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926Y1 - 착탈식 버클 - Google Patents

착탈식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926Y1
KR200476926Y1 KR20140009149U KR20140009149U KR200476926Y1 KR 200476926 Y1 KR200476926 Y1 KR 200476926Y1 KR 20140009149 U KR20140009149 U KR 20140009149U KR 20140009149 U KR20140009149 U KR 20140009149U KR 200476926 Y1 KR200476926 Y1 KR 2004769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ale member
groove
arm memb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9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수
Original Assignee
유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수 filed Critical 유상수
Priority to KR20140009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9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9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9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Abstract

본 고안은 착탈식 버클이 개시되는 것으로, 상면에 호형의 체결돌기(11)가 구비되는 체결편(12)을 갖는 수부재(10)와, 바닥면(21)과 상기 바닥면(21)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수부재(10)의 체결편(12)이 인입되는 인입편(22)과 상기 바닥면(21)의 양측에 각각 대응되는 수직벽(23)과 상기 수직벽(23)에 각각 대응되게 구비되는 힌지홈부(24)와 상기 바닥면(21)에 구비되는 탄성지지부(30)를 갖는 암부재(20)와, 상기 암부재(20)의 힌지홈부(24)에 체결되는 힌지돌부(41)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덮개(40)로 이루어진 버클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10)의 체결편(12) 중앙에는 가이드홈(5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암부재(20)의 인입편(22) 상면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홈(51)이 끼워져 상기 수부재(10)와 암부재(20)가 체결될 때 수부재(10)의 위치를 암부재(20)에 대해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는 가이드돌기(50)가 더 구비되며, 덮개(40)의 내면에는 상기 수부재(10)의 호형의 체결돌기(11)가 체결되는 체결홈부(42)가 상기 호형의 체결돌기(11)와 대응되는 호형으로 더 구비되어 상기 수부재(10)의 체결돌기(11)가 상기 덮개(40)의 체결홈부(42)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수부재(10)가 암부재(20)에 체결되도록 하며, 상기 탄성지지부(30)는, 상기 암부재(20)의 바닥면(21)에 일측단(311)이 연결되고 타측단(312)은 상기 암부재(20)의 바닥면(21)으로부터 떨어지는 절곡형으로 이루어지지는 제1탄성지지부(31)와 제2탄성지지부(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탄성지지부(31)와 제2탄성지지부(32)는 상기 암부재(20)의 바닥면(21)으로부터 떨어지게 구비되는 타측단(312)이 상기 암부재(20)의 바닥면(21)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상기 덮개(40)를 눌렀을 때 누르는 힘이 제1탄성지지부(31)와 제2탄성지지부(32)에 각각 전달되어 누르는 힘이 분산되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착탈식 버클{detachable buckle}
본 고안은 착탈식 버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체결부와 수체결부로 이루어진 버클의 암체결부와 수체결부의 체결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성 및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착탈식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클이라함은 혁대나 배낭 또는 가방 등의 벨트나 가방끈의 단부에 한 쌍의 암수체결부가 구비되어 암수체결부가 상호 연결되어 체결이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버클은, 종래, 이러한 종류의 버클로서는 서로 연결가능한 암체결부와 수체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암체결부에는 적어도 일단부가 개방되고 대략 각 통형으로 형성된 속이 빈 통체와, 이 통체의 타단부에 연이어 설치한 벨트연결부와, 상기 통체의 서로 대향하는 일반의 양측벽에서 이 양측벽에 각각 인접한 타방의 양측벽을 향해서 각각 깊게 잘라낸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수체결부는 상기 암체결재의 통체에 구비되는 트인구멍 가장자리부에 맞닿는 턱부와, 이 턱부의 맞닿는 면에서 서로 떨어져서 돌출되어 양 슬롯에 각각 걸리는 한 쌍의 가요성 암부와, 상기 턱부의 맞닿지 않는 면에 연이어 설치된 벨트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 버클은, 수체결부가 암체결부의 빈 통체 내부로 인입되어 체결되는 것으로, 이 때 수체결부의 한 쌍의 암부가 상기 암체결부의 양측벽에 구비된 한 쌍의 슬롯측으로 노출되는 것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버클에서는 암체결부와 수체결부와의 연결상태가 쉽게 해제된다는 문제가 있다.
즉, 암체결부의 양측벽에 구비된 슬롯으로부터 수체결부의 가요성 암부가 각각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사용자가 걷거나 하는 동작에 의해 수체결부의 가요성 암부가 눌러질 경우 가요성 암부가 그대로 암체결부의 슬롯으로부터 빠져나가게 되어 버클의 수체결부와 암체결부가 서로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어린아이의 보호용구 또는 구명조끼 등과 같은 안전용구에 적용될 경우 안전성에 매우 위험적인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으며, 또한 배낭이나 가방의 경우 수체결부와 암체결부가 서로 분리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몸으로부터 배낭 또는 가방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탄성체에 의해 눌러지는 누름수단을 갖는 버클이 안출된 바 있다.
일예로, 공개실용 20-1998-028894호인 혁대용 버클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돌판을 형성한 버클본체의 일측에는 걸고리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의 걸고리의 중앙에 고정한 지지판에는 걸쇠를 유착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버클본체의 돌판 사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돌편을 형성한 전면카버프레이트를 핀으로 유착하여 스프링으로 탄력시키고 혁대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는 걸고리판에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의 걸림턱을 전면카버프레이트의 걸림턱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른 예로, 등록특허 10-0756277호인 버클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암 부재의 외형상에 슬롯이 개방되지 않은 비 개방형 버클에 있어서, 수 부재는 기부와 이 기부로부터 돌출하여 암 부재에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한 쌍의 걸림부를 가진 결합 레그와 각 결합 레그와 일체로 형성되어 기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안내 바닥판을 포함하고, 암 부재는 상기 결합 레그와 안내 바닥판을 수용하도록 본체부와 상판의 전면부를 선단이 개구된 챔버를 구성하며, 상기 결합 레그의 후면 걸림부가 체결되도록 상기 챔버 상단부의 상판은 걸림턱을 구비하여 상기 암 부재와 수 부재가 상호 착탈 가능하게 하고, 상기 암 부재는 하단부의 본체부와 상단부의 가압판을 포함하는 상판을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상판은 전면부 하측으로 걸림턱과 상판턱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부는 내측으로 평면의 본체 안착면과 상부로 돌출된 탄성지지대를 형성하며, 상기 탄성 지지대 하부에는 탄성홈이 본체 바닥부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본체부 힌지홈과 상판의 힌지가 상호 결합하여 유동 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암체결부(암부재)를 눌러주는 동작에 의해 수체결부가 분리되도록 하는 것으로, 체결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탄성에 의해 암체결부와 수체결부를 분리하여 주고 반드시 암체결부를 눌러주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 중에 암체결부와 수체결부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 중, 전자인 공개실용 20-1998-028894호의 경우에는 눌러진 전면카버프레이트를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이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스프링이 끊어지거나 하는 문제점과 함께 외부의 습기 등에 의해 스프링이 부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후자인 등록특허 10-0756277호의 경우에는 하나의 탄성지지대가 본체의 중앙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판이 누름동작시에 상판이 눌러지는 힘이 중앙에만 집중되어 눌러짐 동작이 용이하지 않고, 특히 중앙에 구비된 하나의 탄성지지대에 눌러지는 힘이 집중되어 탄성지지대가 쉽게 부러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판의 걸림턱이 수부재의 걸림부에 걸리도록 상기 걸림턱이 상판의 하부측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판의 벌어짐 동작이 돌출된 걸림턱까지 벌어져야 수부재의 걸림부가 걸림턱으로 분리됨에 따라 상판의 벌림범위가 클 수 밖에는 없고 상판의 벌림 범위가 클수록 탄성지지대를 눌러주는 힘이 가중되어 탄성지지대가 많은 하중이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실용 20-1998-028894호(1998.08.05. 공개) 대한민국등록특허 10-0756277호(2007.08.31. 등록)
본 고안은 버클의 암부재와 수부재과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탄성지지부가 눌러질 때 힘이 분산되도록 하여 탄성지지부에 무리한 하중이 전달됨을 최소화하도록 한 착탈식 버클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착탈식 버클은, 상면에 호형의 체결돌기가 구비되는 체결편을 갖는 수부재와,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수부재의 체결편이 인입되는 인입편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 각각 대응되는 수직벽과 상기 수직벽에 각각 대응되게 구비되는 힌지홈부와 상기 바닥면에 구비되는 탄성지지부를 갖는 암부재와, 상기 암부재의 힌지홈부에 체결되는 힌지돌부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덮개로 이루어진 버클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의 체결편 중앙에는 가이드홈이 더 구비되고, 상기 암부재의 인입편 상면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홈이 끼워져 상기 수부재와 암부재가 체결될 때 수부재의 위치를 암부재에 대해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는 가이드돌기가 더 구비되며, 덮개의 내면에는 상기 수부재의 호형의 체결돌기가 체결되는 체결홈부가 상기 호형의 체결돌기와 대응되는 호형으로 더 구비되어 상기 수부재의 체결돌기가 상기 덮개의 체결홈부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수부재가 암부재에 체결되도록 하며,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암부재의 바닥면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암부재의 바닥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절곡형으로 이루어지지는 제1탄성지지부와 제2탄성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탄성지지부와 제2탄성지지부는 상기 암부재의 바닥면으로 떨어지는 타측단이 상기 암부재의 바닥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상기 덮개를 눌렀을 때 누르는 힘이 제1탄성지지부와 제2탄성지지부에 각각 전달되어 누르는 힘이 분산되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수부재의 체결돌기는 상기 수부재의 가이드홈에 위치되는 제1체결돌기와 상기 제1체결돌기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제2체결돌기 및 제3체결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에 구비되는 체결홈부는, 상기 수부재의 제1체결돌기와 제2체결돌기 및 제3체결돌기에 각각 대응되는 제1체결홈부와 제2체결홈부 및 제3체결홈부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수부재를 암부재에 체결할 때에는 수부재를 암부재와 덮개 사이로 인입하여 체결하고 체결된 수부재를 암부재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 덮개를 눌러 덮개의 일측이 벌어지도록 하여 수부재를 암부재로부터 분리할 때 눌러지는 덮개의 힘이 서로 마주보는 제1탄성지지부와 제2탄성지지부에 의해 하중 전달을 분산시킬 수 있어 반복적으로 사용하더라도 제1탄성지지부와 제2탄성지지부가 마모되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될 수 있으며 수부재가 암부재와 덮개 사이로 인입되어 체결될 때 수부재의 가이드홈이 암부재의 가이드돌기에 가이드되어 수부재의 위치가 암부재에 대해 중앙에 위치되어 수부재의 위치가 틀어져 체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착탈식 버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착탈식 버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착탈식 버클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인 착탈식 버클의 수부재가 암부재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착탈식 버클의 탄성지지부가 눌러지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인 착탈식 버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버클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착탈식 버클은, 상면에 호형의 체결돌기(11)가 구비되는 체결편(12)을 갖는 수부재(10)와, 바닥면(21)과 상기 바닥면(21)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수부재(10)의 체결편(12)이 인입되는 인입편(22)과 상기 바닥면(21)의 양측에 각각 대응되는 수직벽(23)과 상기 수직벽(23)에 각각 대응되게 구비되는 힌지홈부(24)와 상기 바닥면(21)에 구비되는 탄성지지부(30)를 갖는 암부재(20)와, 상기 암부재(20)의 힌지홈부(24)에 체결되는 힌지돌부(41)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덮개(40)로 이루어진 버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부재(10)와 암부재(20), 탄성지지부(30), 덮개(40) 및 이들에 구비되는 상기 구성들인 체결돌기(11), 체결편(12), 바닥면(21), 인입편(22), 수빅벽(23), 힌지홈부(24), 힌지돌부(41)는, 상기 수부재(10)가 암부재(20)와 덮개(40) 사이로 체결될 때 상기 덮개(40)가 벌어졌다가 상기 탄성지지부(30)에 의해 상기 덮개(4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또한 체결된 수부재(10)를 암부재(20)와 덮개(40)로부터 분리할 때 상기 덮개(40)를 눌러준 상태에서 덮개(40)가 벌어지도록 하여 수부재(10)를 암부재(20)와 덮개(40)로부터 분리하면 되는 것으로, 이 때에도 상기 탄성지지부(30)에 의해 벌어진 덮개(40)는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수부재(10)를 암부재(20)와 덮개(40) 사이로 인입시켜 체결하거나 또는 체결된 수부재(10)를 암부재(20)와 덮개(40)로부터 분리할 때 덮개(40)의 벌어지는 동작에 의해 반복적으로 탄성지지부(30)가 눌러지기 때문에 탄성지지부(30)에 가해지는 바, 본 고안은 탄성지지부(30)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키고 덮개(40)의 벌어짐을 최소화하여 탄성지지부(30)가 끊어지거나 마모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상기 탄성지지부(30)는, 상기 암부재(20)의 바닥면(21)에 일측단(311)이 연결되고 타측단(312)은 상기 암부재(20)의 바닥면(21)으로부터 떨어지는 절곡형으로 이루어지지는 제1탄성지지부(31)와 제2탄성지지부(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탄성지지부(31)와 제2탄성지지부(32)는 상기 암부재(20)의 바닥면(21)으로부터 떨어지게 구비되는 타측단(312)이 상기 암부재(20)의 바닥면(21)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상기 덮개(40)를 눌렀을 때 누르는 힘이 제1탄성지지부(31)와 제2탄성지지부(32)에 각각 전달되어 누르는 힘이 분산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암부재(20)의 바닥면(21)에 일측단(311)이 연결되고 타측단(312)은 상기 암부재(20)의 바닥면(21)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탄성지지부(30)를 구비하되, 탄성지지부(30)를 서로 마주보는 제1탄성지지부(31)와 제2탄성지지부(32)로 구비하여 덮개(40)를 눌렀을 때 가해지는 힘이 분산되도록 하여 탄성지지부(30)에 가해지는 누르는 힘에 대한 대응력을 향상시켜 주어 덮개(40)의 반복적인 누름동작이 이루어지더라도 탄성지지부(30)가 끊어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30)를 구성하는 제1탄성지지부(31)와 제2탄성지지부(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부재(20)의 바닥면(21)으로부터 떨어지게 구비되는 제1탄성지지부(31)와 제2탄성지지부(32)에 각각 구비되는 타측단(312)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덮개(40)를 눌렀을 때 덮개(40)의 누르는 힘이 상기 제1탄성지지부(31)와 제2탄성지지부(32)의 타측단(312)에 각각 전달되기 때문에 덮개(40)의 누르는 힘에 대한 분산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지지부(30)를 구성하는 제1탄성지지부(31)와 제2탄성지지부(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부재(20)의 바닥면(21)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하여 상기 덮개(40)가 눌러질 때 제1탄성지지부(31)와 제2탄성지지부(32)의 타측단(312)이 동시에 눌러지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수부재(10)의 체결편(12) 중앙에는 가이드홈(5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암부재(20)의 인입편(22) 상면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홈(51)이 끼워져 상기 수부재(10)와 암부재(20)가 체결될 때 수부재(10)의 위치를 암부재(20)에 대해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는 가이드돌기(5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수부재(10)를 상기 암부재(20)와 덮개(40) 사이로 인입하여 체결할 때 상기 수부재(10)의 체결편(12) 중앙에 구비된 가이드홈(51)이 상기 암부재(20)의 인입편(22) 상면 중앙에 구비되는 가이드돌기(50)에 먼저 끼워진 상태에서 수부재(10)가 암부재(20)와 덮개(40) 사이로 인입되어 체결되기 때문에 수부재(10)의 위치를 암부재(20)의 중앙에 맞출 수 있어 수부재(10)가 위치가 틀어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덮개(40)의 내면에는 상기 수부재(10)의 호형의 체결돌기(11)가 체결되는 체결홈부(42)가 상기 호형의 체결돌기(11)와 대응되는 호형으로 더 구비되어 상기 수부재(10)의 체결돌기(11)가 상기 덮개(40)의 체결홈부(42)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수부재(10)가 암부재(20)에 체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수부재(10)가 암부재(20)와 덮개(40) 사이로 인입되어 체결될 때 상기 수부재(10)의 호형의 체결돌기(11)가 상기 덮개(40)의 호형의 체결홈부(42)에 끼워져 체결되기 때문에 상기 체결돌기(11)가 체결홈부(42)에 인입되어 끼워지는 것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어 종래 돌기와 돌기에 의해 체결되는 것과는 달리 상기 덮개(40)의 벌림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덮개(40)의 벌림동작을 최소화함으로써 덮개(40)의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탄성지지부(30)에 가해지는 누르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수부재(10)의 체결돌기(11)는 상기 수부재(10)에 구비되는 상기 가이드홈(51)에 위치되는 제1체결돌기(111)와 상기 제1체결돌기(111)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제2체결돌기(112) 및 제3체결돌기(1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돌기(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부재(10)의 체결편(12)으로부터 서로 균등한 간격으로 떨어지게 돌출되는 3개의 체결돌기 즉, 제1체결돌기(111), 제2체결돌기(112) 및 제3체결돌기(113)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 상기 수부재(10)의 체결편(12)으로부터 돌출되는 일자형으로 체결돌기(11)를 구비하여도 관계치 않는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11)가 제1체결돌기(111), 제2체결돌기(112) 및 제3체결돌기(113)로 이루어질 때, 상기 덮개(40)에 구비되는 체결홈부(42)는 상기 수부재(10)의 체결돌기(11)를 구성하는 제1체결돌기(111)와 제2체결돌기(112) 및 제3체결돌기(113)에 각각 대응되는 제1체결홈부(421)와 제2체결홈부(422) 및 제3체결홈부(4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3개의 체결돌기와 이에 대응되는 3개의 체결홈부로 각각 체결돌기(11)와 체결홈부(42)가 구비되더라도 수부재(10)가 암부재(20)와 덮개(40) 사이로 인입되어 체결될 때 먼저, 상기 수부재(10)의 가이드홈(51)이 상기 암부재(20)의 가이드돌기(50)에 끼워진 상태로 인입되어 체결되기 때문에 체결돌기(11)와 체결홈부(42)를 복수개로 구비하여도 수부재(10)를 암부재(20)와 덮개(40) 사이로 인입하여 체결함에 전혀 문제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수부재 11 : 체결돌기
12 : 체결편
20 : 암부재 21 : 바닥면
22 : 인입편 23 : 수직벽
24 : 힌지홈부 30 : 탄성지지부
31 : 제1탄성지지부 32 : 제2탄성지지부
40 : 덮개 41 : 힌지돌부
42 : 체결홈부 50 : 가이드돌기
51 : 가이드 홈
111 : 제1체결돌기 112 : 제2체결돌기
113 : 제3체결돌기 311 : 탄성지지부 일측단
312 : 탄성지지부 타측단 421 : 제1체결홈부
422 : 제2체결홈부 423 : 제3체결홈부

Claims (2)

  1. 상면에 호형의 체결돌기(11)가 구비되는 체결편(12)을 갖는 수부재(10)와, 바닥면(21)과 상기 바닥면(21)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수부재(10)의 체결편(12)이 인입되는 인입편(22)과 상기 바닥면(21)의 양측에 각각 대응되는 수직벽(23)과 상기 수직벽(23)에 각각 대응되게 구비되는 힌지홈부(24)와 상기 바닥면(21)에 구비되는 탄성지지부(30)를 갖는 암부재(20)와, 상기 암부재(20)의 힌지홈부(24)에 체결되는 힌지돌부(41)가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체결돌기(11)가 체결되는 체결홈부(42)를 갖는 덮개(40)로 이루어진 버클에 있어서,
    상기 덮개(40)의 내면에는 상기 수부재(10)의 호형의 체결돌기(11)가 체결되는 체결홈부(42)가 상기 호형의 체결돌기(11)와 대응되는 호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수부재(10)의 체결돌기(11)가 상기 덮개(40)의 체결홈부(42)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덮개(40)의 벌림동작이 최소화되어 상기 수부재(10)가 암부재(20)에 체결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수부재(10)의 체결편(12) 중앙에는 가이드홈(5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수부재(10)의 체결돌기(11)는 상기 수부재(10)에 구비되는 상기 가이드홈(51)에 위치되는 제1체결돌기(111)와 상기 제1체결돌기(111)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제2체결돌기(112) 및 제3체결돌기(113)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40)에 구비되는 체결홈부(42)는 상기 수부재(10)의 체결돌기(11)를 구성하는 제1체결돌기(111)와 제2체결돌기(112) 및 제3체결돌기(113)에 각각 대응되는 제1체결홈부(421)와 제2체결홈부(422) 및 제3체결홈부(423)로 이루어지되,
    상기 암부재(20)의 인입편(22) 상면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홈(51)이 끼워져 상기 수부재(10)와 암부재(20)가 체결될 때 수부재(10)의 위치를 암부재(20)에 대해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체결돌기(11)를 구성하는 상기 제1체결돌기(111)와 제2체결돌기(112) 및 제3체결돌기(113)가 상기 체결홈부(42)를 구성하는 상기 제1체결홈부(421)과 제2체결홈부(422) 및 제3체결홈부(423) 각각에 체결되도록 상기 가이드홈(51)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50)가 더 구비되며,
    상기 탄성지지부(30)는,
    상기 덮개(40)를 눌렀을 때 누르는 힘이 분산되어 탄성지지부(30)에 가해지는 누르는 힘에 대한 대응력을 향상시켜 반복적인 누름동작에 의해 탄성지지부(30)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암부재(20)의 바닥면(21)에 일측단(311)이 연결되고 타측단(312)은 상기 암부재(20)의 바닥면(21)으로부터 떨어지는 절곡형으로 이루어지는 제1탄성지지부(31)와 제2탄성지지부(32)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탄성지지부(31)와 제2탄성지지부(32)는, 상기 암부재(20)의 바닥면(21)으로부터 떨어지게 구비되는 타측단(312)이 상기 암부재(20)의 바닥면(21)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상기 덮개(40)를 눌렀을 때 누르는 힘이 제1탄성지지부(31)와 제2탄성지지부(32)의 타측단(312)에 각각 전달되어 덮개(40)의 누르는 힘이 분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버클.
  2. 삭제
KR20140009149U 2014-12-11 2014-12-11 착탈식 버클 KR2004769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9149U KR200476926Y1 (ko) 2014-12-11 2014-12-11 착탈식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9149U KR200476926Y1 (ko) 2014-12-11 2014-12-11 착탈식 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926Y1 true KR200476926Y1 (ko) 2015-04-14

Family

ID=53034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9149U KR200476926Y1 (ko) 2014-12-11 2014-12-11 착탈식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92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502B1 (ko) * 2016-08-01 2018-03-30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원터치 버클
KR200491818Y1 (ko) 2019-06-11 2020-06-09 백우민 탄성 체결 방식의 버클
KR200492263Y1 (ko) 2019-06-11 2020-09-07 백우민 회전 체결 방식의 버클
KR102575884B1 (ko) * 2023-01-03 2023-09-06 서건수 힌지탈착구를 갖는 배낭용 버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221A (ko) * 2001-03-22 2002-10-04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버클
KR100756277B1 (ko) * 2006-01-18 2007-09-07 백남일 버클
KR20120007506U (ko) * 2011-04-22 2012-10-31 김재옥 버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221A (ko) * 2001-03-22 2002-10-04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버클
KR100756277B1 (ko) * 2006-01-18 2007-09-07 백남일 버클
KR20120007506U (ko) * 2011-04-22 2012-10-31 김재옥 버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502B1 (ko) * 2016-08-01 2018-03-30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원터치 버클
KR200491818Y1 (ko) 2019-06-11 2020-06-09 백우민 탄성 체결 방식의 버클
KR200492263Y1 (ko) 2019-06-11 2020-09-07 백우민 회전 체결 방식의 버클
KR102575884B1 (ko) * 2023-01-03 2023-09-06 서건수 힌지탈착구를 갖는 배낭용 버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926Y1 (ko) 착탈식 버클
US8281464B2 (en) Buckle
US9113680B2 (en) Buckle
JP7144889B2 (ja) 磁気留め具
WO2017080011A1 (zh) 一种手表
JP2006204911A (ja) バックル
US20080115334A1 (en) Drawstring toggle
US20090013510A1 (en) Buckle device
TWI524856B (zh) Link with
CN108056538B (zh) 扣具
US9700108B2 (en) Coupler
CN112971281A (zh) 高安全性带扣
TW201818437A (zh) 開關裝置之鎖扣結構
TWM514019U (zh) 雪鏡束帶固定結構
US20160374436A1 (en) Buckle having easy separation operation
KR101069091B1 (ko) 버클
TWM590381U (zh) 扣具
KR101573906B1 (ko) 길이 조절이 간편한 가방용 버클
TW201427616A (zh) 皮帶調整器
CN116056603A (zh) 用于首饰的紧固装置
US20160088923A1 (en) Detachable lanyard connector
WO2020024124A1 (zh) 插座结构
JP2001275717A (ja) 機器携帯用ベルト端末具
KR20160084637A (ko) 결합 해제가 용이한 버클
CN218137962U (zh) 扣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