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506U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506U
KR20120007506U KR2020110003459U KR20110003459U KR20120007506U KR 20120007506 U KR20120007506 U KR 20120007506U KR 2020110003459 U KR2020110003459 U KR 2020110003459U KR 20110003459 U KR20110003459 U KR 20110003459U KR 20120007506 U KR20120007506 U KR 201200075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pper plate
pressing
female member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4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옥
Original Assignee
김재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옥 filed Critical 김재옥
Priority to KR20201100034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7506U/ko
Publication of KR201200075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50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6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암부재와 수부재의 결합이 가능한 버클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는 (a) 상판(30); 및 (b) 하판(20)을 포함하며, 상기 하판(20)은 바닥판(22); 상기 바닥판(22)의 양측에 형성된 측면판(25); 및 상기 측면판(25)에 형성되어, 하기 상판(30)의 걸림턱(33)이 결합가능한 결합공(23)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30)은 상기 상판(30)의 일 말단에 형성되어 가압하여 상기 암부재와 수부재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가압부(32); 상기 상판(30)의 타 말단에 돌출 형성되어 통상적으로는 상기 암부재와 수부재를 결합하는 역할을 수행하나, 상기 가압부(32)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암부재와 수부재를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암부재 걸림턱(31); 상기 상판(3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32)를 가압할 때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34); 및 상기 상판(30)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판(20)의 결합공(23)에 결합이 가능한 걸림턱(33)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부재는 본체부(19); 상기 본체부의 일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암부재의 상기 상판(30) 및 하판(20) 사이로 삽입 결합할 수 있는 결합판(17); 및 상기 결합판에 형성되어 상기 상기 암부재와의 결합시 상기 암부재 걸림턱(31)과 결합할 수 있는 수부재 걸림턱(16)으로 구성되어 있는 버클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암부재 및 수부재는 본 고안의 주요 구성요소인 암걸림턱 및 수걸림턱의 결합에 의해 견고한 결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단순히 가압부의 가압에 의해 매우 쉽게 분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버클{buckle}
본 고안은 배낭 또는 스포츠 의류에 사용되는 버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등산용 배낭, 가방 또는 의복 등과 같은 물품에 연결수단으로서 벨트나 스트랩 등의 양쪽 끝단에 암, 수 부재로서 이들 암, 수 부재가 착탈식으로 결합된 버클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암, 수 부재로 구성된 버클의 경우 상기 암, 수 부재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스위치가 버클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버클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힘이 필요하고, 또한 양 스위치를 유사한 수준의 압력을 가해야 두 개의 수 걸림턱이 암걸림턱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양 스위치에 가하여지는 압력이 다를 경우 어느 하나의 수 걸림턱은 암걸림턱에서 분리되나, 나머지 수 걸림턱은 암 걸림턱에서 분리되지 않는 등 많은 문제가 존재하였다(도 6 참조).
상기 기존 버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암, 수 부재로 구성된 버클의 분리 스위치를 상기 암 부재 또는 수 부재에 단일 형성하여 버클 분리의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분리 스위치를 단일화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버클의 암, 수 부재에 걸림턱을 형성하여야 하고, 또한 상기 걸림턱을 단일화된 분리 스위치에 의해 한번에 결합 또는 분리하기 위해서는 어느 하나의 걸림턱을 지렛대 형식으로 제작하여 상기 걸림턱의 반대편의 가압부를 가압하여 상기 두 걸림턱이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설계하여야만 하였다. 그러나 상기 설계방식에 따를 경우, 시술자가 원하는 순간에만 버클의 암, 수 부재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가압부의 저면에 탄성부를 설치하여야만 하였다.
상기 탄성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상기 가압판의 저면에 인위적으로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을 설치하였는데, 상기 스프링의 설치에 추가적 공정이 필요하여, 제작 단가 상승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스프링 탄성의 상실 또는 스프링과 결합판을 연결하는 결합부의 파열에 의해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되곤 하였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암부재 하판에 형성된 플라스틱의 일부를 사각형 모양으로 돌출시켜 일체 성형하는 방법으로 판스프링의 역할을 수행하게 하였고,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작 단가는 낮출 수 있었다. 그러나 하판과 판스프링을 일체형성하는 과정에서 암부재 하판에 사각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존재로 인하여 배낭이나, 스포츠 의류에 존재하는 돌출부에 암부재 하판에 형성된 사각형 공간이 걸리는 문제가 발생하였다(도 7 참조).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단순한 작동에 의해 암부재 및 수부재를 분리할 수 있는 배낭용 또는 스포츠 의류용 버클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상기 암부재 및 수부재에 각각 암걸림턱 및 수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암걸림턱 및 수걸림턱의 결합 또는 분리를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가압부를 이용할 경우 제작 단가를 낮추고, 편리하게 버클의 암부재 및 수부재를 분리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고안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암부재 및 수부재로 구성된 버클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고안은 암부재와 수부재의 결합이 가능한 버클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는 (a) 상판(30); 및 (b) 하판(20)을 포함하며, 상기 하판(20)은 바닥판(22); 상기 바닥판(22)의 양측에 형성된 측면판(25); 및 상기 측면판(25)에 형성되어, 하기 상판(30)의 걸림턱(33)이 결합가능한 결합공(23)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30)은 상기 상판(30)의 일 말단에 형성되어 가압하여 상기 암부재와 수부재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가압부(32); 상기 상판(30)의 타 말단에 돌출 형성되어 통상적으로는 상기 암부재와 수부재를 결합하는 역할을 수행하나, 상기 가압부(32)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암부재와 수부재를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암부재 걸림턱(31); 상기 상판(3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32)를 가압할 때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34); 및 상기 상판(30)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판(20)의 결합공(23)에 결합이 가능한 걸림턱(33)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부재는 본체부(19); 상기 본체부의 일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암부재의 상기 상판(30) 및 하판(20) 사이로 삽입 결합할 수 있는 결합판(17); 및 상기 결합판에 형성되어 상기 상기 암부재와의 결합시 상기 암부재 걸림턱(31)과 결합할 수 있는 수부재 걸림턱(16)으로 구성되어 있는 버클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34)는 암부재 및 수부재의 분리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34)는 바람직하게는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벌류트스프링(volute spring), 원륜스프링, 접시스프링(disc spring), 스냅스프링(snap spring) 및 토션바스프링(torsion bar spring)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코일스프링, 판스프링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판스프링을 이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스프링을 상기 상판(30)의 재질과 동일 재질로서 일체 성형으로 제작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일체성형된 판스프링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상기 판스프링은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경사를 처리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결합판(17)은 상기 암부재의 상판(30) 및 하판(20)의 사이에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해서 결합판 양 측면이 계층을 이루고,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수부재 걸림턱(16)은 상기 암부재 걸림턱(31)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전면은 경사부를 이루고, 후면은 상방향으로 평면을 이루고 있는 것이 타당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암부재 걸림턱(31)은 상기 수부재 걸림턱(16)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후부로 갈수록 절곡된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고안의 버클은 상기 암부재 및 수부재 말단에 벨트부착로드를 추가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버클의 양 말단에 벨트를 부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고안은 암부재와 수부재의 결합이 가능한 버클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는 (a) 상판(30); 및 (b) 하판(20)을 포함하며, 상기 하판(20)은 바닥판(22); 상기 바닥판(22)의 양측에 형성된 측면판(25); 및 상기 측면판(25)에 형성되어, 하기 상판(30)의 걸림턱(33)이 결합가능한 결합공(23)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30)은 상기 상판(30)의 일 말단에 형성되어 가압하여 상기 암부재와 수부재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가압부(32); 상기 상판(30)의 타 말단에 돌출 형성되어 통상적으로는 상기 암부재와 수부재를 결합하는 역할을 수행하나, 상기 가압부(32)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암부재와 수부재를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암부재 걸림턱(31); 상기 상판(3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32)를 가압할 때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34); 및 상기 상판(30)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판(20)의 결합공(23)에 결합이 가능한 걸림턱(33)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부재는 본체부(19); 상기 본체부의 일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암부재의 상기 상판(30) 및 하판(20) 사이로 삽입 결합할 수 있는 결합판(17); 및 상기 결합판에 형성되어 상기 상기 암부재와의 결합시 상기 암부재 걸림턱(31)과 결합할 수 있는 수부재 걸림턱(16)으로 구성되어 있는 버클을 제공한다.
(ⅱ) 본 고안의 암부재 및 수부재는 본 고안의 주요 구성요소인 암걸림턱 및 수걸림턱의 결합에 의해 견고한 결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단순히 가압부의 가압에 의해 매우 쉽게 분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ⅲ) 본 고안의 상기 가압부는 탄성부(34)의 탄성작용에 의해 시술자가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암걸림턱 및 수걸림턱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였는데, 상기 탄성부(34)를 상기 상판(30)과 일체형성하여 제작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추었으며, 별도로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을 설치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잦은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핵심 구성요소인 암부재 및 수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암부재의 상판(30)에는 판스프링 형식의 탄성부(34)가 상판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일체 형성되어 있고, 수부재의 결합판(17)은 양측이 계층을 이루고,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게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핵심 구성요소인 암부재 및 수부재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핵심 구성요소인 암부재 및 수부재가 암 걸림턱 및 수 걸림턱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핵심 구성요소인 암부재 및 수부재가 암 걸림턱 및 수 걸림턱이 분리되면서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상판 저면에 상판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일체 형성된 탄성부가 가압부의 가압에 의해 압축되어 탄성을 제공하고, 또한 동시에 상기 가압에 의해 상기 암 걸림턱 및 수 걸림턱이 분리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기존 배낭용 버클부재의 문제점을 나타낸다.
도 7은 기존 배낭용 버클부재의 문제점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버클의 제조
본 고안의 버클은 암버클 및 수버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암부재 및 수부재 말단에 벨트부착로드를 형성하여 본 고안의 버클을 완성하였다. 한편, 상기 암버클 및 수버클은 다양한 재료로 제작할 수 있으나,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부재의 제조
암부재는 상판(30) 및 하판(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판(20)은 바닥판(22)과 상기 바닥판(22)의 양 측면에 형성된 측면판(25)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양 측면판(25)에는 하기 상판(30)의 걸림턱(33)이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판(30)은 일 말단에 형성되어 가압하여 상기 암부재와 수부재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가압부(32) 및 상기 상판(30)의 타 말단에 돌출 형성되어 통상적으로는 상기 암부재와 수부재를 결합하는 역할을 수행하나, 상기 가압부(32)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암부재와 수부재를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암부재 걸림턱(31)을 형성하고 있고, 하기 수부재 걸림턱(16)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암부재 걸림턱(31)을 후부로 갈수록 절곡된 형상으로 제작하였다. 또한 상기 상판(3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32)를 가압할 때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34)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탄성부(34)는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을 직접 설치할 수도 있으나, 제작 단가를 낮추고, 잦은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상판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상기 상판(30)과 일체 형성하였으며,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하방향으로 경사가 처리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상판(30)을 상기 하판(20)과 결합하기 위해서, 상기 하판(20)의 결합공(23)과 삽입 결합할 수 있는 걸림턱(33)을 형성하였다.
수부재의 제조
상기 수부재는 본체부(19)와 상기 본체부의 일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암부재의 상기 상판(30) 및 하판(20) 사이로 삽입 결합할 수 있는 결합판(17)을 형성하였는데, 상기 결합판(17)은 상기 암버클의 상판(30) 및 하판(20) 사이에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해서 양측이 계층을 이루고,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게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결합판에는 상기 암부재와의 결합시 상기 암부재 걸림턱(31)과 결합할 수 있는 수부재 걸림턱(16)을 형성하였고, 상기 암부재 걸림턱(31)과 결합시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수부재 걸림턱(16)은 전면은 경사부를 이루고, 후면은 상방향으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하였다.

Claims (9)

  1. 암부재와 수부재의 결합이 가능한 버클에 있어서, 다음을 포함하는 버클:
    상기 암부재는 (a) 상판(30); 및 (b) 하판(20)을 포함하며, 상기 하판(20)은 바닥판(22); 상기 바닥판(22)의 양측에 형성된 측면판(25); 및 상기 측면판(25)에 형성되어, 하기 상판(30)의 걸림턱(33)이 결합가능한 결합공(23)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30)은 상기 상판(30)의 일 말단에 형성되어 가압하여 상기 암부재와 수부재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가압부(32); 상기 상판(30)의 타 말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암부재와 수부재를 결합하는 역할을 수행하나, 상기 가압부(32)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암부재와 수부재를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암부재 걸림턱(31); 상기 상판(3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32)를 가압할 때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34); 및 상기 상판(30)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판(20)의 결합공(23)에 결합이 가능한 걸림턱(33); 및
    상기 수부재는 본체부(19); 상기 본체부의 일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암부재의 상기 상판(30) 및 하판(20) 사이로 삽입 결합할 수 있는 결합판(17); 및 상기 결합판에 형성되어 상기 상기 암부재와의 결합시 상기 암부재 걸림턱(31)과 결합할 수 있는 수부재 걸림턱(16).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34)는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벌류트스프링(volute spring), 원륜스프링, 접시스프링(disc spring), 스냅스프링(snap spring) 및 토션바스프링(torsion bar spring)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34)는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상판(30)의 재질과 동일 재질로서 일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경사가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17)은 양측이 계층을 이루고,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 걸림턱(31)은 후부로 갈수록 절곡된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 걸림턱(16)의 전면은 경사부를 이루고, 후면은 상방향으로 평면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상기 암부재 및 수부재 말단에 벨트부착로드를 추가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2020110003459U 2011-04-22 2011-04-22 버클 KR2012000750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459U KR20120007506U (ko) 2011-04-22 2011-04-22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459U KR20120007506U (ko) 2011-04-22 2011-04-22 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506U true KR20120007506U (ko) 2012-10-31

Family

ID=47510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459U KR20120007506U (ko) 2011-04-22 2011-04-22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7506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926Y1 (ko) * 2014-12-11 2015-04-14 유상수 착탈식 버클
CN105686228A (zh) * 2016-02-06 2016-06-22 郜鹏 一种双重保护带扣
WO2024000894A1 (zh) * 2022-06-28 2024-01-04 中山市伟泰宠物用品有限公司 能快速扣合的插扣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926Y1 (ko) * 2014-12-11 2015-04-14 유상수 착탈식 버클
CN105686228A (zh) * 2016-02-06 2016-06-22 郜鹏 一种双重保护带扣
CN105686228B (zh) * 2016-02-06 2018-09-25 郜鹏 一种双重保护带扣
WO2024000894A1 (zh) * 2022-06-28 2024-01-04 中山市伟泰宠物用品有限公司 能快速扣合的插扣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16691B (zh) 繩索固定具
US5855057A (en) Buckle assembly
KR102476517B1 (ko) 자석 후크
KR20120007506U (ko) 버클
US4200852A (en) Magnetic locking apparatus
ITTO20010923A1 (it) Fibbia.
TWI309628B (ko)
KR100511434B1 (ko) 버클
KR101374503B1 (ko) 마포걸레용 홀더
US10123590B2 (en) System and assembly for securing a buckle housing to a component
TWM578102U (zh) Magnet clip
US5029370A (en) Shoe closure
KR101263376B1 (ko) 유아용 카시트의 안전벨트
KR200476926Y1 (ko) 착탈식 버클
US6220489B1 (en) Folding clothes hanger
JP2007301097A (ja) 衝撃緩衝留め具
KR101940540B1 (ko) 플랩 고정용 버클
KR102299895B1 (ko) 단추 유닛
KR200486879Y1 (ko) 장식물 교체가 가능한 클립장치
CN218303709U (zh) 一种磁吸锁扣
CN2357986Y (zh) 自行车把手置物袋快拆扣锁装置
KR102299893B1 (ko) 자석 부착 타입 버클
KR200452918Y1 (ko) 의류용 택 고리
KR20180002153U (ko) 허리띠 및 허리띠용 버클
CN216363920U (zh) 一种母扣及组合扣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