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559B1 -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 Google Patents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559B1
KR102117559B1 KR1020190033187A KR20190033187A KR102117559B1 KR 102117559 B1 KR102117559 B1 KR 102117559B1 KR 1020190033187 A KR1020190033187 A KR 1020190033187A KR 20190033187 A KR20190033187 A KR 20190033187A KR 102117559 B1 KR102117559 B1 KR 102117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hin strap
helmet
bar
div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문
유대석
김성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Priority to KR1020190033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559B1/ko
Priority to CN201980093665.2A priority patent/CN113543670B/zh
Priority to JP2021542329A priority patent/JP7343217B2/ja
Priority to EP19921868.6A priority patent/EP3942954A4/en
Priority to PCT/KR2019/018728 priority patent/WO202019705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0Face guards, e.g. for ice hockey
    • A42B3/205Chin protector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에 관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는 헬멧(500)의 측면 전방으로부터 연장된 제1 턱끈(200)이 연결된 제1 지지체(100), 및 제1 지지체(10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헬멧(500)의 측면 후방으로부터 연장된 제2 턱끈(400)이 연결된 제2 지지체(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Chin Strap Divider for helmet}
본 발명은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에 관한 것이다.
헬멧은 착용자의 머리부분을 보호하는 것으로, 용도에 따라 자전거 헬멧, 스키 헬멧, 또는 오토바이 헬멧 등이 있다.
이러한 헬멧은 착용자의 머리에 고정되기 위해서, 양측에 턱끈이 구비되어 턱 부근에서 체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턱끈은 헬멧의 일측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연장되어, 착용자의 귀 아래에서 하나로 모아진다. 종래기술에 따른 헬멧은 전방에서 연장된 턱끈과 후방에서 연장된 턱끈이 하나로 모아진 형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전방에서 연장된 턱끈의 길이와 후방에서 연장된 턱끈의 길이는 조절이 불가능하여 다양한 두상에 대응하기 어렵고, 얼굴이 긴 착용자는 턱끈과 귀 사이에 간섭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전방에서 연장된 턱끈과 후방에서 연장된 턱끈이 하나로 모아지는 부분에 배치되어, 전방에서 연장된 턱끈과 후방에서 연장된 턱끈 사이의 상대적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디바이더가 도입되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디바이더는 한 지점에서 전방에서 연장된 턱끈과 후방에서 연장된 턱끈이 모아지므로 급격한 각도 변화가 발생하여 턱끈이 꼬이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턱끈이 꼬임으로써 턱끈과 얼굴 사이의 밀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KR 10-1617366 B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헬멧 측면 전방으로부터 연장된 제1 턱끈이 연결된 제1 지지체와 헬멧 측면 후방으로부터 연장된 제2 턱끈이 연결된 제2 지지체가 별도로 구비되어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1 턱끈과 제2 턱끈 사이의 각도 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는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는 헬멧의 측면 전방으로부터 연장된 제1 턱끈이 연결된 제1 지지체, 및 상기 제1 지지체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헬멧의 측면 후방으로부터 연장된 제2 턱끈이 연결된 제2 지지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에 있어서, 상기 헬멧으로부터 상기 제1 지지체까지의 상기 제1 턱끈의 길이가 짧아지거나, 또는 상기 헬멧으로부터 상기 제2 지지체까지의 상기 제2 턱끈의 길이가 짧아지면, 상기 제1 지지체와 상기 제2 지지체 사이의 각도는 증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체는 상기 제1 지지체에 대해서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의 일면에는 단턱이 형성되도록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체는 상기 함몰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지지체가 상기 제1 지지체와 특정각도를 이룰 때, 상기 제2 지지체의 측면이 상기 단턱에 접촉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와 상기 제2 지지체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체와 상기 제2 지지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말단에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가 상기 삽입홀에 걸린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중심이 빈공간이 형성되도록 환형으로 돌출되되, 하나 이상의 분할구간으로 분할되고, 상기 돌기부의 빈공간에 삽입되도록 원통으로 형성된 보호본체와 상기 분할구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보호본체로부터 돌출된 보호돌출부를 포함하는 보호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의 일면에 상기 제2 지지체가 결합되고, 상기 제1 턱끈은 상기 제1 지지체의 타면을 따라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의 일단에는 일면이 상기 제1 턱끈과 접촉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1 가이드부의 내측에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제1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체의 타단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제2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턱끈은 상기 제1 가이드부를 거쳐 상기 제1 관통부를 통과한 후, 상기 제1 지지체의 타면을 따라 연장되고, 이후 상기 제2 관통부를 통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에 구비되어 제1 턱끈을 고정하는 락커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의 일단에는 일면이 상기 제1 턱끈과 접촉되는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락커는 상기 제1 가이드 상에서 상기 제1 지지체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락커가 상기 제1 지지체와 제1 각도를 이룰 때, 상기 락커는 상기 제1 턱끈을 가압하고, 상기 락커가 제1 지지체와 제2 각도를 이룰 때, 상기 락커는 상기 제1 턱끈을 가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에 있어서, 상기 락커는 상기 제1 지지체와 회동축으로 결합되고, 상기 회동축으로부터의 제1 거리 이격된 제1 면과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가까운 제2 거리 이격된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락커가 상기 제1 지지체와 제1 각도를 이룰 때, 상기 제1 면이 상기 제1 턱끈을 가압하고, 상기 락커가 상기 제1 지지체와 제2 각도를 이룰 때, 상기 제2 면이 상기 제1 턱끈을 가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체에 구비되어 제2 턱끈을 고정하는 홀더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체의 일단에는 제1 바와 상기 제1 바의 내측에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제3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바와 상기 제3 관통부 상에서 상기 제2 지지체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홀더에는 제2 바와 상기 제2 바의 내측에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제4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바와 상기 제2 바 사이로 상기 제2 턱끈이 지나가며, 상기 제2 바가 상기 제1 바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홀더가 상기 제2 지지체에 대해서 회동되면, 상기 제2 턱끈은 상기 제2 바와 상기 제1 바 사이에 가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에 있어서, 상기 제2 턱끈은 상기 제3 관통부, 상기 제4 관통부 순으로 통과한 후, 상기 제2 바를 둘러싸고, 이후에 상기 제3 관통부를 통과하며, 상기 헬멧으로부터 제2 지지체까지의 상기 제2 턱끈이 당겨지면, 상기 제2 바가 상기 제1 바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홀더가 회동되어, 상기 제2 턱끈이 상기 제2 바와 상기 제1 바 사이에 가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에 있어서, 상기 제1 턱끈에 대한 상기 제1 지지체의 상대적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턱끈에는 소정거리마다 표식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에 있어서, 상기 1 지지체의 일면에는 돌출된 회동제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체가 상기 제1 지지체와 특정각도를 이룰 때, 상기 제2 지지체의 측면이 상기 회동제한부에 접촉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에는 나사가 결합되고, 상기 나사 또는 상기 나사에 체결된 와셔가 상기 삽입홀에 걸린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와 상기 제2 지지체는 체결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헬멧 측면 전방으로부터 연장된 제1 턱끈이 연결된 제1 지지체와 헬멧 측면 후방으로부터 연장된 제2 턱끈이 연결된 제2 지지체가 별도로 구비되어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착용자가 디바이더를 임의의 위치에 배치해도, 제1 턱끈과 제2 턱끈 사이의 각도 변화에 따라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가 회동하여 제1 턱끈이나 제2 턱끈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가 적용된 헬멧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도 4a 및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의 사시도,
도 4b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싱에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의 분해사디도,
도 6a 내지 도 6b는 도 4a의 A-A'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b는 도 4a의 B-B'라인에 따른 단면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에 제1,2 턱끈이 적용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의 평면도, 및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가 적용된 헬멧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는 헬멧(500)의 측면 전방으로부터 연장된 제1 턱끈(200)이 연결된 제1 지지체(100), 및 제1 지지체(10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헬멧(500)의 측면 후방으로부터 연장된 제2 턱끈(400)이 연결된 제2 지지체(300)를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는 헬멧(500)의 측면 전방으로부터 연장된 제1 턱끈(200)과 헬멧(500)의 측면 후방으로부터 연장된 제2 턱끈(400)을 착용자의 귀 아래에서 하나로 모으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는 제1 턱끈(200)과 연결된 제1 지지체(100)와 제2 턱끈(400)과 연결된 제2 지지체(300)를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제1 지지체(100)와 제2 지지체(300)는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턱끈(200)에 대한 제1 지지체(100)의 상대적인 위치는 락커(160) 등으로 조절할 수 있고, 제2 턱끈(400)에 대한 제2 지지체(300)의 상대적인 위치는 홀더(330) 등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헬멧(500)으로부터 제1 지지체(100)까지의 제1 턱끈(200)의 길이와 헬멧(500)으로부터의 제2 지지체(300)까지의 제2 턱끈(400)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 턱끈(200)의 길이나 제2 턱끈(400)의 길이를 조절하면, 제1 턱끈(200)과 제2 턱끈(400) 사이의 각도 변화에 따라 제1 지지체(100)와 제2 지지체(300) 사이의 각도 역시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헬멧(500)으로부터 제1 지지체(100)까지의 제1 턱끈(200)의 길이가 짧아지거나, 또는 헬멧(500)으로부터 제2 지지체(300)까지의 제2 턱끈(400)의 길이가 짧아지면(도 2 -> 도 3 참조), 제1 턱끈(200)과 제2 턱끈(400) 사이의 각도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제1 지지체(100)와 제2 지지체(300) 사이의 각도는 증가할 수 있다(θ1 -> θ2). 반대로, 헬멧(500)으로부터 제1 지지체(100)까지의 제1 턱끈(200)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또는 헬멧(500)으로부터 제2 지지체(300)까지의 제2 턱끈(400)의 길이가 길어지면(도 3 -> 도 2 참조), 제1 턱끈(200)과 제2 턱끈(400) 사이의 각도가 감소하고, 그에 따라 제1 지지체(100)와 제2 지지체(300) 사이의 각도는 감소할 수 있다(θ2 -> θ1).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턱끈(200)의 길이나 제2 턱끈(400)의 길이에 따라 제1 턱끈(200)과 제2 턱끈(400) 사이의 각도가 변화하더라도, 변화된 제1 턱끈(200)과 제2 턱끈(400) 사이의 각도에 대응하여 제1 지지체(100)와 제2 지지체(300) 사이의 각도가 변화됨으로써, 제1 턱끈(200)이나 제2 턱끈(400)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1,2 지지체(100, 300)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지지체(100)의 일면과 제2 지지체(300)의 일면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제2 지지체(300)의 일면에는 돌출된 돌기부(310)가 형성되고, 제1 지지체(100)에는 돌기부(310)가 삽입되도록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삽입홀(120)이 형성될 수 있다(도 5b 참조). 즉, 제2 지지체(300)의 돌기부(310)가 제1 지지체(100)의 삽입홀(120)에 삽입되어, 제1 지지체(100)와 제2 지지체(300)는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돌기부(310)는 말단에 후크(315)가 형성되는데, 돌기부(310)가 삽입홀(120)을 관통하면, 돌기부(310)의 후크(315)가 삽입홀(120)의 말단에 걸릴 수 있다(도 5a 참조). 이와 같이, 돌기부(310)의 후크(315)가 삽입홀(120)에 걸림으로써, 제1 지지체(100)와 제2 지지체(30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제2 지지체(300)에 돌기부(310)가 형성되고, 제1 지지체(100)에 삽입홀(120)이 형성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지지체(100)에 돌기부(310)가 형성되고, 제2 지지체(300)에 삽입홀(12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돌기부(310)에는 보호수단(320)이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돌기부(310)는 중심에 빈공간(317)이 형성되도록 환형으로 돌출되되, 하나 이상의 분할구간(319)으로 분할될 수 있다(도 5b 참조). 이때, 보호수단(320)은 돌기부(310)의 빈공간(317)에 삽입되도록 원통으로 형성된 보호본체(323), 및 분할구간(319)에 삽입되도록 보호본체(323)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보호돌출부(325)를 포함한다. 따라서, 돌기부(310)의 빈공간(317)에 보호본체(323)가 삽입되고, 분할구간(319)에 보호돌출부(325)가 삽입되면서, 보호수단(320)이 돌기부(310)에 삽입될 수 있다. 돌기부(310)에 삽입된 보호수단(320)은 본딩이나 나사를 통해서 돌기부(3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수단(320)은 돌기부(310, 특히 후크(315))의 파손을 방지하고, 후크(315)가 삽입홀(12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제2 지지체(300)는 제1 지지체(100)에 대해서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만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체(100)의 일면에는 단턱(115)이 형성되도록 함몰부(110)가 형성된다(도 4b 참조). 또한, 제2 지지체(300)는 함몰부(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 지지체(300)가 제1 지지체(100)에 대해서 특정각도를 이룰 때, 제2 지지체(300)의 측면이 단턱(115)에 접촉되어 제2 지지체(300)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지지체(100)에 형성된 단턱(115)을 통해서 제2 지지체(300)가 회동할 수 있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단턱(115)은 제2 지지체(300)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제1 단턱(115a)과 제2 지지체(300)의 타측면과 마주보는 제2 단턱(115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체(300)가 일방향으로 회동하면(도 2 참조), 제2 지지체(300)의 일측면이 제1 단턱(115a)과 접촉되어 제2 지지체(300)의 회동이 제한되고, 제2 지지체(300)가 타방향으로 회동하면(도 3 참조), 제2 지지체(300)의 타측면이 제2 단턱(115b)과 접촉되어 제2 지지체(300)의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제2 지지체(300)가 제1 지지체(100)에 대해서 회동가능한 소정각도 범위는 예를 들어 50도 내지 80도 일 수 있다. 다만, 50도 내지 80도라는 소정각도 범위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추가적으로, 제1 지지체(100)에는 제1 턱끈(200)을 고정하는 락커(160)가 구비될 수 있다(도 2 내지 도 3 참조). 구체적으로,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체(100)의 일단에는 일면이 제1 턱끈(200)과 접촉되는 제1 가이드부(130)가 형성된다. 또한, 락커(160)는 제1 가이드부(130) 상에서 배치되고, 제1 지지체(10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커(160)는 제1 지지체(100)에 대해서 회동하면서, 락커(160)가 제1 지지체(100)와 제1 각도를 이룰 때, 락커(160)는 제1 턱끈(200)을 가압하여 제1 턱끈(200)이 제1 지지체(100)에 고정될 수 있다. 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커(160)가 제1 지지체(100)와 제2 각도를 이룰 때, 락커(160)는 제1 턱끈(200)을 가압하지 않아 제1 턱끈(200)이 제1 지지체(100)에 대해서 고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락커(160)가 제1 지지체(100)와 180도를 이룰 때(도 6a 참조), 락커(160)는 제1 턱끈(200)을 가압할 수 있고, 락커(160)가 제1 지지체(100)와 90도를 이룰 때(도 6b 참조), 락커(160)는 제1 턱끈(200)을 가압하지 않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락커(160)가 제1 지지체(100)와 회동축(163)으로 결합될 때, 락커(160)는 회동축(163)으로부터 거리가 상이한 두 개의 면(165, 167)을 포함하여, 락커(160)가 회동함에 따라 제1 턱끈(200)을 가압하거나 가압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락커(160)는 회동축(163)으로부터 제1 거리 이격된 제1 면(165)과 회동축(163)으로부터 제1 거리보다 가까운 제2 거리 이격된 제2 면(167)을 포함할 수 있다(도 6a 내지 도 6b의 확대도 참조). 따라서, 락커(160)가 제1 지지체(100)와 제1 각도(예를 들어 180도)를 이룰 때(도 6a의 확대도 참조), 회동축(163)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제1 면(165)이 제1 가이드부(130)와 함께 제1 턱끈(200)을 가압할 수 있다. 반면, 락커(160)가 제1 지지체(100)와 제2 각도(예를 들어 90도)를 이룰 때(도 6b의 확대도 참조), 회동축(163)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2 면(167)이 제1 가이드부(130)와 함께 제1 턱끈(200)을 가압하지 않을 수 있다. 결국, 착용자는 락커(160)를 제1 지지체(100)에 회동시켜, 제1 턱끈(200)을 제1 지지체(100)에 고정시키거나, 이동가능하게 하여 제1 턱끈(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1 지지체(100)에는 락커(160)가 제1 지지체(100)와 제1 각도(예를 들어 180도)를 이룰 때(도 6a 참조), 락커(160)를 정지시키는 스토퍼(17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170)는 제1 가이드부(130)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1 턱끈(200)은 스토퍼(170)와 제1 가이드부(130) 사이로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체(300)에는 제2 턱끈(400)을 고정하는 홀더(330)가 구비될 수 있다(도 2 내지 도 3 참조). 구체적으로,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체(300)의 일단에는 제1 바(340)와 제1 바(340)의 내측에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제3 관통부(345)가 형성된다. 또한, 홀더(330)의 말단에는 제2 바(350)와 제2 바(350)의 내측에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제4 관통부(355)가 형성된다. 이러한 홀더(330)는 제1 바(340)와 제3 관통부(345) 상에서 제2 지지체(30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체(300)의 제1 바(340)와 홀더(330)의 제2 바(350) 사이로 제2 턱끈(400)이 지나가고, 제2 바(350)가 제1 바(340)에 가까워지도록 홀더(330)가 제2 지지체(300)에 대해서 회동되면(도 7a 참조), 제2 턱끈(400)은 제2 바(350)와 제1 바(340) 사이에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턱끈(400)은 제3 관통부(345), 제4 관통부(355)를 통과한 후, 제2 바(350)를 둘러싸고, 이후에 제3 관통부(345)를 통과할 수 있다. 이때, 헬멧(500)으로부터 제2 지지체(300)까지의 제2 턱끈(400)(최초 제3 관통부(345)를 통과하기 전의 제2 턱끈(400))이 당겨지면, 제2 바(350)가 제1 바(340)에 가까워지도록 홀더(330)가 회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2 턱끈(400)이 제2 바(350)와 제1 바(340) 사이에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끈이 체결되면 헬멧(500)으로부터 제2 지지체(300)까지의 제2 턱끈(400)에 장력이 인가되어, 이러한 제2 턱끈(400)의 장력에 의해서 제2 바(350)가 제1 바(340) 방향으로 당겨져, 제2 턱끈(400)은 제2 바(350)와 제1 바(340) 사이에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350)가 제1 바(340)로부터 멀어지도록 홀더(330)가 제2 지지체(300)에 대해서 회동되면, 제2 턱끈(400)이 제2 바(350)와 제1 바(340) 사이에 가압되지 않아 자유롭게 이동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제2 바가(350)가 제1 바(340)로부터 멀어지도록 홀더(330)를 회동시켜, 제2 턱끈(40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제1 지지체(100)의 일면에 제2 지지체(300)가 결합될 때, 제1 지지체(100)의 타면은 착용자의 피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피부에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된 제1 지지체(100)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1 지지체(100)의 타면을 따라 제1 턱끈(200)이 연장될 수 있다. 결국, 착용자의 피부에는 제1 지지체(100)의 타면이 아닌 제1 턱끈(200)이 접촉되어, 착용자의 땀을 제1 턱끈(200)으로 흡수할 수 있다. 제1 턱끈(200)이 제1 지지체(100)의 타면을 따라 연장되기 위해서, 제1 지지체(100)에는 제1 가이드부(130), 제1 관통부(140), 및 제2 관통부(150) 등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체(100)의 일단에는 일면이 제1 턱끈(200)과 접촉되는 제1 가이드부(130)와 제1 가이드부(130)의 내측에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제1 관통부(140)가 형성된다. 또한, 제1 지지체(100)의 타단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제2 관통부(150)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턱끈(200)은 제1 가이드부(130)를 거쳐 제1 관통부(140)를 통과한 후, 제1 지지체(100)의 타면을 따라 연장되다가, 이후 제2 관통부(150)를 통과할 수 있다. 즉, 제1 턱끈(200)은 제1 지지체(100)의 양단에 형성된 제1 관통부(140)와 제2 관통부(150)를 통과하면서, 제1 지지체(100)와 연결되는 동시에 제1 지지체(100)의 타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턱끈(200)에 대한 제1 지지체(100)의 상대적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1 턱끈(200)에는 소정거리마다 표식(210)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턱끈(200)에는 닷(dot) 형태의 표식(210)이 일정거리마다 존재하여, 착용자는 제1 턱끈(200)에 대한 제1 지지체(100)의 상대적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표식(210)을 확인하면서 제1 지지체(1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헬멧(500)으로부터 제1 지지체(100)까지의 제1 턱끈(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의 평면도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2 지지체(300)가 단턱(115)에 의해서 제1 지지체(100)에 대해서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만 회동가능하다고 설명하였지만(도 4b 참조), 반드시 단턱(115)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체(100)의 일면에는 돌출된 회동제한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도 9 참조). 또한, 제2 지지체(300)는 회동제한부(117) 내에 결합되어, 제2 지지체(300)가 제1 지지체(100)에 대해서 특정각도를 이룰 때, 제2 지지체(300)의 측면이 회동제한부(117)에 접촉되어 제2 지지체(300)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지지체(100)에 형성된 회동제한부(117)를 통해서 제2 지지체(300)가 회동할 수 있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의 단면도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돌기부(310)의 말단에 후크(315)가 형성되고, 이러한 후크(315)가 삽입홀(120)에 말단에 걸리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도 5a 참조), 반드시 후크(315)를 이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310)가 삽입홀(120)에 삽입된 후, 돌기부(310)의 말단에는 나사(327)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나사(327)에는 와셔(329)가 체결될 수 있는데, 이러한 와셔(329)가 삽입홀(120)에 걸림으로써, 제1 지지체(100)와 제2 지지체(30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와셔(329)가 나사(327)에 체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나사(327) 자체(예를 들어, 나사(327)의 헤드)가 삽입홀(120)에 걸릴 수도 있다.
또한, 반드시 제2 지지체(300)에 돌기부(310)가 형성되고, 제1 지지체(100)에 삽입홀(120)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체(100)와 제2 지지체(300)는 서로 접촉하는 면이 평평할 수도 있고, 제1 지지체(100)와 제2 지지체(300)는 체결축(326)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체결축(326)은 예를 들어, 와셔(329)가 체결된 나사(327)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되는 아니고, 탄성 소재 등 제1,2 지지체(100, 300)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모든 체결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헬멧(500)의 한쪽 측면(좌측면)에 존재하는 제1,2 턱끈(200, 400), 제1,2 지지체(100, 300)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헬멧(500)의 반대쪽 측면(우측면)에도 동일한 구성들이 존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제1 지지체 110: 함몰부
115: 단턱 115a: 제1 단턱
115b: 제2 단턱 117: 회동제한부
120: 삽입홀 130: 제1 가이드부
140: 제1 관통부 150: 제2 관통부
160: 락커 163: 회동축
165: 제1 면 167: 제2 면
170: 스토퍼 200: 제1 턱끈
210: 표식 300: 제2 지지체
310: 돌기부 315: 후크
317: 빈공간 319: 분할구간
320: 보호수단 323: 보호본체
325: 보호돌출부 326: 체결축
327: 나사 329: 와셔
330: 홀더 340: 제1 바
345: 제3 관통부 350: 제2 바
355: 제4 관통부 400: 제2 턱끈
500: 헬멧
θ1, θ2: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 사이의 각도

Claims (19)

  1. 헬멧의 측면 전방으로부터 연장된 제1 턱끈이 연결된 제1 지지체; 및
    상기 제1 지지체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헬멧의 측면 후방으로부터 연장된 제2 턱끈이 연결된 제2 지지체;
    를 포함하고,
    상기 헬멧으로부터 상기 제1 지지체까지의 상기 제1 턱끈의 길이가 짧아지거나, 또는 상기 헬멧으로부터 상기 제2 지지체까지의 상기 제2 턱끈의 길이가 짧아지면, 상기 제1 지지체와 상기 제2 지지체 사이의 각도는 증가하며,
    상기 헬멧으로부터 상기 제1 지지체까지의 상기 제1 턱끈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또는 상기 헬멧으로부터 상기 제2 지지체까지의 상기 제2 턱끈의 길이가 길어지면, 상기 제1 지지체와 상기 제2 지지체 사이의 각도는 감소하는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체는 상기 제1 지지체에 대해서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의 일면에는 단턱이 형성되도록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체는 상기 함몰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지지체가 상기 제1 지지체와 특정각도를 이룰 때, 상기 제2 지지체의 측면이 상기 단턱에 접촉되는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와 상기 제2 지지체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체와 상기 제2 지지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말단에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가 상기 삽입홀에 걸리는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중심이 빈공간이 형성되도록 환형으로 돌출되되, 하나 이상의 분할구간으로 분할되고,
    상기 돌기부의 빈공간에 삽입되도록 원통으로 형성된 보호본체와 상기 분할구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보호본체로부터 돌출된 보호돌출부를 포함하는 보호수단;
    을 더 포함하는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의 일면에 상기 제2 지지체가 결합되고,
    상기 제1 턱끈은 상기 제1 지지체의 타면을 따라 연장되는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의 일단에는 일면이 상기 제1 턱끈과 접촉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1 가이드부의 내측에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제1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체의 타단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제2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턱끈은 상기 제1 가이드부를 거쳐 상기 제1 관통부를 통과한 후, 상기 제1 지지체의 타면을 따라 연장되고, 이후 상기 제2 관통부를 통과하는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에 구비되어 제1 턱끈을 고정하는 락커;
    를 더 포함하는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의 일단에는 일면이 상기 제1 턱끈과 접촉되는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락커는 상기 제1 가이드 상에서 상기 제1 지지체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락커가 상기 제1 지지체와 제1 각도를 이룰 때, 상기 락커는 상기 제1 턱끈을 가압하고, 상기 락커가 제1 지지체와 제2 각도를 이룰 때, 상기 락커는 상기 제1 턱끈을 가압하지 않는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락커는 상기 제1 지지체와 회동축으로 결합되고, 상기 회동축으로부터의 제1 거리 이격된 제1 면과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가까운 제2 거리 이격된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락커가 상기 제1 지지체와 제1 각도를 이룰 때, 상기 제1 면이 상기 제1 턱끈을 가압하고, 상기 락커가 상기 제1 지지체와 제2 각도를 이룰 때, 상기 제2 면이 상기 제1 턱끈을 가압하지 않는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체에 구비되어 제2 턱끈을 고정하는 홀더;
    를 더 포함하는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체의 일단에는 제1 바와 상기 제1 바의 내측에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제3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바와 상기 제3 관통부 상에서 상기 제2 지지체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홀더에는 제2 바와 상기 제2 바의 내측에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제4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바와 상기 제2 바 사이로 상기 제2 턱끈이 지나가며,
    상기 제2 바가 상기 제1 바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홀더가 상기 제2 지지체에 대해서 회동되면, 상기 제2 턱끈은 상기 제2 바와 상기 제1 바 사이에 가압되는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턱끈은 상기 제3 관통부, 상기 제4 관통부 순으로 통과한 후, 상기 제2 바를 둘러싸고, 이후에 상기 제3 관통부를 통과하며,
    상기 헬멧으로부터 제2 지지체까지의 상기 제2 턱끈이 당겨지면, 상기 제2 바가 상기 제1 바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홀더가 회동되어, 상기 제2 턱끈이 상기 제2 바와 상기 제1 바 사이에 가압되는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턱끈에 대한 상기 제1 지지체의 상대적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턱끈에는 소정거리마다 표식이 존재하는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1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1 지지체의 일면에는 돌출된 회동제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체가 상기 제1 지지체와 특정각도를 이룰 때, 상기 제2 지지체의 측면이 상기 회동제한부에 접촉되는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1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에는 나사가 결합되고,
    상기 나사 또는 상기 나사에 체결된 와셔가 상기 삽입홀에 걸리는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와 상기 제2 지지체는 체결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KR1020190033187A 2019-03-22 2019-03-22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KR102117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187A KR102117559B1 (ko) 2019-03-22 2019-03-22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CN201980093665.2A CN113543670B (zh) 2019-03-22 2019-12-30 头盔下颚带分隔器
JP2021542329A JP7343217B2 (ja) 2019-03-22 2019-12-30 ヘルメット用顎紐付き顎紐ディバイダー
EP19921868.6A EP3942954A4 (en) 2019-03-22 2019-12-30 HELMET CHIN DIVIDER
PCT/KR2019/018728 WO2020197055A1 (ko) 2019-03-22 2019-12-30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187A KR102117559B1 (ko) 2019-03-22 2019-03-22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559B1 true KR102117559B1 (ko) 2020-06-02

Family

ID=71090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187A KR102117559B1 (ko) 2019-03-22 2019-03-22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942954A4 (ko)
JP (1) JP7343217B2 (ko)
KR (1) KR102117559B1 (ko)
CN (1) CN113543670B (ko)
WO (1) WO20201970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6040A1 (en) * 2020-07-17 2022-01-2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Hard hat with strap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0A (ja) * 1993-06-18 1995-01-06 Ykk Kk バックル
KR101333818B1 (ko) * 2012-09-28 2013-12-02 박솔 어깨띠 조절형 가방 및 그에 사용되는 선회 연결 어셈블리
JP5396201B2 (ja) * 2009-09-02 2014-01-22 株式会社谷沢製作所 ヘルメット及び帯紐用バックル
KR101617366B1 (ko) 2015-01-06 2016-05-03 (주) 나눅스엔지니어링 자전거 헬멧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7141A (en) * 1989-06-30 1991-04-16 Giro Sport Design Strap retainer for head gear
US5077839A (en) * 1990-08-06 1992-01-07 Illinois Tool Works Inc. Helmet chain strap buckle
JPH066431U (ja) * 1992-06-30 1994-01-28 東急工建株式会社 ヘルメットのアゴ紐止め具
JP4244105B2 (ja) 1999-11-15 2009-03-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記録媒体
US20040148743A1 (en) * 2003-01-30 2004-08-05 Strategic Sports Ltd. Releasable clamp for helmet strap
US20120159744A1 (en) * 2010-12-23 2012-06-28 Duraflex Hong Kong Limited Strap divider
US8732915B2 (en) * 2011-02-04 2014-05-27 Illinois Tool Works Inc. Strap clamp with transverse oriented cam door
KR101385672B1 (ko) * 2013-04-03 2014-04-15 이창우 턱끈 가이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0A (ja) * 1993-06-18 1995-01-06 Ykk Kk バックル
JP5396201B2 (ja) * 2009-09-02 2014-01-22 株式会社谷沢製作所 ヘルメット及び帯紐用バックル
KR101333818B1 (ko) * 2012-09-28 2013-12-02 박솔 어깨띠 조절형 가방 및 그에 사용되는 선회 연결 어셈블리
KR101617366B1 (ko) 2015-01-06 2016-05-03 (주) 나눅스엔지니어링 자전거 헬멧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6040A1 (en) * 2020-07-17 2022-01-2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Hard hat with strap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20006A (ja) 2022-03-28
CN113543670A (zh) 2021-10-22
EP3942954A1 (en) 2022-01-26
CN113543670B (zh) 2024-05-28
EP3942954A4 (en) 2023-01-18
WO2020197055A1 (ko) 2020-10-01
JP7343217B2 (ja) 202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1382A (en) Helmet fastening device
KR102117559B1 (ko) 헬멧용 턱끈 디바이더
US20110081037A1 (en) Earphone device having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apparatus
CA2238311A1 (en) A strap set for a protective helmet and a buckle therefor
CN106572715A (zh) 防护头盔
CN108366637A (zh) 下颚带连接器
KR101995947B1 (ko)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KR102240105B1 (ko) 뇌파를 측정하기 위해 머리에 착용하는 장치
US11259585B2 (en) Hat with flexible panels
CN111929901B (zh) 一种双层绑带式头戴设备
US20170013903A1 (en) Headgear with notch
US4688272A (en) Sports frame with resilient pads
KR102279908B1 (ko) 안전모용 머리밴드 조절 장치
KR200268747Y1 (ko) 톱니 모양 밴드를 가진 모자
AU2018236726B2 (en) Helmet chin strap
KR100998030B1 (ko) 안전모의 내부 장치
US20200367594A1 (en) Goggle Retention Apparatus
KR102296424B1 (ko) 안전모용 머리받침 밴드 및 이를 갖는 안전모
KR200433393Y1 (ko) 안전모
JP3228996U (ja) 防護面
EP3858178B1 (en) Protection helmet
KR102435033B1 (ko) 헤어 눌림 방지 기능이 있는 헬멧
CN113993409B (zh) 防护头盔
KR102522403B1 (ko)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CN201234627Y (zh) 桃核戒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