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8971B1 - 버클에 있어서의 손가락걸림부분측의 구조 - Google Patents

버클에 있어서의 손가락걸림부분측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8971B1
KR100588971B1 KR1020040085779A KR20040085779A KR100588971B1 KR 100588971 B1 KR100588971 B1 KR 100588971B1 KR 1020040085779 A KR1020040085779 A KR 1020040085779A KR 20040085779 A KR20040085779 A KR 20040085779A KR 100588971 B1 KR100588971 B1 KR 100588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side frame
finger
cross ba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0741A (ko
Inventor
요시구치마나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50040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0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8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8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4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out movable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10T24/4086Looped strap

Landscapes

  • Buckl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과제) 띠형상체의 일측에 대한 버클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해서 형성되는 손가락걸림부분을 조작자가 손으로 더듬어 찾기 쉽고, 또한 이 손가락걸림부분에 깊게 손가락끝을 걸지 않아도 이 고정을 해제하는 조작을 확실히 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부(3,3) 사이에 걸치는 제 1 크로스 바(4) 및 제 2 크로스 바(5)와, 제 2 크로스 바(5)에서 사이드 프레임부(3)의 단부(30)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편형상을 이루는 손가락걸림판부(10)를 가지고 있다. 손가락걸림판부(10)에 있어서의 사이드 프레임부(3)의 단부(30)를 향한 판 가장자리부(11)중, 적어도 사이드 프레임부(3)와의 연접측에 있는 판 가장자리부(12)보다 전방으로 사이드 프레임부(3)의 단부(30)가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버클에 있어서의 손가락걸림부분측의 구조{STRUCTURE OF FINGER HOLDING PART SIDE IN BUCKLE}
도 1은 버클(R)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버클(R)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버클(R)의 배면도
도 4는 도 1의 버클(R)의 정면도
도 5는 도 1의 버클(R)의 좌측면도
도 6은 도 1의 버클(R)의 우측면도
도 7은 도 2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도 2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
도 9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W - 띠형상체 R - 버클
Ra - 전면측 Rb - 배면측
3 - 사이드 프레임부 30 - 단부
4 - 제 1 크로스 바 5 - 제 2 크로스 바
1 - 손가락걸림부분 10 - 손가락걸림판부
11,12 - 판 가장자리부
본 발명은 2개의 띠형상체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버클의 일부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부의 사이에 걸치는 4개의 크로스 바를 가지며, 전체로서 테두리형상을 이루는 버클로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나타내어진 것이 있다. 이들 버클에 있어서는 양단부의 크로스 바 사이에 있는 2개의 크로스 바 중의 1개에 띠형상체를 걸어 돌리고, 또한 이 2개의 크로스 바 중의 다른 1개에 띠형상체를 걸어 돌려서, 양 띠형상체를 버클을 통해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버클의 일단부측에는 손가락걸림판부가 형성되어 있고, 걸어 돌려진 2개의 띠형상체의 일측에 대한 고정을 이 손가락걸림판부에 손가락을 걸어서 버클의 이 손가락걸림판부를 들어 올리도록 조작함으로써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들 버클의 손가락걸림판부는 상기 4개의 크로스 바 중, 버클의 일단부측에 있는 1개의 크로스 바로부터 전방에 일체로 돌출된 판편형상을 이 루어 고정되는 것이었기 때문에, 손가락걸림판부를 손으로 더듬어 찾는 경우, 손가락걸림판부의 돌출 가장자리부에 손가락의 끝이 닿아도 이 가장자리부를 더듬는 것만으로는 이 가장자리부가 손가락걸림판부의 가장자리인지 아닌지가 촉각에 의해서 인식하기가 어렵고, 또한 손가락걸림판부에 얕게 손가락끝을 거는 것만으로는 상기 들어올림조작의 과정에서 손가락걸림판부로부터 손가락끝이 빠져 버리기 쉬운 것이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의장등록 제67537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의장등록 제938391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주된 문제점은, 이러한 종류의 버클에 있어서의 띠형상체의 일측에 대한 버클의 고정을 해제하는 조작을 위하여 형성되는 손가락걸림부분을 조작자가 손으로 더듬어 찾기 쉽고, 또한 이 손가락걸림부분에 깊게 손가락끝을 걸지 않아도, 이 고정을 해제하는 조작을 확실히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버클에 있어서의 손가락걸림부분측의 구조가 이하의 (1)∼(4)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1) 2개의 띠형상체를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버클에 있어서의 손가락걸 림부분측의 구조로서,
(2)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부와,
상기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부 사이에 걸치는 제 1 크로스 바와,
상기 제 1 크로스 바와 사이드 프레임부의 단부와의 사이에 있어서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부 사이에 걸치는 제 2 크로스 바와,
제 2 크로스 바에서 사이드 프레임부의 단부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편형상을 이루는 손가락걸림판부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3) 버클의 배면측에서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부내에 인입되고 버클의 전면측으로 일단 인출된 후, 제 1 크로스 바와 제 2 크로스 바의 사이에 통과되어 버클의 배면측으로 다시 인출되도록 해서 제 1 크로스 바에 걸어 돌려진 2개의 띠형상체의 일측에 대한 고정을, 버클의 배면측에서 손가락걸림판부에 손가락을 걸고, 상기 버클에 있어서의 상기 손가락걸림판부를 들어 올리는 조작에 의해서 해제되도록 하고 있고,
(4) 또한, 손가락걸림판부에 있어서의 사이드 프레임부의 단부를 향한 판 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사이드 프레임부와의 연접측에 있는 판 가장자리부보다 전방으로 사이드 프레임부의 단부가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띠형상체의 일측에 대한 버클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상기의 조작을 행함에 있어서, 손가락걸림판부를 손으로 더듬어 찾고 이것을 행하고자 하는 경우, 이 손가락걸림판부에 있어서의 사이드 프레임부의 단부를 향한 판 가장자리부를 손가락끝으로 더듬어 가면 손가락끝의 측부가 사이드 프레임부의 내면에 부딪치기 때문에, 이러한 더듬어 찾는 동작에 의해서 한번에 손가락걸림판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더듬어 찾는 동작을 반복할 필요가 없다. 또 손가락걸림판부에 손가락을 건 후 버클을 상기한 바와 같이 들어 올리는 조작에 있어서도, 이와 같이 걸려진 손가락끝의 양측에 사이드 프레임의 내면이 위치되기 때문에 이 들어올림조작의 과정에서 손가락걸림판부로부터 손가락이 잘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다. 특히, 손가락걸림판부에 얕게 손가락끝을 걸어도 이 손가락걸림판부로부터 손가락이 잘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손가락걸림판부에 있어서의 사이드 프레임부의 일단부를 향한 판 가장자리부가 이 손가락걸림판부의 중앙측을 향함에 따라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산형상의 윤곽을 가지도록 형성시켜 둘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손가락걸림판부에 있어서의 사이드 프레임부의 단부를 향한 판 가장자리부를 손가락끝으로 더듬는 동작을 통하여, 손가락걸림판부의 중앙을 조작자에게 확실히 인식하게 할 수 있고, 이 인식에 의거해서 손가락걸림판부의 중앙에 손가락을 확실히 걸게 할 수 있다.
또 버클의 전면측 및 버클의 배면측의 양측에 있어서, 손가락걸림판부의 면보다 바깥쪽으로 사이드 프레임부의 면이 위치되도록 해 둘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이러한 사이드 프레임부에 의해서 손가락걸림판부를 보호할 수 있고, 버클을 그 전면측 또는 배면측에서 밟아 누르거나 한 경우라도, 이러한 손가락걸림판부에 가능한 한 파손 등을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사이드 프레임부의 단부가 손가락걸림판부에 있어서의 이 사이드 프레임 부의 단부를 향한 판 가장자리부의 어떠한 개소에 있어서도, 이 판 가장자리부와 거의 동일한 위치이거나, 또는 이 판 가장자리부보다 바깥쪽에 위치되도록 해 둘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이러한 사이드 프레임부에 의해서 손가락걸림판부를 보호할 수 있고, 버클에 대해 손가락걸림판부의 돌출측에서 외력이 작용된 경우라도, 이러한 손가락걸림판부에 가능한 한 파손 등을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 1 내지 도 10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구조를 구비한 버클(R)을 각각 나타내고 있고, 또 도 9는 이러한 버클(R)을 통해서 2개의 띠형상체(W,W)가 연결된 상태를, 또 도 10은 이러한 버클(R)에 있어서의 손가락걸림부분(1)을 조작해서, 이 버클(R)과 연결된 2개의 띠형상체(W,W)의 일측과의 고정을 해제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구조는 2개의 띠형상체(W,W)를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버클(R)의 일부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구조는 버클(R)을 통해서 2개의 띠형상체(W,W)를 연결하는 이 버클(R)에 있어서의 손가락걸림부분(1)측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버클(R)로서는, 2개의 띠형상체(W,W)의 통과부를 2개소 구비하고, 이 2개소의 통과부에 각각 띠형상체(W)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버클(R)을 통해서 이 2개의 띠 형상체(W,W)를 연결하는 타입의 것과,
2개의 띠형상체(W,W)의 일측이 통과되는 통과부를 구비한 수버클과, 2개의 띠형상체(W,W)의 타측이 통과되는 통과부를 구비한 암버클로 이루어지고, 이 수버클과 암버클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수버클의 통과부에 통과된 띠형상체(W)와 암버클의 통과부에 통과된 띠형상체(W)를 연결하는 타입의 것 등이 예정된다{이 타입의 버클(R)에는, 전형적으로 수버클과 암버클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조작방향이 횡방향이 되는 사이드 릴리스 타입의 버클, 수버클과 암버클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조작방향이 정면방향이 되는 프론트 릴리스 타입의 버클이 있다}.
도시된 예는, 이 중의 2개의 띠형상체(W,W)의 통과부(2)를 2개소 구비하고, 이 2개소의 통과부(2,2)에 각각 띠형상체(W)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버클(R)을 통해서 이 2개의 띠형상체(W,W)를 연결하는 타입의 버클(R)이다.
이러한 버클(R)은 2개소의 통과부(2,2)의 일측에 통과된 2개의 띠형상체(W,W)의 일측에 대한 고정을 버클(R)의 일부에 손가락끝(F)을 걸고, 이 손가락끝(F)을 건 측을 들어 올리도록 조작함으로써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버클(R)에 있어서의 이 손가락걸림조작을 위하여 손가락끝(F)이 걸리는 측을 손가락걸림부분(1)측이라 한다.
버클(R)에 있어서의 이러한 손가락걸림부분(1)측은,
(1)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부(3,3)와,
(2) 이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부(3,3) 사이에 걸치는 제 1 크로스 바(4)와,
(3) 이 제 1 크로스 바(4)와 사이드 프레임부(3)의 일단부(30)와의 사이에 있어서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부(3,3) 사이에 걸치는 제 2 크로스 바(5)와,
(4) 제 2 크로스 바(5)에서 사이드 프레임부(3)의 일단부(30)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돌편형상을 이루는 손가락걸림판부(10)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2개의 띠형상체(W,W)의 일측을 버클(R)의 배면측(Rb)에서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부(3,3)내에 인입하고 버클(R)의 전면측(Ra)으로 일단 인출시킨 후, 제 1 크로스 바(4)와 제 2 크로스 바(5)의 사이에 통과하게 해서 버클(R)의 배면측(Rb)으로 다시 인출하도록 하여 제 1 크로스 바(4)에 걸어 돌리고,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부(3,3)의 타단부(31)측에 있어서 이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부(3,3) 사이에 걸치는 제 3 크로스 바(6)와, 이 제 3 크로스 바(6)와 제 1 크로스 바(4)의 사이에 있어서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부(3,3) 사이에 걸치는 제 4 크로스 바(7)가 또한 구비되어 있고, 도시된 버클(R)은 이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부(3,3)와 제 1∼제 4 크로스 바(4∼7)에 의해서, 테두리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띠형상체(W,W)의 타측을 버클(R)의 배면측(Rb)에서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부(3,3)내에 인입하고 버클(R)의 전면측(Ra)으로 일단 인출시킨 후, 제 3 크로스 바(6)와 제 4 크로스 바(7)의 사이에 통과하게 해서 버클(R)의 배면측(Rb)으로 다시 인출하도록 하여 제 4 크로스 바(7)에 걸어 돌리고,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부(3,3)는 가늘고 긴 판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부(3,3)는 각각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의 단부면(32)을, 이 길이방향에 따른 타측의 단부면(33)측을 만곡 내측으로 하도록 완만하게 만곡시키고 있고, 이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의 단부면(32)측이 버클(R)의 전면측(Ra)이 되고, 길이방향에 따른 타측의 단부면(33)측이 버클(R)의 배면측(Rb)이 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 1 크로스 바(4)는 그 전면(前面)(40)을 사이드 프레임부(3)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의 단부면(32)과 동일면상에 위치하게 함과 아울러, 제 2 크로스 바(5)측을 향한 측면(41)을 버클(R)의 두께방향을 따른 면으로 하고, 이 전면(40)과 측면(41)의 사이에 제 1 모서리부(42)를 형성시키고 있다. 이것과 함께, 제 1 크로스 바(4)와 사이드 프레임부(3)의 길이방향에 따른 타측의 단부면(33)과의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2 크로스 바(5)는 그 배면(50)을 사이드 프레임부(3)의 길이방향에 따른 타측의 단부면(33)과 동일면상에 위치하게 함과 아울러, 이 배면측(Rb)에 있는 제 1 크로스 바(4)측을 향한 측면(51)의 일부를 버클(R)의 두께방향을 따른 면으로 하고, 이 배면(50)과 측면(51)의 사이에 제 2 모서리부(52)를 형성시키고 있다. 이것과 함께, 제 2 크로스 바(5)와 사이드 프레임부(3)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의 단부면(32)과의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크로스 바(4)와 제 2 크로스 바(5)의 사이에는, 띠형상체(W)의 일측을 무리없이 통과하여 빠지게 하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지만, 버클(R)의 두께방향을 따른 상기 제 1 모서리부(42)를 지나는 가상의 직선(y)과 상기 제 2 모서리부(52)를 지나는 가상의 직선(x)과의 사이의 간격은 이것보다 좁아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크로스 바(4)에 걸어 돌려진 띠형상체(W)의 일측 중의, 버클(R)의 배면에 직접 접하게 되는 전측(前側) 인출부분(Wa)은 이것보다 바깥쪽에 위치되는 배측(背側) 인출부분(Wb)에 텐션이 작용되고 있는 동안에는, 배측 인출부분(Wb)에 압압되어서 제 2 모서리부(52)에 강하게 압착되게 되고, 이것에 의해서 이 띠형상체(W)의 일측에 대해 버클(R)이 고정되게 된다(도 9).
이 고정상태에서, 버클(R)의 배면측(Rb)에서 상기 손가락걸림판부(10)에 손가락을 걸고, 이 버클(R)에 있어서의 이 손가락걸림판부(10)를 들어 올리는 조작을 행하면, 배측 인출부분(Wb)에 의한 전측 인출부분(Wa)의 압착이 없어지고, 띠형상체(W)의 일측에 대한 버클(R)의 고정이 해제된다(도 10). 이 해제상태에 있어서 이 띠형상체(W)의 일측을 버클(R)내로부터 풀어 내면, 버클(R)을 통한 2개의 띠형상체(W,W)의 연결은 해제되고, 또 전측 인출부분(Wa)의 인출량을 조정한 후, 버클(R)의 상기 들어올림조작을 중지하면, 2개의 띠형상체(W,W)의 일측에 대한 버클(R)의 고정위치를 바꿀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조작을 행하기 위한 상기 손가락걸림판부(10)에 있어서의 사이드 프레임부(3)의 단부(30)를 향한 판 가장자리부(11)중, 적어도 사이드 프레임부(3)와의 연접측에 있는 판 가장자리부(12)보다 전방으로 사이드 프레임부(3)의 단부(30)가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띠형상체(W)의 일측에 대한 버클(R)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상기 조작을 행함에 있어서, 손가락걸림판부(10)를 손가락으로 더듬어 찾고 이것을 행하고자 하는 경우, 이 손가락걸림판부(10)에 있어서의 사 이드 프레임부(3)의 단부(30){도시된 예에서는 일단부(30)}를 향한 판 가장자리부(11)를 손가락끝(F)으로 더듬어 가면 손가락끝(F)의 측부가 사이드 프레임부(3)의 내면(34), 즉 손가락걸림판부(10)에 있어서의 사이드 프레임부(3)의 단부(30)를 향한 판 가장자리부(11)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사이드 프레임부(3)의 내면(34)에 부딪치기 때문에, 이러한 더듬어 찾는 동작에 의해서 한번에 손가락걸림판부(10)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더듬어 찾는 동작을 반복할 필요가 없다. 또 손가락걸림판부(10)에 손가락을 건 후 버클(R)을 상기한 바와 같이 들어 올리는 조작에 있어서도, 이와 같이 걸린 손가락끝(F)의 양측에 사이드 프레임의 내면(34)이 위치되기 때문에 이 들어올림조작의 과정에서 손가락걸림판부(10)로부터 손가락이 잘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다. 특히, 손가락걸림판부(10)에 얕게 손가락끝(F)을 걸어도 이 손가락걸림판부(10)로부터 손가락이 잘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손가락걸림판부(10)에 있어서의 사이드 프레임부(3)의 일단부(30)를 향한 판 가장자리부(11)가 이 손가락걸림판부(10)의 중앙측을 향함에 따라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산형상의 윤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손가락걸림판부(10)에 있어서의 사이드 프레임부(3)의 단부(30)를 향한 판 가장자리부(11)를 손가락끝(F)으로 더듬는 동작을 통해서, 손가락걸림판부(10)의 중앙을 조작자에게 확실히 인식시킬 수 있고, 이 인식에 의거해서 손가락걸림판부(10)의 중앙에 손가락을 확실히 걸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버클(R)의 전면측(Ra) 및 버클(R)의 배면측(Rb)의 양측에 있어서, 손가락걸림판부(10)의 면(13)보다 바깥쪽으로 사이드 프레임부(3)의 면, 즉, 사이드 프레임부(3)의 길이방향을 따른 일측 단부면(32) 및 타측 단부면(33)이 위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사이드 프레임부(3)에 의해서 손가락걸림판부(10)를 보호하게 할 수 있고, 버클(R)을 그 전면측(Ra) 또는 배면측(Rb)에서 밟아 누르거나 한 경우라도, 이러한 손가락걸림판부(10)에 가능한 한 파손 등을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이드 프레임부(3)의 단부(30)가, 손가락걸림판부(10)에 있어서의 이 사이드 프레임부(3)의 단부(30)를 향한 판 가장자리부(11)의 어떠한 개소에 있어서도, 이 판 가장자리부(11)와 거의 동일한 위치이거나, 또는 이 판 가장자리부(11)보다 바깥쪽에 위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사이드 프레임부(3)에 의해서 손가락걸림판부(10)를 보호하게 할 수 있고, 버클(R)에 대해 손가락걸림판부(10)의 돌출측에서 외력이 작용된 경우라도, 이러한 손가락걸림판부(10)에 가능한 한 파손 등을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손가락걸림판부(10)는 제 2 크로스 바(5)에 있어서의 버클(R)의 전면측(Ra)에 위치하는 전부(前部)(53)에 일단부를 일체로 연접하게 함과 아울러, 좌우 양단부를 사이드 프레임부(3)의 내면에 일체로 연접하게 하고, 이 사이드 프레임부(3)의 일단부(30)측을 향해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손가락걸림판부(10)는 버클(R)의 배면측(Rb)으로 향하여진 측을 손가락걸림면(14)으로 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2개의 띠형상체를 연결하는 기능을 구비한 버클에 있어서의 상기 띠형상체의 일측에 대한 버클의 고정을 해제하는 조작을 위하여 형성되는 손가락걸림부분을 조작자가 손으로 더듬어 찾기 쉽고, 또한 이 손가락걸림부분에 깊게 손가락끝을 걸지 않아도 이 고정을 해제하는 조작을 확실히 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Claims (5)

  1. 2개의 띠형상체를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버클에 있어서의 손가락걸림부분측의 구조로서,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부와,
    상기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부 사이에 걸치는 제 1 크로스 바와,
    상기 제 1 크로스 바와 사이드 프레임부의 단부와의 사이에 있어서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부 사이에 걸치는 제 2 크로스 바와,
    제 2 크로스 바에서 사이드 프레임부의 단부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편형상을 이루는 손가락걸림판부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버클의 배면측에서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부내에 인입되고 버클의 전면측으로 일단 인출된 후, 제 1 크로스 바와 제 2 크로스 바의 사이에 통과되어 버클의 배면측으로 다시 인출되도록 해서 제 1 크로스 바에 걸어 돌려진 2개의 띠형상체의 일측에 대한 고정을, 버클의 배면측에서 손가락걸림판부에 손가락을 걸고, 상기 버클에 있어서의 상기 손가락걸림판부를 들어 올리는 조작에 의해서 해제되도록 하고 있고,
    또한, 손가락걸림판부에 있어서의 사이드 프레임부의 단부를 향한 판 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사이드 프레임부와의 연접측에 있는 판 가장자리부보다 전방으로 사이드 프레임부의 단부가 위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에 있어서의 손가락걸림부분측의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손가락걸림판부에 있어서의 사이드 프레임부의 단부를 향한 판 가장자리부가, 상기 손가락걸림판부의 중앙측을 향함에 따라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산형상의 윤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에 있어서의 손가락걸림부분측의 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버클의 전면측 및 버클의 배면측의 양측에 있어서, 손가락걸림판부의 면보다 바깥쪽으로 사이드 프레임부의 면이 위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에 있어서의 손가락걸림부분측의 구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사이드 프레임부의 단부가, 손가락걸림판부에 있어서의 상기 사이드 프레임부의 단부를 향한 판 가장자리부의 어떠한 개소에 있어서도, 상기 판 가장자리부와 거의 동일한 위치이거나, 또는 상기 판 가장자리부보다 바깥쪽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에 있어서의 손가락걸림부분측의 구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사이드 프레임부의 단부가, 손가락걸림판부에 있어서의 상기 사이드 프레임부의 단부를 향한 판 가장자리부의 어떠한 개소에 있어서도, 상기 판 가장자리부와 거의 동일한 위치이거나, 또는 상기 판 가장자리부보다 바깥쪽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에 있어서의 손가락걸림부분측의 구조.
KR1020040085779A 2003-10-28 2004-10-26 버클에 있어서의 손가락걸림부분측의 구조 KR100588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67588 2003-10-28
JP2003367588A JP4159447B2 (ja) 2003-10-28 2003-10-28 バックルにおける指掛け部分側の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741A KR20050040741A (ko) 2005-05-03
KR100588971B1 true KR100588971B1 (ko) 2006-06-14

Family

ID=34510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779A KR100588971B1 (ko) 2003-10-28 2004-10-26 버클에 있어서의 손가락걸림부분측의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086772A1 (ko)
JP (1) JP4159447B2 (ko)
KR (1) KR100588971B1 (ko)
CN (1) CN1611161A (ko)
TW (1) TWI24879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689B1 (ko) * 2017-03-28 2018-06-11 박상부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4132B2 (ja) * 2005-07-29 2011-04-20 Ykk株式会社 ベルト調節具
GB0918433D0 (en) * 2009-10-21 2009-12-09 Kis Ltd Adjustable strap assembly,slider and connector
KR101062609B1 (ko) 2009-11-05 2011-09-07 박정서 버클
JP5320317B2 (ja) 2010-01-26 2013-10-23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JP5522526B2 (ja) * 2010-03-31 2014-06-18 山本光学株式会社 ベルト長さ調節具
US9925082B2 (en) 2012-03-20 2018-03-27 Ossur Hf Orthopedic device
US9433259B2 (en) * 2013-10-24 2016-09-06 Bell Sports, Inc. Self-actuating webbing adjuster and helmet strap system including same
CN106170222B (zh) * 2014-03-28 2019-06-21 贝尔运动股份有限公司 无滑移单件式绑带调节器
US11096816B2 (en) 2016-04-04 2021-08-24 Ossur Iceland Ehf Orthopedic device
USD816545S1 (en) * 2016-07-18 2018-05-01 Bison Designs, Llc Buckle
USD813089S1 (en) * 2016-11-08 2018-03-20 Ossur Iceland Ehf D-ring
WO2018157305A1 (zh) * 2017-02-28 2018-09-07 深圳龙海特机器人科技有限公司 绳带触发锁定装置
WO2018165343A1 (en) * 2017-03-07 2018-09-13 Nite Iz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 side-loading strap buckle
US20180317611A1 (en) * 2017-05-03 2018-11-08 National Molding Llc Redirect buckle
WO2019082011A1 (en) 2017-10-23 2019-05-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OOP DESIGNED TO RECEIVE A STRAP WITHOUT SLOT
USD860858S1 (en) * 2018-01-08 2019-09-24 Edge-Works Manufacturing Company Belt buckle
USD876931S1 (en) * 2018-08-22 2020-03-03 Taihe Changxing Outdoor Products Co., Ltd. Fastening for hammock
KR200495728Y1 (ko) * 2020-10-21 2022-08-03 최종기 텐트용 장력 스트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3741A (en) * 1991-11-29 1993-09-14 Yoshida Kogyo K.K. Buckle
USD507763S1 (en) * 2003-10-03 2005-07-26 Ykk Corporation Belt adjus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689B1 (ko) * 2017-03-28 2018-06-11 박상부 길이조절 및 고정 일체형 버클을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14525A (en) 2005-05-01
CN1611161A (zh) 2005-05-04
KR20050040741A (ko) 2005-05-03
TWI248794B (en) 2006-02-11
US20050086772A1 (en) 2005-04-28
JP2005130925A (ja) 2005-05-26
JP4159447B2 (ja) 200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8971B1 (ko) 버클에 있어서의 손가락걸림부분측의 구조
KR920002008Y1 (ko) 버 클
US20150135494A1 (en) Buckle
TWI587805B (zh) buckle
JP5974091B2 (ja) バックル
US20180110301A1 (en) Zipper slider having insertion preventing part for preventing clothing from getting caught in the slider
KR20060047619A (ko) 버클 및 이를 이용한 베이비 캐리어
ITTO990835A1 (it) Fibbia.
JPH0646523U (ja) 鞄等のベルト用連結具
US10588383B2 (en) Buckle
JP6349394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TW201446175A (zh) 拉鏈及其使用方法
TWI730324B (zh) 插扣用的插銷以及插扣
JP5628585B2 (ja) バックル
JPS6338805Y2 (ko)
KR20050072698A (ko) 버클 및 배낭
JP4256052B2 (ja) 基板保持具
KR100561773B1 (ko) 사이드 릴리스 타입의 버클 및 배낭
GB2610944A (en) Fastener
CN108669716B (zh) 防撞拉头和防撞拉链
JP4149038B2 (ja) バックル
US2005010885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gripping articles
EP0478776A1 (en) Shirt
CN108577057A (zh) 可互锁的左右上止结构
CN212465152U (zh) 一种带安全锁的拉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