면과 충분한 마찰력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경우라면, 벨트줄(100)의 고정홈(110)을 고정돌기(244)에 삽입하지 않고도 누름부(243)와 벨트줄(100)간의 마찰력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벨트줄(100)의 특성 상 벨트줄(10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따로 벨트줄(100)을 자를 필요 없이 단순히 뒤로 좀 더 빼내는 것으로 벨트줄(100)의 길이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 되는 것이다. 또한, 누름부(243) 뿐만 아니라, 전방 장착판(241)의 전면부에서도 벨트줄(100)끼리의 마찰력으로 한 번 더 위치를 고정시키기 때문에 벨트가 풀려버릴 우려가 없어 이러한 구성을 고려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벨트줄(100)에서 고정홈(110)이 위치하던 부위의 두께를 보다 두껍게 형성하거나, 혹은 벨트줄(100)을 말아 두께를 두껍게 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별도의 접착수단이나 고정수단이 더 제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러한 잠금구성이 적용되더라도, 실질적으로 최초 벨트줄(100)이 고정되는 고정돌기(244)의 구성이 튼튼하지 못하면 버클(200)로서의 구실을 할 수 없기 마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버클에서 고정돌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따라서, 고정돌기(244)는 기본적으로 원통형의 돌기바디(247)로 구성되되, 돌기바디(247)의 상면 일 측에는, 배출부(230)와 가까운 부위로부터 투입부(220)와 가까운 부위로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챔퍼면(245)이 형성된다. 이 챔퍼면(245)은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벨트줄(100)이 끼워지기 용이한 방향으로 챔퍼면(245)이 형성되어 벨트줄(100)을 고정돌기(244)에 끼우는 경우에는 쉽게 끼워지되, 벨트줄(100)이 고정돌기(244)로부터 빠져나올 때에는 챔퍼면(245)이 존재하지 않아 쉽게 벨트줄(100)이 고정돌기(244)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더하여, 돌기바디(247)는 고정돌기(244)가 걸리는 방향이자 측면 일 측에서 배출부(230)와 마주보는 부위를 함입한 함입 걸림부(24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홈(110)은 함입 걸림부(246)에 걸려 마치 구멍에 공이 들어가 안착되는 것과 같은 형태로 고정됨으로써 보다 고정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라고 하겠다.
나아가, 앞선 챔퍼면(245)을 활용하는 것으로서, 다음의 구성도 포함될 수 있다.
벨트줄(100)의 표면을 압박하도록 챔퍼면(245)의 표면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탄성재질의 보조 걸림부(250)를 더 포함하는 것인데, 이 보조 걸림부(250)는 벨트줄(100)이 더더욱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기존의 챔퍼면(245)만 형성된 경우에는 돌기바디(247) 또는 함입 걸림부(246)에서 벨트줄(100)이 이탈되었을 때, 이 돌기바디(247)의 높이만큼만 벨트줄(100)이 이동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벨트줄(100)이 빠져버릴 수 있었으나, 추가적으로 보조 걸림부(250)가 더 형성된다면, 보조 걸림부(250)의 높이만큼 벨트줄(100)이 더 이동되어야만 돌기바디(247)에서 벨트줄(100)이 이탈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탄성재질로 인해 벨트줄(100)이 보조 걸림부(250)에 닿게 되면 일정 수준 늘어나기 때문에 벨트줄(100)이 인위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보조 걸림부(250)로부터 자연스럽게 이탈되기 어렵도록 구성한 것이라 하겠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벨트줄 110: 고정홈
200: 버클 210: 연장부
220: 투입부 221: 삽입공
230: 배출부 231: 배출공
232: 누름벽 233: 수평판
234: 릴리징부 235: 마찰돌기
240: 벨트 조임부 241: 전방 장착판
242: 후방 누름판 243: 누름부
244: 고정돌기 245: 챔퍼면
246: 함입 걸림부 247: 돌기바디
250: 보조 걸림부 300: 밀착부
301: 시작점 302: 제1 변곡점
303: 제2 변곡점 304: 종료점
305: 제1 돌출연장부 306: 제2 돌출연장부
307: 제3 돌출연장부

Claims (13)

  1.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로서,
    일 측단에 고정홈이 형성된 벨트줄;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평행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양 단에 각각 직교되게 연결되는 투입부 및 배출부와,
    상기 투입부와 상기 배출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후면 일 측에 상기 벨트줄의 고정홈이 끼움결합되도록 고정돌기가 형성된 전방 장착판과, 상기 전방 장착판의 후면에서 상기 벨트줄의 표면을 압박하는 후방 누름판을 포함하는 벨트 조임부로 구성되는 버클;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돌기는,
    원통형의 돌기바디로 구성되고
    상기 돌기바디의 상면 일 측에는,
    상기 배출부와 가까운 부위로부터 상기 투입부와 가까운 부위로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챔퍼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상기 전방 장착판과 상기 배출부와의 사이 공간으로서, 상기 벨트줄이 상기 전방 장착판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관통되는 배출공과,
    상기 투입부와 상기 전방 장착판과의 사이 공간으로서, 상기 벨트줄이 상기 투입부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관통되는 삽입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줄은,
    상기 고정돌기에 결합된 상기 벨트줄의 타 단이 상기 배출공에 삽입 관통되어 배출되고,
    상기 배출된 벨트줄의 타 단이 상기 삽입공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전방 장착판의 전면에 장착된 상기 벨트줄의 전면과 밀착된 상태로 상기 배출공을 다시 통과하여 고정되되,
    밀착된 상기 벨트줄의 마찰력으로 인해 잠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 및 상기 배출부는,
    상기 한 쌍의 연장부의 길이방향 단부에 직교되게 연결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에서 상기 전방 장착판과 가까운 측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 연장된 누름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벽은,
    상기 벨트줄과 맞닿는 후면 일 측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된 복수개의 마찰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돌기는,
    상기 누름벽의 표면 마찰계수보다 큰 표면 마찰계수를 갖는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벽은,
    상기 벨트줄의 표면을 압박하도록 상기 마찰돌기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벨트줄이 위치한 방향을 향해 연장된 것으로서, 높이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탄성 재질의 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의 종단면은,
    상기 마찰돌기와 맞닿은 시작점으로부터 제1 변곡점까지 제1 곡도로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 연장된 제1 돌출연장부와,
    상기 제1 변곡점으로부터 제2 변곡점까지 상기 제1 곡도보다 큰 제2 곡도로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 연장된 제2 돌출연장부와,
    상기 제2 변곡점으로부터 상기 벨트줄과 맞닿은 종료점까지 상기 제1곡도보다 작은 제3 곡도로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 연장된 제3 돌출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누름판은,
    상기 전방 장착판과 마주보는 면에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투입부와 마주보는 위치로부터 상기 배출부와 마주보는 위치를 향해 높이가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된 누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바디는,
    측면 일 측에서 상기 배출부와 마주보는 부위를 함입한 함입 걸림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고정홈이 상기 함입 걸림부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퍼면에는,
    상기 벨트줄의 표면을 압박하도록 상기 챔퍼면의 표면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탄성재질의 보조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
KR1020170038981A 2017-03-28 2017-03-28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 KR101866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981A KR101866689B1 (ko) 2017-03-28 2017-03-28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981A KR101866689B1 (ko) 2017-03-28 2017-03-28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6689B1 true KR101866689B1 (ko) 2018-06-11

Family

ID=62600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981A KR101866689B1 (ko) 2017-03-28 2017-03-28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6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49357A (zh) * 2020-06-03 2021-12-07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扣具结构、扣具组件及抱婴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8848U (ja) * 1995-04-27 1995-11-28 株式会社バイムス ウェストベルト
KR100588971B1 (ko) * 2003-10-28 2006-06-14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버클에 있어서의 손가락걸림부분측의 구조
JP2009171989A (ja) * 2006-10-26 2009-08-06 Kazuyo Iwatani ベルト調節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8848U (ja) * 1995-04-27 1995-11-28 株式会社バイムス ウェストベルト
KR100588971B1 (ko) * 2003-10-28 2006-06-14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버클에 있어서의 손가락걸림부분측의 구조
JP2009171989A (ja) * 2006-10-26 2009-08-06 Kazuyo Iwatani ベルト調節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49357A (zh) * 2020-06-03 2021-12-07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扣具结构、扣具组件及抱婴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4056A (en) Universal shoe sling
US20180153266A1 (en) Removable Belt Buckle System
KR200405410Y1 (ko) 버클
US7103993B2 (en) Independent adjustment for sandal single strap system
US5465506A (en) Sandal fastening system
KR100536447B1 (ko) 미리 장전 가능한 코드 고정 기구
US20120102631A1 (en) Buckle device with elastic band and article including the same
US6327751B1 (en) Code holding buckle
KR101866689B1 (ko)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
TW201635938A (zh) 帶扣
KR200486673Y1 (ko)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
TWM514019U (zh) 雪鏡束帶固定結構
CN108495570B (zh) 紧固装置以及紧固系统
KR100756277B1 (ko) 버클
US9027811B1 (en) Handgun holster
US2807849A (en) Belt connection
KR101775157B1 (ko) 장화
US20050076480A1 (en) Zipper slide
US20230329426A1 (en) Armband fastening assembly for a wearable accessory arm strap
KR200473562Y1 (ko) 혁대 버클
US3533172A (en) Shoe fastener
JP6593907B1 (ja) 衣服用ベルト
KR20100109070A (ko) 체결버클
US2595694A (en) Detachable shoe sole
US7065842B2 (en) Arrangement of a strap with a slidable ring-shaped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