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676B1 - 양면 벨트 사용 가능한 자동 신장 버클 - Google Patents

양면 벨트 사용 가능한 자동 신장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676B1
KR101873676B1 KR1020170012053A KR20170012053A KR101873676B1 KR 101873676 B1 KR101873676 B1 KR 101873676B1 KR 1020170012053 A KR1020170012053 A KR 1020170012053A KR 20170012053 A KR20170012053 A KR 20170012053A KR 101873676 B1 KR101873676 B1 KR 101873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elastic
clip
rear end
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완
Original Assignee
이정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완 filed Critical 이정완
Priority to KR1020170012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16Strap held by spr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2Buckle with fixed prong
    • A44B11/223Buckle with fixed prong fixed on a movable el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 벨트 사용이 가능한 자동 신장 버클에 관한 것으로, 몸체 길이가 탄력적으로 신장 또는 복원될 수 있으며, 벨트 양면을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버클 후단부에 유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몸체의 후단부가 탄성 클립부재의 몸체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착 및 구속되어 탄성 클립 부재의 탄성적인 슬라이드 동작을 지지 및 제한하는 클립 고정부재, 몸체의 내부에 클립 고정부재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착 및 조립되고 클립 고정부재의 탄성적인 슬라이드 동작을 위한 압력 스프링이 개재되어 몸체의 선단부 쪽으로 클립 고정부재가 탄력적으로 인장되거나 수축되며 몸체의 후단부에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가 탄성적으로 인장 또는 수축 가능하게 조립되는 탄성 클립 부재, 및 몸체의 선단부가 탄성 클립 부재에 탄성적인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몸체의 후단부에 벨트의 안착과 고정 또는 분리를 위한 고정레버가 구비되는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를 포함하여, 착용자의 복부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신장 또는 복원되어 복부 압박을 최소화하고 착용자의 의도에 따라 벨트 양면을 모두 선택 사용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양면 벨트 사용 가능한 자동 신장 버클{A buckle for extending the length automatically and using the double-sided belt}
본 발명은 양면 벨트 사용이 가능하며 몸체의 길이가 탄력적으로 자동 신장 또는 복원되는 버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혁대 착용자의 상태에 따라 별도의 조작 없이도 버클의 몸체 길이가 자동으로 신장 또는 복원될 수 있도록 하여 복부 압박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로 버클과 벨트를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착용자의 의도에 따라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를 회전시켜 벨트 양면을 모두 임의로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한 사용을 도모할 수 있는 양면 벨트 사용이 가능한 자동 신장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허리에 착용하는 혁대는 신체에서 위와 장이 움직이는 방향에 대해서 직각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므로 소화기관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며, 자세 변화 혹은 식사로 인해 복부가 팽만해질 때 복부를 압박하게 되어 불편함을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착용자가 스스로 혁대를 풀고 벨트 길이를 느슨하게 조절하여 불편함을 해소해야 하므로,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92203호(2008.10.15 공개; 이하 '특허문헌1'이라 약칭함)에는 미세한 복부운동에도 혁대가 적절하게 신축될 수 있고, 사용자가 버클을 용이하게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혁대의 자동신축장치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 의하면, 버클과 이에 결합되는 혁대의 단부 사이에 판스프링이 내장된 신축장치를 구성하여, 혁대의 길이변화에 대처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8536호(2009.03.05 등록; 이하 '특허문헌2'라 약칭함)에는 과식이나 자세변화 등에 의하여 복부가 팽만할 때 벨트길이가 자동적으로 늘어나면서 복부압박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혁대 벨트의 자동신축장치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2에 의하면, 벨트의 일측단부와 탄성부재의 일측단부를 고정클립으로 결합하고 탄성부재를 타측단부와 버클을 연결벨트로 연결함으로써 혁대 벨트의 길이변화에 대처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특허문헌1,2의 선행기술은 버클과 혁대, 벨트와 버클 사이에 별도의 신축장치나 탄성부재를 두어야 하므로 혁대의 구조가 복잡해짐은 물론이고 혁대의 생산원가가 올라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2410호(2010.04.05 등록; 이하 '특허문헌3'이라 약칭함)에는 버클몸체 일측의 회전줄임쇠에 결속된 벨트를 착용자가 임의로 회전동작시켜 벨트의 양면을 선택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버클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3에 의하면, 벨트의 일단이 압착고정된 버클몸체의 회전줄임쇠를 착용자가 임의로 간단하게 회전동작시켜 벨트의 양면을 선택 사용할 수 있고 회전줄임쇠로부터 벨트의 분리동작도 힘들이지 않고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으면서 분리 및 결속동작시에 발생될 수 있는 벨트의 손상도 거의 없도록 하여 기능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78471호(2015.09.30 등록; 이하 '특허문헌4'라 약칭함)에는 벨트의 일단이 연결되는 벨트 연결부를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한 버클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4에 의하면, 버클의 양 측방으로 벨트가 통과될 수 있도록 통과홀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되고 배면에 걸림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본체와, 벨트 통과홀 내에서 벨트를 가압 또는 해지하는 방향으로 수평 회전되며 벨트 가압시 걸림홈에 대응 삽입되도록 전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록킹부재, 일측단이 록킹부재의 일측면과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암수로 대응 결합되며 타측단에 벨트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벨트 걸이부를 포함하여, 벨트의 양면을 반전시켜 선택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허리벨트는 착용시마다 버클의 후크를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맞는 위치의 구멍에 끼워 결속하거나 분리하는 과정이 반복되어야 하므로, 주로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맞는 벨트 위치에 형성된 구멍은 결속 및 분리과정이 반복될수록 그 직경이 확장되거나 낡게 되어 허리벨트 전체를 사용하지 못하고 폐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또한 버클을 이용하여 벨트의 길이를 조절하게 될때에 조임쇠를 이용하여 벨트를 분리시키고 다시 체결시키는 과정에서 조임쇠에 삽입되는 벨트 부분이 훼손되거나 잘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버클의 조임쇠에 벨트를 결속하거나 분리동작이 나사결합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사용상 많은 번거로움이 있었다.
KR 10-2008-0092203 A 2008.10.15. 공개 KR 10-0888536 B1 2009.03.05. 등록 KR 10-0952410 B1 2010.04.05. 등록 KR 20-0478471 Y1 2015.09.30.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벨트와 연결되는 버클의 일측 단부에 착용자의 복부 팽만 등에 의해 몸체 길이가 탄력적으로 신장 또는 복원되는 탄성클립부재를 연결하여 혁대 착용자에 의한 별도 조작 없이도 착용자의 복부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신장 또는 복원되면서 혁대에 의한 복부 압박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로 버클과 벨트를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착용자의 의도에 따라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를 회전시켜 벨트 양면을 모두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한 사용을 도모할 수 있는 양면 벨트 사용이 가능한 자동 신장 버클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버클 후단부에 유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몸체의 후단부가 탄성 클립부재의 몸체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착 및 구속되어 탄성 클립 부재의 탄성적인 슬라이드 동작을 지지 및 제한하는 클립 고정부재, 몸체의 내부에 클립 고정부재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착 및 조립되고 클립 고정부재의 탄성적인 슬라이드 동작을 위한 압력 스프링이 개재되어 몸체의 선단부 쪽으로 클립 고정부재가 탄력적으로 인장되거나 수축되며 몸체의 후단부에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가 탄성적으로 인장 또는 수축 가능하게 조립되는 탄성 클립 부재, 및 몸체의 선단부가 탄성 클립 부재에 탄성적인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몸체의 후단부에 벨트의 안착과 고정 또는 분리를 위한 고정레버가 구비되는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를 포함하는, 양면 벨트 사용이 가능한 자동 신장 버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버클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 탄성 클립 부재를 이용하여 혁대 착용자에 의한 별도의 조작 없이도 착용자의 복부 팽만 또는 외력 등에 의해 버클의 전체 길이가 자동으로 신장 또는 복원될 수 있게 되므로, 혁대에 의한 복부 압박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버클과 벨트를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로 회전시켜 착용자의 의도에 따라 벨트 양면 중의 어느 한면을 선택할 수 있게 하므로, 하나의 벨트를 다양한 컬러 또는 디자인 또는 종류로 변경하여 벨트의 다양한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벨트 사용이 가능한 자동 신장 버클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벨트 사용이 가능한 자동 신장 버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벨트 사용이 가능한 자동 신장 버클의 복원 상태 및 신장 상태를 각각 예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양면 벨트 사용이 가능한 자동 신장 버클의 구성과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벨트 사용이 가능한 자동 신장 버클의 조립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벨트 사용이 가능한 자동 신장 버클의 복원 상태 및 신장 상태를 각각 예시한 단면도로서,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면 벨트 사용이 가능한 자동 신장 버클은 클립 고정부재(110), 탄성 클립부재(120),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클립 고정부재(110)는 버클 후단부에 유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몸체의 후단부가 탄성 클립부재의 몸체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착 및 구속되어 탄성 클립 부재의 탄성적인 슬라이드 동작을 지지 및 제한한다. 이러한 클립 고정부재(110)는 버클(10)의 일측 단부, 즉 버클 후단부의 고정부재 조립부(13)에 양측면이 지지되는 상태로 고정부재 조립핀(13a)에 의해 유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버클(10)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될 수 있게 고정되며, 몸체의 후단부가 탄성 클립부재(120)의 몸체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착 및 구속되어 탄성 클립 부재(120)의 탄성적인 슬라이드 동작을 지지 및 제한한다. 이를 위하여 클립 고정부재(110)는 슬라이드 돌기(111), 한 쌍의 측면 지지부(112a,112b)를 구비한다.
슬라이드 돌기(111)는 클립 고정부재(110)의 몸체 후단부 중앙에서 일정 길이만큼 후단부로 몸체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탄성 클립 부재(120)의 몸체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한다.
한 쌍의 측면 지지부(112a,112b)는 슬라이드 돌기(111)와 평행하게 그 양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탄성 클립 부재(120)와의 결합시 측면 지지 및 커버링을 위한 측면 커버를 형성하며, 몸체의 후단부가 각각 안쪽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수직하게 절곡되어 압력 스프링(126a,126b)의 후단 구속 및 탄성 클립부재(120)의 슬라이드 동작 제한을 위한 후단 스토퍼(113a,113b)를 형성하여, 추후 설명될 탄성 클립 부재(120)의 선단 스토퍼(125a,125b)와의 상호 걸림 동작에 의해 탄성 클립 부재(120)과 클립 고정부재(110) 간의 최대 신장길이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클립 고정부재(110)는 측면 지지부(112a,112b)의 일측에 벨트 고리(11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탄성 클립 부재(120)는 몸체의 내부에 클립 고정부재(11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착 및 조립되기 위한 전면커버(121)와 돌기 안내홈(124)이 형성되고 클립 고정부재(110)의 슬라이드 동작에 탄력을 부여하기 위한 압력 스프링(126a,126b)이 몸체 내부에 삽입되어 몸체의 선단부 쪽으로 클립 고정부재(110)가 탄력적으로 인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게 지지하며, 몸체의 후단부에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가 탄성적으로 인장 또는 수축 가능하게 조립된다. 여기서 압력 스프링(126a,126b)은 타원형 단면을 가진 형태의 것을 사용함으로써 탄성 클립부재의 두께를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탄성 클립부재(120)는 전면 커버(121)를 구성하는 커버의 몸체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한 쌍의 돌기 지지부(123a,123b)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돌기 지지부(123a,123b)의 선단부와 후단부에는 압력 스프링(126a,126b)의 선단 구속 및 클립 고정부재(110)의 슬라이드 동작 제한을 위한 선단 스토퍼(125a,125b)와,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와의 결속을 지지하기 위한 조임쇠 결속부(122)가 각각 커버의 몸체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된다. 또한, 돌기 지지부(123a,123b)의 내측에는 클립 고정부재(110)의 슬라이드 돌기(111)를 양측면에서 각각 면접촉되는 상태로 지지하면서 돌기의 슬라이드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돌기 안내홈(124)이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돌기 지지부(123a,123b)에는 탄성스프링(127b)과 조립볼트(127a)에 의해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가 탄성적인 회동이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는 탄성 결합공(127)이 조임쇠 결속부(122)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후면 커버(129)를 나사 조립하기 위한 나사 조립공(128a,128b)이 돌기 지지부(123a,123b)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각 돌기 지지부(123a,123b)의 외측에는 스프링 안착홈(124a,124b)이 형성되어 클립 고정부재(110)의 후단 스토퍼(113a,113b)와 탄성 클립부재(120)의 선단 스토퍼(125a,125b)에 의해 양단부가 각각 구속되는 상태로 압력 스프링(126a,126b)이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탄성 클립 부재(120)의 탄성 결합공(127)은 탄성 스프링(127b)을 조립볼트(127a)의 외주면에 끼워 개재시킨 상태로 동시 삽입 및 조립이 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탄성 클립 부재(120)는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와의 탄성적인 결속을 안내하기 위해 클립 결속돌기(133a)에 대응하는 조임쇠 결속홈(122a)이 조임쇠 결속부(122)의 후단 외측에 더 형성된다.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는 몸체의 선단부가 탄성 클립 부재(120)의 후단부에 탄성적인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몸체의 후단부에 벨트의 안착과 고정 또는 분리를 위한 고정레버(134)가 구비된다. 이러한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는 조립 볼트(127a)와 탄성 스프링(127b)에 의해 탄성 클립부재(120)와 탄성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탄성 클립부재(120)에 대하여 360도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회전 동작을 통해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에 고정된 벨트(20)의 양면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는 벨트(20)의 안착을 위한 벨트 안착부(131), 벨트 안착부(131)의 상면에 몸체의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어 벨트를 압착 및 고정하는 다수 개의 벨트 체결돌기(132), 벨트 안착부(131)의 상면 선단부에 몸체의 상부로 수직하게 연설되어 탄성 클립 부재(120)와의 탄성적인 조립을 지지하는 클립 결속 지지부(133), 클립 결속 지지부(133)의 외측면에 횡으로 형성되며 탄성 클립 부재(120)와의 결속 및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클립 결속돌기(133a), 클립 결속 지지부(133)의 외측면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되 탄성 클립 부재(120)와의 탄성적인 결속을 위해 탄성 결합공(127)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조립볼트(127a)가 조립될 수 있는 볼트 조립공(133b), 및 벨트 안착부(131)를 전체적으로 커버링 가능한 크기의 몸체로 형성되며, 벨트 안착부(131)의 양측면에 형성된 핀 조립공(131a)에 레버 조립핀(13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벨트(20)를 눌러 고정하거나 또는 누름 해제하는 고정레버(1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볼트 조립공(133b)은 조립볼트(127a)의 조립은 허용되고 탄성 스프링(127b)은 제한되는 크기의 내경으로 형성된다.
한편,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는 탄성 클립 부재(120)와의 결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클립 결속돌기(133a)가 클립 결속 지지부(133)의 외측면에 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양면 벨트 사용이 가능한 자동 신장 버클의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양면 벨트 사용이 가능한 자동 신장버클의 조립동작을 설명하면, 버클(10) 후단부에 형성된 고정부재 조립부(13)에 양측면이 지지되는 상태로 고정부재 조립핀(13a)을 이용하여 클립 고정부재(110)의 선단부를 버클(10) 후단부에 유동 가능하게 조립하고, 아울러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의 벨트 안착부(131)의 후단부 양측에 형성된 핀 조립공(131a)에 레버 조립핀(135)을 이용하여 고정 레버(134)를 회동 가능하게 조립한다.
다음으로 탄성 클립 부재(120)의 전면 커버(121)를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돌기 지지부(123a,123b)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놓고,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의 클립 결속 지지부(133)를 탄성 클립 부재(120)의 조임쇠 결속부(122)와 대응되도록 위치시켜, 탄성 클립부재(120)의 탄성 결합공(127)과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의 볼트 조립공(133b)이 일직선상에 위치되게 배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의 클립 결속 지지부(133)와 탄성 클립 부재(120)의 조임쇠 결속부(122)가 서로 대응되게 위치된 상태, 즉 탄성 클립부재(120)의 탄성 결합공(127)과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의 볼트 조립공(133b)이 일직선상에 위치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탄성 스프링(127b)을 외주면에 끼워 넣은 상태의 조립 볼트(127a)를 탄성 클립부재(120)의 탄성 결합공(127)에 끼워 넣어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의 볼트 조립공(133b)에 조립한다. 이때 탄성 결합공(127)은 탄성 스프링(127b)을 조립볼트(127a)의 외주면에 끼워 개재시킨 상태로 동시 삽입 및 조립이 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의 볼트 조립공(133b)은 조립 볼트(127a)의 조립은 허용되고 탄성 스프링(127b)은 제한되는 크기의 내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탄성 스프링(127b)을 개재시킨 상태로 조립볼트(127a)에 의해 조립된 탄성 클립부재(120)와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는 그 내부에 삽입된 탄성 스프링(127b)의 탄성에 의해 외부에서 바깥쪽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탄성 스프링의 인장력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인장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탄성 클립부재(120)의 반대쪽에서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를 당긴 상태에서는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가 조립 볼트(127a)를 회전축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이러한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의 회전동작으로 착용자의 의도에 따라 벨트의 두 면 중 어느 한 면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가 조립된 탄성 클립부재(120)를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돌기 지지부(123a,123b)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놓고, 돌기 지지부(123a,123b)의 중앙부에 형성된 돌기 안내홈(124)에 클립 고정부재(110)의 슬라이드 돌기(111)가 삽입되어 내측면과 면접촉되도록 대응시킴과 아울러 돌기 지지부(123a,123b)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각 스프링 안착홈(124a,124b)에는 클립 고정부재(110)의 각 측면 지지부(112a,112b)를 각각 안착시킨다. 이때 측면 지지부(112a,112b)의 후단 스토퍼(113a,113b)는 돌기 지지부(123a,123b)의 선단 스토퍼(125a,125b) 내측으로 서로 대향하게 위치되게 하여, 추후 클립 고정부재(110)가 탄성 클립부재(120)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동작하게 될 때 각 선단 스토퍼(125a,125b)와 후단 스토퍼(113a,113b)가 서로 걸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클립 고정부재(110)의 슬라이드 돌기(111)와 측면 지지부(112a,112b)를 각각 탄성 클립부재(120)의 돌기 안내홈(124) 및 스프링 안착홈(124a,124b)에 안착시킨 후 측면 지지부(112a,112b)의 후단 스토퍼(113a,113b)와 돌기 지지부(123a,123b)의 선단 스토퍼(125a,125b)를 최대한 이격시킨 상태에서 각 스프링 안착홈(124a,124b)에 타원형 단면을 가진 압력 스프링(126a,126b)을 각각 끼워 삽입하고, 나사(129,129b)와 나사 조립공(128a,128b)을 이용하여 후면 커버(129)를 조립함으로써 탄성 클립부재(120)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로써 측면 지지부(112a,112b)의 후단 스토퍼(113a,113b)와 돌기 지지부(123a,123b)의 선단 스토퍼(125a,125b)는 외부에서 당기는 압력이 가해지기 이전까지는 도 3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압력스프링(126a,126b)에 의해 최대의 이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클립 고정부재(110)와 탄성 클립부재(120)는 압력스프링(126a,126b)에 의해 최대로 이격된 측면 지지부(112a,112b)의 후단 스토퍼(113a,113b)와 돌기 지지부(123a,123b)의 선단 스토퍼(125a,125b)에 의해 가장 가까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조립된 탄성 클립부재(120)는 그 내부에 삽입되는 압력 스프링(126a,126b)이 타원형 단면을 갖는 것이 사용되기 때문에 비교적 얇은 두께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의 고정 레버(134)를 열고 벨트 안착부(131)에 벨트를 안착시킨 후 다시 고정 레버(134)를 벨트 안착부 측으로 눌러 주게 되면, 벨트 체결 돌기(132)에 벨트(20)가 눌려지면서 벨트 안착부에 벨트가 압착 및 고정되어 벨트를 착용할 수 있는 상태로 조립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 완료된 벨트를 사용자가 착용하게 되면, 정상상태에서는 도 3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클립 고정부재(110)와 탄성 클립부재(120)는 압력스프링(126a,126b)에 의해 최대로 이격된 측면 지지부(112a,112b)의 후단 스토퍼(113a,113b)와 돌기 지지부(123a,123b)의 선단 스토퍼(125a,125b)에 의해 가장 가까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착용자의 복부 팽만 또는 외력 등에 의해 버클(10)과 벨트(20)에 인장력이 가해지는 경우, 버클(10)에 일단이 연결된 클립 고정부재(110)와 벨트(20)에 일단이 연결된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 사이에 탄성적으로 인장 또는 수축되는 탄성 클립부재(120)가 개재되어 있게 되므로, 탄성 클립 부재(120)의 양단부에는 클립 고정부재(110)와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의 힘이 작용하게 되며, 따라서 버클(10)의 고정부재 조립부(13)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된 클립 고정부재(110)의 슬라이드 돌기(111)가 탄성 클립 부재(120) 내측의 돌기 지지부(123a,123b)에 의해 면접촉되어 지지 및 안내되면서 돌기 안내홈(124)을 따라 슬라이드되고, 이와 동시에 클립 고정부재(110)의 후단 스토퍼(113a,113b)가 버클(10) 측으로 당겨지게 되면서 탄성 클립 부재(120)의 스프링 안착홈(124a,124b)에 삽입된 압력 스프링(126a,126b)을 압축하게 되어, 도 3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클립 고정부재(110)와 탄성 클립부재(120)는 압력스프링(126a,126b)이 압축된 길이만큼 이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돌기 지지부(123a,123b)의 선단부에는 선단 스토퍼(125a,125b)가 형성되어 있게 되므로, 클립 고정부재(110)와 탄성 클립 부재(120)는 측면 지지부(112a,112b)의 후단 스토퍼(113a,113b)와 돌기 지지부(123a,123b)의 선단 스토퍼(125a,125b)에 의해 최대 신장길이가 제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클립 고정부재(110)가 탄성 클립부재(120)의 스프링 안착홈(124a,124b)에 삽입된 압력 스프링(126a,126b)을 압축하게 되면, 도 3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압력 스프링(126a,126b)의 탄성력에 의해 클립 고정부재(110)와 탄성 클립 부재(120) 간의 거리가 압력 스프링(126a,126b)의 압축된 길이만큼 자동으로 신장시킬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벨트 착용자에 의한 별도의 조작 없이도 버클의 전체 길이가 자동으로 신장될 수 있게 되어 벨트에 의한 복부 압박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착용자의 복부 팽만 또는 외력 등에 기인한 인장력이 해소되는 경우, 클립 고정부재(110)와 탄성 클립 부재(120)에 가해지던 반대 방향의 힘이 제거되므로 클립 고정부재(110)가 압력 스프링(126a,126b)에 가하고 있던 압축력이 헤제되면서 동시에 압력 스프링(126a,126b)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도 3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클립 고정부재(110)와 탄성 클립 부재(120) 간의 거리가 다시 원위치(길이가 축소)되면서 벨트 착용자에 의한 별도의 조작 없이도 버클의 전체 길이가 자동으로 복원될 수 있게 되므로, 벨트에 의한 의복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벨트와 연결되는 버클의 일측 단부에 길이가 자동 신장 또는 복원되는 탄성 클립 부재를 연결하여 혁대 착용자에 의한 별도의 조작 없이도 착용자의 복부 팽만 등에 의해 버클의 전체 길이가 자동으로 신장 또는 복원되면서 혁대에 의한 복부 압박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로 버클과 벨트를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착용자의 의도에 따라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므로 벨트 양면을 모두 임의로 선택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버클 13 : 고정부재 조립부
13a : 고정부재 조립핀 20 : 벨트
110 : 클립 고정부재 111 : 슬라이드 돌기
112a,112b : 측면 지지부 113a,113b : 후단 스토퍼
114 : 벨트 고리 120 : 탄성 클립 부재
121 : 전면 커버 122 : 조임쇠 결속부
123a,123b : 돌기 지지부 124 : 돌기 안내홈
124a,124b : 스프링 안착홈 125a,125b : 선단 스토퍼
126a,126b : 압력 스프링 127 : 탄성 결합공
127a : 조립볼트 127b : 탄성 스프링
128a,128b : 나사 조립공 129 : 후면 커버
129a,129b : 나사 130 :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
131 : 벨트 안착부 131a : 핀조립공
132 : 벨트 체결돌기 133 : 클립 결속 지지부
133a : 클립 결속돌기 133b : 볼트 조립공
134 : 고정레버 135 : 레버 조립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버클(10) 후단부에 유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몸체의 후단부가 탄성 클립부재(120)의 몸체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착 및 구속되어 탄성 클립 부재(120)의 탄성적인 슬라이드 동작을 지지 및 제한하는 클립 고정부재(110);
    몸체의 내부에 상기 클립 고정부재(11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착 및 조립되고 상기 클립 고정부재(110)의 탄성적인 슬라이드 동작을 위한 압력 스프링(126a,126b)이 개재되어 몸체의 선단부 쪽으로 상기 클립 고정부재(110)가 탄력적으로 인장되거나 수축되며, 몸체의 후단부에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가 탄성적으로 인장 또는 수축 가능하게 조립되는 탄성 클립 부재(120); 및
    몸체의 선단부가 상기 탄성 클립 부재(120)에 탄성적인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몸체의 후단부에 벨트의 안착과 고정 또는 분리를 위한 고정레버(134)가 구비되는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클립 고정부재(110)는,
    버클(10) 후단부의 고정부재 조립부(13)에 양측면이 지지되는 상태로 고정부재 조립핀(13a)에 의해 조립되어 버클(10)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몸체의 후단부 중앙에서 일정 길이만큼 후단부로 몸체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탄성 클립 부재(120)의 몸체 내에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 돌기(111);
    슬라이드 돌기(111)와 평행하게 그 양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탄성 클립 부재(120)와의 결합시 측면 지지를 위한 측면 커버를 형성하며, 몸체의 후단부가 각각 안쪽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압력 스프링(126a,126b)의 후단 구속 및 탄성 클립부재(120)의 슬라이드 동작 제한을 위한 후단 스토퍼(113a,113b)를 형성하는 한 쌍의 측면 지지부(112a,112b);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클립부재(120)는,
    전면 커버(121)를 이루며, 커버 몸체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한 쌍의 돌기 지지부(123a,123b)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돌기 지지부(123a,123b)의 선단부와 후단부에는 압력 스프링(126a,126b)의 선단 구속 및 클립 고정부재(110)의 슬라이드 동작 제한을 위한 선단 스토퍼(125a,125b)와,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와의 결속을 지지하기 위한 조임쇠 결속부(122)가 각각 커버 몸체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 지지부(123a,123b)의 내측에는 클립 고정부재(110)의 슬라이드 돌기(111)를 양측면에서 각각 면접촉되는 상태로 지지하면서 돌기의 슬라이드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돌기 안내홈(124)이 형성되며,
    탄성스프링(127b)과 조립볼트(127a)에 의해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가 탄성적인 회동이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는 탄성 결합공(127)이 조임쇠 결속부(122)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후면 커버(129)를 나사 조립하기 위한 나사 조립공(128a,128b)이 돌기 지지부(123a,123b)에 각각 형성되며,
    각 돌기 지지부(123a,123b)의 외측에는 스프링 안착홈(124a,124b)이 형성되어 상기 클립 고정부재(110)의 후단 스토퍼(113a,113b)와 상기 선단 스토퍼(125a,125b)에 의해 양단부가 각각 구속되는 상태로 압력 스프링(126a,126b)이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벨트 사용이 가능한 자동 신장 버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는,
    벨트(20)의 안착을 위한 벨트 안착부(131);
    벨트 안착부(131)의 상면에 몸체의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어 벨트를 압착 및 고정하는 다수 개의 벨트 체결돌기(132);
    벨트 안착부(131)의 상면 선단부에 몸체의 상부로 수직하게 연설되어 탄성 클립 부재(120)와의 탄성적인 조립을 지지하는 클립 결속 지지부(133);
    클립 결속 지지부(133)의 외측면에 횡으로 형성되며 탄성 클립 부재(120)와의 결속 및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클립 결속돌기(133a);
    클립 결속 지지부(133)의 외측면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 클립 부재(120)와의 탄성적인 결속을 위한 조립볼트(127a)가 조립되는 볼트 조립공(133b); 및
    벨트 안착부(131)를 전체적으로 커버링 가능한 크기의 몸체로 형성되며, 벨트 안착부(131)의 양측면에 형성된 핀 조립공(131a)에 레버 조립핀(13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벨트(20)를 눌러 고정하거나 또는 누름 해제하는 고정레버(1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벨트 사용이 가능한 자동 신장 버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클립 부재(120)의 탄성 결합공(127)은,
    탄성 스프링(127b)을 조립볼트(127a)의 외주면에 끼워 개재시킨 상태로 동시 삽입 및 조립이 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의 볼트 조립공(133b)은,
    조립볼트(127a)의 조립은 허용되고 탄성 스프링(127b)은 제한되는 크기의 내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벨트 사용이 가능한 자동 신장 버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클립부재(120)는,
    상기 회전식 벨트 조립부재(130)와의 탄성적인 결속을 안내하기 위해 클립 결속 지지부(133)의 클립 결속돌기(133a)에 대응하는 조임쇠 결속홈(122a)이 조임쇠 결속부(122)의 후단 외측에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벨트 사용이 가능한 자동 신장 버클.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클립부재(120)는,
    전체 두께를 줄이기 위해 타원형 단면을 가진 압축 스프링(126a,126b)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벨트 사용이 가능한 자동 신장 버클.
KR1020170012053A 2017-01-25 2017-01-25 양면 벨트 사용 가능한 자동 신장 버클 KR101873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053A KR101873676B1 (ko) 2017-01-25 2017-01-25 양면 벨트 사용 가능한 자동 신장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053A KR101873676B1 (ko) 2017-01-25 2017-01-25 양면 벨트 사용 가능한 자동 신장 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676B1 true KR101873676B1 (ko) 2018-08-02

Family

ID=63251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053A KR101873676B1 (ko) 2017-01-25 2017-01-25 양면 벨트 사용 가능한 자동 신장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6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347B1 (ko) 2018-09-17 2019-03-05 송정호 신축 가능한 버클 결합 장치
KR101940448B1 (ko) * 2018-03-30 2019-04-10 이정완 양면 벨트 사용 및 길이 확장이 가능한 자동 신축 버클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75722A (en) * 1926-11-08 1930-09-16 Horix Carl Belt buckle
US2087151A (en) * 1935-10-31 1937-07-13 William B Hornberger Yieldable belt connection
US3150427A (en) * 1961-11-22 1964-09-29 Rossi Anacleto Belt buckle having enclosed elastically connected sliding elements
KR200427532Y1 (ko) * 2006-07-18 2006-09-27 김자현 탄력 신축구조를 가진 허리 벨트용 버클
KR100773342B1 (ko) * 2006-11-01 2007-11-05 김상구 혁대용 건강 버클
KR20080092203A (ko) 2007-04-11 2008-10-15 윤정식 혁대의 자동신축장치
KR100888536B1 (ko) 2008-10-21 2009-03-11 조용연 혁대 벨트의 자동신축장치
KR100952410B1 (ko) 2009-06-25 2010-04-14 (주)제이앤커뮤니티 벨트의 양면 사용 및 분리가 용이한 버클
KR200478471Y1 (ko) 2014-10-22 2015-10-08 김영렬 버클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75722A (en) * 1926-11-08 1930-09-16 Horix Carl Belt buckle
US2087151A (en) * 1935-10-31 1937-07-13 William B Hornberger Yieldable belt connection
US3150427A (en) * 1961-11-22 1964-09-29 Rossi Anacleto Belt buckle having enclosed elastically connected sliding elements
KR200427532Y1 (ko) * 2006-07-18 2006-09-27 김자현 탄력 신축구조를 가진 허리 벨트용 버클
KR100773342B1 (ko) * 2006-11-01 2007-11-05 김상구 혁대용 건강 버클
KR20080092203A (ko) 2007-04-11 2008-10-15 윤정식 혁대의 자동신축장치
KR100888536B1 (ko) 2008-10-21 2009-03-11 조용연 혁대 벨트의 자동신축장치
KR100952410B1 (ko) 2009-06-25 2010-04-14 (주)제이앤커뮤니티 벨트의 양면 사용 및 분리가 용이한 버클
KR200478471Y1 (ko) 2014-10-22 2015-10-08 김영렬 버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448B1 (ko) * 2018-03-30 2019-04-10 이정완 양면 벨트 사용 및 길이 확장이 가능한 자동 신축 버클
KR101954347B1 (ko) 2018-09-17 2019-03-05 송정호 신축 가능한 버클 결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7680B1 (en) Swimming goggles buckle
KR101873676B1 (ko) 양면 벨트 사용 가능한 자동 신장 버클
WO2021004358A1 (zh) 可穿戴设备
KR200486673Y1 (ko)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크 고정식 벨트버클
CN212938143U (zh) 一种可伸缩编织皮带
KR101847716B1 (ko) 자동 신장 버클
KR101940448B1 (ko) 양면 벨트 사용 및 길이 확장이 가능한 자동 신축 버클
KR101954347B1 (ko) 신축 가능한 버클 결합 장치
KR100888536B1 (ko) 혁대 벨트의 자동신축장치
KR101217011B1 (ko) 자기 반발력을 이용한 허리 견인 벨트
JP3094235U (ja) ベルトの交換型自動伸縮装置
CN109045596B (zh) 康复锻炼装置
KR200427532Y1 (ko) 탄력 신축구조를 가진 허리 벨트용 버클
KR20080092203A (ko) 혁대의 자동신축장치
KR101138911B1 (ko) 허리 견인 벨트
KR101304007B1 (ko)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
KR200162859Y1 (ko) 톱니형 체결수단을 가지는 버클
JP3175577U (ja) ベルトのバックル構造
KR200162858Y1 (ko) 톱니형 체결수단을 가지는 버클
KR20090121570A (ko) 바지의 허리 사이즈를 신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후크장치
CN108066952B (zh) 带长度调节件
CN114587735B (zh) 限位调节连杆装置及下肢支具
WO2018008843A1 (ko) 혁대 길이 자동 조절장치
CN220655754U (zh) 一种医用腰椎固定器
KR101912448B1 (ko) 신축 가능한 교환식 버클 결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