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818B1 - 어깨띠 조절형 가방 및 그에 사용되는 선회 연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어깨띠 조절형 가방 및 그에 사용되는 선회 연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818B1
KR101333818B1 KR1020120108620A KR20120108620A KR101333818B1 KR 101333818 B1 KR101333818 B1 KR 101333818B1 KR 1020120108620 A KR1020120108620 A KR 1020120108620A KR 20120108620 A KR20120108620 A KR 20120108620A KR 101333818 B1 KR101333818 B1 KR 101333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unit
shoulder strap
band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솔
Original Assignee
박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솔 filed Critical 박솔
Priority to KR1020120108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47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with adjustable fastenings for the shoulder straps or waist belt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상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상부띠 및 제2 상부띠; 상기 수납부의 하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 하부띠 및 제2 하부띠; 상기 제1 상부띠 및 상기 제1 하부띠를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제1 선회 유닛; 상기 제2 상부띠 및 상기 제2 하부띠를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제2 선회 유닛; 및 상기 제1 선회 유닛과 제2 선회 유닛을 서로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체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 시에 상기 제1 선회 유닛과 상기 제2 선회 유닛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 배치되게 하도록 형성되는 체결 유닛을 포함하는, 어깨띠 조절형 가방, 및 그에 사용되는 선회 연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어깨띠 조절형 가방 및 그에 사용되는 선회 연결 어셈블리{BAG HAVING ADJUSTABLE SHOULDER STRAP AND PIVOTALLY CONNECTING ASSEMBLY USE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어깨띠 조절형 가방, 그에 사용되는 선회 연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의 종류에는 손으로 들 수 있도록 하는 손가방과, 한쪽 어깨, 또는 양쪽어깨에 걸어 맬 수 있는 어깨 걸이형 가방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어깨 걸이형 가방에 대해서는 등록실용신안 제0392083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가방을 어깨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어깨띠라는 구성 덕분이다.
구체적으로, 어깨띠는 전체적으로 링과 같은 형태를 형성하며, 양단부 모두가 가방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어깨띠가 형성하는 링 내로, 사용자는 팔을 집어넣어서, 어깨띠가 어깨를 감싸도록 하여 가방을 어깨에 걸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가방 착용자가 뛰는 경우에 어깨띠가 벗겨져서 가방이 흘러내리는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가방이 짐을 지는 도구로만 인식하게 하여, 패션 소품화하기 힘든 면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깨띠가 착용자의 신체에 보다 밀착되게 조절 가능하며, 패션 아이템으로 인식될 수 있는, 어깨띠 조절형 가방 및 선회 연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어깨띠 조절형 가방은,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상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상부띠 및 제2 상부띠; 상기 수납부의 하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 하부띠 및 제2 하부띠; 상기 제1 상부띠 및 상기 제1 하부띠를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제1 선회 유닛; 상기 제2 상부띠 및 상기 제2 하부띠를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제2 선회 유닛; 및 상기 제1 선회 유닛과 제2 선회 유닛을 서로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체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 시에 상기 제1 선회 유닛과 상기 제2 선회 유닛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 배치되게 하도록 형성되는 체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선회 유닛과 상기 제2 선회 유닛은 각각, 상기 제1 상부띠 또는 상기 제2 상부띠에 연결되는 상부판; 상기 제1 하부띠 또는 상기 제2 하부띠에 연결되는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을 상대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은 각각,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디스크부; 및 상기 디스크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상부띠, 상기 제2 상부띠, 상기 제1 하부띠, 및 상기 제2 하부띠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핀은 상기 상부판의 디스크부의 관통홀과 상기 하부판의 디스크부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제1 선회 유닛에 설치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선회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 시에 상기 제1 체결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선회 유닛의 상부판에 결합되고, 중앙에 개구되는 체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선회 유닛의 상부판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체결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선회 유닛의 상부판은, 상기 제1 선회 유닛의 상부판의 디스크부의 둘레 방향을 따른 가장자리 영역에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제1 측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1 선회 유닛의 측벽부 및 상부판은, 상기 제2 선회 유닛의 상부판 및 하부판과 상기 제2 체결부가 측방에서 진입 가능하도록 개방된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제2 원판부; 및 상기 제2 원판부에서 연속적으로 커팅되어, 상기 체결 후크를 외팔보 형태로 형성하는 커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중앙에 상기 체결 홀이 형성되는 제1 원판부; 및 상기 제1 원판부에 리세스되게 형성되는 그루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그루브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제2 원판부에 돌출 형성되는 로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선회 유닛의 상부판은, 상기 제2 선회 유닛의 상부판의 디스크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원형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원판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2 측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납부와 상기 제1 상부띠 및 상기 제2 상부띠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상부띠와 상기 제2 상부띠가 서로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수납부의 폭 방향으로 변위되게 하는 변위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위 유닛은, 상기 수납부에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수납부의 중앙에 가까운 제1 위치에 형성되는 제1 걸림부와,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수납부의 중앙에서 상기 제1 위치보다 먼 제2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걸림부를 구비하는 레일; 및 상기 제1 상부띠 및 상기 제2 상부띠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제1 걸림부 또는 상기 제2 걸림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깨띠 조절형 가방은,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을 구비하는 수납부; 상기 상부 영역과 상기 하부 영역을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서로에 대해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어깨띠 및 제2 어깨띠; 상기 제1 어깨띠와 상기 제2 어깨띠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어깨띠와 상기 제2 어깨띠가 서로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 유닛; 및 상기 수납부의 상부 영역과, 상기 제1 어깨띠 및 상기 제2 어깨띠 각각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어깨띠와 상기 제2 어깨띠가 서로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수납부의 폭 방향으로 변위되게 하는 변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어깨띠는, 상기 상부 영역에 연결되는 제1 상부띠; 상기 하부 영역에 연결되는 제1 하부띠; 및 상기 제1 상부띠와 상기 제1 하부띠를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제1 선회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어깨띠는, 상기 상부 영역에 연결되는 제2 상부띠; 상기 하부 영역에 연결되는 제2 하부띠; 및 상기 제2 상부띠와 상기 제2 하부띠를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제2 선회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제1 선회 유닛과 상기 제2 선회 유닛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위 유닛은, 상기 수납부에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수납부의 중앙에 가까운 제1 위치에 형성되는 제1 걸림부와,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수납부의 중앙에서 상기 제1 위치보다 먼 제2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걸림부를 구비하는 레일; 및 상기 제1 어깨띠 및 상기 제2 어깨띠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제1 걸림부 또는 상기 제2 걸림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회 연결 어셈블리는, 제1 상부띠와 제1 하부띠가 서로에 대해 상대 선회되도록 서로를 연결하게 형성되는 제1 선회 유닛과, 상기 제1 선회 유닛에 연결되는 제1 체결부를 구비하는 제1 결합 모듈; 및 제2 상부띠와 제2 하부띠가 서로에 대해 상대 선회되도록 서로를 연결하게 형성되는 제2 선회 유닛과, 상기 제2 선회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체결부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체결 시에 상기 제1 체결부에 중첩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제2 체결부를 구비하는 제2 결합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선회 유닛에 결합되고, 중앙에 개구되는 체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선회 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체결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체결부는, 원판부; 및 상기 원판부에서 연속적으로 커팅되어, 상기 체결 후크를 외팔보 형태로 형성하는 커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선회 유닛과 상기 제2 선회 유닛은 각각, 상기 제1 상부띠 또는 상기 제2 상부띠에 연결되는 상부판; 상기 제1 하부띠 또는 상기 제2 하부띠에 연결되는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에서 상기 하부판을 향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을 상대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어깨띠 조절형 가방 및 그에 사용되는 선회 연결 어셈블리에 의하면, 어깨띠(및 가방)가 착용자의 신체에 보다 밀착되게 조절 가능하며, 그가 설치된 가방이 패션 아이템으로 인식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띠 조절형 가방(100)을 착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결합 모듈(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2 결합 모듈(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1 결합 모듈(200)과 제2 결합 모듈(300)의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라인(Ⅴ-Ⅴ)을 따르는 제1 결합 모듈(200)과 제2 결합 모듈(300)의 결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변위 유닛(111)을 확대해서 보인 분해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깨띠 조절형 가방 및 그에 사용되는 선회 연결 어셈블리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띠 조절형 가방(100)을 착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어깨띠 조절형 가방(100)은, 수납부(110)와, 상부띠(131 및 151)와, 하부띠(136 및 156)와, 제1 결합 모듈(200)과, 제2 결합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110)는 물건의 수납이 가능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수납부(110)는 대체로 육면체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착용자의 등에 접촉되게 배치된다.
상부띠(131 및 151)는 수납부(110)의 상부 영역의 양측에 연결되며, 어깨띠의 일부를 이룬다. 상부띠(131 및 151)는, 구체적으로 착용자의 우측 어깨에 대응하는 제1 상부띠(131)와, 좌측 어깨에 대응하는 제2 상부띠(151)를 가질 수 있다. 상부띠(131 및 151)는 수납부(110)의 상부 영역에 대해 폭 방향으로 좌우로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된다. 그에 의해, 상부띠(131 및 151)는 서로 가까운 제1 위치(P1)에 있거나, 서로 멀어지는 제2 위치(P2)에 있을 수 있게 된다.
하부띠(136 및 156)는 수납부(110)의 하부 영역의 양측에 연결되며, 역시 상부띠(131 및 151)와 함께 상기 어깨띠의 다른 일부를 이룬다. 하부띠(136 및 156)는, 구체적으로 착용자의 우측 옆구리에 대응하는 제1 하부띠(136)와, 좌측 옆구리에 대응하는 제2 하부띠(156)를 가질 수 있다.
제1 결합 모듈(200)은 제1 어깨띠[제1 상부띠(131) 및 제1 하부띠(136)]를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성이다. 제1 결합 모듈(200)에 대응하여, 제2 결합 모듈(300)은 제2 어깨띠[제2 상부띠(151) 및 제2 하부띠(156)]를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성이다.
이상에서 상기 제1 어깨띠, 상기 제2 어깨띠, 제1 결합 모듈(200), 및 제2 결합 모듈(300)은 어깨띠 어셈블리라고 칭해질 수 있다. 상기 어깨띠 어셈블리는, 가방(100) 중에서, 착용자의 어깨에서 시작하여 가슴과 배를 지나 옆구리까지 대응하도록 연장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어깨띠 어셈블리가 가변되게[일부가 다른 부분에 대해 상대 선회되게] 하는 제1 결합 모듈(200) 및 제2 결합 모듈(300)은 선회 연결 어셈블리라 칭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1의 (a)에서와 같이, 상기 어깨띠 어셈블리가 전체적으로 평행하게 십 일자를 이루도록 제1 모드로 배열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착용자가 가방(100)을 메고 있는 경우이다. 이때, 제1 상부띠(131)와 제2 상부띠(151)는 각각 제1 위치(P1)에 있어서, 상기 어깨띠 어셈블리가 착용자의 어깨에서 잘 흘러내리지 않게 한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어깨띠 어셈블리는 전체적으로 'X'자를 이루도록 제2 모드로 배열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결합 모듈(200)이 제2 결합 모듈(300)에 결합되어야 한다. 그에 의해, 제1 상부띠(131)는 제2 하부띠(156)와 대략 하나의 제1 라인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제2 상부띠(151)는 제1 하부띠(136)과 대략 하나의 제2 라인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제2 라인은, 앞서 말한 대로 전체적으로 'X'를 이루게 된다.
이때, 제1 결합 모듈(200)과 제2 결합 모듈(300)은 병렬적으로(수평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아니고, 착용자의 배(혹은 가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적층되게 배열된다. 그에 의해, 상기 어깨띠 어셈블리가 보다 완전한 'X'자를 이루게 될 수 있다. 또한, 제1 상부띠(131)와 제2 상부띠(151)는 변위 유닛(111)에 의해 각각 제2 위치(P2)로 이동된 상태에 있을 수 있어서, 도 1의 (a)에서 보다 제1 상부띠(131)와 제2 상부띠(151) 사이의 간격이 넓어진다. 그에 의해, 상기 어깨띠 어셈블리가 더욱 완전한 'X'자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변위 유닛(111)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이상에서 설명한 바대로, 가방(100)은 제1 모드와 제2 모드 간에 전환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착용자는 평상 시에는 간편하게 상기 제1 모드로 가방(100)을 메다가, 급히 뛰어야 하거나 가방(100)이 무거운 경우에는 상기 제2 모드로 전환하여 가방(100)을 멜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에 의하면, 가방(100)이 착용자에 보다 밀착되어, 착용자를 더 편하게 만들 수 있다.
위에서, 상기 제1 모드 건, 상기 제2 모드 건 간에, 제1 결합 모듈(200)과 제2 결합 모듈(300)은, 기존의 단조로운 어깨띠에 비하여, 새로운 패션적인 포인트가 될 수 있다. 제1 결합 모듈(200)과 제2 결합 모듈(300)의 소재는 상부띠(131 및 151) 및 하부띠(136 및 156)와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는 점, 그리고 제1 결합 모듈(200)과 제2 결합 모듈(300)에 추가적인 장식이 부착될 수 있게 하는 점에서, 위 가방(100)은 패션적인 관점을 수용한 것이다.
이상의 제1 결합 모듈(200)과 제2 결합 모듈(300)에 대해서는, 각각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제1 결합 모듈(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 결합 모듈(200)은, 상부판(210)과, 제1 체결부(220)와, 하부판(230)과, 연결핀(2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판(210)과, 하부판(230)과, 연결핀(250)은 전체로서 제1 선회 유닛이라 칭해질 수 있다.
상부판(210)은 디스크부(211)와, 상부 연결부(213)와, 제1 측벽부(215)를 구비한다. 디스크부(211)는 대체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크부(211)의 중앙에는 관통홀(211')이 형성된다. 상부 연결부(213)는 제1 상부띠(131)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제1 측벽부(215)는 디스크부(211)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대체로 원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부(220)는 제2 체결부(320, 도 3)와 함께 체결 유닛을 이루는 구성이다.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제1 선회 유닛과, 후술할 제2 선회 유닛[상부판(310), 하부판(330), 및 연결핀(350, 이상 도 3)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탈착 가능하게 체결하는 구성이다.
제1 체결부(220)는, 상부 판(210)의 상부, 구체적으로는 제1 측벽부(215)의 상부에 결합된다. 제1 체결부(220)는, 제1 원판부(221)와, 체결홀(223)과, 그루브(2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원판부(221)는 제1 체결부(220)의 몸체를 이루며, 대체로 원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원판부(221)의 상면의 중심을 지나는 선을 따라서는 돌출되는 보강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222)는 제1 원판부(221)의 강도를 높여주기 위한 것이다. 체결홀(223)은 제1 원판부(221)의 중앙 영역에 개구된 부분이다. 그루브(225)는 제1 원판부(221)의 하면에 연속적으로 리세스되어 형성된다. 그루브(225)는 서로 평행한 직선을 이루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직선은 체결홀(223)의 양측에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체결부(220)는 제1 측벽부(215) 및 디스크부(211)와 함께 일 측이 개방된 수용 공간(S)을 형성하게 된다.
하부판(230)은 상부판(210)의 하측에 배치되는 부재이다. 하부판(230)은, 디스크부(231)와, 하부 연결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부(231)의 중앙에는 상부판(210)의 디스크부(211)의 관통홀(211')에 대응하는 관통홀(231')이 형성된다. 하부 연결부(233)는 디스크부(231)의 가장 자리에서 연장 형성되어, 제1 하부띠(136)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연결핀(250)은 하부판(230)의 관통홀(231')과 상부판(210)의 관통홀(211')에 삽입되어, 상부판(210)과 하부판(230)을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한다. 연결핀(250)은, 구체적으로 머리부(251)와, 다리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머리부(251)는 하부판(230)에 걸리도록 하기 위해, 관통홀(231') 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원판 형태일 수 있다. 다리부(253)는 머리부(251)의 평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로 분기되어 연장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다리부(253)는 관통홀(231' 및 211')을 통과하기 위해 압축된 후에 다시 펼쳐서 상부판(210)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연결핀(250)에 의하면, 상부판(210)과 하부판(230)을 상대 선회 가능하게 결합하는 공정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은 도 1의 제2 결합 모듈(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2 결합 모듈(300)은, 제1 결합 모듈(200)과 유사하게, 상부판(310)과, 하부판(330)과, 연결핀(3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 모듈(300)은 제1 결합 모듈(200)의 제1 체결부(220)에 대응하여, 제2 체결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판(310)은 디스크부(311)와, 상부 연결부(313)와, 상부 제한부(315)와, 제2 측벽부(317)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크부(311)는 대체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크부(311)의 중앙에는 관통홀(311')이 형성된다. 상부 연결부(313)는 제1 상부띠(151, 도 1)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부 제한부(315)의 가장자리에서 디스크부(311)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부분이다. 제1 측벽부(317)는 디스크부(311)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대체로 원형인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체결부(320)는 제1 체결부(220, 도 2)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성이다. 제2 체결부(320)는, 구체적으로, 제2 원판부(321)와, 체결 후크(323)와, 커팅부(325)와, 로드부(3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원판부(321)는 대체로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 후크(323), 구체적으로는 그 중에서 자유단 측의 돌출된 부분(323a)은 제1 체결부(220)의 체결홀(223)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커팅부(325)는 제2 원판부(321) 내에서 연속적으로 커팅된 부분으로서, 체결 후크(323)가 형성되게 한다. 커팅부(325)는, 본 실시예에서 대체로 'ㄷ'자 형태로 연장 형성된다. 로드부(327)는 제2 원판부(321)의 상면에서 대체로 평행한 한 쌍의 직선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다. 로드부(327)는 제1 체결부(220)의 그루브(225, 이상 도 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사이즈로 형성된다.
하부판(330)은 디스크부(311)와, 하부 연결부(333)와, 하부 제한부(335)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크부(331)의 중앙에는 상부판(310)의 디스크부(311)의 관통홀(311')에 대응하는 관통홀(331')이 형성된다. 하부 연결부(333)는 디스크부(331)의 가장 자리에서 연장 형성되어, 제2 하부띠(156)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하부 제한부(335)는 상부판(310)이 하부판(330)에 대해 상대 선회되는 중에 일 위치에서 상부 제한부(315)에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연결핀(350)은 관통홀(331' 및 311')을 거쳐서 하부판(330) 및 상부판(310)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그에 의해, 상부판(310)과 하부판(330)은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핀(250)의 구체적인 구성은, 앞서의 연결핀(250, 도 2)과 동일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 결합 모듈(200)과 제2 결합 모듈(300)이 서로 결합된 형태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4는 도 1의 제1 결합 모듈(200)과 제2 결합 모듈(300)의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라인(Ⅴ-Ⅴ)을 따르는 제1 결합 모듈(200)과 제2 결합 모듈(300)의 결합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및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b) 상태에서 제1 결합 모듈(200)과 제2 결합 모듈(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 된다.
이러한 결합을 위해, 제1 결합 모듈(200)의 상부판(210)과 하부판(230)은 대체로 일 직선을 이룬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꺽인 상태로 상대 선회되어야 한다. 이는 제1 선회 유닛인 상부판(210)과, 하부판(230)과, 연결핀(250)의 상호 작용에 의한다. 또한, 제2 결합 모듈(300)의 상부판(310)과 하부판(330) 역시 대체로 일 직선을 이룬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꺽인 상태로 상대 선회되어야 한다. 이는 제2 선회 유닛인 상부판(310)과, 하부판(330)과, 연결핀(350)의 상호 작용에 의한다.
이때, 상부판(310)과 하부판(330)이 서로에 대해 꺽이는 각도는, 상부 제한부(315)가 하부 제한부(335)에 맞물리는 각도로 결정된다. 제1 결합 모듈(200)의 상부판(210)과 하부판(230)에도 상부 제한부(315) 및 하부 제한부(335)에 대응하는 구성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결합 모듈(200)과 제2 결합 모듈(300) 모두가 상기 체결 유닛에 의해 체결되기에 알맞은 상태[체결홀(223)에 체결 후크(323)가 대응하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제1 결합 모듈(200)과 제2 결합 모듈(300)의 결합을 위해서는, 상기 체결 유닛인 제1 체결부(220)와 제2 체결부(320)가 서로 체결되어야 한다. 상기 체결 시에, 제2 체결부(320)는 제1 체결부(220)의 제1 측벽부(215)가 형성되지 않은 개방된 측면을 통해 수용 공간(S) 내로 삽입된다. 이때, 제1 체결부(220)의 그루브(225)는 제2 체결부(320)의 로드부(327)를 수용하여, 제2 체결부(320)를 제1 체결부(220)에 대해 정방향으로 안내한다. 상기 안내에 의한 이동 중에, 제2 체결부(320)의 체결 후크(323)는 제1 체결부(220)의 제1 원판부(221)의 저면에 의해 눌러지면서 체결홀(223)을 향해 전진하게 된다. 상기 전진 중에, 체결 후크(323)는 체결홀(223)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그의 돌출한 부분(323a)이 체결 후크(32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체결홀(223) 내로 삽입되게 한다. 체결 후크(323)의 탄성 복원력 및 강도를 강화하기 위해, 체결 후크(323)의 하면 및 제2 원판부(321)의 저면에는 보강부(323')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한 부분(323a)이 체결홀(223) 내로 삽입되면, 체결 후크(323)의 걸림면(324b)이 체결홀(223)의 걸림면(224b)에 걸리면서, 체결 후크(323)와 체결홀(223) 간의 체결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체결 후크(323)의 경사면(224a)은 제2 원판부(321)의 경사면(324a)과 접촉하게 된다.
그에 의해, 제2 결합 모듈(300)의 상부판(310) 중 디스크부(311) 및 제2 측벽부(317), 하부판(330) 중 디스크부(331), 연결핀(350), 및 제2 체결부(320)는, 제1 결합 모듈(200)의 수용 공간(S) 내에 삽입된 상태를 이룬다. 이 경우, 제2 체결부(320)는 제1 체결부(220)의 하측에 중첩되게 배치되게 된다. 이때, 제1 결합 모듈(200) 및 제2 결합 모듈(300)에 대한 조작에 더하여, 변위 유닛(111)을 조작하여 제1 상부띠(131)와 제2 상부띠(151)를 각각 제2 위치(P2)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결합 모듈(200)과 제2 결합 모듈(300)이 수평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아니라 수직적으로 적층 배치되어, 상기 어깨띠 어셈블리가 보다 'X'자에 가까운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 모듈(200)의 하부판(330)과 연결핀(350)만이 착용자의 배(또는 가슴)에 접촉하게 되므로, 착용자가 상기 선회 연결 어셈블리를 의식하게 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변위 유닛(111)을 조작에 따라 제1 상부띠(131)와 제2 상부띠(151) 간의 간격이 넓어져서, 'X'자가 보다 완전해질 수 있다.
제1 체결부(220)와 제2 체결부(320) 간의 체결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착용자는 제2 체결부(320)의 체결 후크(323) 중에 돌출된 부분(323a)을 수용 공간(S)을 향해 누른 채로, 제2 체결부(320)를 제1 체결부(220)에서 멀어지도록 밀어주면 된다. 제1 체결부(220)와 제2 체결부(320) 간의 체결을 해제한 후에는, 착용자는 변위 유닛(111)을 조작하여 제1 상부띠(131)와 제2 상부띠(151) 간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이상에서, 제1 상부띠(131)와 제2 상부띠(151)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변위 유닛(111)의 구체적 구조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변위 유닛(111)을 확대해서 보인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변위 유닛(111)은, 수납부(110)에 설치되는 레일(112)과, 상부띠(131 및 151)에 설치되는 걸쇠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112)은, 중앙부(113)와, 연장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113)는 대체로 직사각형인 단면을 가지고서 연장된 막대일 수 있다. 연장부(114)는 중앙부(113)의 양측으로 연장하는 막대로서, 대체로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양측의 연장부(114)에는 각각 제1 걸림부(115a)와, 제2 걸림부(115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부(115a)와 제2 걸림부(115b)는 연장부(114)가 연장되는 중에 꺾여서 고리 형태로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걸쇠부(116)는 연장부(114)를 따라 제1 걸림부(115a)와 제2 걸림부(115b) 간에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다. 걸쇠부(116)는 관통부(117)와, 연결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부(117)는 대체로 원형의 개구홀이고, 관통부(117)에는 연장부(114)가 삽입될 수 있다. 연결부(118)는 상부띠(131 및 151)에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상부띠(131)에 대응하는 걸쇠부(116)를 도면상 좌측의 연장부(114)에 끼워 넣고, 제2 상부띠(151)에 대응하는 걸쇠부(116)를 도면상 우측의 연장부(114)에 끼워넣어서 변위 유닛(111)을 조립할 수 있다.
걸쇠부(116)는 연장부(114)를 따라 이동하면서, 먼저 제2 걸림부(115b)에 걸릴 수 있다. 제2 걸림부(115b)에 걸쇠부(116)가 위치한 경우, 상부띠(131 또는 151)는 제2 위치(P2, 도 1)에 위치한 경우가 된다. 걸쇠부(116)가 연장부(114)를 따라 더 이동하여 제1 걸림부(115a)에 걸릴 수도 있다. 제1 걸림부(115a)에 걸쇠부(116)가 위치한 경우, 상부띠(131 또는 151)는 제1 위치(P1, 도 1)에 위치한 경우가 된다.
걸쇠부(116)는 제1 걸림부(115a)에서 레일(112)의 중앙으로 더 이상 진행하지는 못한다. 이는 중앙부(113)가 연장부(114) 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고, 관통부(117)는 중앙부(113)를 통과할 수 없는 사이즈를 갖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어깨띠 조절형 가방 및 그에 사용되는 선회 연결 어셈블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어깨띠 조절형 가방 110: 수납부
111: 변위 유닛 112: 레일
116: 걸쇠 131,151: 상부띠
136,156: 하부띠 200: 제1 결합 모듈
300: 제2 결합 모듈 210,310: 상부판
220,320: 체결부 230,330: 하부판
250,350: 연결핀

Claims (18)

  1.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상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상부띠 및 제2 상부띠;
    상기 수납부의 하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 하부띠 및 제2 하부띠;
    상기 제1 상부띠 및 상기 제1 하부띠를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제1 선회 유닛;
    상기 제2 상부띠 및 상기 제2 하부띠를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제2 선회 유닛; 및
    상기 제1 선회 유닛과 제2 선회 유닛을 서로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체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 시에 상기 제1 선회 유닛과 상기 제2 선회 유닛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 배치되게 하도록 형성되는 체결 유닛을 포함하는, 어깨띠 조절형 가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회 유닛과 상기 제2 선회 유닛은 각각,
    상기 제1 상부띠 또는 상기 제2 상부띠에 연결되는 상부판;
    상기 제1 하부띠 또는 상기 제2 하부띠에 연결되는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에서 상기 하부판을 향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을 상대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핀을 포함하는, 어깨띠 조절형 가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은 각각,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디스크부; 및
    상기 디스크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상부띠, 상기 제2 상부띠, 상기 제1 하부띠, 및 상기 제2 하부띠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핀은 상기 상부판의 디스크부의 관통홀과 상기 하부판의 디스크부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어깨띠 조절형 가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제1 선회 유닛에 설치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선회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 시에 상기 제1 체결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어깨띠 조절형 가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선회 유닛의 상부판에 결합되고, 중앙에 개구되는 체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선회 유닛의 상부판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체결 후크를 포함하는, 어깨띠 조절형 가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회 유닛의 상부판은,
    상기 제1 선회 유닛의 상부판의 디스크부의 둘레 방향을 따른 가장자리 영역에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제1 측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1 선회 유닛의 측벽부 및 상부판은, 상기 제2 선회 유닛의 상부판 및 하부판과 상기 제2 체결부가 측방에서 진입 가능하도록 개방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어깨띠 조절형 가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제2 원판부; 및
    상기 제2 원판부에서 연속적으로 커팅되어, 상기 체결 후크를 외팔보 형태로 형성하는 커팅부를 포함하는, 어깨띠 조절형 가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중앙에 상기 체결 홀이 형성되는 제1 원판부; 및
    상기 제1 원판부에 리세스되게 형성되는 그루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그루브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제2 원판부에 돌출 형성되는 로드부를 더 포함하는, 어깨띠 조절형 가방.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회 유닛의 상부판은,
    상기 제2 선회 유닛의 상부판의 디스크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원형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원판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2 측벽부를 더 포함하는, 어깨띠 조절형 가방.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와 상기 제1 상부띠 및 상기 제2 상부띠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상부띠와 상기 제2 상부띠가 서로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수납부의 폭 방향으로 변위되게 하는 변위 유닛을 더 포함하는, 어깨띠 조절형 가방.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유닛은,
    상기 수납부에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수납부의 중앙에 가까운 제1 위치에 형성되는 제1 걸림부와,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수납부의 중앙에서 상기 제1 위치보다 먼 제2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걸림부를 구비하는 레일; 및
    상기 제1 상부띠 및 상기 제2 상부띠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제1 걸림부 또는 상기 제2 걸림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쇠부를 포함하는, 어깨띠 조절형 가방.
  12.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을 구비하는 수납부;
    상기 상부 영역과 상기 하부 영역을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서로에 대해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어깨띠 및 제2 어깨띠;
    상기 제1 어깨띠와 상기 제2 어깨띠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어깨띠와 상기 제2 어깨띠가 서로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 유닛; 및
    상기 수납부의 상부 영역과, 상기 제1 어깨띠 및 상기 제2 어깨띠 각각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어깨띠와 상기 제2 어깨띠가 서로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수납부의 폭 방향으로 변위되게 하는 변위 유닛을 포함하는, 어깨띠 조절형 가방.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깨띠는,
    상기 상부 영역에 연결되는 제1 상부띠;
    상기 하부 영역에 연결되는 제1 하부띠; 및
    상기 제1 상부띠와 상기 제1 하부띠를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제1 선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어깨띠는,
    상기 상부 영역에 연결되는 제2 상부띠;
    상기 하부 영역에 연결되는 제2 하부띠; 및
    상기 제2 상부띠와 상기 제2 하부띠를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제2 선회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제1 선회 유닛과 상기 제2 선회 유닛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어깨띠 조절형 가방.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유닛은,
    상기 수납부에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수납부의 중앙에 가까운 제1 위치에 형성되는 제1 걸림부와,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수납부의 중앙에서 상기 제1 위치보다 먼 제2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걸림부를 구비하는 레일; 및
    상기 제1 어깨띠 및 상기 제2 어깨띠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제1 걸림부 또는 상기 제2 걸림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쇠부를 포함하는, 어깨띠 조절형 가방.
  15. 제1 상부띠와 제1 하부띠가 서로에 대해 상대 선회되도록 서로를 연결하게 형성되는 제1 선회 유닛과, 상기 제1 선회 유닛에 연결되는 제1 체결부를 구비하는 제1 결합 모듈; 및
    제2 상부띠와 제2 하부띠가 서로에 대해 상대 선회되도록 서로를 연결하게 형성되는 제2 선회 유닛과, 상기 제2 선회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체결부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체결 시에 상기 제1 체결부에 중첩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제2 체결부를 구비하는 제2 결합 모듈을 포함하는, 선회 연결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선회 유닛에 결합되고, 중앙에 개구되는 체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선회 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체결 후크를 포함하는, 선회 연결 어셈블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원판부; 및
    상기 원판부에서 연속적으로 커팅되어, 상기 체결 후크를 외팔보 형태로 형성하는 커팅부를 포함하는, 선회 연결 어셈블리.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회 유닛과 상기 제2 선회 유닛은 각각,
    상기 제1 상부띠 또는 상기 제2 상부띠에 연결되는 상부판;
    상기 제1 하부띠 또는 상기 제2 하부띠에 연결되는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에서 상기 하부판을 향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을 상대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핀을 포함하는, 선회 연결 어셈블리.
KR1020120108620A 2012-09-28 2012-09-28 어깨띠 조절형 가방 및 그에 사용되는 선회 연결 어셈블리 KR101333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620A KR101333818B1 (ko) 2012-09-28 2012-09-28 어깨띠 조절형 가방 및 그에 사용되는 선회 연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620A KR101333818B1 (ko) 2012-09-28 2012-09-28 어깨띠 조절형 가방 및 그에 사용되는 선회 연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3818B1 true KR101333818B1 (ko) 2013-12-02

Family

ID=49986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620A KR101333818B1 (ko) 2012-09-28 2012-09-28 어깨띠 조절형 가방 및 그에 사용되는 선회 연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8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349B1 (ko) * 2014-01-16 2015-10-08 박솔 엑스자로 메는 아기띠
KR102117559B1 (ko) * 2019-03-22 2020-06-02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1953A (en) 1991-01-10 1994-11-08 Shooting Systems Group, Inc. Shoulder harness with connector piece
JP3393330B2 (ja) * 1998-07-24 2003-04-07 フルヤ工業株式会社 ベルト連結用留め具
US20070175940A1 (en) 2006-02-01 2007-08-02 Jerome Elliot Sacks Multiple configuration strap apparatus for briefcases and other carrying bags
US7513018B2 (en) 2006-03-14 2009-04-07 Koenig Thomas L Animate load bearer radial adjuster device for cargo transport carri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1953A (en) 1991-01-10 1994-11-08 Shooting Systems Group, Inc. Shoulder harness with connector piece
JP3393330B2 (ja) * 1998-07-24 2003-04-07 フルヤ工業株式会社 ベルト連結用留め具
US20070175940A1 (en) 2006-02-01 2007-08-02 Jerome Elliot Sacks Multiple configuration strap apparatus for briefcases and other carrying bags
US7513018B2 (en) 2006-03-14 2009-04-07 Koenig Thomas L Animate load bearer radial adjuster device for cargo transport carrier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349B1 (ko) * 2014-01-16 2015-10-08 박솔 엑스자로 메는 아기띠
KR102117559B1 (ko) * 2019-03-22 2020-06-02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WO2020197055A1 (ko) * 2019-03-22 2020-10-01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CN113543670A (zh) * 2019-03-22 2021-10-22 株式会社 Hjc 头盔下颚带分隔器
JP2022520006A (ja) * 2019-03-22 2022-03-28 エイチジェイシ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ヘルメット用顎紐ディバイダー
EP3942954A4 (en) * 2019-03-22 2023-01-18 HJC Corp. HELMET CHIN DIVIDER
JP7343217B2 (ja) 2019-03-22 2023-09-12 エイチジェイシ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ヘルメット用顎紐付き顎紐ディバイダー
CN113543670B (zh) * 2019-03-22 2024-05-28 株式会社Hjc 头盔下颚带分隔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5117B1 (en) Buckle
US5938230A (en) Foldable stroller
EP2561775B1 (en) Sack pack sternum clip
JP3593044B2 (ja) 時計ストラップを時計ケーシングに取り付けるための取付装置
KR101333819B1 (ko) 어깨띠 가변형 가방, 그에 사용되는 어깨띠 어셈블리 및 선회 연결형 디바이스
KR101333818B1 (ko) 어깨띠 조절형 가방 및 그에 사용되는 선회 연결 어셈블리
USD846115S1 (en) Gas probe holder
US10150221B1 (en) Utility knife assembly with two blades
US9521895B2 (en) Single action four point harness for a backpack
KR20150064686A (ko)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
US20180015604A1 (en) Folding Pocket Tool
JP5923809B2 (ja) 首関節構造及び該首関節構造を備えた人形
US9661911B2 (en) Strap connector and methods thereof
US20130298359A1 (en) Buckle
KR101379860B1 (ko) 버클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어깨띠 가변형 가방
US20170318912A1 (en) Variable-shape connection device for straps, objects, portions of garments and accessories
KR101717043B1 (ko) 의류 허리 둘레선 조절장치
US11918100B2 (en) Bead
KR101747135B1 (ko) 체인저블 핸드백
WO2010081295A1 (en) Cord lock
KR101529628B1 (ko)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엑스 체결형 아기띠
JPS5954810A (ja) スナツプフツク
JP3160178U (ja) ランドセル
JP4543288B2 (ja) 背負い鞄用背環
KR102512902B1 (ko) 간편한 체결구조를 갖는 손목시계용 시계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