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4007B1 -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 - Google Patents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4007B1
KR101304007B1 KR1020110139052A KR20110139052A KR101304007B1 KR 101304007 B1 KR101304007 B1 KR 101304007B1 KR 1020110139052 A KR1020110139052 A KR 1020110139052A KR 20110139052 A KR20110139052 A KR 20110139052A KR 101304007 B1 KR101304007 B1 KR 101304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length
adjusting
fram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1692A (ko
Inventor
조용연
Original Assignee
조용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연 filed Critical 조용연
Priority to KR1020110139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007B1/ko
Publication of KR20130071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6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A44B11/008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extensib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2Buckle with fixed prong
    • A44B11/226Buckle with fixed prong with cover 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과식이나 자세변화 등으로 인하여 복부가 팽만할 때 혁대의 길이가 자동적으로 늘어나도록 하여 복부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해소시켜 주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혁대의 길이조절을 위한 다수의 길이조절구멍(12)을 가지는 벨트(11)와, 벨트(11)의 일단에 고정되고 혁대의 길이조절을 위한 이동체(13)를 가지는 고정 클립(14) 및 이동체(13)가 혁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15)가 형성되고 벨트(11)의 길이조절구멍(12)과의 결합을 위한 고정고리(16)를 가지는 프레임(17)이 구비한 버클(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Self-adjusting device of a belt}
본 발명은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식이나 자세변화 등으로 인하여 복부가 팽만할 때 혁대의 길이가 자동적으로 늘어나도록 하여 복부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해소시켜 주는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혁대는 위와 장이 움직이는 상하 방향에 대해서 직각으로 압력을 가하므로 소화기관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혁대 착용자는 서있다가 앉거나 혹은 식사로 인해 복부팽만 시 복부에 가해지는 압박고통으로 인하여 혁대 착용을 꺼리고 멜방으로 대신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복부에 압박이 가해질 경우 혁대 착용자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혁대를 풀어 다시 길이를 느슨하게 조절해야 한다.
즉, 종래의 혁대는 구조적으로 신축되지 않기 때문에, 식후(특히 과식 후)에 복부가 팽만하거나 복부가 눌리는 신체 자세로부터 복부에 압박감이 가해질 경우, 혁대 착용자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혁대를 풀어야 하고, 이로 인해 착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된다.
이에 종래의 특허문헌1의 기능성 혁대는 띠의 일측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띠의 타측단부에 분리 결합되는 버클부 사이에 신축부재를 가지는 신축부를 둠으로써 혁대의 길이가 가변 가능하다. 또한 특허문헌2의 기능성 혁대는 벨트와 신축부재를 이중으로 적층시켜 버클의 고정바에 고정함으로써 기능성 혁대의 길이가 가변 가능하다.
또한 특허문헌3의 혁대의 자동신축장치는 버클과 이에 결합되는 혁대의 단부 사이에 신축장치, 즉 판스프링이 내장된 신축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혁대의 길이변화에 대처할 수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4의 혁대 벨트의 자동 신축장치는 벨트의 일측단부와 탄성부재의 일측단부를 고정클립으로 결합하고 탄성부재를 타측단부와 버클을 연결벨트로 연결함으로써 혁대 벨트의 길이변화에 대처할 수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1 내지 4의 선행기술 모두는 혁대의 길이가 가변 가능하다.
하지만 특허문헌1,2의 선행기술은 신축부재가 고무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신축부재의 신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3,4의 선행기술은 버클과 혁대, 벨트와 버클 사이에 별도의 신축장치나 탄성부재를 두어야 하므로 혁대의 구조가 복잡해짐은 물론이고 혁대의 생산원가가 올라가는 문제가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731168호(2007. 06. 27. 등록공고) 국내 등록특허 제10-0731633호(2007. 06. 28. 등록공고) 국내 공개특허 제10-2008-0092203호(2008. 10. 15. 공개) 국내 등록특허 제10-0888536호(2009. 03. 11. 등록공고)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지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사 후의 복부 팽만감 또는 장거리 운전시나 일상생활에서 자세 변화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혁대를 매고 등산이나 골프 등과 같은 운동 시 가쁜 심호흡 조절이 편리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혁대 구멍의 늘어짐을 방지하고 혁대의 수명을 획기적으로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는, 혁대의 길이조절을 위한 다수의 길이조절구멍을 가지는 띠 형상의 벨트; 상기 벨트의 일단에 고정되고 혁대의 길이조절을 위한 이동체를 가지는 고정 클립; 및 상기 이동체가 혁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벨트의 길이조절구멍과의 결합을 위한 고정고리를 가지는 프레임이 구비한 버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각각에 이동로가 형성된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프레임으로서 독립적으로 또는 일체형으로 가공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이동로와 연통되게 상기 이동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개방되어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절개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이동로와 연통되게 개방되어 상기 이동체의 착탈을 위한 착탈구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동체는 삼각기둥이나 사각기둥, 원기둥 또는 구 형상으로서 탄성부재와 함께 상기 이동로에 내입되어 볼트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내설될 수 있다.
상기 버클은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 또는 문양을 가지는 문양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문양판은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거나 상기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혁대의 길이가 자동적으로 신축 자재토록 함으로써 착용자의 자세가 변화하거나 기타 식사 등으로 복부가 팽만하는 등의 변화가 있어도 혁대를 착용한 바지가 흘러내리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혁대의 길이가 신체의 변화에 따라 자동적으로 신축 자재토록 함으로써 식사 후 복부가 팽만할 때나 장거리 운전 등과 같은 일상생활에서 자세 변화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혁대를 풀지 않은 상태에서도 혁대의 길이가 자동적으로 신축 자재토록 함으로써 혁대를 매고 등산이나 골프 등과 같은 운동을 하여 호흡이 가쁠 때 편리하게 심호흡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혁대 착용자의 자세 변화에도 불구하고 혁대 길이의 변화로 혁대 구멍에 가해지는 압력이 가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혁대 구멍의 늘어짐을 방지하고 혁대의 수명을 획기적으로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도1 및 도2에 개시된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1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는, 혁대의 길이조절을 위한 다수의 길이조절구멍(12)을 가지는 가죽이나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제작된 띠 형상의 벨트(11)와, 벨트(11)의 일단에 고정되고 혁대의 길이조절을 위한 이동체(13)를 가지는 금속이나 프라스틱 등의 재질의 고정 클립(14) 그리고 이동체(13)가 혁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15)가 형성되고 벨트(11)의 길이조절구멍(12)과의 결합을 위한 고정고리(16)를 가지는 금속재의 프레임(17)이 구비한 버클(1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2에 의하면, 상기 벨트(11)는 혁대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로서 가죽이나 합성수지 등에 의해 제작되어 착용자의 허리를 감쌀 수 있는 띠 형상을 가진다. 상기 벨트(11)는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맞게 혁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수의 길이조절구멍(12)을 가진다.
물론, 등록실용신안 제20-0309343호의 혁대용 버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혁대의 착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 등이 본 발명과 다른 경우 이들이 본 발명의 고정구멍과 고정고리를 대신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고정 클립(14)은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벨트(11)의 일단에 고정되고 이동체(13)를 매개로 혁대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버클(18)과의 결합구조를 가진다.
상기 고정 클립(14)은 클립 본체(24)와 고정레버(28)로 구성된다. 상기 클럽 본체(24)는 그의 일부가 후방으로 절곡된 절곡부(25)와 차단부(30)를 가지는 것으로서 절곡부(25)와 차단부(30) 사이에 벨트(11)이 일단에 내입된다. 상기 절곡부(25)는 고정레버(28)의 힌지축(27)과의 결합을 위한 힌지홀(26)이 천공되고, 상기 차단부(30)는 벨트(11)의 일단의 고정 클립(14)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클럽 본체(24)는 그의 일부가 전방으로 절곡된 연결부(31)를 가지며, 이 연결부(31)의 단부에는 혁대의 길이조절을 위한 이동체(13)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체(13)는 이동로(15) 내에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삼각기둥이나 사각기둥, 원기둥 또는 구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연결부(31) 길이는 이동로(15)의 깊이, 즉 절개홈(19)의 깊이보다는 길어야 한다.
상기 고정레버(28)는 양쪽에 절곡부(25) 힌지홀(26)과 힌지결합을 위한 힌지축(27)을 가진다. 또한 고정레버(28)는 그의 단부가 절곡되고 그 단부에 톱니가 형성된 스톱퍼(29)를 가지는데, 이 스톱퍼(29)는 고정 클립(14), 즉 클립 본체(24)와 고정레버(28) 사이에 끼워진 벨트(11)의 단부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착용자는 힌지축(27)을 중심으로 고정레버(28)를 회전시켜 클립 본체(24)와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클립 본체(24)와 고정레버(28) 사이에 벨트(11)의 일단을 끼운 후 고정레버(28)를 원상태로 작동시켜 고정 클립(14)에 벨트(11)의 일단을 고정한다.
이때 스톱퍼(29)는 벨트(11)를 고정 클립(14)에 고정할 때 스톱퍼(29)의 톱니부분이 벨트(11)에 박히면서 벨트(11)의 일단이 고정 클립(1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버클(18)은 이동체(13)가 혁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15)가 형성되고 벨트(11)의 길이조절구멍(12)과의 결합을 위한 고정고리(16)를 가지는 프레임(17)과,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 또는 문양을 가지는 문양판(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문양판(23)은 용접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프레임(17)에 부착되거나 최초 가공시 프레임(17)과 일체형으로 가공될 수 있다. 또한 문양판(23)은 사각판상에 다양한 문양을 새기거나 보석 등을 부착할 수 있을 뿐더러 문양판(23) 자체를 용이나 기타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17)은 각각에 이동로(15)가 형성된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프레임으로서 독립적으로 또는 일체형으로 금속이나 프라스틱 등으로 가공된다. 고정고리(16)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프레임(17)에 만들 수 있을 뿐더러 문양판(23)에도 만들 수 있다.
또한 프레임(17)은 이동로(15)와 연통되게 이동체(13)의 이동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홈(19)을 가지는데, 이 절개홈(19)은 이동체(13), 즉 연결부(3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홈이다.
또한 프레임(17)은 이동로(15)와 연통되게 형성된 착탈구(20)를 가지는데, 이 착탈구(20)는 이동체(13)의 착탈을 위한 공간으로서 이동체(13)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이동체(13)보다는 커야 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이동로(15)는 이동체(13)와 함께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21)가 수용하고 있는데, 이 탄성부재(21)는 길이가 늘어났던 혁대가 원상태로 돌아갈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동로(15)에 내입된 이동체(13)와 탄성부재(21)는 이동로(15)의 입구에 볼트(22)가 체결되므로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이때 볼트(22)가 이동로(15) 중 착탈구(20)와 연통되는 부분의 일부까지 깊숙이 내입되게 결합되므로 이동체(13)가 이동로(15), 즉 착탈구(20)를 통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도3은 도1 및 도2에 개시된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3의 (a)는 착용자가 혁대를 허리에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정상적인 상태, 즉 허리가 팽만하지 않을 때의 혁대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 경우 신체에 의해 벨트(11)에 가해지는 A 방향의 힘이 탄성부재(21)의 탄성력보다 작기 때문에 탄성부재(21)의 탄발력에 의해 이동체(13)가 이동로(15)를 따라 이동하면서 벨트가 착용자의 허리로부터 흐러내리지 않도록 벨트의 길이가 줄어든다.
도3의 (b)는 착용자가 혁대를 허리에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허리가 팽만할 때의 혁대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 경우 신체에 의해 벨트(11)에 가해지는 A 방향의 힘이 탄성부재(21)의 탄성력보다 크기 때문에 A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 탄성부재(21)의 탄발력을 이기므로 이동체(13)가 이동로(15)를 따라 이동하면서 착용자 신체의 변화에 맞게 벨트의 길이가 늘어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 벨트 12 : 길이조절구멍
13 : 이동체 14 : 고정클립
15 : 이동로 16 : 고정고리
17 : 프레임 18 : 버클
19 : 절개홈 20 : 착탈구
21 : 탄성부재 22 : 볼트
23 : 문양판 24 : 클립 본체
25 : 절곡부 26 : 힌지홀
27 : 힌지축 28 : 고정레버
29 : 스톱퍼 30 : 차단부
31 : 연결부

Claims (7)

  1. 혁대의 길이조절을 위한 다수의 길이조절구멍(12)을 가지는 띠 형상의 벨트(11);
    상기 벨트(11)의 일단에 고정되고 혁대의 길이조절을 위한 이동체(13)를 가지는 고정 클립(14); 및
    상기 이동체(13)가 혁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15)가 형성되고 상기 벨트(11)의 길이조절구멍(12)과의 결합을 위한 고정고리(16)를 가지는 프레임(17)이 구비한 버클(1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레임(17)은 상기 이동로(15)와 연통되게 개방되어 상기 이동체(13)의 착탈을 위한 착탈구(2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7)은 각각에 이동로(15)가 형성된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프레임으로서 독립적으로 또는 일체형으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7)은 상기 이동로(15)와 연통되게 상기 이동체(13)의 이동방향을 따라 개방되어 상기 이동체(13)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절개홈(19)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13)는 삼각기둥이나 사각기둥, 원기둥 또는 구 형상으로서 탄성부재(21)와 함께 상기 이동로(15)에 내입되어 볼트(22)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18)은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 또는 문양을 가지는 문양판(2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판(23)은 상기 프레임(17)에 부착되거나 상기 프레임(17)과 일체형으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
KR1020110139052A 2011-12-21 2011-12-21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 KR101304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052A KR101304007B1 (ko) 2011-12-21 2011-12-21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052A KR101304007B1 (ko) 2011-12-21 2011-12-21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692A KR20130071692A (ko) 2013-07-01
KR101304007B1 true KR101304007B1 (ko) 2013-09-04

Family

ID=48986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052A KR101304007B1 (ko) 2011-12-21 2011-12-21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0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409Y1 (ko) 2016-07-05 2016-09-27 김용기 혁대 길이 자동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8960B2 (en) 2015-01-16 2019-09-03 Kati SCHWENDTKE Golfing a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2276U (ko) * 1989-12-15 1991-08-22
KR100773342B1 (ko) 2006-11-01 2007-11-05 김상구 혁대용 건강 버클
KR20100003914U (ko) * 2008-10-06 2010-04-15 이종면 스프링을 이용한 신축성 벨트 버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2276U (ko) * 1989-12-15 1991-08-22
KR100773342B1 (ko) 2006-11-01 2007-11-05 김상구 혁대용 건강 버클
KR20100003914U (ko) * 2008-10-06 2010-04-15 이종면 스프링을 이용한 신축성 벨트 버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409Y1 (ko) 2016-07-05 2016-09-27 김용기 혁대 길이 자동 조절장치
WO2018008843A1 (ko) * 2016-07-05 2018-01-11 김용기 혁대 길이 자동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692A (ko) 201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7639B1 (ko) 귀걸이 끈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마스크
EP2114326B1 (en) Apparatus for assisting breathing through a person's nose
US7334270B2 (en) Strap for diving face mask
CA2550295A1 (en) Athletic pants with integral knee support
RU2736095C9 (ru) Узел ремешка и пряжки
US10702029B2 (en) Watch band or other wearable strap with tear away safety feature
CN107072345B (zh) 头盔和头盔适配系统
US20210015216A1 (en) Band length-adjustable hook-fixing type belt buckle
KR200411067Y1 (ko) 귀걸이 끈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마스크
KR101304007B1 (ko)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
US11246295B2 (en) Animal restraint
CA2476304A1 (en) Protective ostomy belt
US7913318B2 (en) Adjustable padding system
KR100888536B1 (ko) 혁대 벨트의 자동신축장치
CN103763965B (zh) 条带
KR101873676B1 (ko) 양면 벨트 사용 가능한 자동 신장 버클
KR200473562Y1 (ko) 혁대 버클
KR200393602Y1 (ko) 착탈식 브래지어
KR200427532Y1 (ko) 탄력 신축구조를 가진 허리 벨트용 버클
KR102128666B1 (ko) 애견 입마개 장치
KR200485760Y1 (ko) 신축성 허리벨트
KR20080066438A (ko) 신축식 벨트
KR200342596Y1 (ko) 바지의 숨김형 허리사이즈 조절구조
JP3175577U (ja) ベルトのバックル構造
CN212974068U (zh) 一种新型的泳镜用调节边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