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858Y1 - 톱니형 체결수단을 가지는 버클 - Google Patents

톱니형 체결수단을 가지는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858Y1
KR200162858Y1 KR2019960034366U KR19960034366U KR200162858Y1 KR 200162858 Y1 KR200162858 Y1 KR 200162858Y1 KR 2019960034366 U KR2019960034366 U KR 2019960034366U KR 19960034366 U KR19960034366 U KR 19960034366U KR 200162858 Y1 KR200162858 Y1 KR 2001628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uckle
rod
fastening member
opera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43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1093U (ko
Inventor
박창식
Original Assignee
박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식 filed Critical 박창식
Priority to KR20199600343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858Y1/ko
Publication of KR199800210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0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8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8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혁대 착용시 버클과의 결합을 신속 정확하게 하면서도 혁대를 착용시 일정한 간격만큼 신축, 이완이 용이하도록 하여 혁대의 착용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톱니형 체결수단을 가지는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버클은 체결부재(120)의 체결공(121)에 체결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회동 작동되고 중심부에 지지판(142) 및 걸림쇠(141)를 가지는 작동봉과 상기 작동봉(140)의 지지판(142)과 체결부재(120)의 후단 사이에 작동봉(140)을 지지하도록 하는 스프링(122)을 구비한 톱니형 밴드를 착탈하도록 하는 혁대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140)의 일측단에는 체결부재(12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의 레버(143)를 갖추고, 상기 체결부재(120)의 상·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봉(151)(151a)과 이의 내부의 스프링(152)에 의해 지지되는 로드봉(153)과 이의 로드봉(153)에 체결핀(154)으로 밴드(200)를 연결하는 연결구(130)를 갖춘 브라켓트(15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톱니형 체결수단을 가지는 버클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평면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평단면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구성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단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버클 110 : 장식판
120 : 체결부재 121 : 체결공
122,152 : 스프링 130 : 연결구
140 : 작동봉 141 : 걸림쇠
142 : 지지판 143 : 레버
150 : 브라켓트 151,151a : 지지봉
153 : 로드봉 154 : 체결핀
본 고안은 톱니형 체결수단을 가지는 버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혁대 착용시 버클과의 결합을 신속 정확하게 하면서도 혁대를 착용시 일정한 간격만큼 신축, 이완이 용이하도록 하여 혁대의 착용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톱니형 체결수단을 가지는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혁대는 바지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혁대는 버클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와 같은 버클은 종래에도 여러종류가 다양하게 알려져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버클중에서도 혁대에 구멍을 뚫지않고 톱니형의 체결수단을 갖는 혁대에 사용되어지는 종래의 버클에 있어서는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과 더불어 톱니형의 체결수단을 걸어주는 버클의 걸림쇠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작동성도 좋지못한 문제점 등이 있는 것이었다.
더구나, 이와같은 종래의 혁대는 가죽 재질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신체의 상태에 따라, 즉 허리를 숙이거나 숨을 몰아쉬는 등 신체변화에 따라 혁대를 착용한 신체부위의 반경이 달라지는 것이나, 지금까지의 혁대에 있어서는 그 간격이 자동조절되지 않고 인위적으로 조절하여야 함으로써 활동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야기되었던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톱니형 체결수단을 가지는 버클에 있어, 혁대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키면서도 그 구성을 간단히 하여 제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고, 또한 착용한 혁대의 크기가 신체의 상태에 따라 일정간격만큼 신축, 이완되도록 함으로써 활동성을 좋게 하도록 하는 톱니형 체결수단을 가지는 버클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본 고안의 버클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즉 밴드의 톱니를 걸어주는 걸림쇠를 중심의 스프링에 의해 탄력지지토록 하면서도 그 일측단에 레버를 구비하여서 간단한 방법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또한 버클의 일측단에 구비되어 밴드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인장스프링에 의해 탄력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착용한 혁대가 일정 간격만큼 신축, 이완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계속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상세히 보인 분리사시도로써 이의 도면중 부호 100은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을 표시하고 있고, 부호 200은 밴드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버클(100)은 전면에 장식판(110)이 구비되어 있고, 이의 후면에는 체결부재(12)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체결부재(120)의 일측단에는 밴드(200)를 연결하는 연결구(1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재(120)에는 상, 하측으로 체결공(121)에 체결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회동작동되는 작동봉(140)이 갖추어져 있고, 이의 작동봉(140)의 중심에는 걸림쇠(141)를 가지는 지지판(142)이 구비되어 있어 있음과 동시에 그 일측단에는 체결부재(12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레버(14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동봉(140)의 지지판(142)과 체결부재(120)의 후단 사이에는 스프링(122)이 구비되어 작동봉(140)을 장식판(110) 측으로 밀어줌으로써 걸림쇠(141)가 장식판(110)의 후단면에 접면되어 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120)의 일측에는 밴드(200)가 연결되는 연결구(130)가 체결되는 브라켓트(150)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의 브라켓트(150)는 그 양측단이 체결부재(120)의 양측에 각각 지지되는 한쌍의 지지봉(151)(151a)내에 스프링(152)에 의해 지지되는 로드봉(153)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봉(151)(151a)에 지지되면서 슬라이드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트(150)는 로드봉(153)에 체결핀(154)으로 연결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약간의 회동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첨부도면의 제1도 및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클(100)의 일측 브라켓트(150)에 체결되는 연결구(130)에는 밴드(200)의 일측단이 연결되어 있고, 밴드(200)의 타측 내면에는 통상에서와 같이 톱니(21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통상에서와 같이 혁대를 바지에 착용한 후 밴드(200)를 버클(100)의 체결부재(120)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하여 반대측으로 당기게 되면, 작동봉(140)의 걸림쇠(141)가 스프링(122)의 탄성력으로 밴드(200)의 톱니(210)에 걸려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밴드(200)의 톱니(210) 모양과 걸림쇠(141)의 끝단 모양에 의해 밴드(200)는 체결되는 방향으로는 조여지지만 역방향으로는 풀려지지 않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혁대를 착용하여 신체의 조건에 맞게 조절하게 되면 혁대의 착용을 완료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허리를 숙이거나 또는 크게 숨을 몰아쉬는 등 혁대를 착용한 신체 부위의 반경이 순각적으로 차이가 나게 되면, 즉 혁대를 착용한 반경이 커지게 됨으로써 첨부 도면의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브라켓트(150)가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브라켓트(150)의 로드봉(153)이 지지봉(151)(151a)에 지지되면서 전진작동 되어짐으로써 이를 수용하게 되는것이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신체의 반경이 원위치되어지면, 지지봉(151)(151a)내 스프링(152)의 탄성력에 의해 로드봉(153)이 원위치되어 지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혁대를 풀고자 할 경우에는 버클(100)의 체결부재(120)에 노출된 작동봉(140)의 레버(143)를 첨부된 도면 제4도에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작동봉(140)이 스프링(122)을 압축하면서 일측으로 회동작동되어 그 걸림쇠(141)가 밴드(200)의 톱니(210)로부터 이탈되어져 밴드(200)를 버클(100)로부터 분리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톱니형 밴드를 체결하는 혁대의 버클에 있어, 밴드의 톱니를 착탈하도록 하는 작동봉의 구성을 간단히 함으로써 제조성 및 조립성 또한 이에 따른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면서도 작동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혁대를 착용한 후 사용자의 활동 등에 의해 신체의 반경이 순차적으로 차이가 나더라도 이의 차이에 따른 반경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가 있게 됨으로써 혁대의 착용에 따른 편안함과 활동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체결부재(120)의 체결공(121)에 체결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회동 작동되고 중심부에 지지판(142) 및 걸림쇠(141)를 가지는 작동봉과 상기 작동봉(140)의 지지판(142)과 체결부재(120)의 후단 사이에 작동봉(140)을 지지하도록 하는 스프링(122)을 구비한 톱니형 밴드를 착탈하도록 하는 혁대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140)의 일측단에는 체결부재(12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의 레버(143)를 갖추고
    상기 체결부재(120)의 상, 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봉(151)(151a)과 이의 내부의 스프링(152)에 의해 지지되는 로드봉(153)과 이의 로드봉(153)에 체결핀(154)으로 밴드(200)를 연결하는 연결구(130)를 갖춘 브라켓트(15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형 체결수단을 가지는 버클.
KR2019960034366U 1996-10-18 1996-10-18 톱니형 체결수단을 가지는 버클 KR2001628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366U KR200162858Y1 (ko) 1996-10-18 1996-10-18 톱니형 체결수단을 가지는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366U KR200162858Y1 (ko) 1996-10-18 1996-10-18 톱니형 체결수단을 가지는 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093U KR19980021093U (ko) 1998-07-15
KR200162858Y1 true KR200162858Y1 (ko) 1999-12-15

Family

ID=19470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4366U KR200162858Y1 (ko) 1996-10-18 1996-10-18 톱니형 체결수단을 가지는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8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093U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4828A (en) Clip
KR200145340Y1 (ko) 조절용 벨트 파스너
US10159291B1 (en) Side release buckle fastener with semi rigid insertion structure
US3559853A (en) Camera strap with free-floating loops at both ends
EP1495785A1 (en) Respirator mask
CA2291952A1 (en) Suspenders
KR200162858Y1 (ko) 톱니형 체결수단을 가지는 버클
KR101873676B1 (ko) 양면 벨트 사용 가능한 자동 신장 버클
KR200162859Y1 (ko) 톱니형 체결수단을 가지는 버클
US6658705B2 (en) Exchangeable self-adjusting device for use in belt
US6842912B1 (en) Expandable trouser belt
JPS5934361B2 (ja) リンクベルト
JP3154121B2 (ja) ベルト用バックル
KR970004031Y1 (ko) 신발용 조임구조
KR200208185Y1 (ko) 혁대용 버클
KR0137176Y1 (ko) 혁대
CN220192281U (zh) 一种新型收腰带
KR880002881Y1 (ko) 버클
AU652301B2 (en) A tourniquet device for extremities
KR19980062310U (ko) 톱니형 체결수단을 가지는 버클
US2897559A (en) Buckles
KR960006268Y1 (ko) 길이 조절이 간편한 혁대
KR970004698Y1 (ko) 버글의 걸림쇠 안전장치
JP3328773B2 (ja) バックル
KR0140016Y1 (ko) 혁대 버클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