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383Y1 - 허리 벨트 조임쇠 장치 - Google Patents

허리 벨트 조임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383Y1
KR200469383Y1 KR2020130006497U KR20130006497U KR200469383Y1 KR 200469383 Y1 KR200469383 Y1 KR 200469383Y1 KR 2020130006497 U KR2020130006497 U KR 2020130006497U KR 20130006497 U KR20130006497 U KR 20130006497U KR 200469383 Y1 KR200469383 Y1 KR 2004693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fixing member
support
buck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4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대
Original Assignee
김상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대 filed Critical 김상대
Priority to KR2020130006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3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3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3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2Buckle with fixed pro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2Buckle with fixed prong
    • A44B11/226Buckle with fixed prong with cover plate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벨트와 버클을 연결하는 연결체에 바지의 상단에 걸 수 있는 걸림체를 구비하여, 상기 걸림체로 하여금 바지의 상단에 걸려 있게 함으로써, 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버클이 처지지 않게 함과 아울러 활동 중에도 벨트가 돌아가지 않게 함으로써, 외관미를 향상시켜 항상 깔끔한 이미지를 갖게 한 허리 벨트 조임쇠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허리 벨트 조임쇠 장치{leather belt fixing device}
본 고안은 허리 벨트 조임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허리 벨트(예컨대, 혁대)를 바지에 착용한 상태에서 버클이 처지지 않게 하고, 활동 중에도 벨트가 돌아가지 않게 함으로써, 벨트를 착용한 상태의 외관미를 향상시켜 항상 깔끔한 이미지를 갖게 한 허리 벨트 조임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허리 벨트(예컨대, 혁대)는 바지가 흘러 내려가지 않게 바지의 상단부에 둘려지는 것으로, 이러한 벨트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벨트의 일단부에는 버클이 설치되어 벨트를 알맞은 길이로 연결시킬 수 있게 하며, 상기 버클은 체결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벨트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버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표시의 벨트(1)에 설치된 버클(10a)은, 버클본체(12a)에 걸고리(14a)가 형성되어 있고 벨트(1)에는 상기 걸고리(14a)가 끼워지는 걸림공(2)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벨트(1)의 착용시에는 사용자가 벨트(1)에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공(2) 중 어느 하나의 걸림공(2)에 걸고리(14a)를 끼워 벨트(1)가 버클본체(10a)에 걸리도록 하고, 이와는 반대로 벨트(1)를 풀고자 하는 경우에는 걸림공(2)에 걸려 있던 걸고리(14a)를 빼내어 벨트(1)의 걸림 상태를 해제시켜야 한다.
또한, 도 2표시의 벨트(1)에 설치된 버클(10)은, 상기 벨트(1)에 걸림공을 형성하지 않으면서도 벨트의 조임 상태를 미세 조정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버클로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버클(10)은, 버클본체(12)의 이면에 플랜지(12a)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2a)의 일단에는 고정바(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13)에 벨트(1)의 일단을 감싼 상태로 고정구(3)로서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12a)의 중간부위에는 축공(12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축공(12b)에는 어느 일측(벨트와의 접속면)으로 복수개의 고정돌기(14a)가 형성된 회전부재(14)와 어느 일단에 손잡이(16a)가 형성된 레버(16)가 힌지축(11)에 의해 동시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부재(14)와 레버(16)가 탄력적으로 결합되게 하고자 상기 회전부재(14)와 레버(16)의 사이에는 상기 힌지축(11)을 감싸도록 스프링(18)이 설치되는데, 상기 스프링(18)의 일단은 회전부재(14)에 지지되고, 다른 일단은 레버(16)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부재(14)와 레버(16)가 항상 힌지축(11)을 중심으로 도면상에서 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받아 벨트(1)에 밀착되는 힘을 갖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벨트용 버클(10)은, 상기 회전부재(14)와 레버(16)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8)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14)와 레버(16)가 힌지축(11)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갖게 됨으로 상기 회전부재(14)의 일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돌기(14a)가 벨트(1)의 이면에 밀착되어 벨트를 눌러주게 되고, 이에 따라 벨트의 위치는 가변되지 않는다.
또한, 벨트를 풀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돌기(14a)의 걸림 상태를 해제시켜야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레버(16)의 일단에 형성된 손잡이(16a)를 벨트 측으로 눌러주면 상기 레버(16)가 회전부재(14)의 일단을 밀어주게 되므로 상기 회전부재(14)가 스프링(18)을 압축시키면서 힌지축(11)을 중심으로 도면상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1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고정돌기(14a)가 벨트(1)의 이면에서 분리되면서 벨트(1)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벨트(1)를 버클본체(12)로부터 빠져나오게 할 수 있다.
한편, 벨트(1)가 풀어진 상태에서 누르고 있던 손잡이(16a)를 놓게 되면 외력이 제거되면서 압축되었던 스프링(18)의 복원력으로 초기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벨트(1)를 착용하기 위해 벨트(1)의 일단을 다시 버클본체(12)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 벨트(1)의 삽입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14)가 스프링(18)을 압축시키면서 힌지축(1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소정의 위치(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따른 적절한 위치)에서 벨트의 삽입을 중단하면 회전되었던 회전부재(14)가 스프링(18)의 복원력으로 초기상태로 되면서 벨트(1)가 버클본체(12)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벨트용 버클(10)은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따라 벨트의 조임 상태를 미세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1표시의 버클이 설치된 벨트 혹은 도 2표시의 버클이 설치된 벨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착용하면 된다.
그러나 어느 형태의 버클이 설치된 벨트를 착용하여도, 바지에 착용된 벨트는 버클이 처지는 현상이 발생되다. 즉, 벨트를 바지에 착용할 때에는 허리를 꽉 조이는 상태로 벨트를 착용할 수 없기 때문에 버클의 처짐 현상이 발생되며, 이러한 현상은 배가 많이 나온 성인의 경우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또한, 바지에 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활동하게 되면 벨트가 돌아가게 되어 버클이 착용자의 정면에 있지 않고 일측으로 이동되는 문제점도 있다.
국내 특허 공개번호 제1999-0064569호, 허리벨트 결속용 버클.
본 고안의 목적은 벨트와 버클을 연결하는 연결체에 바지의 상단에 걸 수 있는 걸림체를 구비하여, 상기 걸림체로 하여금 바지의 상단에 걸려 있게 함으로써, 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버클이 처지지 않게 함과 아울러 활동 중에도 벨트가 돌아가지 않게 함으로써, 외관미를 향상시켜 항상 깔끔한 이미지를 갖게 한 허리 벨트 조임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허리 벨트 조임쇠 장치는, 일정 길이를 갖는 띠 형상의 벨트(110); 상기 벨트(110)의 일단에 설치되어 벨트(110)의 타단을 고정시킬 수 있는 버클(120); 및 상기 버클(120)과 벨트(110)를 고정시키도록 상하부 일측단에 힌지공(132a)이 형성된 지지부재(132)와, 상기 지지부재(132)의 힌지공(132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일단에는 지지부재(132) 쪽으로 절곡되어 단부에 톱니부(134a)가 형성된 고정부재(134)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134)의 자유단을 회전시킴으로서 형성되는 지지부재(132)와 톱니부(134a)의 사이 통로(136)를 통하여 벨트(110)의 일단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134)를 원위치로 회전시킴에 의해 톱니부(134a)가 벨트(110)의 일면에 파지되어 벨트(110)의 일단이 고정되게 한 연결체(13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130)에는: 상기 고정부재(134)의 일면으로 설치되어 바지의 상단에 걸 수 있는 걸림체(140)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체(140)는, 바지의 상단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클립 형태를 이루어 상기 고정부재(134)에 고정 또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체(140)는: 바지의 상단에 걸 수 있게 하부가 자유단으로 형성된 클립부(142); 상기 클립부(142)의 상단에서 일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부(144); 및 상기 지지부(144)가 고정부재(134)의 상단에 고정 될 수 있게 상기 지지부(144)에서 하부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고정부(146)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144)에는: 상기 고정부재(134)가 상기 클립부(142)와 고정부(146)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끼운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144)가 상기 고정부재(134)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144)의 양단에 요입되게 형성된 걸림홈부(148a); 및 상기 걸림홈부(148a)에 끼움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부재(134)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부(148b)로 이루어진 걸림수단(148)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체(140)는: 바지의 상단에 걸 수 있게 하부가 자유단으로 형성된 클립부(142); 상기 클립부(142)의 상단에서 일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부(144); 및 상기 지지부(144)의 단부가 상기 고정부재(134)의 상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게 한 고정부(146)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146)는: 상기 지지부(144)의 단부가 상기 고정부재(134)의 상단에 용접(w)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립부(142)는: 텐션을 갖도록 하단이 상기 고정부재(134)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부(142a)와, 상기 제1경사부(142a)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경사부(142b)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벨트와 버클을 연결하는 연결체에 바지의 상단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걸림체를 구비함으로서, 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버클이 처지지 않게 함과 아울러 활동 중에도 벨트가 돌아가지 않게 되어 착용자는 다른 사람에게 깔끔한 인상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허리 벨트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버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허리 벨트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버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 벨트 조임쇠 장치가 벨트와 버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 벨트 조임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 벨트 조임쇠 장치에 구비되는 걸림체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표시의 걸림체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 벨트 조임쇠 장치에 구비되는 걸림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허리 벨트 조임쇠 장치는, 벨트(110)와 버클(120) 및 연결체(13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13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체(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벨트(1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벨트(110)는 바지가 흘러 내려가지 않게 바지의 상단부에 둘려지는 통상의 혁대이다.
또한, 상기 버클(120)은 벨트(110)의 일단에 설치되어 벨트(110)의 타단을 고정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버클(120) 역시 통상의 기술이다. 즉, 위에서 종래기술로 설명한 여러 형태의 버클이 적용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체(130)는 버클(120)과 벨트(110)를 고정시키도록 설치된 것으로, 이러한 연결체(130)는 지지부재(132)와 고정부재(134)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132)에는 상하부 일측단에 힌지공(13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134)에는 일단이 지지부재(132) 쪽으로 절곡되어 단부에 톱니부(13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134)는 상기 지지부재(132)의 힌지공(132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체(130)에 벨트(110)의 일단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힌지공(132a)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부재(134)의 자유단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지지부재(132)와 톱니부(134a)의 사이에는 통로(136)가 형성되는데, 상기 통로(136)를 통하여 벨트(110)의 일단을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134)를 다시 원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톱니부(134a)가 벨트(110)의 일면에 파지됨으로써 벨트(110)의 일단이 고정되게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체(130)는 위에서 설명한 도 2표시의 고정구(3)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연결체(130)는 일단이 버클(120)에 설치된 상태에서 위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벨트(110)의 일단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체(13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체(140)는 상기 고정부재(134)의 일면으로 설치되어 바지의 상단에 걸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걸림체(140)는, 바지의 상단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클립 형태를 이루어 상기 고정부재(134)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걸림체(140)는 클립부(142)와 지지부(144) 및 고정부(14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클립부(142)는 바지의 상단에 걸 수 있게 하부가 자유단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클립부(142)는 도 7표시와 같이 소정 텐션을 갖도록 하단이 상기 고정부재(134)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부(142a)와, 상기 제1경사부(142a)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경사부(142b)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클립부(142)를 제1경사부(142a)와 제2경사부(142b)로 형성하게 되면, 바지의 상단에 걸어 고정시킬 때 쉽게 걸 수 있고, 또 확실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44)는 클립부(142)의 상단에서 일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46)는 고정부재(134)의 상단에 지지부(144)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144)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144)에는 고정부재(134)가 클립부(142)와 고정부(146)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끼운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144)가 상기 고정부재(134)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림수단(148)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수단(148)은 지지부(144)의 양단에 요입되게 형성된 걸림홈부(148a)와, 상기 걸림홈부(148a)에 끼움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부재(134)의 상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림돌부(148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클립부(142)와 고정부(146)의 사이에 고정부재(134)가 위치되도록 끼우게 되면, 상기 지지부(144)에 형성된 걸림수단(148)의 걸림홈부(148a)에 상기 고정부재(134)에 형성된 걸림돌부(148b)가 끼움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146)는 도 8표시와 같이 상기 지지부(144)의 단부가 상기 고정부재(134)의 상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상기 지지부(144)의 단부가 상기 고정부재(134)의 상단에 용접(w)되어 고정될 수 있다. 혹은 상기 고정부재(134)의 형성시 상기 결합체(140)를 일체형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체(130)에 걸림체(14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벨트(110)를 바지에 착용하게 되면, 상기 걸림체(140)의 클립부(142)를 바지의 상단에 끼워 고정함으로서, 버클(120)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 활동 중에도 벨트(110)가 사용자의 허리를 따라 돌아가지 않게 되어, 착용자는 다른 사람에게 항상 깔끔한 인상을 줄 수 있다.
110 - 벨트 120 - 버클
130 - 연결체 132 - 지지부재
134 - 고정부재 140 - 걸림체
142 - 클립부 144 - 지지부
146 - 고정부 148 - 걸림수단
148a - 걸림홈부 148b - 걸림돌부

Claims (4)

  1. 일정 길이를 갖는 띠 형상의 벨트(110);
    상기 벨트(110)의 일단에 설치되어 벨트(110)의 타단을 고정시킬 수 있는 버클(120); 및
    상기 버클(120)과 벨트(110)를 고정시키도록 상하부 일측단에 힌지공(132a)이 형성된 지지부재(132)와, 상기 지지부재(132)의 힌지공(132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일단에는 지지부재(132) 쪽으로 절곡되어 단부에 톱니부(134a)가 형성된 고정부재(134)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134)의 자유단을 회전시킴으로서 형성되는 지지부재(132)와 톱니부(134a)의 사이 통로(136)를 통하여 벨트(110)의 일단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134)를 원위치로 회전시킴에 의해 톱니부(134a)가 벨트(110)의 일면에 파지되어 벨트(110)의 일단이 고정되게 한 연결체(13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130)에는:
    상기 고정부재(134)의 일면으로 설치되어 바지의 상단에 걸 수 있는 걸림체(140)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체(140)는, 바지의 상단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클립 형태를 이루어 상기 고정부재(134)에 고정 또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벨트 조임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체(140)는:
    바지의 상단에 걸 수 있게 하부가 자유단으로 형성된 클립부(142);
    상기 클립부(142)의 상단에서 일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부(144); 및
    상기 지지부(144)가 고정부재(134)의 상단에 고정 될 수 있게 상기 지지부(144)에서 하부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고정부(146)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144)에는:
    상기 고정부재(134)가 상기 클립부(142)와 고정부(146)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끼운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144)가 상기 고정부재(134)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144)의 양단에 요입되게 형성된 걸림홈부(148a); 및
    상기 걸림홈부(148a)에 끼움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부재(134)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부(148b)로 이루어진 걸림수단(148)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벨트 조임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체(140)는:
    바지의 상단에 걸 수 있게 하부가 자유단으로 형성된 클립부(142);
    상기 클립부(142)의 상단에서 일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부(144); 및
    상기 지지부(144)의 단부가 상기 고정부재(134)의 상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게 한 고정부(146)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146)는:
    상기 지지부(144)의 단부가 상기 고정부재(134)의 상단에 용접(w)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벨트 조임쇠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142)는:
    텐션을 갖도록 하단이 상기 고정부재(134)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부(142a)와, 상기 제1경사부(142a)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경사부(142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조임쇠 장치.
KR2020130006497U 2013-08-05 2013-08-05 허리 벨트 조임쇠 장치 KR2004693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497U KR200469383Y1 (ko) 2013-08-05 2013-08-05 허리 벨트 조임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497U KR200469383Y1 (ko) 2013-08-05 2013-08-05 허리 벨트 조임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383Y1 true KR200469383Y1 (ko) 2013-10-18

Family

ID=50737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497U KR200469383Y1 (ko) 2013-08-05 2013-08-05 허리 벨트 조임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38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611U (ja) * 1993-03-25 1994-10-04 昌雄 花井 ズボンが下がらないバックル
JP2004344178A (ja) 2002-12-18 2004-12-09 Masakatsu Yamaoka ズボンの前側ずり下がり防止ベルトバックル
JP2009513229A (ja) 2005-11-03 2009-04-02 ベゥムスン チョイ 腰ベルトバックルの固定装置
KR20100011471U (ko) * 2009-05-15 2010-11-24 최범순 허리벨트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611U (ja) * 1993-03-25 1994-10-04 昌雄 花井 ズボンが下がらないバックル
JP2004344178A (ja) 2002-12-18 2004-12-09 Masakatsu Yamaoka ズボンの前側ずり下がり防止ベルトバックル
JP2009513229A (ja) 2005-11-03 2009-04-02 ベゥムスン チョイ 腰ベルトバックルの固定装置
KR20100011471U (ko) * 2009-05-15 2010-11-24 최범순 허리벨트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60818S1 (en) Watch
KR20160080821A (ko) 스트랩 길이를 조절하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 마스크
KR101839151B1 (ko) 안면장착구
KR100803518B1 (ko) 자동으로 크기가 조절되는 반지.
JP6119292B2 (ja) 顔面装着具のベルト長さ調節機構
JP5955952B2 (ja) コードロック
US20150040356A1 (en) Buckle for Fastening a Belt
KR200469383Y1 (ko) 허리 벨트 조임쇠 장치
US20140173950A1 (en) Medal-mounting assembly
US20100071116A1 (en) Adjustable belt
US1692079A (en) Automatic strap tightener
KR200473562Y1 (ko) 혁대 버클
JP2009513229A (ja) 腰ベルトバックルの固定装置
KR20080092203A (ko) 혁대의 자동신축장치
KR101991792B1 (ko) 장신구의 체결장치
KR20110004275U (ko) 허리띠용 버클
JP3154318U (ja) 遮光装置の操作コードの留め具
KR20210006179A (ko) 벨트 고정 장치 및 그 장치가 구비된 버클
KR101321283B1 (ko) 벨트용 버클 연결구
US20150250641A1 (en) Anti-Snor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1147845B1 (ko) 혁대용 버클
JP2020528326A (ja) 過剰な部分を留め付けるための装置を備えるベルト及びストラップ
KR200387187Y1 (ko) 혁대
KR101253837B1 (ko) 벨트용 버클
WO2019019771A1 (zh) 一种腰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