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5221A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5221A
KR20020075221A KR1020020010428A KR20020010428A KR20020075221A KR 20020075221 A KR20020075221 A KR 20020075221A KR 1020020010428 A KR1020020010428 A KR 1020020010428A KR 20020010428 A KR20020010428 A KR 20020010428A KR 20020075221 A KR20020075221 A KR 20020075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engagement
female
male member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0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8317B1 (ko
Inventor
마루오카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20075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3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9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liding in the main plane or a plane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과제) 암수부재의 연결상태에서, 이 암수부재를 떼어내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 일측부재에 형성된 걸어맞춤돌출부가 타측부재에 형성된 걸어맞춤개구부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일측부재가 이동하기 어렵게 되도록 한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버클은, 걸어맞춤개구부(10a)가 형성된 정면판부(10)와 1쌍의 측면판부(11,11)를 구비한 암부재(1)와, 이 암부재(1)의 배면측(b)에서 1쌍의 측면판부(11,11) 사이로 끼워지는 기부(20)와 걸어맞춤개구부(10a)에 끼워져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돌출부(21)를 구비한 수부재(2)로 이루어진다. 수부재(2)의 기부(20) 및 암부재(1)의 측면판부(11) 중 어느 일측에, 상기 끼움조작에 수반되는 탄성변형후의 복원력에 의해서 수부재(2)의 기부(20) 및 암부재(1)의 측면판부(11) 중 타측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돌조(11a)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돌조(20c)가 형성되어 있다. 피걸어맞춤돌조(11a) 및 걸어맞춤돌조(20c)는 암수부재(1,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버클{BUCKLE}
본 발명은 암부재와 이 암부재에 삽탈(揷脫)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수부재로 이루어지는 버클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걸어맞춤체(암부재)와 걸림체(수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체에 형성된 걸어맞춤단턱부(걸어맞춤돌출부)를 상기 걸어맞춤체에 형성된 작은 구멍(걸어맞춤개구부)에 끼워서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걸어맞춤체와 걸림체를 연결하도록 한 연결구(버클)가 개시되어 있다(일본국 실용신안공보 소51-32583호 참조).
상기 연결구에 있어서는, 연결구의 연결상태에서, 이 연결구의 길이방향{즉, 걸어맞춤체와 걸림체를 떼어내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서 걸어맞춤단턱부와 작은 구멍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저항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외력의 작용시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상태의 유지력을 일단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연결구에 있어서는, 연결구의 연결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작은 구멍에서의 걸어맞춤단턱부의 예기치 못한 빠짐을 걸어맞춤체에 형성된 융기돌조로 걸림체의 기단부를 압압함에 의해서 방지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연결구의 연결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기단부에 대한 융기돌조의 압압상태가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외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걸어맞춤체에 상기 작은 구멍에서 상기 걸어맞춤단턱부를 빼내는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더 작용하게 되면 상기 연결상태가 비교적 간단하게 해제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류의 연결구(버클)에 있어서, 암수부재의 연결상태에 있어서의 이 암수부재의 길이방향(즉, 암수부재를 떼어내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 일측부재에 형성된 걸어맞춤돌출부가 타측부재에 형성된 걸어맞춤개구부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일측부재가 이동하기 어렵게 하여 상기한 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암부재(1)와 수부재(2)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배면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암부재(1)의 삽입부(13) 내로 수부재(2)의 걸어맞춤돌출부(21) 및 기부(20)를 끼우는 도중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암부재(1)와 수부재(2)의 끼워맞춤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도 6의 배면도
도 8은 도 6의 단면도
도 9는 끼워맞춤상태에 있는 암부재(1)와 수부재(2)를 도 8의 단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단면으로 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암부재(1)의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암부재(1)를 좌측에서 본 측면도
도 12는 도 10의 암부재(1)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
도 13은 수부재(2)의 측면도
도 14는 도 13의 수부재(2)를 좌측에서 본 측면도
도 15는 도 13의 수부재(2)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암부재10 - 정면판부
10a - 걸어맞춤개구부11 - 측면판부
11a - 피걸어맞춤돌조2 - 수부재
20 - 기부(基部)20c - 걸어맞춤돌조
21 - 걸어맞춤돌출부r - 길이방향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버클이 이하의 (A)∼(C)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A) 걸어맞춤개구부가 형성된 정면판부와 1쌍의 측면판부를 구비한 암부재와, 상기 암부재의 배면측에서 상기 1쌍의 측면판부 사이로 끼워지는 기부와 상기 걸어맞춤개구부에 끼워져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돌출부를 구비한 수부재로 이루어지며,
(B) 상기 수부재의 기부 및 상기 암부재의 측면판부 중 어느 일측에, 상기 끼움조작에 수반되는 탄성변형후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수부재의 기부 및 상기 암부재의 측면판부 중 타측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돌조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돌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C) 또한, 상기 피걸어맞춤돌조 및 상기 걸어맞춤돌조가 암수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a) 상기 수부재의 걸어맞춤돌출부 및 기부를 상기 암부재의 배면측에서 상기 1쌍의 측면판부 사이로 끼움조작을 하면, 상기 수부재의 기부 및 상기 암부재의 측면판부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된 걸어맞춤돌조가 이것들 중 타측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돌조에 맞닿게 됨으로써 상기 수부재의 기부 또는 상기 암부재의 측면판부 또는 이들 쌍방이 일단 탄성변형되고, 이 탄성변형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돌출부가 상기 걸어맞춤개구부에 걸어맞춰지게 되는 위치를 향해서 상기 수부재의 걸어맞춤돌출부 및 기부를 상기 암부재 내로 진입시킬 수 있으며,
(b) 상기 걸어맞춤돌출부가 상기 걸어맞춤개구부에 걸어맞춰지게 되는 위치까지 상기 수부재의 걸어맞춤돌출부 및 기부를 상기 암부재 내로 진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걸어맞춤돌조가 피걸어맞춤돌조를 타고 넘도록 상기 수부재를 배면측에서 압입하면, 상기 걸어맞춤돌출부가 상기 걸어맞춤개구부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암수부재를 그 길이방향(즉, 떼어내는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끼워맞출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탄성변형후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돌조가 상기 피걸어맞춤돌조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걸어맞춤돌출부가 상기 걸어맞춤개구부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수부재의 기부가 이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암수부재의 끼워맞춤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피걸어맞춤돌조 및 상기 걸어맞춤돌조는 암수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암부재 내에서 상기 수부재의 기부를 빼내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수부재가 그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렵고, 또 상기 피걸어맞춤돌조와 상기 걸어맞춤돌조의 걸어맞춤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암수부재의 걸어맞춤상태가 안정적으로 확보된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버클에 있어서의 피걸어맞춤돌조 및 걸어맞춤돌조 중 적어도 일측이, 그 돌출단부를 둥글게 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피걸어맞춤돌조에 대한 걸어맞춤돌조의 걸어맞춤조작시에 걸어맞춤돌조가 피걸어맞춤돌조를 쉽게 타고 넘을 수 있고, 또 걸어맞춤돌조와 피걸어맞춤돌조의 걸어맞춤해제조작시에 걸어맞춤돌조가 피걸어맞춤돌조를 쉽게 타고 넘을 수 있기 때문에, 암수부재의 끼워맞춤조작 및 끼워맞춤해제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버클에 있어서의 피걸어맞춤돌조 및 걸어맞춤돌조 중 어느 일측이 긴 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수부재의 기부 또는 암부재의 측면판부에 긴 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암수부재에 상기 피걸어맞춤돌조 및 걸어맞춤돌조를 적절히 형성할 수 있다.
또,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버클에 있어서의 긴 홈의 홈바닥이 오목한 구면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긴 홈에 의해서 구성되는 피걸어맞춤돌조의 내측면이 R면이 되기 때문에, 걸어맞춤돌조와 피걸어맞춤돌조의 걸어맞춤해제조작시에 상기 R면에 의해서 걸어맞춤돌조가 피걸어맞춤돌조를 쉽게 타고 넘을 수 있어 암수부재의 끼워맞춤해제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버클에 있어서의 상기 암부재의 1쌍의 측면판부 사이에, 걸어맞춤개구부측으로 근접함에 따라서 상기 암부재의 정면판부의 내측면과의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상기 수부재의 배면을 안내하는 안내면을 구비한 안내부가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수부재의 걸어맞춤돌출부 및 기부를 상기 암부재의 배면측에서 상기 1쌍의 측면판부 사이로 끼움조작할 때에, 상기 수부재의 배면이 상기 안내부의 안내면에 맞닿게 됨으로써, 상기 걸어맞춤돌출부가 상기 걸어맞춤개구부에 걸어맞춰지게 되는 위치로 서서히 근접하여 가도록 수부재를 경사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걸어맞춤돌출부가 상기 걸어맞춤개구부에 걸어맞춰지게 되는 위치까지 수부재가 경사방향으로 이동된 후에, 상기 안내부의 최상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수부재의 기부를 암부재의 내측면에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압입조작함으로써, 상기한 탄성변형후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돌조를 상기 피걸어맞춤돌조에 원활하게 걸어맞출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15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을 구성하는 암부재(1)와 수부재(2)를 분리시킨 상태로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도 4 및 도 5에서는 상기 암부재(1)의 삽입부(13)에 대해서 상기 수부재(2)의 걸어맞춤돌출부 (21) 및 기부(20)를 끼우는 도중상태를, 도 6 내지 도 9에서는 상기 암부재(1)와 상기 수부재(2)의 끼워맞춤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0 내지 도 12에서는 상기 암부재(1)를, 도 13 내지 도 15에서는 상기 수부재(2)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은 암부재(1)와 이 암부재(1)에 삽탈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수부재(2)로 이루어지며, 전형적으로는 암부재(1)에 부착된 밴드 등의 띠형상체(W)와 수부재(2)에 부착된 밴드 등의 띠형상체(W)를 상기 암수부재(1,2)의 끼워맞춤에 의해서 서로 연결하는 용도 등으로 이용하는데 적합한 것이다.
상기 암부재(1)는 걸어맞춤개구부(10a)가 형성된 정면판부(10)와 1쌍의 측면판부(11,11)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수부재(2)는 상기 암부재(1)의 배면측(b)에서 상기 1쌍의 측면판부(11,11) 사이로 끼워지는 기부(20)와 상기 걸어맞춤개구부(10a)에 끼워져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돌출부(21)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암부재(1)는 상기 1쌍의 측면판부(11,11) 사이에 걸쳐서 형성된 칸막이판부(12)를 가지고 있으며, 이 칸막이판부(12)에 의해서 구분되는 일측을 상기 수부재(2)의 삽입부(13)로 하고, 그 타측을 상기 띠형상체(W)의 부착부(14)로 하고 있다.
상기 정면판부(10)는, 그 양측 단부를 상기 삽입부(13)를 구성하는 1쌍의 측면판부(11,11)의 양 상단부{즉, 암부재(1)의 정면측(f)을 향하는 단부}에 일체로 연접시킴으로써, 상기 1쌍의 측면판부(11,11) 사이의 공간을 상기 암부재(1)의 정면측(f)에서 막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걸어맞춤개구부(10a)는, 상기 암부재(1)의 길이방향(r)에 있어서의 대략 중간정도의 위치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암부재(1)의 폭방향을 따라서 긴 장방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정면판부(10)를 관통하는 구멍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부착부(14)를 구성하는 1쌍의 측면판부(11,11) 사이에는 간격을 두고서 2개의 봉형상체(15,15)가 가설되어 있으며, 이 2개의 봉형상체(15,15)와 상기 칸막이판부(12)에 의해서 형성되는 2개의 슬릿(16,16)을 이용하여, 암부재(1)의 타단부에 위치하는 봉형상체(15)와 상기 칸막이판부(12)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봉형상체(15)에 띠형상체(W)를 감아 걸음으로써, 상기 부착부(14)에 대해서 상기 띠형상체(W)를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8).
한편, 상기 수부재(2)는, 상기 암부재(1)의 삽입부(13)를 구성하는 1쌍의 측면판부(11,11) 사이에 끼워넣을 수 있는 폭을 가지는 기부(20)의 일측에 상기 띠형상체(W)의 부착부(22)를 구비함과 아울러, 이 기부(20)의 타측에 상기 걸어맞춤돌출부(2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기부(20)는 정면판부(20a)와 1쌍의 측면판부(20b,20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1쌍의 측면판부(20b)는 상기 정면판부(20a)의 양측 단부{즉, 수부재(2)의 길이방향(r)을 따르는 단부}를 따라서 이 양측 단부에서 상기 수부재(2)의 배면측(b)을 향해서 일체로 돌출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1쌍의 측면판부(20b,20b)간의 간격이 상기 암부재(1)의 삽입부(13)를 구성하는 1쌍의 측면판부(11,11) 사이에 끼워지는 간격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걸어맞춤돌출부(21)는, 그 기단부를 상기 정면판부(20a)의 타단부{즉, 부착부(22)가 구비되는 단부의 반대측에 있는 단부}에 일체로 접합시킨 판체(21a)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판체(21a)는, 그 외측면이 상기 정면판부(20a)의 외측면보다도 상기 수부재(2)의 정면측(f)을 향해서 더 돌출되도록{즉, 상기 정면판부(20a)의 외측면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정면판부(20a)의 외측면과 상기 판체(21a)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부착부(22)측을 향하는 단차형상의 걸어맞춤면(21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판체(21a)는, 정면측(f)에서 보았을 때 상기 암부재(1)의 걸어맞춤개구부(10a)의 형상과 거의 같은 장방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암부재(1)에 대한 수부재(1)의 끼움조작에 따라서 상기 암부재(1)의 배면측(b)에서 상기 걸어맞춤개구부(10a) 내로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걸어맞춤면(21b)이 상기 걸어맞춤개구부(10a)에 있어서의 상기 칸막이판부(12)와 대향하는 개구단부에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도 8).
또, 상기 수부재(2)의 배면측(b)에 있어서, 상기 기부(20)를 구성하는 1쌍의 측면판부(20b,20b) 사이에는, 상기 정면판부(20a)에 있어서의 상기 부착부(22)와 연접하는 연접부에서 상기 판체(21a)의 선단부에 걸쳐서 수부재(2)의 길이방향(r)을 따라서 곧게 연장되는 가이드 리브(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 리브(23)가 후술하는 암부재(1)의 안내부(17)에 형성된 가이드 슬릿(17c)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암부재(1)에 대한 수부재(2)의 끼워맞춤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수부재(2)의 부착부(22)는, 상기 기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1쌍의 측부(22a,22a) 사이에 1개의 봉형상체(22b)를 가설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봉형상체(22b)와 상기 기부(20)의 일단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22c)을 이용하여 상기 봉형상체(22b)에 띠형상체(W)를 감아 걸음으로써, 상기 부착부(22)에 대해서 상기 띠형상체(W)를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수부재(2)의 기부(20) 및상기 암부재(1)의 측면판부(11) 중 어느 일측에, 상기 끼움조작에 수반되는 탄성변형후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수부재(2)의 기부(20) 및 상기 암부재(1)의 측면판부(11) 중 타측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돌조(11a)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돌조(20c)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들 피걸어맞춤돌조(11a) 및 걸어맞춤돌조(20c)가 암수부재(1,2)의 길이방향(r)으로 길게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구체적인 일례에 있어서는, 상기 수부재(2)의 기부(20)를 구성하는 1쌍의 측면판부(20b,20b)의 외측에 수부재(2)의 길이방향(r)을 따라서 길게 연속하는 걸어맞춤돌조(20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암부재(1)의 삽입부(13)를 구성하는 1쌍의 측면판부(11,11)의 하단부측에 암부재(1)의 길이방향(r)을 따라서 이 1쌍의 측면판부(11,11)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피걸어맞춤돌조(11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암부재(1)의 측면판부(11)의 내측에, 상기 수부재(2)의 걸어맞춤돌조(20c)가 수납되는 폭을 가짐과 아울러 일측의 홈단부를 상기 측면판부(11)의 일단부{즉, 상기 칸막이판부(12)와 접합하는 접합부의 반대측이 되는 단부}에서 외측으로 개방시킨 상기 암부재(1)의 길이방향(r)을 따르는 긴 홈(18)을 형성함에 의해서, 상기 측면판부(11)의 하단부측에 암부재(1)의 길이방향(r)을 따라서 측면판부(11)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피걸어맞춤돌조(11a)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수부재(2)의 기부(20)를 구성하는 1쌍의 측면판부(20b,20b)에 형성된 걸어맞춤돌조(20c)의 선단부간의 치수(x)가, 상기 암부재(1)의 삽입부(13)를 구성하는 1쌍의 측면판부(11,11)에 형성된 상기 피걸어맞춤돌조(11a)의 선단부간의 간격(y)보다도 약간 크게 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암부재(1)의 1쌍의 측면판부(11,11)를 상기 피걸어맞춤돌조(11a)의 선단부간의 간격(y)을 벌리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암부재(1)가 구성되어 있다(도 11, 도 15).
이러한 탄성변형특성의 부여는, 전형적으로는 상기 암부재(1)를 사출성형 등의 플라스틱성형에 의해서 형성함으로써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a) 상기 수부재(2)의 걸어맞춤돌출부(21) 및 기부(20)를 상기 암부재(1)의 배면측(b)에서 이 암부재(1)의 1쌍의 측면판부(11,11) 사이로 끼움조작을 하면, 상기 수부재(2)의 기부(20)에 형성된 걸어맞춤돌조(20c)가 상기 암부재(1)의 측면판부(11)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돌조(11a)에 맞닿게 됨으로써 상기 암부재(1)의 1쌍의 측면판부(11,11)가 외측방향으로 일단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되고, 이와 같이 암부재(1)의 1쌍의 측면판부(11,11)가 벌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걸어맞춤돌출부(21)가 상기 걸어맞춤개구부(10a)에 걸어맞춰지게 되는 위치를 향해서 상기 수부재(2)의 걸어맞춤돌출부(21) 및 기부(20)를 상기 암부재(1)의 삽입부(13) 내로 진입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도 5),
(b) 상기 걸어맞춤돌출부(21)가 상기 걸어맞춤개구부(10a)에 걸어맞춰지게 되는 위치까지 상기 수부재(2)의 걸어맞춤돌출부(21) 및 기부(20)를 상기 암부재(1)의 삽입부(13) 내로 진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걸어맞춤돌조(20c)가 상기 피걸어맞춤돌조(11a)를 타고 넘도록, 상기 수부재(2)의 정면판부(20a)의 외측면과 상기 암부재(1)의 정면판부(10)의 내측면을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수부재(2)를배면측(b)에서 압입하면, 상기 걸어맞춤돌출부(21)가 상기 걸어맞춤개구부(10a)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암수부재(1,2)를 그 길이방향(r)(즉, 떼어내는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끼워맞출 수 있음과 아울러, 일단 외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졌던 상기 암부재(1)의 1쌍의 측면판부(11)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돌조 (20c)가 상기 피걸어맞춤돌조(11a)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걸어맞춤돌출부(21)가 상기 걸어맞춤개구부(10a)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수부재(2)의 기부(20)가 이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암수부재(1,2)의 끼워맞춤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도 8).
특히, 상기 피걸어맞춤돌조(11a) 및 걸어맞춤돌조(20c)는 암수부재(1,2)의 길이방향(r)으로 길게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암부재(1)의 삽입부 (13) 내에서 상기 수부재(2)의 기부(20)를 빼내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수부재(2)가 그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렵고, 또 상기 피걸어맞춤돌조(11a)와 상기 걸어맞춤돌조(20c)의 걸어맞춤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암수부재(1,2)의 걸어맞춤상태가 안정적으로 확보된다.
또, 상기 암수부재(1,2)의 끼워맞춤상태에서, 상기 수부재(2)의 기부(20)를 구성하는 상기 정면판부(20a)의 외측면과 상기 암부재(1)의 삽입부(13)을 구성하는 정면판부(10)의 내측면을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상기 수부재(2)를 인출조작하면, 상기 암부재(1)의 1쌍의 측면판부(11,11)가 외측방향으로 다시 탄성적으로 벌어짐으로써 상기 수부재(2)의 기부(20)에 형성된 걸어맞춤돌조(20c)가 상기 암부재(1)의 1쌍의 측면판부(11)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돌조(11a)를 타고 넘을 수 있기 때문에,상기 인출조작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개구부(10a)에서 상기 걸어맞춤돌출부(21)를 빼낼 수 있으며, 따라서 암부재(1)의 삽입부(13) 내에서 수부재(2)의 걸어맞춤돌출부(21) 및 기부(20)를 빼냄으로써, 원터치로 암수부재(1,2)의 끼워맞춤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암부재(1)의 정면판부(10)의 일단부측에 있어서, 이 일단부의 대략 중간정도의 위치에 상기 암부재(1)의 정면측(f)을 향해서 융기된 융기부(19)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융기부(19)를 이용하여 이 융기부(19) 바로 아래에 있는 수부재(2)의 일단부에 손가락 등을 걸고서 이 일단부를 압압함으로써 상기 인출조작을 하기 쉽도록 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걸어맞춤돌조(20c)가, 그 돌출단부(20d)를 둥글게 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상기 걸어맞춤돌조(20c)가 그 길이방향(r)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단면이 원호상의 외곽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피걸어맞춤돌조(11a)에 대한 상기 걸어맞춤돌조(20c)의 걸어맞춤조작시에 상기 걸어맞춤돌조(20c)가 상기 피걸어맞춤돌조(11a)를 쉽게 타고 넘을 수 있고, 또 상기 걸어맞춤돌조(20c)와 상기 피걸어맞춤돌조(11a)의 걸어맞춤해제조작시에 상기 걸어맞춤돌조(20c)가 상기 피걸어맞춤돌조(11a)를 쉽게 타고 넘을 수 있기 때문에, 암수부재(1,2)의 끼워맞춤조작 및 끼워맞춤해제조작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또한, 피걸어맞춤돌조(11a)가 그 돌출단부를 둥글게 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여도 되고, 또 걸어맞춤돌조(20c) 및 피걸어맞춤돌조(11a) 모두가 그 돌출단부를 둥글게 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도, 상기 피걸어맞춤돌조(11a)에 대한 상기 걸어맞춤돌조(20c)의 걸어맞춤조작시에 상기 걸어맞춤돌조(20c)가 상기 피걸어맞춤돌조(11a)를 쉽게 타고 넘을 수 있고, 또 상기 걸어맞춤돌조(20c)와 상기 피걸어맞춤돌조(11a)의 걸어맞춤해제조작시에 상기 걸어맞춤돌조(20c)가 상기 피걸어맞춤돌조(11a)를 쉽게 타고 넘을 수 있다.
또, 상기 긴 홈(18)의 홈바닥이 오목한 구면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둘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상기 긴 홈(18)에 의해서 구성되는 피걸어맞춤돌조(11a)의 내측면{즉, 긴 홈(18)의 내측을 향하는 측면}이 R면이 되기 때문에, 상기 걸어맞춤돌조(20c)와 상기 피걸어맞춤돌조(11a)의 걸어맞춤해제조작시에 상기 R면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돌조(20c)가 상기 피걸어맞춤돌조(11a)를 쉽게 타고 넘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암수부재(1,2)의 끼워맞춤해제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암부재(1)의 1쌍의 측면판부(11,11) 사이에, 걸어맞춤개구부(10a)측으로 근접함에 따라서 상기 암부재(1)의 정면판부(10)의 내측면과의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상기 수부재(2)의 배면을 안내하는 안내면(17a)을 구비한 안내부(17)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안내부(17)는, 상기 암부재(1)의 삽입부(13)측을 향하는 칸막이판부(12)의 측면에서 상기 암부재(1)에 있어서의 부착부(14)가 형성된 측의 반대측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17)에 있어서의 암부재(1)의 배면측(b)을 향하는 하면은, 상기 측면판부(11)의 하단부의 단면과 거의 같은 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안내부(17)에 있어서의 암부재(1)의 정면측(f), 즉 정면판부(10)의 내측면을 향하는 상면은, 상기 안내부(17)의 선단부에서 상기 걸어맞춤개구부(10a)측으로 근접함에 따라서 상기 정면판부(10)의 내측면과의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며, 이 상면이 상기 안내면(17a)이 되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안내부(17)는, 상기 안내면(17a)의 최상부에 연속하는 평탄면(17b)을 상기 걸어맞춤개구부(10a)에 있어서의 상기 칸막이판부(12)측에 있는 개구단부측에 가지고 있으며, 상기 걸어맞춤돌출부(21)가 상기 걸어맞춤개구부(10a)에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평탄면 (17b)의 상측에 상기 판체(21a)의 선단부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도 8).
또, 상기 안내부(17)는 그 기단부에서 선단부까지에 걸쳐서 형성된 가이드 슬릿(17c)에 의해서 좌우로 구분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 슬릿(17c)에 상기 수부재(2)의 가이드 리브(23)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암부재(1)의 삽입부(13)에 대한 수부재(2)의 끼움조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부재(2)의 걸어맞춤돌출부(21) 및 기부(20)를 상기 암부재(1)의 배면측(b)에서 상기 1쌍의 측면판부(11,11) 사이로 끼움조작할 때에, 상기 걸어맞춤돌출부(21)의 배면이 상기 안내부(17)의 안내면(17a)에 맞닿게 됨으로써, 상기 걸어맞춤돌출부(21)가 상기 걸어맞춤개구부(10a)에 걸어맞춰지게 되는 위치로 서서히 근접하여 가도록 수부재(2)를 경사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으며(도 5), 상기 걸어맞춤돌출부(21)가 상기 걸어맞춤개구부(10a)에 걸어맞춰지게 되는 위치까지 수부재(2)가 경사방향으로 이동된 후에, 상기 안내부(17)의 최상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수부재(2)의 기부(20)를 암부재(1)의 내면측에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압입조작함으로써, 상기한 탄성변형후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돌조(20c)를 상기 피걸어맞춤돌조(11a)에 원활하게 걸어맞출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수부재(2)의 기부(20)에 형성된 걸어맞춤돌조(20c)는, 상기 안내부(17)에 의해서 경사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그 타단부{즉, 걸어맞춤돌출부(21)측에 있는 단부}가 상기 피걸어맞춤돌조(11a)에 맞닿게 되기 때문에, 상기 걸어맞춤돌조(20c)가 상기 피걸어맞춤돌조(11a)를 타고 넘기 쉽도록 상기 타단부에는 모따기부(20e)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버클에 의하면, 암수부재의 연결상태에서 이 암수부재의 길이방향(즉, 암수부재를 떼어내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 수부재의 걸어맞춤돌출부가 암부재의 걸어맞춤개구부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상기 수부재가 이동하기 어렵게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Claims (5)

  1. 걸어맞춤개구부가 형성된 정면판부와 1쌍의 측면판부를 구비한 암부재와, 상기 암부재의 배면측에서 상기 1쌍의 측면판부 사이로 끼워지는 기부와 상기 걸어맞춤개구부에 끼워져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돌출부를 구비한 수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부재의 기부 및 상기 암부재의 측면판부 중 어느 일측에, 상기 끼움조작에 수반되는 탄성변형후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수부재의 기부 및 상기 암부재의 측면판부 중 타측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돌조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돌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피걸어맞춤돌조 및 상기 걸어맞춤돌조가 암수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걸어맞춤돌조 및 상기 걸어맞춤돌조 중 적어도 일측이, 그 돌출단부를 둥글게 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걸어맞춤돌조 및 상기 걸어맞춤돌조 중 어느 일측이 긴 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긴 홈의 홈바닥이 오목한 구면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의 1쌍의 측면판부 사이에, 상기 걸어맞춤개구부측으로 근접함에 따라서 상기 암부재의 정면판부의 내측면과의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상기 수부재의 배면을 안내하는 안내면을 구비한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10-2002-0010428A 2001-03-22 2002-02-27 버클 KR1004483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82887A JP4520655B2 (ja) 2001-03-22 2001-03-22 バックル
JPJP-P-2001-00082887 2001-03-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221A true KR20020075221A (ko) 2002-10-04
KR100448317B1 KR100448317B1 (ko) 2004-09-13

Family

ID=18938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428A KR100448317B1 (ko) 2001-03-22 2002-02-27 버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20655B2 (ko)
KR (1) KR100448317B1 (ko)
CN (1) CN1175773C (ko)
TW (1) TW58299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044B1 (ko) * 2011-04-28 2013-10-11 백지숙 버클
KR200476926Y1 (ko) * 2014-12-11 2015-04-14 유상수 착탈식 버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8116B1 (en) * 2006-05-01 2008-11-11 Illinois Tool Works Inc. Quick release buckle
JP5171046B2 (ja) * 2007-01-24 2013-03-27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JP5925496B2 (ja) * 2012-01-18 2016-05-25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133Y2 (ko) * 1980-04-18 1987-06-27
US4398324A (en) * 1981-03-16 1983-08-16 Illinois Tool Works Inc. Center release buckle
JPH088643Y2 (ja) * 1988-08-24 1996-03-13 株式会社ニフコ バツクル
JPH06319605A (ja) * 1993-05-12 1994-11-22 Yasushi Soejima ベルト着脱具
JP3130211B2 (ja) * 1994-08-13 2001-01-31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バックル
JP3204590B2 (ja) * 1994-08-17 2001-09-04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バックル
US5855057A (en) * 1997-12-29 1999-01-05 National Molding Corp. Buckle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044B1 (ko) * 2011-04-28 2013-10-11 백지숙 버클
KR200476926Y1 (ko) * 2014-12-11 2015-04-14 유상수 착탈식 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8317B1 (ko) 2004-09-13
CN1376435A (zh) 2002-10-30
JP4520655B2 (ja) 2010-08-11
JP2002282015A (ja) 2002-10-02
CN1175773C (zh) 2004-11-17
TW582994B (en) 200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2725A (en) Snap buckle
US8695181B2 (en) Buckle
EP0323112B1 (en) Buckle assembly
US6170133B1 (en) Buckle
JPH0431684B2 (ko)
KR20130101090A (ko) 버클
US7204002B2 (en) Buckle and baby carrier using the same
JP3010537B2 (ja) バックル
WO2014141387A1 (ja) バックル
JP2004156722A (ja) 本留め用の雄パーツを有する連結具
JP2009285042A (ja) バックル
KR200362772Y1 (ko) 쐐기형 인장클램프
TWI603688B (zh) buckle
KR19990083626A (ko) 버클
JP2009273209A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ファスナー
KR100588198B1 (ko) 끈의 단부커버
KR100448317B1 (ko) 버클
JP3892363B2 (ja) バックル
JPH09206113A (ja) プラスチック製ガイドレスバックル
CN216438655U (zh) 扣具
JPH08131215A (ja) プラスチック製バックル
JP2002095502A (ja) ベルト連結具
JPH09173107A (ja) バックル
JP3095712B2 (ja) 衣服用ハンガー
JP2009221766A (ja) スライドシャワーフ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