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7619A - 버클 및 이를 이용한 베이비 캐리어 - Google Patents

버클 및 이를 이용한 베이비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7619A
KR20060047619A KR1020050035860A KR20050035860A KR20060047619A KR 20060047619 A KR20060047619 A KR 20060047619A KR 1020050035860 A KR1020050035860 A KR 1020050035860A KR 20050035860 A KR20050035860 A KR 20050035860A KR 20060047619 A KR20060047619 A KR 20060047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ocket
buckle
locking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9899B1 (ko
Inventor
히토시 가네코
사키코 미나미
유코 모리구치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7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29Requiring manual force applied against bias to interlock or diseng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75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having pivotally connected interlocking component
    • Y10T24/45681Blocking removal of formation on projection from complementary formation on side wall of cav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775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having resiliently biased interlocking component or segment
    • Y10T24/45796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having resiliently biased interlocking component or segment and closed elongated access opening for guiding transverse projection travel after inser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958Plural distinct cavities or proj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984Cavity having specific shape
    • Y10T24/4599Cavity having specific shape including closed elongated access opening for guiding transverse projection travel after inser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984Cavity having specific shape
    • Y10T24/45995Cavity having specific shape having access opening with gapped perimeter for allowing movement of noninserted projection support therepa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Buckles (AREA)

Abstract

한쌍의 부재(4, 5)를 서로 결합ㆍ분리하는 버클(7)이 제공된다. 소켓(10)과, 상기 소켓에 대해 삽입가능하고 또한 소정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소켓에 대해 계지되는 플러그(30)를 포함한다. 상기 소켓(10)은 한쪽 부재(5)에 부착된다. 플러그는 플러그의 삽입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손잡이부(33)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부(33)에는 다른쪽 부재를 부착하는 부착부(37)가 설치되어 있다.
소켓, 플러그, 손잡이부, 안내홈, 본체, 미끄럼부, 안내벽

Description

버클 및 이를 이용한 베이비 캐리어{BUCKLE AND BABY CARRIER USING THE SAME}
도1은 본 발명의 버클을 베이비 캐리어에 적용한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버클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3은 상기 버클의 분해사시도.
도4는 상기 버클의 소켓과 플러그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5는 상기 버클의 소켓의 평면도.
도6은 상기 버클의 플러그의 저면도.
도7은 상기 버클의 소켓과 플러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8은 도7의 선Ⅷ-Ⅷ을 따른 단면도.
도9는 도7의 선ⅠⅩ-ⅠⅩ을 따른 단면도.
도10은 도7의 선Ⅹ-Ⅹ을 따른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버클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12는 상기 제2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따른 버클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14는 상기 실시예의 버클의 분해사시도.
도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따른 버클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소켓 11: 소켓 본체
23: 안내홈 30: 플러그
33: 손잡이부 34: 미끄럼부
37: 부착부 41: 안내벽
본 발명은 버클 및 이를 이용한 베이비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쌍의 부재를 서로 결합ㆍ분리하는 버클 및 이를 이용한 베이비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한쌍의 부재를 서로 결합ㆍ분리하는 수단으로서, 소켓과, 이러한 소켓에 대해 삽입가능하고 소정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소켓에 대해 결합되는 플러그를 구비한 버클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버클은 비교적 간단한 조작으로 한쌍의 부재를 결합ㆍ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벨트, 테이프, 끈 등을 결합, 분리하는 용도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 소2004-687호 공보에는 베이비 캐리어에 있어서 등 부분에 설치된 벨트 부재의 선단에 버클의 한쪽(예를 들어 플러그)을 부착하고, 숄더 벨트에 버클의 다른쪽(예를 들어, 소켓)을 부착한 후, 이들 양자를 결합시키므로써, 주머니 형태의 캐리어가 구성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베이비 캐리어에 따르면, 조립시에는 버클의 플러그 및 소켓을 결합시킬뿐만 아니라, 또한 분해시에는 버클의 플러그 및 소켓을 벗겨내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취급이 매우 간단한다.
그러나, 종래의 버클은 서로 결합, 분리되는 벨트 부재의 선단에 플러그 및 소켓을 부착, 플러그의 후단부분을 파지하여 플러그의 전반 부분을 소켓에 삽입결합시키거나 소켓으로부터 인출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소켓의 부착자세에 따라서는 플러그의 삽입ㆍ인출 조작이 실행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베이비 캐리어에 이용되는 버클에서는 보호자가 어깨에 걸친 숄더 벨트에 버클의 소켓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의 후단부분을 파지하여 플러그를 소켓에 삽입하거나, 소켓으로부터 인출하는 등의 조작이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플러그의 삽입, 인출조작이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는 버클 및 베이비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버클은 한쌍의 부재를 서로 결합ㆍ분리하는 버클에 있어서, 소켓과, 상기 소켓에 대해 삽입가능하고 또한 소정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소켓에 대해 계지되는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은 한쌍의 부재중 어느 한쪽의 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플러그는 그 플러그의 삽입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손 잡이부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부에는 한쌍의 부재중 다른쪽 부재를 부착하는 부착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소켓이 어느 한쪽 부재에 부착되고, 플러그의 부착부에 다른쪽 부재가 부착된 상태에서 플러그를 소켓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플러그의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플러그를 소켓에 삽입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플러그가 소정위치까지 삽입되면, 플러그는 소켓에 대해 계지된다. 즉, 한쪽 부재와 다른쪽 부재가 결합된다. 역으로, 플러그를 소켓으로부터 인출하기 위해서 플러그의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플러그를 소켓으로부터 인출하면, 플러그가 소켓으로부터 벗겨진다. 즉, 한쪽 부재와 다른쪽 부재가 분리된다.
이러한 플러그의 삽입 및 인출 조작에 있어서, 플러그의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플러그의 후단부분을 파지하여 플러그의 삽입 및 인출 조작을 실행하는 경우에 비해, 플러그의 삽입ㆍ인출 조작이 용이하다. 특히, 손잡이부는 플러그의 삽입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부를 파지하기 쉽고, 또한 플러그를 미끄럼조작(삽입조작ㆍ인출 조작)하기 쉽다.
본 발명의 버클은 상기 한쪽 부재가 인장력을 받는 방향에 대해 상기 플러그의 삽입방향이 교차하도록 상기 소켓이 상기 한쪽 부재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버클은 서로 결합ㆍ분리되는 벨트 부재의 선단에 플러그 및 소켓을 부착하고, 이들 플러그 및 소켓을 벨트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결합시키는 구 조이기 때문에, 벨트 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해 비교적 큰 인장력이 작용하면 버클을 구성하는 소켓 및 플러그가 벗겨지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따르면, 플러그가 소켓에 결합된 상태에서, 한쪽 부재(예를 들어 다른쪽 부재)에 비교적 큰 인장력이 작용하면, 그 인장력이 움직이는 방향에 대해 플러그의 삽입방향이 교차하기 때문에, 그 인장력은 플러그의 인출방향을 따른 분력과, 이에 직교하는 분력으로 분해된다. 따라서, 플러그의 인출방향의 힘은 그만큼 감소되기 때문에, 비교적 큰 인장력에 대해서도 벗겨지기 어렵다. 따라서, 특별히 부재를 추가하지 않고서도 즉, 경제적 결함을 수반하지 않고, 벗겨지기 어려운 구성을 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한쪽 부재가 인장력을 받는 방향에 대해, 플러그의 삽입방향이 교차된다는 것은 한쪽 부재가 인장력을 받는 방향과 플러그의 삽입방향이 동일방향(평행을 포함한다) 이외의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한쪽 부재가 인장력을 받는 방향에 대해, 플러그의 삽입방향이 직교하고 있으면, 플러그의 인출방향을 따른 분력은 대략 0으로 되기 때문에 더욱 벗겨지기 어렵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이면측이 상기 한쪽 부재에 부착된 소켓 본체와, 상기 소켓 본체의 표면측에 플러그의 삽입방향을 따라 형성된 개미홈(蟻溝) 형상으로 상기 삽입방향의 일단이 개방된 안내홈을 가지며; 상기 플러그는 이면측이 소켓 본체의 표면측에 접하고 또한 표면측에 손잡이부를 갖는 플러그 본체와, 상기 플러그 본체의 이면측에 형성되고 상기 소켓의 안내홈에 삽입되는 형상으로 미끄럼가능한 미끄럼부와, 상기 플러그 본체의 손잡이부에 형성된 부착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개미홈 형상이라 함은 입구에 대해 내측이 넓게 되어 있는 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홈내의 단면 형상은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소켓과 플러그는 소켓 본체에 형성된 개미홈 형상의 안내홈과 플러그 본체에 형성된 미끄럼부와의 삽입구조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미끄럼부의 미끄럼 방향 이외의 힘에 대해서는 벗겨지기 어려운 구조로 될 수 있다. 특히, 미끄럼부의 미끄럼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의 힘에 대해서는 전혀 벗겨지지 않는다.
또한, 플러그는 플러그 본체의 이면측에 미끄럼부가, 표면측에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즉 인장력이 작용하는 부착부와 이를 수용하는 미끄럼부가 플러그 본체의 표리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부에 걸리는 힘에 의해 미끄럼부에 회전력이 작용하는 일이 없이, 인장력을 확실하게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플러그의 삽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소켓 본체 2개소에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부는 플러그의 삽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플러그 본체에 2개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안내홈 및 이에 삽입되는 미끄럼부가 소켓 본체 및 플러그 본체에 각각 2개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가 소켓에 대해 삽입될 때, 플러그가 삽입방향에 대해 덜거덕거리지 않고, 원활한 삽입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가 소켓에 삽입된 상태에서, 소켓과 플러그는 삽입방향의 2개소에서 삽입(안내홈과 미끄럼부로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인장력을 2개소에서 분산하여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큰 인장력에 대한 강도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미끄럼부 및 부착부는 상기 한쪽 부재가 인장력을 수용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플러그 본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플러그의 미끄럼부 및 부착부가 한쪽 부재가 인장력을 수용하는 방향을 따라 플러그 본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즉 인장력이 작용하는 부착부와 이를 수용하는 미끄럼부가 인장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따라 플러그 본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부에 걸리는 힘에 의해 미끄럼부에 회전력이 작용하지 않으며, 인장력을 더욱 확실하게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소켓에는 소켓을 한쪽 부재에 부착하는 테이프를 상기 플러그의 삽입방향을 따라 삽입통과하기 위한 테이프 삽입통과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의 부착부는 상기 소켓의 테이프 삽입통과 구멍에 삽입통과된 테이프의 삽입통과 구멍 및 한쪽 부재가 수용하는 인장력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부착구멍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소켓에는 테이프 삽입통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테이프 삽입통과 구멍을 이용하여 소켓을 한쪽 부재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의 부착부가 부착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부착구멍을 이용하여 다른쪽 부재를 연결고정할 수 있다. 또한, 부착구멍은 테이프의 삽입통과 구멍 및 한쪽 부재가 수용하는 인장력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프와 다른쪽 부재가 직교한 관계에 있어서, 다른쪽 부재가 띠 형상부재라도 비틀림없이 삽입통과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본체는 상기 소켓 본체의 표면측에 접하는 이면 벽부와, 상기 이면 벽부측 중앙에 플러그의 삽입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립하여 형성된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플러그 본체가 소켓 본체의 표면측에 접하는 이면 벽부와, 상기 이면 벽부측 중앙에 기립하여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플러그를 소켓에 대해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소켓 본체의 표면측에 접하는 이면 벽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손잡이부를 파지한 손이나 손가락이 소켓의 안내홈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소켓에 대해 플러그가 소정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를 소켓에 대해 계지하는 계지수단 및 이러한 계지수단의 계지상태를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플러그를 소켓에 대해 계지하는 계지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소켓에 대해 플러그를 소정위치까지 삽입하는 것만으로 플러그가 소켓에 대해 자동적으로 계지된다. 즉, 플러그의 인출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계지수단의 계지상태를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플러그를 소켓으로부터 벗길 때, 해제수단을 조작하면, 계지수단의 계지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플러그를 소켓으로부터 간단히 벗길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계지수단은 소켓에 플러그의 삽입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벽 및 계지부와, 상기 플러그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가 소켓에 삽입될 때 안내벽에 의해 플러그의 내측으로 탄성변형된 후 상기 계지부에 도달되었을 때 탄성복귀되어 계지부에 계지되는 탄성 계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해제수단은 플러그의 탄성 계지편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탄성 계지편을 플러그의 내측으로 탄성변형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플러그를 소켓에 삽입해가면, 플러그의 탄성 계지편은 소켓의 안내벽에 의해 플러그의 내측으로 탄성변형된 후, 계지부에 도달되었을 때 탄성복귀되어 계지부에 계지된다. 즉, 플러그가 소켓에 계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플러그를 소켓으로부터 벗기기 위해서는 플러그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탄성 계지편을 플러그의 내측으로 탄성변형시킨다. 그러면, 탄성 계지편이 계지부로부터 벗겨지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플러그를 소켓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계지수단은 소켓에 형성된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 계지 돌부와, 상기 플러그에 형성되고 플러그가 소켓에 삽입되었을 때 탄성 계지 돌부에 계지되는 계지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탄성 계지 돌부는 플러그가 소켓에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에 의해 상기 탄성 계지 돌부를 소켓의 내측으로 탄성변형시킨 후, 상기 계지구멍이 탄성 계지 돌부에 도달하였을 때 탄성 계지 돌부를 탄성복귀시켜 계지구멍에 계지시키는 안내벽을 가지며; 상기 해제수단은 소켓의 탄성 계지 돌부를 소켓의 내측으로 탄성변형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플러그를 소켓에 삽입해가면, 소켓의 탄성 계지 돌부는 플러그에 의해 소켓의 내측으로 탄성변형된 후, 플러그의 계지구멍에 도달되었을 때 탄성복귀되어 계지구멍에 계지된다. 즉, 플러그가 소켓에 계지된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를 소켓으로부터 벗기기 위해서는 소켓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탄성 계지 돌부를 소켓의 내측으로 탄성변형시킨다. 그러면, 탄성 계지 돌부가 계지구멍으로부터 벗겨지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플러그를 소켓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계지수단은 소켓 및 플러그의 어느 한쪽에 형성된 한쌍의 탄성 협지편과, 상기 소켓 및 플러그의 다른쪽에 형성되고 플러그가 소켓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탄성 협지편에 협지되는 협지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한쌍의 탄성 협지편은 플러그가 소켓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협지핀에 의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 후, 협지핀이 통과하였을 때 탄성복귀되는 안내벽과, 상기 안내벽으로부터 삽입측에 형성되고 상기 협지핀을 탄성협지하는 협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플러그를 소켓에 삽입해가면, 협지핀은 한쌍의 탄성 협지편(안내벽)을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키면서 통과하고, 협지부에 도달하면 안내벽이 탄성복귀하기 때문에, 협지부에 의해 탄성협지된다. 즉, 플러그가 소켓에 계지된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를 소켓으로부터 벗기기 위해서는 탄성 협지편의 협지부의 협지력 보다 강한 힘으로 플러그를 소켓으로부터 인출한다. 그러면, 탄성 협지 편의 안내벽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기 때문에, 즉 협지핀이 협지부로부터 개방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플러그를 소켓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베이비 캐리어는 상술한 본 발명의 버클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비 캐리어에 따르면, 상술한 본 발명의 버클의 작용효과를 구비한 베이비 캐리어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제1실시예(본 발명의 버클을 베이비 캐리어에 적용한 실시예)를 도1 내지 도10에 도시한다. 도1은 베이비 캐리어의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2은 버클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3은 상기 버클의 분해사시도, 도4는 상기 버클의 소켓과 플러그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5는 상기 버클의 소켓의 평면도, 도6은 상기 버클의 플러그의 저면도, 도7은 상기 버클의 소켓과 플러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8은 도7의 선Ⅷ-Ⅷ을 따른 단면도, 도9는 도7의 선ⅠⅩ-ⅠⅩ을 따른 단면도, 도10은 도7의 선Ⅹ-Ⅹ을 따른 단면도이다.
제1실시예의 베이비 캐리어(1)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비 캐리어 본체(2)와, 2개의 숄더 벨트(5)와, 4개의 버클(6, 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비 캐리어 본체(2)는 유아의 복부, 허리부 및 등부분을 각각 지지하는 앞부분(2A), 허리부(2B) 및 등부분(2C)을 포함하며, 이들은 일체로 형성된다. 앞 부분(2A)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숄더 벨트(5)의 기단부가 부착되는 동시에, 각각의 숄더 벨트(5)의 선단부에는 사다리형 부분(6)이 부착되어 있다. 허리부(2B)의 좌우 양측에는 벨트부재(3)가 부착되는 동시에, 벨트부재(3)의 선단은 사다리형 부분(6)에 길이조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등부분(2C)의 좌우 양측 견부에는 벨트부재(4)를 거쳐 버클(7)의 암형측 부재(플러그)(30)가 부착되는 동시에, 각각의 숄더 벨트(5)의 도중에는 버클(7)의 수형측 부재(소켓)(10)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30)와 소켓(10)에 의해 본 발명의 버클(7)이 구성되어 있다.
버클(7)은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0)과, 상기 소켓(10)에 대해 삽입가능하고 소정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소켓(10)에 대해 계지되는 플러그(30)와, 상기 소켓(10)에 대해 플러그(30)가 소정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30)를 소켓(10)에 대해 계지하는 계지수단(40)과, 상기 계지수단(40)의 계지상태를 해제하는 해제수단(50)을 포함한다.
소켓(10)은 도2 내지 도5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사각 판형으로 형성되고 이면측이 한쪽 부재인 숄더 벨트(5)에 부착된 소켓 본체(11)를 포함한다.
소켓 본체(11)에는 그 길이방향 양단 측연 및 중간부에 소켓(10)을 숄더 벨트(5)에 부착하는 소켓 고정용 테이프(12)를 삽입통과하기 위한 테이프 삽입통과 구멍(13, 14, 15, 16)이 표리에 관통형성되어 있다. 테이프(12)는 테이프 삽입통과 구멍(13)으로부터 소켓 본체(11)의 이면측, 테이프 삽입통과 구멍(14)을 통과하여 소켓 본체(11)의 표면측, 테이프 삽입통과 구멍(15)을 통해 소켓 본체(11)의 이 면측, 테이프 삽입통과 구멍(16)을 통해 소켓 본체(11)의 표면측에 순차인출되고; 양단이 소켓 본체(11)의 길이방향 양단 보다 외측에서, 숄더 벨트(5)에 봉제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소켓 본체(11)가 숄더 벨트(5)에 부착되어 있다.
테이프 삽입통과 구멍(12, 14) 사이 및 테이프 삽입통과 구멍(15, 16)의 사이 즉, 플러그(30)의 삽입방향으로 간격을 둔 위치에는 계합 돌부(17, 1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계합 돌부(17, 18)는 소켓 본체(11)의 폭방향 양측에 직립설치된 측벽(19)과, 상기 측벽(19)의 플러그 삽입방향 대략 전반부 상단 사이에 놓이는 상부벽(2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벽(20)이 없는 부분에는 평판형의 플레이트(21)가 양측의 측벽(19) 사이에 놓인다. 플레이트(21)는 테이프 삽입통과 구멍(13, 15)으로부터 계합 돌부(17, 18)의 대략 중앙부분까지에 걸쳐 형성되고, 또한 그 중앙부분 선단에 세장의 봉형 안내편(22)을 구비한 구성으로, 테이프(12)를 숄더 벨트(5)의 사이에 협지하는 기능과 플러그(30)의 미끄럼을 안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부벽(20) 부분에는 플러그(30)의 삽입방향을 따라 안내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23)은 상면으로부터 투시한 홈폭에 대해 내부의 홈폭이 넓은 개미홈 형상(단면이 역T자 형상)으로서, 플러그(30)의 삽입방향의 일단(도4에서 좌측)이 개방되어 있다.
플러그(30)는 도2 내지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성형되고, 이면측이 소켓 본체(11)의 표면측에 접하는 플러그 본체(31)를 포함한다.
플러그 본체(31)는 소켓 본체(11)의 표면측에 접하는 이면 벽부(32)와, 상기 이면 벽부(32)의 표면측 중앙에 플러그(30)의 삽입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립하고 플러그(30)의 삽입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면 벽부(32)에는 미끄럼부(34)가 플러그(30)의 삽입방향에 간격을 두고 2개소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부(34)는 소켓(10)의 안내홈(23)에 삽입되고, 미끄럼가능한 형상 즉, 이면 벽부(32)의 저면으로부터 직각으로 직립 설치된 연결편(35)과, 이러한 연결편(35)에 대해 직교하고 이면 벽부(32)와 평행한 삽입편(36)을 포함하는 역T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손잡이부(33)에는 다른쪽 부재인 벨트부재(4)가 부착되는 부착부로서의 부착구멍(37)이 각각의 미끄럼부(34)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플러그(30)의 미끄럼부(34) 및 부착구멍(37)이, 한쪽 부재인 벨트부재(4)가 인장력을 받는 방향을 따라 플러그 본체(31)에 형성되어 있다. 부착구멍(37)은 소켓(10)의 테이프 삽입통과 구멍(13 내지 16)에 삽입통과된 테이프(12)의 삽입통과 방향 및 한쪽 부재인 벨트부재(4)가 수용하는 인장력 방향에 대해 교차(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계지수단(40)은 도2 내지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0)의 계합 돌부(17)에 있어서, 플러그(30)의 삽입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벽(41) 및 계지부(42)와, 플러그(30)에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된 탄성 계지편(4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안내벽(41)은 소켓(10)의 계합 돌부(17)에서, 상부벽(20)의 두께 상반부에 플러그(30)의 삽입방향을 향해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계지부(42)는 안내벽(41)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안내벽(41)으로부터 플러그(30)의 삽입방향을 따라 폭이 넓게 형성된 후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탄성 계지편(43)은 플러그(30)가 소켓(10)에 삽입될 때 안내벽(4)에 의해 플러그(30)의 내측으로 탄성변형된 후 계지부(42)에 도달되었을 때 탄성복귀하여 계지부(42)에 계지된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30)의 삽입방향 후단으로부터 플러그(30)의 폭방향 양측을 향하여 또한 플러그의 삽입방향을 향해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탄성 계지돌기(44)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탄성 계지돌기(44)의 선단에는 계지부(42)에 계지되는 돌기부(45)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해제수단(20)은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30)의 탄성 계지돌기(44)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탄성 계지돌기(44)를 플러그(30)의 내측으로 탄성변형시키는 조작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30)의 각각의 탄성 계지돌기(44)와 대응하는 위치의 외측에 조작버튼(51)이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베이비 캐리어(1)의 사용에 있어서, 버튼(6)의 암형측 부재(6A)와 수형측 부재(6B)를 계합하는 동시에, 버클(7)의 소켓(10)과 플러그(30)를 계합시킨다. 즉, 플러그(30)의 손잡이부(33)를 파지하여, 플러그(30)를 소켓(10)에 삽입한다. 그러면, 도1에 도시된 상태로 조립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베이비 캐리어(1)내에 유아가 수용되면, 베이비 캐리 어 본체(2)의 등부분(2C)에는 숄더 벨트(5)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그러면, 벨트부재(4)에도 동일한 힘이 가해진다. 이때, 벨트부재(4)가 인장력을 수용하는 방향에 대해 플러그(30)의 삽입방향이 교차(교차)하도록, 버클(7)의 소켓(10) 및 플러그(30)가 숄더 벨트(5) 및 벨트부재(4)에 부착된다.
따라서, 벨트부재(4)에 비교적 큰 인장력이 작용하면, 그 인장력은 플러그(30)의 인출방향을 따른 분력과, 이에 직교하는 분력으로 분해된다. 따라서, 플러그(30)의 인출방향의 힘은 그만큼 감소되기 때문에, 비교적 큰 인장력에 대해서도 벗겨지기 힘들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벨트부재(4)가 인장력을 수용하는 방향에 대해 플러그(30)의 삽입방향이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플러그(30)의 인출방향을 따른 분력은 대략 0으로 되기 때문에, 벗겨지기 힘들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다음의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플러그(30)의 삽입 및 인출조작에 있어서, 플러그(30)의 손잡이부(33)를 파지하여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플러그의 후단부분을 파지하여 플러그의 삽입 및 인출조작을 실행하는 경우에 비해 플러그(30)의 삽입, 인출조작이 용이하다. 즉, 손잡이부(33)는 플러그(30)의 삽입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부(33)를 파지하기 쉽고, 또한 플러그(30)를 미끄럼조작하기 쉽다.
(2)벨트부재(4)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방향에 대해, 플러그(30)의 삽입방향이 교차하기 때문에, 플러그(30)에는 인출방향을 따른 힘이 작용하는 경우가 적고, 비교적 큰 인장력에 대해서도 벗겨지기 힘들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베이비 캐리어 에 따르면, 특별한 부재를 추가하지 않고, 등부분(2C)이 보호자측으로부터 이격되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3)소켓(10)과 플러그(30)는 소켓 본체(11)에 형성된 역T자형 개미홈 형상의 안내홈(23)과, 이에 삽입되는 역T자형 플러그 본체(31)에 형성된 미끄럼부(34)와의 삽입구조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미끄럼부(34)의 미끄럼방향 이외의 힘에 대해서는 벗겨지기 어렵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끄럼부(34)의 미끄럼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의 인장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벗겨질 염려가 매우 적다.
(4)또한 플러그(30)는 플러그 본체(31)의 이면측에 미끄럼부(34)가, 표면측에 부착구멍(37)이 형성되기 때문에, 즉 인장력이 작용하는 부착구멍(37)을 수용하는 미끄럼부(34)가 플러그 본체(31)의 표리에 근접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부착구멍(37)에 걸리는 힘에 의해 미끄럼부(34)에 회전력이 가해지는 경우가 적고, 인장력을 확실하게 수용할 수 있다.
특히, 플러그(30)의 미끄럼부(34) 및 부착구멍(37)이 벨트부재(4)가 인장력을 수용하는 방향을 따라 플러그 본체(31)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즉 인장력이 작용하는 부착구멍(37)과 이를 수용하는 미끄럼부(34)가 인장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따라 플러그 본체(31)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구멍(27)에 걸리는 힘에 의해 미끄럼부(34)에 회전력이 가해지는 경우가 적고, 이러한 점에 의해서도 벗겨지기 힘들다.
(5)안내홈(23) 및 이에 삽입되는 미끄럼부(34)가 소켓 본체(1) 및 플러그 본체(31)에 각각 2개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30)가 소켓(10)에 대해 삽입될 때, 플러그(30)가 삽입방향에 대해 덜거덕거림이 적다. 또한, 플러그(30)가 소켓(1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소켓(10)과 플러그(30)는 삽입방향의 2개소에서 삽입[안내홈(23)과 미끄럼부(34)로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인장력을 2개소로 분산하여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큰 인장력에 대한 강도도 확보할 수 있다.
(6)소켓(10)에는 테이프 삽입통과 구멍(13 내지 16)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테이프 삽입통과 구멍(13 내지 16)을 이용하여 소켓(10)을 숄더 벨트(5)에 봉제고정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30)에는 부착구멍(37)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착구멍(37)을 이용하여 벨트 부재(4)를 연결고정할 수 있다. 또한, 부착구멍(37)은 테이프(12)의 삽입통과 방향 및 벨트부재(4)가 수용하는 인장력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프(12)와 벨트부재(4)가 직교한 관계에 있어서, 벨트부재(4)가 띠 형상이라도 비틀림없이 삽입통과 고정될 수 있다.
(7)플러그 본체(31)가 소켓 본체(11)의 표면측에 접하는 이면 벽부(32)와, 이러한 이면 벽부(32)의 중앙에 일체로 기립형성된 손잡이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부(33)를 파지하여 플러그(30)를 소켓(10)에 대해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소켓 본체(11)의 표면측에 접하는 이면 벽부(32)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손잡이부(33)를 파지한 손이나 손가락이 소켓(10)의 안내홈(23)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면 벽부(32)는 미끄럼부(34)의 삽입편(36)과 안내홈(23)의 상부벽(20)을 상하로부터 협지한 구조로 되기 때문에, 플러그(30)의 상하방향(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덜거덕거림도 감소될 수 있다.
(8)플러그(30)를 소켓(10)에 대해 계지하는 계지수단(40)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소켓(10)에 대해 플러그(30)를 소정위치까지 삽입하는 것만으로, 플러그(3)를 소켓(10)에 대해 자동적으로 계지시킬 수 있다.
또한, 계지수단(40)의 계지상태를 해제하는 해제수단(50)을 구비하고 있기 때무에, 플러그(30)를 소켓(10)으로부터 벗길 때, 해제수단(50)을 조작하면, 계지수단(40)의 계지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플러그(30)를 소켓(10)으로부터 간단히 벗길 수 있다.
(9)계지수단(40)은 소켓(10)에 플러그(30)의 삽입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벽(41) 및 계지부(42)와, 플러그(30)에 탄성복귀 가능하게 형성되고 플러그(30)가 소켓(10)에 삽입될 때 안내벽(41)에 의해 플러그(30)의 내측으로 탄성변형된 후 계지부(42)에 도달되었을 때 탄성복귀되어 계지부(42)에 계지되는 탄성 계지편(4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30)를 소켓(10)에 삽입해가면, 플러그(30)의 탄성 계지편(43)은 소켓(10)의 안내벽(41)에 의해 플러그(30)의 내측으로 탄성변형된 후, 계지부(42)에 도달되었을 때 탄성복귀하여 계지부(42)에 계지된다. 따라서, 플러그(30)를 소켓(10)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플러그(30)를 소켓(10)에 계지시킬 수 있다.
(10)해제수단(50)은 플러그(30)의 탄성 계지편(43)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탄성 계지편(43)을 플러그(30)의 내측으로 탄성변형시키는 조작버튼(51)을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플러그(30)의 조작 버튼(51)을 가압조작하여, 탄성 계지 편(43)을 플러그(30)의 내측으로 탄성변형시키면, 돌기부(45)가 계지부(42)로부터 벗겨진다. 따라서, 조작 버튼(51)을 누르면서 플러그(30)를 소켓(10)으로부터 인출하는 것만으로도 플러그(30)와 소켓(10)을 분리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의 버클을 도11에 도시한다. 도11은 소켓(10)과 플러그(30)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제2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하게 한다.
제2실시예의 버클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비해 계지수단 및 해제수단이 상이하다.
제2실시예의 계지수단(45A)은 소켓(10)에 형성된 탄성변형가능한 탄성 계지 돌부(61)와, 플러그(30)에 형성되고 플러그(30)가 소켓(10)에 삽입된 탄성 계지 돌부(61)에 계지되는 계지구멍(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탄성 계지 돌부(61)는 사각 원형기둥으로서, 소켓(10)의 계합 돌부(18)의 안내홈(23)으로부터 선단측에 계합 돌부(18)의 상면(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탄성변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탄성 계지 돌부(61)의 표면에는 플러그(30)의 삽입방향 전방을 향해 점점 상방으로 경사지는 안내벽(6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벽(62)에 의해 플러그(30)가 소켓(10)에 삽입될 때, 탄성 계지 돌부(61)가 소켓(10)의 내측으로 탄성변형된 후, 계지구멍(3)이 탄성 계지 돌부(61)에 도달되었을 때 탄성복귀하여 계지구멍(63)에 계지된다.
제2실시예의 해제수단(50A)은 소켓(10)의 탄성 계지 돌부(61)를 소켓(10)의 내측으로 탄성변형시키는 조작부(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작부(64)는 탄성 계지 돌부(61)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레버부(65)와, 상기 레버부(65)의 선단에 사각형으로 형성된 조작단(66)을 포함한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플러그(30)를 소켓(10)에 삽입해가면, 소켓(10)의 탄성 계지 돌부(61)는 플러그(30)의 선단에 의해 소켓(10)의 내측으로 탄성변형된 후, 플러그(30)의 계지구멍(63)이 도달되었을 때 탄성복귀되어 계지구멍(63)에 계지된다. 즉, 플러그(30)가 소켓(10)에 계지된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30)를 소켓(10)으로부터 벗기기 위해서는 소켓(10)의 조작부(64)를 가압조작하여, 탄성 계지 돌부(61)를 소켓(10)의 내측으로 탄성변형시킨다. 그러면, 탄성 계지 돌부(61)가 계지구멍(63)으로부터 벗겨지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플러그(30)를 소켓(10)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 계지수단(40A)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소켓(10)측에 설치되는 탄성 계지 돌부(61)는 평면으로부터 투시하였을 때 사각형이며, 또한 삽입방향을 따라 점점 상방으로 경사진 후 하방을 향하는 수직면에 형성된 형상, 즉 측면에서 투시하였을 때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플러그(30)측에 설치된 계지구멍(63)은 탄성 계지 돌부(61)가 계합되는 사각형 구멍(사각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실시예
제3실시예의 버클은 도13 및 도14에 도시되어 있다. 도13은 소켓(10)과 플러그(30)와의 계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14는 소켓(10)과 플러그(30)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제3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제3실시예의 버클은 제1실시예에 비해 계지수단이 상이하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는 소켓(10)에 설치되는 안내홈(23)과, 플러그(30)에 설치되는 미끄럼부(34)가 플러그(30)의 삽입방향에 간격을 두고 2개소 설치되어 있지만, 제3실시예에서는 1개소에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는 소켓(10)이 숄더 벨트(5)에 테이프(12)에 의해 봉제고정되어 있지만, 제3실시예에서는 소켓(10)이 숄더 벨트(5)에 접착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3실시예의 계지수단(40B)은 도13 및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30)측에 설치되는 탄성 계지편(71)이 플러그 본체(31)에 플러그(30)의 삽입방향과 동일 방향의 축선을 지지점으로 하여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탄성 계지편(71)은 기단(상단)이 플러그 본체(31)에 플러그(30)의 삽입방향과 동일 방향의 축선을 지지점으로 하여 탄성변형 가능하게 연결되고, 선단(하단)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르면, 플러그(30)를 소켓(10)의 횡방향으로부터 삽입해가면, 플러그(30)의 탄성 계지편(71)은 소켓(10)의 안내벽(41)에 의해 서로 내측으로 탄성변형된 후, 계지부(42)에 도달되었을 때 탄성복귀되어 계지부(42)에 계지된다. 즉, 플러그(30)가 소켓(10)에 계지된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30)를 소켓(10)으로부터 벗기기 위해서는 소켓(10)의 조작 버튼(51)을 가압조작하여 탄성 계지편(71)을 서로 내측으로 탄성변형시킨다. 그러면, 탄성 계지편(71)이 계지부(42)로부터 벗겨지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플러그(30)를 소켓(10)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제3실시예에서는 손잡이부(33)의 상부에 2개의 부착구멍(37A, 37B)이 서로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착구멍(37A)은 제1실시예의 부착구멍(37)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부착구멍(37B)은 부착구멍(37A)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착구멍(37A)에 벨트 부재(4)를 부착한 경우, 플러그(30)의 삽입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의 인장력이 가해지지만, 부착구멍(37B)에 벨트 부재(4)를 부착한 경우, 플러그(30)의 삽입방향에 대해 대략 평행한 방향의 인장력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제4실시예
제4실시예의 버클을 도15에 도시한다. 도15는 소켓(10)과 플러그(30)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4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하게 한다.
제4실시예의 버클은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비해 계지수단이 상이하며, 해제수단이 특별하게 설치되어 있지 않다.
제4실시예의 계지수단(40C)은 소켓(10)에 형성된 한쌍의 탄성 협지편(81)과, 플러그(30)에 형성되고 플러그(30)가 소켓(10)에 삽입되었을 때 탄성 협지편(81)에 협지되는 협지핀(8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쌍의 탄성 협지핀(81)은 소켓(10)의 계합 돌부(17)로부터 바로 전방측에 설치되고, 플러그(30)의 삽입방향을 향해 서로 접근하도록 만곡형성된 안내벽(82)과, 상기 안내벽(82)으로부터 플러그 삽입방향을 향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만곡형성된 후 다시 접근결합되도록 만곡형성된 협지부(83)를 포함한다.
제4실시예에 따르면, 플러그(30)를 소켓(10)에 삽입해가면, 플러그(30)의 협지핀(84)은 소켓(10)의 한쌍의 탄성 협지편(81)[안내벽(82)]을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협지시키면서 통과하고, 협지부(83)에 도달하면 안내벽(82)이 탄성복귀되기 때문에 협지부(83)에 의해 탄성협지된다. 즉, 플러그(30)가 소켓(10)에 협지된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30)를 소켓(10)으로부터 벗기기 위해서는 탄성 협지편(81)의 협지부(83)의 협지력 보다 강한 힘으로 플러그(30)를 소켓(10)으로부터 인출한다. 그러면, 탄성 협지편(81)의 안내벽(82)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복귀되기 때문에, 즉 협지핀(84)이 협지부(83)로부터 개방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플러그(30)를 소켓(10)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제4실시예에서는 소켓(10)에 한쌍의 탄성 협지편(81)을, 플러그(30)에 협지핀(84)을 설치하였지만, 이것은 역으로 설치해도 무방하다. 즉, 소켓(10)에 협지핀(84)을, 플러그(30)에 한쌍의 탄성 협지편(81)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서는 소켓(10)을 숄더 벨트(5)에, 플러그(30)를 벨트 부재(4)에 부착하였지만, 이와는 역으로 부착해도 좋다. 즉, 소켓(10)을 벨트부재(4)에, 플러그(30)를 숄더 벨트(5)에 부착해도 좋다. 이 경우, 소켓(10)의 이면측에 적절한 수단으로 벨트부재(4)를 고정하고, 플러그(30)의 표면측의 부착부(부착구멍)에 숄더 벨트(5)를 연결고정해도 좋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소켓(10)이 부착되는 숄더 벨트(5)와, 플러그(30)가 부착되는 벨트 부재(4)가 함께 띠 형상으로 구성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끈 형상부재, 또는 면 형상부재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서 안내홈(23)은 플러그(30)의 삽입방향에 간격을 두어 소켓 본체(11)에 2개소 형성되고, 또한 미끄럼부(34)는 플러그(30)의 삽입방향에 간격을 두고 플러그 본체(31)에 2개소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소라도 좋으며, 용도에 따라서는 3개소 이상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서 플러그(30)의 각각의 부착구멍(37)은 각각의 미끄럼부(34)에 대해 또한 플러그(30)가 인장력을 수용하는 방향을 따라 플러그 본체(31)에 형성되었지만, 2개의 미끄럼부(34)의 중간위치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4실시예에서는 소켓(10)을 테이프(12)에 의해 숄더 벨트(5)에 봉제고정하도록 하였지만, 접착에 의해 고정해도 좋다. 소켓(10) 및 플러그를 각각의 부재에 고정하는 수단에 대해서는 봉제고정, 접착고정에 한정되지 않으며, 버튼의 코오킹 고정 등이어도 무방하다.
계지수단 및 해제수단에 대해서도,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 서술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기구이어도 좋다. 특히, 계지수단에 대해서는 플러그(30)를 소켓(10)에 삽입해가면, 자동적으로 계지되는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플러그(30)가 소정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레버조작에 의해 플러그(30)를 소켓(10)에 계지시키는 구조이어도 좋다. 따라서, 해제수단(50)에 대해서도, 계지수단(40)의 구조에 대응한 최적의 구조가 바람직하다.

Claims (12)

  1. 한쌍의 부재(4, 5)를 서로 결합ㆍ분리하는 버클(7)에 있어서,
    소켓(10)과, 상기 소켓(10)에 대해 삽입가능하고 또한 소정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소켓(10)에 대해 계지되는 플러그(30)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10)은 한쌍의 부재(4, 5)중 어느 한쪽의 부재(5)에 부착되고,
    상기 플러그(30)는 그 플러그(30)의 삽입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손잡이부(33)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부(33)에는 한쌍의 부재(4, 5)중 다른쪽 부재(4)를 부착하는 부착부(3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부재(4)가 인장력을 수용하는 방향에 대해 상기 플러그(30)의 삽입방향이 교차하도록, 상기 소켓(10)이 한쪽 부재(5)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10)은 이면측이 상기 한쪽 부재(5)에 부착된 소켓 본체(11)와, 상기 소켓 본체(11)의 표면측에 플러그(30)의 삽입방향을 따라 형성된 개미홈 형상으로 상기 삽입방향의 일단이 개방된 안내홈(23)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30)는 이면측이 상기 소켓 본체(11)의 표면측에 접근하고 또한 표면측에 손잡이부(33)를 갖는 플러그 본체(31)와, 상기 플러그 본체(31)의 이면측에 형성되고 상기 소켓(10)의 안내홈(23)에 삽입되는 형상으로 미끄럼가능한 미끄 럼부(34)와, 상기 플러그 본체(31)의 손잡이부(33)에 형성된 부착부(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23)은 플러그(30)의 삽입방향에 간격을 두고 상기 소켓 본체(1)에 2개소 형성되며, 상기 미끄럼부(34)는 플러그(30)의 삽입방향에 간격을 두고 상기 플러그 본체(31)에 2개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30)의 미끄럼부(34) 및 부착부(37)는 상기 한쪽 부재(4)가 인장력을 수용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플러그 본체(31)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10)에는 소켓(10)을 한쪽 부재(5)에 부착되는 테이프(12)를 플러그(30)의 삽입방향을 따라 삽입통과하기 위한 테이프 삽입통과 구멍(13 내지 16)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30)의 부착부(37)는 소켓(10)의 테이프 삽입통과 구멍(13 내지 16)에 삽입통과된 테이프(12)의 삽입통과 방향 및 한쪽 부재(4)가 수용되는 인장력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부착구멍(3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본체(31)는 소켓 본체(11)의 표면측에 접하는 이면 벽부(32)와, 상기 이면 벽부(32)의 표면측 중앙에 상기 플러그(30)의 삽입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립하여 형성된 손잡이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10)에 대해 플러그(30)가 소정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30)를 소켓(10)에 대해 계지하는 계지수단(40, 40A, 40B, 40C) 및 상기 계지수단(40, 40A, 40B, 40C)의 계지상태를 해제하는 해제수단(50, 50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수단(40, 40B)은 소켓(10)에 플러그(30)의 삽입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벽(41) 및 계지부(42)와, 상기 플러그(30)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30)가 소켓(10)에 삽입될 때 안내벽(41)에 의해 플러그(30)의 내측으로 탄성변형된 후 상기 계지부(42)에 도달되었을 때, 탄성복귀되어 계지부(42)에 계지되는 탄성 협지편(43, 7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해제수단(50)은 플러그(30)의 탄성 계지편(43, 71)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탄성 계지편(43)을 플러그(30)의 내측으로 탄성변형시키는 조작부(5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수단(40A)은 소켓(10)에 형성된 탄성변형가능한 탄성 계지 돌부(61)와, 상기 플러그(30)에 형성되고 플러그(30)가 소켓(10)에 삽입 되었을 때 탄성 계지 돌부(61)에 계지되는 계지구멍(6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탄성 계지 돌부(61)는 플러그(30)가 소켓(10)에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30)에 의해 탄성 계지 돌부(61)를 소켓(10)의 내측으로 탄성변형시킨 후 상기 계지구멍(63)이 탄성 계지 돌부(61)에 도달하였을 때 탄성 계지 돌부(61)를 탄성복귀시켜 계지구멍(63)에 계지시키는 안내벽(62)을 포함하며,
    상기 해제수단(50A)은 소켓(10)의 탄성 계지 돌부(61)를 소켓(10)의 내측으로 탄성변형시키는 조작부(6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수단(40C)은 소켓(10) 및 플러그(30)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한쌍의 탄성 협지편(81)과, 상기 소켓(10) 및 플러그(30)의 다른쪽에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30)가 소켓(10)에 삽입되었을 때 탄성 협지편(81)을 협지하는 협지핀(8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한쌍의 탄성 협지편(81)은 플러그(30)가 소켓(10)에 삽입되었을 때 협지핀(84)에 의해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킨 후 협지핀(84)이 통과하였을 때 탄성복귀되는 안내벽(82)과, 상기 안내벽(82)에 의해 플러그 삽입측에 형성되고 상기 협지핀(84)을 탄성협지하는 협지부(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12. 제1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버클(7)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KR1020050035860A 2004-04-30 2005-04-29 버클 및 이를 이용한 베이비 캐리어 KR100729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36685A JP4271076B2 (ja) 2004-04-30 2004-04-30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ベビーキャリア
JPJP-P-2004-00136685 2004-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619A true KR20060047619A (ko) 2006-05-18
KR100729899B1 KR100729899B1 (ko) 2007-06-18

Family

ID=34935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860A KR100729899B1 (ko) 2004-04-30 2005-04-29 버클 및 이를 이용한 베이비 캐리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04002B2 (ko)
EP (1) EP1591045B1 (ko)
JP (1) JP4271076B2 (ko)
KR (1) KR100729899B1 (ko)
CN (1) CN100490708C (ko)
DE (1) DE602005025825D1 (ko)
TW (1) TWI2627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27303A1 (en) * 2006-11-29 2008-06-04 TOMY UK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lasps
SE531905C2 (sv) * 2008-01-11 2009-09-08 Baby Bjoern Ab Haklås
US7581978B1 (en) * 2008-08-06 2009-09-0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a latch
US20110056056A1 (en) * 2009-09-10 2011-03-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Component adapted for hands-free assembly to a panel, a component and panel assembly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component to a panel
US8225970B2 (en) * 2010-01-29 2012-07-24 Evenflo Company, Inc. Infant carrier buckle
DE202011101136U1 (de) * 2010-02-03 2011-12-08 Fidlock Gmbh Befestigungsanordnung
TWM427348U (en) * 2011-09-30 2012-04-21 Ratchet King Co Ltd Freight fastening buckle with positioning function
US9661911B2 (en) * 2013-06-24 2017-05-30 Tumi, Inc. Strap connector and methods thereof
AU2016302402A1 (en) * 2015-08-04 2018-03-08 Australian Defence Apparel Pty Ltd Back frame
US10660454B2 (en) 2018-01-03 2020-05-26 Lalabu LLC Child carrying garment
US10709262B2 (en) 2018-10-03 2020-07-14 Lalabu LLC Child carrying system
USD970208S1 (en) 2020-10-16 2022-11-22 Lalabu LLC Child carrier with head support
WO2022081914A1 (en) 2020-10-16 2022-04-21 Lalabu LLC Child carrying system with adaptable head suppor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4907A (en) * 1965-10-24 1969-12-23 Prentice Corp Adjustable closure devices
EP0623296A1 (en) * 1993-05-07 1994-11-09 Ykk Corporation Buckle
CA2159241A1 (en) 1994-09-28 1996-03-29 Kenzou Kassai Baby carrier
JP2004000687A (ja) 1995-01-13 2004-01-08 Aprica Kassai Inc 乳幼児キャリアのキャリア本体脱落防止機構
US5774957A (en) * 1996-11-06 1998-07-07 Kohl; Thomas D. Jewelry clasp
CN1119965C (zh) * 1997-02-17 2003-09-03 阿普丽佳葛西株式会社 婴儿背带
US6357092B1 (en) * 2000-01-31 2002-03-19 Ancra International, Llc. Double acting adjustable buckle
SE522245C2 (sv) 2001-06-28 2004-01-27 Baby Bjoern Ab Kopplingsanordning innefattande en första del i formen av en stolpe och en andra del i formen av en ringformig kropp
CN2549840Y (zh) * 2002-07-01 2003-05-14 郑钦明 兼具婴儿车座垫功能的背婴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04002B2 (en) 2007-04-17
TW200538064A (en) 2005-12-01
TWI262771B (en) 2006-10-01
EP1591045A1 (en) 2005-11-02
US20050241122A1 (en) 2005-11-03
JP4271076B2 (ja) 2009-06-03
CN1695523A (zh) 2005-11-16
JP2005312822A (ja) 2005-11-10
DE602005025825D1 (de) 2011-02-24
CN100490708C (zh) 2009-05-27
EP1591045B1 (en) 2011-01-12
KR100729899B1 (ko) 200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9899B1 (ko) 버클 및 이를 이용한 베이비 캐리어
KR100475493B1 (ko) 높은 안전성의 버클 조립체
US6684466B2 (en) Three point release buckle assembly
US7219406B2 (en) Buckle with safety latch
US9113680B2 (en) Buckle
US7650675B2 (en) Buckle
US7174609B2 (en) Buckle
KR100286868B1 (ko) 버클
EP1179303B1 (en) Push release buckle
US20090100652A1 (en) Buckle with Safety Latch
US4631787A (en) Buckle having manually releasable interlocking male and female portions
KR19990083626A (ko) 버클
US10588383B2 (en) Buckle
US10736384B2 (en) Tension release fastener
JP2012030011A (ja) バックル
TWI642376B (zh) 扣具及其插頭扣件
TWM557039U (zh) 扣具及其插頭扣件
CN216438655U (zh) 扣具
US11357294B2 (en) Fastener for accessories
CN211354118U (zh) 一种拉链
JPH0235186B2 (ko)
JP4102485B2 (ja) 紐の留め具
JPH09173107A (ja) バックル
JPH0586213U (ja) プラスチック製バックル
JPH0539307U (ja) バツク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