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043B1 - 의류 허리 둘레선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허리 둘레선 조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7043B1 KR101717043B1 KR1020160006411A KR20160006411A KR101717043B1 KR 101717043 B1 KR101717043 B1 KR 101717043B1 KR 1020160006411 A KR1020160006411 A KR 1020160006411A KR 20160006411 A KR20160006411 A KR 20160006411A KR 101717043 B1 KR101717043 B1 KR 1017170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rail
- fixing
- region
- delete dele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41F9/025—Adjustable belts or girdl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41F1/008—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의류의 허리둘레선 조절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의류의 내부에 장착되어 허리의 둘레를 조절하는 조절장치의 구조를 가이드 레일의 이동방향에 대변하는 누름 부재를 곡률처리 구조로 구현하여, 옷감 내에서 용이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돌출되는 누름부가 옷감에 걸려 옷감을 상하게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의 허리둘레선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으로 만들어져 주로 바지, 스커트 등의 허릿단 부분에 부착되어 허리둘레선의 길이를 일정 범위 내에서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허리둘레선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체에 착용하는 바지, 스커트 등의 하의는 사이즈가 고정된 상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자신의 체형보다 약간 큰 사이즈의 하의를 구입하는 것이 보편적이나 이로 인해 옷맵시가 떨어지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성장속도가 빠른 청소년의 경우에는 자신의 늘어난 허리 크기 맞는 하의를 새롭게 구입하거나 수선을 의뢰하여 하의의 허릿단 사이즈를 최대한 늘려서 착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 허리둘레선, 소위 허릿단의 길이를 조절하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허리둘레선의 길이 조절에 사용하는 조절장치는 특허 제10-1060070호의 공보에 기재된 것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종래의 허리둘레 조절구의 위치고정수단은 누름편이 이동부재의 일측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탄지 결합되어 있어 부피가 클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따라서 허리둘레 조절구를 의류의 허릿단에 부착하여 착용 시 위치고정수단이 허리 부분을 압박함으로써 의류 착용감이 불편하였다. 또한, 누름편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래치부에 래치된 걸림부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어서 해당 허리둘레 조절구가 부착된 의류를 착용한 상태에서 허리를 구부린다던가 하는 신체의 움직임에 의해 누름편이 눌러져 허리둘레선의 조정상태가 제대로 유지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누름편이 몸체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이동부재가 이동하는 경우, 누름편의 모서리나 돌출부위가 옷감이나 실밥, 바느질선 등에 걸려 옷감이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의 내부에 장착되어 허리의 둘레를 조절하는 조절장치의 구조를 가이드 레일의 이동방향에 대변하는 누름 부재를 곡률처리 구조로 구현하여, 옷감 내에서 용이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돌출되는 누름부가 옷감에 걸려 옷감을 상하게 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크기를 대폭 축소할 수 있어 제작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고, 의류에 부착하여 착용 시 의류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의류 허릿단 부분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이 분리되게 절개 형성된 내측 허릿단과 외측 허릿단의 중첩부에 설치되어 허리둘레를 조절하는 의류의 허리둘레선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허리단의 중첩부에 배치되며, 바타입의 레일몸체부 상면에 다수의 레치가 구현되는 레치부와 상기 레일몸체부 일면에 돌출라인부가 구현되는 레일유닛; 상기 레일유닛이 제1수용부 내에 수용 결합하며, 상기 돌출라인부에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수용모듈과, 상기 제1수용모듈의 측면에 결착되며, 상기 제1수용부와는 격리되는 제2수용부가 마련되는 제2수용모듈을 포함하는 이동유닛; 및 상기 레일유닛의 레치부에 접촉하는 고정돌기가 마련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타단에 연장되어, 상부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경사각을 가지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말단에 마련되며 상기 제1수용모듈 상부면에 마련되는 개구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누름부는, 상기 이동유닛의 이동방향에 대향하는 상기 누름부의 양쪽 표면 각각에 곡률이 구현되는 곡률처리부가 마련되는 의류 허리 둘레선 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의류의 내부에 장착되어 허리의 둘레를 조절하는 조절장치의 구조를 가이드 레일의 이동방향에 대변하는 누름 부재를 곡률처리 구조로 구현하여, 옷감 내에서 용이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돌출되는 누름부가 옷감에 걸려 옷감을 상하게 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허리둘레선 조절장치를 이동하기 위한 이동유닛의 구조를 한 쌍의 수용모듈의 결합구조로 구현하고, 그 내측에 간단한 회전 구동으로 구현되는 고정유닛을 장착하는 구조 구현함으로써, 허리단의 상측에 이 설치되어 허리둘레 조절구의 조작이 용이하고, 허리 둘레선 조절장치의 크기를 대폭 축소할 수 있어 제작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고, 의류에 부착하여 착용 시 의류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의류의 파손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유닛이 힌지구동하는 단순화한 구조로 구현되어 장치의 사이즈를 현저하게 축소할 수 있어 의류 디자인의 마감을 깔끔하게 구현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의류의 품질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이동유닛과 고정유닛의 요부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장치의 고정유닛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5는 도 4의 누름부의 곡률처리부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고정유닛과 제1수용모듈의 장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6에서 상술한 본 장치의 장착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의 결합구조를 상부에서 바라본 결합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장치의 고정유닛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5는 도 4의 누름부의 곡률처리부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고정유닛과 제1수용모듈의 장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6에서 상술한 본 장치의 장착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의 결합구조를 상부에서 바라본 결합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의류 허리 둘레선 조절장치(이하, '본 장치'라 한다.)는 도 7에 도시된 본 장치의 작용상태도와 같이, 내측허리단(10)과 외측허리단(20)이 적어도 한 곳 이상 분리되게 절개된 구조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이를 서로 중첩되도록 부착설치하게 된다. 본 장치가 부착되는 바지의 구조에 대해서는 공지된 상기 공개 문헌의 구조를 그대로 채용할 수 있다.
본 장치의 특징적인 구조는 종래의 구조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함과 동시에 보다 구조적 안정감이 확보되며, 원가 절감을 구현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하기 위해 도 1과 같은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이동유닛과 고정유닛의 요부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장치는 레치가 구현되는 레일유닛(100)과 상기 레일유닛(100)이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하는 이동유닛(200), 그리고 이동유닛의 내부에 배치되며, 레일유닛 상의 레지에 걸려 고정하는 형태로 이동유닛을 고정하는 고정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장치는, 의류 허릿단 부분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이 분리되게 절개 형성된 내측 허릿단과 외측 허릿단의 중첩부에 설치되어 허리둘레를 조절하는 의류의 허리둘레선 조절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 경우, 특히 본 장치는 상기 내측허리단의 중첩부에 배치되며, 바(bar) 타입의 레일몸체부 상면에 다수의 레치가 구현되는 레치부(130)와 상기 레일몸체부 일면에 돌출라인부(120)가 구현되는 레일유닛(100)를 구비한다. 여기에 상기 레일유닛이 제1수용부(S1) 내에 수용 결합하며, 상기 돌출라인부에 대응되는 가이드홈(21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수용모듈(200A)과, 상기 제1수용모듈(200A)의 측면에 결착되며, 상기 제1수용부(S1)와는 격리되는 제2수용부(S2)가 마련되는 제2수용모듈(200B)을 포함하는 이동유닛(200)이 장착되는 구조로 구현된다.
또한, 상기 레일유닛(100)의 레치부에 접촉하는 고정돌기(312)가 마련되는 고정부(311)와, 상기 고정부(311)의 타단에 연장되어, 상부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경사각(θ1)을 가지는 연장부(321), 상기 연장부의 말단에 마련되며 상기 제1수용모듈 상부면에 마련되는 개구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누름부(322)를 포함하는 고정유닛(300)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본 장치에서는 본 장치의 이동유닛과 고정유닛이 옷감 내에 장착되어 이동을 하는 경우, 옷감을 상하게 하지 않는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고정유닛(300) 상의 누름부(322)의 형상을 상기 이동유닛의 이동방향에 대향하는 상기 누름부의 양쪽 표면 각각에 곡률이 구현되는 곡률처리부(Rx)가 마련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레일유닛(100)은 구체적으로는, 의류의 내측허리단의 중첩부에 배치되는 바타입의 레일몸체부(110)와, 상기 레일몸체부(110) 상면에 다수의 레치(130)가 구현되는 레치부와 상기 레일몸체부 일면에 돌출라인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몸체부(110)은 합성수지재로 구성되어 옷감에 재봉이 용이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라인부(120)는 추후 이동유닛(200)의 내부의 가이드홈(S1)에 끼움 결합식으로 장착되어 슬라이딩되는 구조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추후 상기 돌출라인부(120)의 외부 표면 부분은 추후 내측 허리단의 외면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레일몸체부(110) 부분이 내측 허리단의 외면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돌출라인부(120)가 구현되는 레일몸체의 반대면에는 재봉라인홈이 추가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라인부(120)과 그 반대면에 형성되는 재봉라인홈(미도시)는 상기 레일몸체부(110)의 중심부에 횡방향으로 구현되도록 하여, 상기 레일유닛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이동유닛(20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술한 상기 레일유닛(100)이 끼워지는 형태로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인 제1수용부(S1)가 마련되는 구조로 구현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유닛(200)의 구조와 고정유닛(300)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이동유닛(200)은 제1수용부(S1)이 마련되는 제1수용모듈(200A)과 제2수용부(S2)가 마련되는 제2수용모듈(200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모듈(200A)과 제2수용모듈(200B)은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호 일측면을 공유하는 상태로 결합하게 된다.
상기 제1수용모듈(200A)의 구조는 상기 제2수용모듈(200B)과 접촉하여 결합하는 표면인 기저부(210)와 상기 기저부의 상부에 절곡되는 구조로 구현되는 상면(211a)와 상기 상면(211a)와 마주하는 구조로 절곡되는 하면(211b)가 구현된다.
상기 상면(211a)은 상호 높이가 다른 영역이 마련되며, 각 영역은 단차가 형성되고, 더 낮은 영역의 상면 표면에는 개구부가 마련된다(도 6참조). 상기 개구부에는 고정유닛(300)의 누름부(322)가 관통하는 구조로 구현된다. 즉, 상기 제1수용부(S1)의 내측에는 고정유닛(300)이 안착하게 되며, 상기 고정유닛(300)의 측면에 돌출되는 결합돌기(324)가 상기 기저부(201)와 기저부의 맞은편에 절곡된 상면의 연장부(211c)에 마련되는 한 쌍의 결합홈(213)에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결합구조로 상기 고정유닛((300)은 결합돌기(324)를 축으로 하여 상하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기저부(210)의 측면에는 돌출편(215)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며, 상기 돌출편(215)는 상기 제2수용모듈(200B)의 연장부(222)에 마련되는 제2결합폼(222)에 대응되도록 결합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수용모듈(200A)과 제2수용모듈(200B)은 결합하게 된다. 상기 돌출편(215)은 상기 제2결합홈(222)에 삽입된 후, 절곡시키는 구조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수용모듈(200A)과 제2수용모듈(200B)의 결합 방식은 하나의 예시이며, 상기 제1수용모듈(200A)과 제2수용모듈(200B)을 접착제나 용접 방식 등 금속을 결합시킬 수 있는 다양한 공지의 방식으로 결착시키는 구조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수용모듈(200A)의 내부에 장착되는 상기 고정유닛(30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면 외부로 곡률처리부가 개구부(H)를 통해 돌출되는 구조로 구현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유닛의 돌출되는 부분(누름부:322, 도 4)인 누름부는 도시된 구조와 같이 이동유닛(2000의 길이방향, 즉 이동유닛이 이동하는 방향에 대응하는 표면에 곡률이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이동유닛(100)은 도 1과 같이, 이동유닛의 내부로 레일유닛(100)이 삽입되고, 상기 이동유닛(100)은 상기 레일유닛(100)을 따라 좌, 우 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방향에서 종래의 구조에서는 돌출되는 누름편이 직물에 걸리거나 실밥 등에 걸려 직물이 파손되거나, 이동이 정체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나, 본 장치의 누름부의 구조에서는 곡률처리된 구조로 구현되는바, 이러한 문제를 일소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3의 구조와 같이, 본 장치의 상기 고정유닛(300)은 누름부(323)이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로 구현되게 된다. 이 경우, 고정유닛(300)의 말단 부분에는 탄성부재(400)가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400)는 상기 제1수용모듈(200A)의 내측 상면과 상기 고정유닛(400)의 탄성부재 안착부(313)에 접촉하는 구조로 배치되게 된다. 이후, 도 3의 (a)와 같이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황에서는, 상기 누름부(323)가 상기 탄성부재(313)의 탄성력에 의해 제1방향(X1)으로 이동하고, 고정부(312)는 제2방향(X2)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구동한다. 이 경우, 도 1의 레일유닛(100)의 레치들 사이의 홈에 상기 고정돌기(312)가 끼워져 레일유닛이 고정되게 된다.
이후, 도 3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력이 상기 누름부(323)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누름부(323)은 제2방향(Y1)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 경우 결합돌기(324)를 축으로 회전운동을 하며 상기 고정돌기(212)가 제1방향(Y2)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1의 레일유닛과 고정부의 결합이 해제되는바, 상기 이동유닛(200)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본 장치의 실시예의 구조는 종래의 조절장치의 구조에 비해 매우 간단한 구조로 구현됨과 동시에, 단순히 고정유닛의 특수한 구조 및 탄성유닛만으로 구동하게 되며, 고정유닛의 상면에 라운딩(곡률처리)가 구현되어, 이동시 안전성이 보장되게 된다.
도 4는 본 장치의 고정유닛(300)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5는 도 4의 누름부의 곡률처리부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2의 구조를 참조하고,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유닛(300)은 상기 레일유닛의 레치부에 접촉하는 고정돌기(312)가 마련되는 고정부(311)와, 상기 고정부(311)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상부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경사각(θ1)을 가지는 연장부(321), 상기 연장부(321)의 말단에 마련되며 상기 제1수용모듈 상부면에 마련되는 개구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누름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누름부(322)는, 상기 이동유닛의 이동방향에 대향하는 상기 누름부의 양쪽 표면 각각에 곡률이 구현되는 곡률처리부(Rx)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곡률처리부(Rx)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곡률처리부를 형성하는 곡률을 연장하는 가상의 연장선이 원을 이루거나, 타원을 이룰 수 있으며, 도 5 (b)와 같이 포물선을 구현하는 구조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제1경사각(θ1)은 90도 미만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5도~60도 이하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90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효율적인 누르는 힘이 인가하기 어려워, 고정유닛 자체의 힌지구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45도~60도 범위에서는 최적의 힘으로 가압을 할 수 있게 된다. 45도 미만의 각도에서는 자칫 의도치 않은 외력(앉거나 일어서는 경우, 외부 옷감이나 사용자의 살집에 눌리는 경우 등)에 민감하게 눌러지게 되는바, 고정유닛의 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본 장치의 실시예에서 가장 이상적인 제1경사각은 60도, 제2경사각은 120도로 구현하는 경우, 보다 안정적인 고정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고정유닛(300)과 제1수용모듈(200A)의 장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장치의 고정유닛(300)은 누름부(322)의 최하단의 폭(d1)이 상기 개구부(H)의 폭(d3) 보다 크게 구현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누름부(322) 그 자체로 개구부(H)에 끼움 구조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해, 탄성부재가 탈락되거나, 탄성력을 일부 상실하는 경우라도, 고정부재 자체로 힌지구동을 하는 것으로, 임시적으로라도 고정유닛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는 누름부(322)가 절곡되는 구조로 곡률처리부가 구현되는바, 일정한 누름부 자체의 탄성이 구비되게 되며, 따라서 탄성부재의 기능 상실의 경우에, 인위적인 끼움결합으로 고정부재와 래치부의 결합 및 해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돌기(312)는 고정부의 말단에 구현되며, 특히 결합돌기(324)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구조로 제3경사각(θ3)을 이루도록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레치와의 걸림결합의 견고함을 높임과 동시에, 제3방향(Y3)으로 이동유닛이 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이동유닛의 상부면(211a)에는 상기 개구부(Hx)가 마련되는 제1영역(T1)과 상기 제1영역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영역 표면보다 높게 구현되는 단차(y1)를 구비하는 제2영역(T2)을 구비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상기 누름부(322)의 최상부 지점(C)이 상기 제2영역 표면이 구현하는 수평면(a2) 이하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장치의 이동유닛과 함께 이동되는 고정유닛(300)에서 외부로 유일하게 돌출되는 부분인 누름부(322)에 곡률처리를 하여 옷감의 손상없이 원활한 이동작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은 상술한바 있다. 여기에서 누름부가 제2영역(T2)의 표면 높이 이하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이동이 더욱 원활하게 될 수 있음은 물론, 무의식적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노출되지 않아, 더욱 안정적인 고정 및 해제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물론, 이러한 안정적이 고정 및 해제를 구현할 수 있는 범위는 상술한 것과 같이, 누름부(322)의 최상부 지점(C)이 상기 제2영역 표면이 구현하는 수평면(a2) 이하로 구현되는 것이나,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누름부의 위치를 용이하게 찾아 누름 작업을 쉽게할 수 있으면서도 동시에 고정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개구부의 표면에서 상기 누름부의 최상부 지점의 높이(y3)가 상기 제1영역가 상기 제2영역의 단차높이(y4)의 1.0~1.5배 이하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지나치게 외력에 의한 오작동이 많아지게 되어 상품성에 저해된다.
나아가, 상기 고정부(311)의 길이(P2)와 상기 연장부(321)에서 상기 누름부(322)의 최상부 지점(C) 까지의 길이(P1)의 비율이 (1.5~2):1의 범위를 충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최소한의 힘으로 최대의 고정 및 해제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비율로, 이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해야하는 외력이 너무 과해져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6에서 상술한 본 장치의 장착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의 결합구조를 상부에서 바라본 결합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장치는 내측허리단(10)과 외측허리단(20)이 적어도 한 곳 이상 분리되게 절개된 구조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이를 서로 중첩되도록 부착설치하게 된다.
본 장치이 이동유닛(200)의 제1수용부(S1)을 통해 레일유닛(100)이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의류의 내측허리단(10)이 내측면에 결합된다.
아울러, 외측허리단(20)이 내부에는 상기 이동유닛과 결합할 수 있는 고정부재(미도시)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아울러, 레일유닛(10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덮개천(3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덮개천(30)은 레일유닛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치되고, 그 양단이 재봉되어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이동유닛(200)에는 상기 덮개천의 이동통로 역할을 하는 제2수용홈(도 2의 S2)이 구비되는바, 덮개천(30)이 이동유닛(200)의 왕복이동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유닛(200)은 레일유닛(100)과 덮개천(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왕복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레일유닛
110: 레일몸체
120: 레치부
130: 돌출라인부
200: 이동유닛
200A: 제1수용모듈
200B: 제2수용모듈
210: 기저부
211a: 상면
211b: 하면
300: 고정유닛
311: 고정부
312: 고정돌기
321: 연장부
322: 누름부
Rx: 곡률처리부
S1: 제1수용부
S2: 제2수용부
400: 탄성부재
110: 레일몸체
120: 레치부
130: 돌출라인부
200: 이동유닛
200A: 제1수용모듈
200B: 제2수용모듈
210: 기저부
211a: 상면
211b: 하면
300: 고정유닛
311: 고정부
312: 고정돌기
321: 연장부
322: 누름부
Rx: 곡률처리부
S1: 제1수용부
S2: 제2수용부
400: 탄성부재
Claims (9)
- 의류 허릿단 부분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이 분리되게 절개 형성된 내측 허릿단과 외측 허릿단의 중첩부에 설치되어 허리둘레를 조절하는 의류의 허리둘레선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 허릿단의 중첩부에 배치되며, 바타입의 레일몸체부(110) 상면에 다수의 레치가 구현되는 레치부(130)와 상기 레일몸체부 일면에 돌출라인부(120)가 구현되는 레일유닛(100); 상기 레일유닛(100)이 제1수용부(S1) 내에 수용 결합하며, 상기 돌출라인부(120)에 대응되는 가이드홈(21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수용모듈(200A)과, 상기 제1수용모듈(200A)의 측면에 결착되며, 상기 제1수용부(S1)와는 격리되는 제2수용부(S2)가 마련되는 제2수용모듈(200B)을 포함하는 이동유닛(200); 및 상기 레일유닛(100)의 레치부(130)에 접촉하는 고정돌기(312)가 일단에 마련되는 고정부(311)와, 상기 고정부(311)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상부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경사각(θ1)을 가지는 연장부(321), 상기 연장부(321)의 말단에 마련되며 상기 제1수용모듈(200A) 상부면에 마련되는 개구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누름부(322)를 포함하는 고정유닛(30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300)은, 누름부(322)의 최하단의 폭(d1)이 상기 개구부(H)의 폭(d3) 보다 크게 구현되는 구조로 구현되며, 상기 누름부(322)는, 상기 이동유닛의 이동방향에 대향하는 상기 누름부의 양쪽 표면 각각에 곡률이 구현되는 곡률처리부(Rx)가 구현되되, 상기 곡률처리부(Rx)는, 상기 곡률처리부를 형성하는 곡률을 연장하는 가상의 연장선이 원을 이루거나, 타원, 포물선 중 어느 하나를 이루는 구조이며,
상기 이동유닛의 상부면(211a)에는 상기 개구부(Hx)가 마련되는 제1영역(T1)과 상기 제1영역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영역 표면보다 높게 구현되는 단차(y1)를 구비하는 제2영역(T2)을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상기 누름부(322)의 최상부 지점(C)이 상기 제2영역의 표면이 구현하는 수평면(a2) 이하로 구현되며,
상기 개구부의 표면에서 상기 누름부의 최상부 지점의 높이(y3)가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단차높이(y4)의 1.0~1.5배 이하로 구현되며,
상기 고정부(311)의 길이(P2)와 상기 연장부(321)에서 상기 누름부(322)의 최상부 지점(C) 까지의 길이(P1)의 비율이 (1.5~2):1의 범위를 충족하며,
상기 고정부(311)와 상기 연장부(321)이 이루는 제1경사각(θ1)은 60도를 이루는, 의류 허리 둘레선 조절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6411A KR101717043B1 (ko) | 2016-01-19 | 2016-01-19 | 의류 허리 둘레선 조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6411A KR101717043B1 (ko) | 2016-01-19 | 2016-01-19 | 의류 허리 둘레선 조절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17043B1 true KR101717043B1 (ko) | 2017-03-27 |
Family
ID=58496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6411A KR101717043B1 (ko) | 2016-01-19 | 2016-01-19 | 의류 허리 둘레선 조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704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2563B1 (ko) * | 2018-04-26 | 2019-06-26 | 주식회사 씨엔어스 | 치마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와 그 설치방법 |
KR102312844B1 (ko) * | 2020-09-15 | 2021-10-14 | 백종환 | 의류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73213A (ja) * | 1999-08-31 | 2001-03-21 | Ykk Corp | ウエスト調節具 |
KR101060070B1 (ko) | 2009-09-15 | 2011-08-29 | 박해오 | 허리둘레 조절구 및 그것이 구비된 바지 |
KR20120008262U (ko) * | 2011-05-24 | 2012-12-04 | 박해오 | 허리둘레 조절장치 |
KR101265161B1 (ko) * | 2012-04-20 | 2013-05-24 | 최한규 | 허리 사이즈 조절장치 |
-
2016
- 2016-01-19 KR KR1020160006411A patent/KR10171704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73213A (ja) * | 1999-08-31 | 2001-03-21 | Ykk Corp | ウエスト調節具 |
KR101060070B1 (ko) | 2009-09-15 | 2011-08-29 | 박해오 | 허리둘레 조절구 및 그것이 구비된 바지 |
KR20120008262U (ko) * | 2011-05-24 | 2012-12-04 | 박해오 | 허리둘레 조절장치 |
KR101265161B1 (ko) * | 2012-04-20 | 2013-05-24 | 최한규 | 허리 사이즈 조절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2563B1 (ko) * | 2018-04-26 | 2019-06-26 | 주식회사 씨엔어스 | 치마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와 그 설치방법 |
KR102312844B1 (ko) * | 2020-09-15 | 2021-10-14 | 백종환 | 의류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60070B1 (ko) | 허리둘레 조절구 및 그것이 구비된 바지 | |
US9795192B2 (en) | Buckle | |
TWI686146B (zh) | 具有罩杯部的女性內衣 | |
KR101187156B1 (ko) |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 |
KR101717043B1 (ko) | 의류 허리 둘레선 조절장치 | |
US8006632B2 (en) | Temporary pants hemming/cuffing devices | |
US10609965B2 (en) | Brassiere | |
KR20090068325A (ko) | 아이운반장치 ⅱ | |
KR200464651Y1 (ko) | 바지용 힙 보정기구 | |
CN107149189A (zh) | 用于调节裤子或者裙子的腰带的围长的装置 | |
KR200444929Y1 (ko) | 허리 사이즈 조절 액세서리 및 그를 구비한 하의 | |
KR200474709Y1 (ko) | 상의 고정 밴드 | |
KR200473562Y1 (ko) | 혁대 버클 | |
JP6364935B2 (ja) |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 |
KR20130143377A (ko) | 의류의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 |
KR101775279B1 (ko) | 하의의 허리둘레 조절장치 | |
KR20120008008U (ko) | 허리 사이즈 조절 액세서리 및 그를 구비한 하의 | |
US20120212028A1 (en) | Vehicle seat | |
KR20170123302A (ko) |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 |
JP5548063B2 (ja) | 衣服のウエストサイズ調節具及びそのウエストサイズ調節具を備えた衣服 | |
KR101350647B1 (ko) | 후크 겸용 컨실드 지퍼 | |
KR100656591B1 (ko) | 바지의 허리사이즈 조절구조 | |
KR101333818B1 (ko) | 어깨띠 조절형 가방 및 그에 사용되는 선회 연결 어셈블리 | |
KR20210060748A (ko) | 서스펜더형 바지 고정장치 | |
WO2020037184A1 (en) | Head and neck support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