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4686A -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4686A
KR20150064686A KR1020140169650A KR20140169650A KR20150064686A KR 20150064686 A KR20150064686 A KR 20150064686A KR 1020140169650 A KR1020140169650 A KR 1020140169650A KR 20140169650 A KR20140169650 A KR 20140169650A KR 20150064686 A KR20150064686 A KR 20150064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pet
cart
support
upper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히로 아라이
겐지 이시이
겐 데라우치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50603A external-priority patent/JP622500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50602A external-priority patent/JP6415043B2/ja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64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6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과제) 애완동물용 캐리어의 치수 설정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이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의 카트 본체(20)는, 캐리어(70A)의 상측 가장자리 틀체(75A)가 올려놓아지는 캐리어 지지체(50)를 갖는다. 캐리어(70A)의 전후 치수는, 캐리어 지지체(50)의 전후 치수보다도 작고, 이에 의해, 캐리어(70A)와 캐리어 지지체(50) 사이에 전후 방향 간극(G)이 형성되어 있다. 전후 방향 간극(G)에 포켓 부재(101)가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CART WITH CARRIER FOR PET}
본 발명은, 개나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을 싣고 반송하기 위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애완동물을 수용하여 옮기기 위한 애완동물용 캐리어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는, 예를 들면, 개나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과 함께 공공 스페이스를 이동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또,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지지하여 반송하는 애완동물용 카트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애완동물용 카트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애완동물의 무게의 부담을 느끼지 않고, 애완동물과 함께 편하게 이동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접을 수 있는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공개 2013-123413호 공보
그런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에 있어서는, 캐리어를 지지하기 위한 캐리어 지지체의 전후 좌우의 치수에 맞추어 캐리어의 치수가 설정되어 있었으므로, 보다 작은 캐리어에 대응하는 것이 곤란했다.
예를 들면, 애완동물의 크기에 따라 캐리어의 치수를 변경하거나, 전차 등의 공공기관의 규정에 적합한 작은 치수의 캐리어를 장착하는 것은,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에서는 상정되어 있지 않았다.
또,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에 있어서는, 애완동물의 장난감이나 과자 등의 자질구레한 물건 등을 수용하기 위한 바구니가, 카트 본체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바구니에 자질구레한 물건 등을 넣기 위해서, 혹은 바구니로부터 자질구레한 물건 등을 꺼내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일단 구부려야해서 불편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애완동물용 캐리어의 치수 설정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사용하기 쉬운, 자질구레한 물건 등의 수용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애완동물을 싣고 반송하기 위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을 수용하기 위한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접을 수 있는 카트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캐리어는, 상면 개구를 갖는 애완동물 수용체와, 상기 애완동물 수용체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장착된 상측 가장자리 틀체를 갖고, 상기 카트 본체는, 상기 상측 가장자리 틀체가 올려놓아지는 캐리어 지지체를 갖고, 상기 캐리어의 전후 치수는, 상기 캐리어 지지체의 전후 치수보다도 작고, 이에 의해, 상기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 지지체 사이에 전후 방향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는, 상기 전후 방향 간극에 배치된 포켓 부재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켓 부재의 상측 가장자리부가 상기 캐리어 지지체에 장착되어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리어 지지체에 대한 상기 캐리어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전후 이동 규제 수단을 더 갖는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후 이동 규제 수단은, 상기 캐리어를 상기 캐리어 지지체의 전단측으로 당긴 상태로 상기 캐리어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리어는, 상기 애완동물 수용체의 상기 상면 개구를 평탄 상태로 개방 가능하게 봉지하기 위한 뚜껑 부재를 더 갖는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 부재는, 가요성 시트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뚜껑 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주머니를 더 갖는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리어 지지체는, 전방 지지부, 후방 지지부, 및 좌우 한 쌍의 측방 지지부를 갖고, 상기 후방 지지부는,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방 지지부의 각각의 후단부로부터 좌우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편을 갖고, 상기 포켓 부재는 가요성 시트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포켓 부재 상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통형상부에 상기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편이 삽입되어어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리어는, 상기 애완동물 수용체의 상기 상면 개구의 상방을 덮기 위해서 상기 애완동물 수용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 부재를 더 갖는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트 본체는, 전후 방향으로 접을 수 있음과 더불어 좌우 방향으로도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참고예는, 애완동물을 싣고 반송하기 위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을 수용하기 위한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가 장착되는 접을 수 있는 카트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캐리어는, 상면 개구를 갖는 애완동물 수용체와, 상기 애완동물 수용체 상측 가장자리부에 장착된 상측 가장자리 틀체를 갖고, 상기 카트 본체는, 각각이 전륜 및 후륜을 갖는 좌우 한 쌍의 측면 조립체와,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면 조립체끼리를 연결하는 중앙 연결체를 갖고,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면 조립체 및 상기 중앙 연결체에 의해서 상기 카트 본체의 설계상의 강도가 담보되어 있고, 상기 캐리어의 상기 상측 가장자리 틀체를 올려놓기 위한 환상의 캐리어 지지체가,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면 조립체 및 상기 중앙 연결체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면 조립체의 각각은, 상기 전륜이 하단부에 장착된 전각과, 상기 후륜이 하단부에 장착된 후각을 갖고, 상기 환상의 캐리어 지지체는, 좌우 한 쌍의 측방 지지부,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방 지지부의 전단끼리를 연결하는 전방 지지부, 및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방 지지부의 후단끼리를 연결하는 후방 지지부를 갖고, 상기 전각의 상단부와 상기 후각의 상단부가, 서로 가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각의 상기 상단부와 상기 후각의 상기 상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상기 환상의 캐리어 지지체의 상기 측방 지지부에 고정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트 본체는, 상기 캐리어를 장착한 상태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상의 캐리어 지지체는, 좌우 한 쌍의 측방 지지부,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방 지지부의 전단끼리를 연결하는 전방 지지부, 및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방 지지부의 후단끼리를 연결하는 후방 지지부를 갖고,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면 조립체의 각각은, 상단부가 상기 측방 지지부의 후방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후방 링크 부재와, 한쪽의 단부가 상기 전각의 중간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전방 링크 부재와, 한쪽의 단부가 상기 후각의 중간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중간 링크 부재를 갖고, 상기 후방 링크 부재의 다른쪽의 단부, 상기 전방 링크 부재의 다른쪽의 단부, 및 상기 중간 링크 부재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면 조립체 중 한쪽의 측면 조립체의 상기 전방 링크 부재의 상기 한쪽의 단부와, 다른쪽의 측면 조립체의 상기 전방 링크 부재의 상기 한쪽의 단부가, 전방 연결 부재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상의 캐리어 지지체는, 좌우 한 쌍의 측방 지지부,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방 지지부의 전단끼리를 연결하기 전방 지지부, 및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방 지지부의 후단끼리를 연결하는 후방 지지부를 갖고, 상기 전방 지지부 및 상기 후방 지지부의 각각에, 상기 환상의 상측 가장자리 틀체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기 위한 하방으로 만곡한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리어를 상기 카트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애완동물 수용체의 상기 개구의 상방을 일체적으로 덮는 돔형의 덮개를 더 구비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는, 그 일부를 개방하기 위한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에 대한 「전」, 「 후 」,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는 경우, 사용 상태(전개 상태)에 있는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를 조작하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한 「전」, 「 후 」,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애완동물용 캐리어의 치수 설정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사용하기 쉬운, 자질구레한 물건 등의 수용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의 일부를 나타낸 상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의 캐리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뚜껑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의 캐리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뚜껑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의 캐리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덮개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종래의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난 카트를 전개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카트를 측방으로부터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전후 방향으로 접은 상태의 카트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상태로부터 폭방향으로 더 접은 상태의 카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도 6에 나타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참고예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의 카트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카트 본체의 측면도.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카트 본체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5는 도 12에 나타낸 카트 본체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의 카트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a는 도 12에 나타낸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의 캐리어에 덮개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6b는 도 16a에 나타낸 덮개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c는 도 16a에 나타낸 덮개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d는 도 16a에 나타낸 덮개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e는 도 16a에 나타낸 덮개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는, 상술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를 개량한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우선 처음에,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리고 나서 종래의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와는 상이한 본 실시형태에 특유의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1)는, 차륜(22, 24)을 갖는 카트 본체(20)와, 카트 본체(20)에 떼어낼 수 있게 지지되는 애완동물용 캐리어(70)를 갖고 있다. 애완동물용 캐리어(70)는, 개나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을 수용 가능하게 구성된 수용 부재(용기)이다. 애완동물용 캐리어(70)는, 예를 들면, 공공 스페이스를 애완동물과 함께 이동할 때에 이용된다. 애완동물용 캐리어(70)는, 상측 가장자리 틀체(75)와, 상측 가장자리 틀체(75)에 유지된 바구니체(80)를 갖고 있다. 상측 가장자리 틀체(75)가 카트 본체(20) 상에 올려짐으로써, 애완동물용 캐리어(70)가 카트 본체(20)에 의해서 지지되게 된다.
도 7~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10)는, 접을 수 있게 구성된 카트 본체(20)와, 카트 본체(20)에 부착되어 애완동물용 캐리어(70)의 상측 가장자리 틀체(75)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캐리어 지지체(50)를 갖는다. 캐리어 지지체(50)는, 카트 본체(2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카트 본체(20)의 접는 동작시에 카트 본체(20)에 대해 회동한다. 이에 의해, 카트(10)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난 전개 상태에서 도 8에 나타난 접은 상태로 접을 수 있고, 또, 접은 상태에서 전개 상태로 전개할 수 있다. 카트 본체(20)는, 핸들(40), 전각(21) 및 후각(23)을 갖고 있다. 전각(21)의 하단에는 전륜(22)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고, 후각(23)의 하단에는 후륜(24)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우선, 도 6 및 도 11을 참조하여, 애완동물용 캐리어(7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측 가장자리 틀체(75)는, 금속 등의 고강성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상측 가장자리 틀체(75)에는, 캐리어 지지체(50)에 설치된 고정구(53)와 걸어맞추는 고정구 받이(77)가, 캐리어 지지체(50)의 고정구(53)에 대응하여 4개 설치되어 있다. 또, 상측 가장자리 틀체(75)는, 애완동물용 캐리어(70)가 카트(10)의 캐리어 지지체(50)에 의해서 지지되었을 때에, 캐리어 지지체(50)에 씌워지도록 형성된 고정편(76)을 갖고 있다. 그리고 고정편(76)에는 홈(76a)이 형성되어 있고, 캐리어 지지체(50)에 설치된 지지 핀(52)이 이 홈(76a)에 끼워지게 된다.
바구니체(80)는, 상측 가장자리 틀체(75)로부터 아래로 늘어지는 통형상의 측벽부(85)와, 측벽부(85)에 접속되어 통형상의 측벽부(85)를 폐쇄하는 바닥부(81)를 갖고 있다. 측벽부(85)와 바닥부(81)에 의해서, 개나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을 수용하는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바구니체(80)는, 상측 가장자리 틀체(75)에 떼어낼 수 있게 부착되어 있다.
측벽부(85)는, 천 등의 유연성을 가진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고, 바닥부(81)는,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가진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애완동물용 캐리어(70)가 카트(10)에 의해서 지지되었을 때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82)와, 애완동물용 캐리어(70)가 카트(10)에 의해서 지지되었을 때에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83)가, 바닥부(81)에 형성되어 있고, 바닥부(81)의 강성을 높이고 있다. 그 결과, 상측 가장자리 틀체(75)가 카트(10)의 캐리어 지지체(50)에 의해서 하방으로부터 지지되어 애완동물용 캐리어(70)가 카트(1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측 가장자리 틀체(75)로부터 늘어뜨린 바구니체(80) 내에, 애완동물용을 수용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유지된다.
추가해, 상측 가장자리 틀체(75)에는, 대략 U자형상으로 형성된 두 개의 요동편(97)이 부착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편(97)은, U자의 양단부에 상당하는 부분을 상측 가장자리 틀체(75)에 부착되고, 애완동물용 캐리어(70)가 카트(10)에 의해서 지지되었을 때에 폭방향과 평행이 되는 요동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측 가장자리 틀체(75)에 대해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편(97)은, 상측 가장자리 틀체(75)로부터 바구니체(80) 내에 늘어뜨린 상태에서, 바닥부(81)에 형성된 리브(82, 83)와 걸어맞춰져, 그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애완동물용 캐리어(70)를 카트(10)로부터 떼어내어 사용할 때에도, 측벽부(85)가 연장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애완동물용 캐리어(70)를 카트(10)로부터 떼어내어 사용할 때에도, 바닥부(81)가 상측 가장자리 틀체(75)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유지되고, 상측 가장자리 틀체(75)로부터 늘어뜨린 바구니체(80) 내에, 애완동물을 수용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가장자리 틀체(75)에는, 한 쌍의 캐리벨트(71)가, 떼어낼 수 있게 부착되어 있다.
한편, 바구니체(80)를 변형시켜, 요동편(97)과 리브(82, 83)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면, 요동편(97)이 요동 가능하게 된다. 요동편(97)이 상측 가장자리 틀체(75)에 대해 요동하면, 측벽부(85)가 변형되어, 바닥부(81)가 상측 가장자리 틀체(75)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카트(10)로부터 떼어낸 애완동물용 캐리어(70)를, 미사용시에, 보관 등에 적합한 작은 치수로 접을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요동편(97)은, 벨트형상의 연결편(98)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연결편(98)은, 요동편(97)의 바닥부(81)에 접촉하게 되는 부분에 접속되어 있다. 요동편(97)이 리브(82, 83)와 걸어맞춰져 있는 상태에 있어서, 이 연결편(98)을 끌어올리면, 요동편(97)이 리브(82, 83)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에 의해, 애완동물용 캐리어(70)를 접을 때에, 요동편(97)과 리브(82, 83)의 걸어맞춤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애완동물용 캐리어(70)에는, 덮개(90)가 더 설치되어 있다. 덮개(90)는, 덮개 골격(92)과, 덮개 골격(92)에 지지된 덮개 천(91)을 갖고 있다. 덮개 골격(92)은, 서로 접근한 상태와, 서로로부터 이격한 상태 사이를 서로에 대해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덮개 천(91)은, 덮개 골격(92)이 서로로부터 이격한 상태에 있어서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덮개 골격(92)에 설치되어 있다.
덮개 골격(92)은, 상측 가장자리 틀체(75)에 떼어낼 수 있게 고정된 제1 덮개 골격(92a)과, 제1 덮개 골격(92a)에 대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덮개 골격(92b) 및 제3 덮개 골격(92c)을 갖고 있다. 제1 덮개 골격(92a)~제3 덮개 골격(92c)은, 각각, U자형상으로 형성되고, U자의 양단부 영역에 있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 천(91) 중 제3 덮개 골격(92c)의 근방에, 고정구(9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구(96)는, 상측 가장자리 틀체(75)와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고정구(96)를 상측 가장자리 틀체(75)에 고정함으로써, 덮개(90)는, 애완동물용 캐리어(70)의 상측 가장자리 틀체(75)의 전역을 덮도록 펼쳐진다. 이 때, 황 70와 바구니체(80) 사이의 스페이스에, 애완동물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카트(10)는, 차륜(21, 23)을 가진 접을 수 있는 카트 본체(20)와, 카트 본체(20)에 장착된 캐리어 지지체(50)와, 카트 본체(20)와 캐리어 지지체(50)를 연결하는 연결 링크재(59)를 갖고 있다. 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 본체(20)에는, 자질구레한 물건 등을 수용하기 위한 바구니(18)가 장착되어 있다. 도 6~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10)는,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을 따른 폭방향 중심면을 중심으로 하여 대체로 대칭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6~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 본체(20)는,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전각(21)과,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후각(23)과,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제1~4 링크재(31, 32, 33, 34)를 갖고 있다. 전각(21)의 하단에는 전륜(22)이 설치되고, 후각(23)의 하단에는 후륜(24)이 설치되어 있다.
전각(21)의 상단 부분은,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제1 링크재(31)의 전방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후각(23)의 상단 부분이,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제1 링크재(31)의 전방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1 링크재(3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면과, 상면으로부터 아래로 늘어지는 한 쌍의 측면을 가진 하방으로 개구한 중공형상의 부재로서, 예를 들면 수지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 제2 링크재(32)가,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제1 링크재(31)의 후방 부분, 특히 후방 부분 중 후단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설명하는 형태에 있어서, 제2 링크재(32)는, 핸들(40)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다. 핸들(40)은, 제2 링크재(32)로부터 연장된 부분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핸들(40)은, 각 제2 링크재(32)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41)와, 한 쌍의 연장부(4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42)를 갖고 있고, U자형상의 외형 형상을 갖고 있다. 제2 링크재(32)는, 핸들(40)의 연장부(41)와 일체적으로, 예를 들면 금속제의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좌측의 제3 링크재(33)는, 좌측의 전각(21)과 좌측의 제2 링크재(32)를 연결하고, 우측의 제3 링크재(33)는, 우측의 전각(21)으로 우측의 제2 링크재(32)를 연결하고 있다. 각 제3 링크재(33)는, 그 전방 부분을 전각(21)의 중간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그 후방 부분을 제2 링크재(32)의 하방 부분, 특히 하방 부분 중 하단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설명하는 제3 링크재(33)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제의 본체부(33a)와, 본체부(33a)의 후단에 설치된 후단 커버부(33b)와, 본체부(33a)의 전단에 설치된 전단 커버부(33c)를 갖고 있다. 이 제3 링크재(33)는, 후단 커버부(33c)에 있어서 제2 링크재(32)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단 커버부(33c)에 있어서 전각(21)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7 및 도 10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3 링크재(33)의 전단 커버부(33c)에는, 후크(48) 및 후크 리시버(4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후크(48) 및 후크 리시버(49)는, 카트(10)를 접었을 때에 서로 걸어맞춰져, 카트(10)를 접은 상태로 유지한다.
다음에, 좌측의 제4 링크재(34)는, 좌측의 후각(23)과 좌측의 제2 링크재(32)를 연결하고, 우측의 제4 링크재(34)는, 우측의 후각(23)과 우측의 제2 링크재(32)를 연결하고 있다. 각 제4 링크재(34)는, 그 일부분에 있어서 후각(23)의 중간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다른 부분에 있어서 제2 링크재(32)의 하방 부분, 특히 하방 부분 중 하단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4 링크재(34)는, 수지에 의해서 형성된 판형상재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링크재(32)의 양 측방에, 제3 링크재(33) 및 제4 링크재(34)가, 제2 링크재(3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제3 링크재(33)와 제4 링크재(34)도, 서로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 전각(21), 후각(23), 및, 제1~ 제4 링크재(31, 32, 33, 34)의 서로에 대한 회동축선은,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 제2 링크재(32)와 제4 링크재(34)의 회동축선과, 제3 링크재(33)와 제4 링크재(34)의 회동축선은, 일직선 상에 정렬되어 있다.
또한, 카트 본체(20)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요소로서, 한 쌍의 전각(21) 사이를 연결하는 제1 폭방향 연결재(36)와, 한 쌍의 제3 링크재(33)를 연결하는 제2 폭방향 연결재(37)와, 한 쌍의 후각(23) 사이를 연결하는 제3 폭방향 연결재(38)를 갖고 있다. 도 7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폭방향 연결재(36), 제2 폭방향 연결재(37) 및 제3 폭방향 연결재(38)는, 굴곡 가능하게 구성되고, 각각, 폭방향을 따라서 이격한 한 쌍의 힌지(36a, 36b, 37a, 37b, 38a, 38b)를 갖고 있다(도 7 참조). 마찬가지로, 상술한 핸들(4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42)도, 굴곡 가능하게 구성되고, 폭방향을 따라서 이격하여 위치하는 한 쌍의 힌지(42a, 42b)를 갖고 있다.
도 8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 링크재(32)에는, 제4 링크재(34)와 걸어맞춤 가능한 로크 부재(28)가 설치되어 있다. 로크 부재(28)는, 제2 링크재(32)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고, 제2 링크재(32) 상에 있어서, 제2 링크재(32)와 제4 링크재(34)의 회동축선측을 향해 탄성가압되어 있다. 또, 핸들(40)의 연결부(42)에는, 로크 부재(28)를 원격 조작 가능한 로크 조작 기구(27)가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부재(28)는, 제2 링크재(32) 상에 있어서, 제4 링크재(34)측을 향해 탄성가압되어, 제4 링크재(34)와 걸어맞춰지게 된다. 로크 부재(28)가 제4 링크재(34)와 걸어맞춰지면, 제2 링크재(32)와 제4 링크재(34)의 상대 회동이 규제되어, 카트 본체(20)가 전개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한편, 로크 조작 기구(27)를 이용하여 로크 부재(28)를 제4 링크재(34)로부터 떼어놓음으로써, 제2 링크재(32)와 제4 링크재(34)의 상대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카트 본체(20)에 부착된 캐리어 지지체(50) 및 연결 링크재(59)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캐리어 지지체(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애완동물용 캐리어(70)를 지지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또, 연결 링크재(59)는, 캐리어 지지체(50)를 카트 본체(20)에 연결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캐리어 지지체(50) 및 연결 링크재(59)는, 카트 본체(20)의 접는 동작 및 전개 동작에 따라서, 카트 본체(20)와 함께 접어지거나 또는 전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어 지지체(50)는, 애완동물용 캐리어(70)의 상측 가장자리 틀체(75)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부재이며, 평면에서 봤을 때, 상측 가장자리 틀체(75)의 윤곽을 따른 윤곽을 갖고 있다. 단, 도시된 형태에서는, 캐리어 지지체(50)는 환상으로 구성되지 않고, 상측 가장자리 틀체(75)의 일부분의 윤곽을 따른 윤곽을 갖고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캐리어 지지체(50)는, 한 쌍의 측방 프레임 부재(측방 지지부)(51)와, 한 쌍의 측방 프레임 부재(51)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부재(전방 지지부)(54)와, 한 쌍의 측방 프레임 부재(51)의 후단부로부터 좌우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후방 지지편(후방 지지부)(51A)을 갖고 있다. 각 측방 프레임 부재(51)는, 그 후방 부분에 있어서, 핸들(40)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의 측방 프레임 부재(51)는, 핸들(40)의 좌측의 연장부(41)에 접속되어 있고, 우측의 측방 프레임 부재(51)는, 핸들(40)의 우측의 연장부(41)에 접속되어 있다. 각 측방 프레임 부재(51)의 연장부(41)로의 접속 개소(회동축선)는, 각 제1 링크재(31)의 제2 링크재(32)로의 접속 개소(회동축선)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한 쌍의 측방 프레임 부재(51)에 대응하여, 한 쌍의 연결 링크재(59)가 설치되어 있다. 좌측의 연결 링크재(59)는, 좌측의 측방 프레임 부재(51) 및 좌측의 제1 링크재(31)의 각각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우측의 연결 링크재(59)는, 우측의 측방 프레임 부재(51) 및 우측의 제1 링크재(31)의 각각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카트 본체(20)가 전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연결 링크재(59)는, 제1 링크재(3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카트 본체(20)가 전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카트(10)를 측면에서 봤을 때, 측방 프레임 부재(51)는, 대체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7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결 프레임 부재(54)는, 각 측방 프레임 부재(51)의 전방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도 7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결 프레임 부재(54)는, 카트 본체(20)가 전개된 상태에 있어서 한 쌍의 측방 프레임 부재(51)로의 접속 개소 사이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바꾸어 말하면, 상기 접속 개소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구부러져 있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애완동물용 캐리어(70)가 캐리어 지지체(50)에 의해서 하방으로부터 지지된 상태로, 연결 프레임 부재(54)는, 한 쌍의 측방 프레임 부재(51)로의 접속 개소의 사이에 있어서, 애완동물용 캐리어(70)의 상측 가장자리 틀체(75)로부터 이격하게 된다. 즉, 애완동물용 캐리어(70)가 캐리어 지지체(50)에 의해서 하방으로부터 지지된 상태로, 한 쌍의 측방 프레임 부재(51) 사이에 있어서, 연결 프레임 부재(54)와 상측 가장자리 틀체(75) 사이에 간극(S)(도 6 참조)이 형성된다.
연결 프레임 부재(54)는, 측방 프레임 부재(51)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즉, 연결 프레임 부재(54)와 좌측의 측방 프레임 부재(51)의 접속 개소에 힌지(54a)가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연결 프레임 부재(54)와 우측의 측방 프레임 부재(51)의 접속 개소에 힌지(54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방 프레임 부재(51)의 카트 본체(20)에 대한 회동축선, 및, 연결 링크재(59)의 카트 본체(20)에 대한 회동축선 및 연결 링크재(59)의 측방 프레임 부재(51)에 대한 회동축선은,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고, 또한, 카트 본체(20)의 전각(21), 후각(23), 및, 제1~ 제4 링크재(31, 32, 33, 34)의 서로 대한 회동축선과도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연결 링크재(59)와 제1 링크재(31)의 회동축선은, 전각(21)과 제1 링크재(31)의 회동축선과 일직선 상에 정렬되어 있다.
도 6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캐리어 지지체(50)의 측방 프레임 부재(51)에는, 캐리어 지지체(50)에 의해서 지지된 애완동물용 캐리어(70)의 고정편(76)의 홈(76a)에 들어가게 되는, 지지 핀(52)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 핀(52)과 홈(76a)이 걸어맞춰짐으로써, 애완동물용 캐리어(70)가 캐리어 지지체(50)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소정의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또, 캐리어 지지체(50)의 측방 프레임 부재(51)에는 합계 네 개의 고정구(53)가 설치되어 있다. 각 고정구(53)는, 애완동물용 캐리어(70)에 설치된 네 개의 고정구 받이(77) 중 하나와 끼워맞춰, 애완동물용 캐리어(70)를 카트(10)에 대해 고정할 수 있다.
이상,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1)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에 관해, 상술한 종래의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1)와는 상이한 본 실시형태에 특유의 부분을 중심으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100)에 있어서는, 상측 가장자리 틀체(75A) 및 애완동물 수용체(80A)를 구비한 애완동물용 캐리어(70A)의 전후 치수가, 캐리어 지지체(50)의 전후 치수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고, 이에 의해, 애완동물용 캐리어(70A)의 후단부와 캐리어 지지체(50)의 후단부 사이에, 전후 방향 간극(G)이 형성되어 있다.
전후 방향 간극(G)에는 포켓 부재(101)가 장착되어 있고, 포켓 부재(101)의 상측 가장자리가 캐리어 지지체(50)에 장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포켓 부재(101)는 가요성 시트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포켓 부재(101)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통형상부에, 캐리어 지지체(50)의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편(51A)(도 7)이 삽입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100)는, 캐리어 지지체(50)에 대한 애완동물용 캐리어(70A)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전후 이동 규제 수단(지지 핀(52) 및 캐리어(70A)의 고정편(76)의 홈(76a))을 갖고 있다. 전후 이동 규제 수단은, 애완동물용 캐리어(70A)를 캐리어 지지체(50)의 전단 측으로 당긴 상태로, 애완동물용 캐리어(70A)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애완동물용 캐리어(70A)는, 애완동물 수용체(80A)(종래의 바구니체(80)에 상당)의 상면 개구를 평탄 상태로 개방 가능하게 봉지하기 위한 뚜껑 부재(102)를 갖고 있다. 뚜껑 부재(102)는,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시트 재료로 형성된다. 뚜껑 부재(102)는, 그 가장자리부에 고정구(103)가 설치되어 있고, 뚜껑 부재(102)의 고정구(103)를 애완동물 수용체(80A)의 측면에 설치된 고정구(104)에 고정함으로써, 뚜껑 부재(102)가 개방 가능하게 고정된다.
애완동물용 캐리어(70A)는, 그 후면에 수납 주머니(105)를 구비하고 있고, 수납 주머니(105) 안에 뚜껑 부재(102)를 접어 수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비사용시의 뚜껑 부재(102)가 방해가 되거나 혹은 분실되거나 하지 않고, 필요할 때에 수납 주머니(105)로부터 뚜껑 부재(102)를 간단하게 꺼낼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애완동물용 캐리어(70A)에 있어서는, 애완동물 수용체(80A)의 상면 개구의 상방을 덮기 위한 덮개 부재(106)를, 애완동물 수용체(80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덮개 부재(106)는, 그 주연부에 설치한 굽힘 가능한 U자형상의 탄성 가늘고 긴 부재(107)와, 탄성 가늘고 긴 부재(107)에 설치된 가요성 시트 부재(108)를 갖고 있다. 덮개 부재(106)는, 애완동물 수용체(80A)로부터 떼어내어 접어서, 수납 주머니(105)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100)의 카트 본체(20)는, 상술한 종래의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1)의 카트 본체(20)와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으로 접을 수 있음과 더불어 모두 좌우 방향으로도 접을 수 있는 구성(세 번 접을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포켓 부재(101)를 가요성 재료로 구성하면, 세 번 접을 때 포켓 부재(101)를 떼어낼 필요가 없고, 포켓 부재(101)를 카트 본체(20)에 장착한 채로 카트 본체(20)를 세 번 접은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100)에 의하면, 애완동물용 캐리어(70A)의 전후 치수를, 캐리어 지지체(50)의 전후 치수에 맞춰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캐리어 지지체(50)의 전후 치수보다도 작게 하도록 했으므로, 애완동물용 캐리어(70A)의 전후 치수의 설정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애완동물의 크기에 따라 애완동물용 캐리어(70A)의 치수를 변경하거나 혹은 전차 등의 공공기관의 규정에 적합한 작은 치수(예를 들면, 애완동물용 캐리어(70A)의 세로·가로·높이의 합계가 90cm 이내 등)의 애완동물용 캐리어(70A)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100)는, 사용자가 액세스하기 쉬운 위치에 포켓 부재(101)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포켓 부재(101)에 애완동물의 장난감이나 과자 등의 자질구레한 물건을 수납하면, 자질구레한 물건을 꺼내기 위해서 일부러 구부릴 필요도 없어, 사용자에 있어서 매우 편리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참고예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100)에 관해, 상술한 종래의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1)와는 상이한 본 실시형태에 특유의 부분을 중심으로,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200)의 카트 본체(201)는, 상술한 종래의 카트 본체(20)(도 6 등)과 마찬가지로, 각각이 전륜(22) 및 후륜(24)을 갖는 좌우 한 쌍의 측면 조립체(202)와, 좌우 한 쌍의 측면 조립체(202)끼리를 연결하는 중앙 연결체(203)를 갖는다. 좌우 한 쌍의 측면 조립체(202) 및 중앙 연결체(203)에 의해서, 카트 본체(201)의 설계상의 강도가 담보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200)는, 상술한 종래의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1)와는 달리, 애완동물용 캐리어(70)의 상측 가장자리 틀체(75)를 올려놓기 위한 캐리어 지지체(204)가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환상의 캐리어 지지체(204)는, 좌우 한 쌍의 측면 조립체(202) 및 중앙 연결체(203)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환상의 캐리어 지지체(204)는, 좌우 한 쌍의 측방 지지부(205), 좌우 한 쌍의 측방 지지부(205)의 전단끼리를 연결하기 전방 지지부(206), 및 좌우 한 쌍의 측방 지지부(205)의 후단끼리를 연결하는 후방 지지부(207)를 갖고 있다.
환상의 캐리어 지지체(204)의 좌우 한 쌍의 측방 지지부(205)는, 측면 조립체(202)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환상의 캐리어 지지체(204)의 전방 지지부(206) 및 후방 지지부(207)는, 중앙 연결체(203)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즉, 환상의 캐리어 지지체(204)는, 측면 조립체(202) 및 중앙 연결체(203)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카트 본체(201)의 설계상의 강도를 담보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카트 본체(201)의 전각(21)의 상단부와 후각(23)의 상단부가, 지지 부재(212)에 있어서 서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지지 부재(212)가, 환상의 캐리어 지지체(204)의 측방 지지부(205)에 고정되어 있다.
종래의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1)의 카트 본체(20)에 있어서는, 전각(21) 및 후각(23)의 상단부가, 캐리어 지지체(50)가 아니라, 캐리어 지지체(50)와는 다른 제1 링크재(31)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도 8).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200)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후각(23)의 상단부가 캐리어 지지체(204)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환상의 캐리어 지지체(204)가, 카트 본체(201)의 설계상의 강도를 담보하기 위한 구조 부재이므로, 이와 같이 후각(23)의 접속부로서 캐리어 지지체(204)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200)를 제조하기 위한 부품 점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200)의 카트(201) 본체는, 종래의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1)의 카트 본체(20)와 마찬가지로, 좌우 한 쌍의 측면 조립체(202)의 각각이, 상단부가 캐리어 지지체(204)의 측방 지지부(205)의 후방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후방 링크 부재(32)(종래의 제2 링크재(32)에 대응)와, 한쪽의 단부가 전각(21)의 중간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전방 링크 부재(33)(종래의 제3 링크재(33)에 대응)와, 한쪽의 단부가 후각(23)의 중간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중간 링크 부재(34)(종래의 제4 링크재(34)에 대응)를 갖고 있다. 후방 링크 부재(32)의 다른쪽의 단부, 전방 링크 부재(33)의 다른쪽의 단부, 및 중간 링크 부재(34)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카트 본체(201)는, 애완동물용 캐리어(70)를 장착한 상태로 카트 본체(201)를 앞뒤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카트 본체(201)를 접은 상태에서, 애완동물용 캐리어(70)의 상면 개구가 비스듬한 후방을 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1)의 카트 본체(20)는, 전후 방향으로 접는 것과 좌우 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구조(세 번 접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도 10),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200)의 카트 본체(201)는, 전후 방향으로만 접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환상의 캐리어 지지체(204)는, 종래의 캐리어 지지체(50)와는 달리, 좌우 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구조로는 되어 있지 않다. 좌우의 전각(21)끼리 및 좌우의 후각(23)끼리를 연결하는 전후의 중앙 연결체(203)도, 접을 수 있는 구조로는 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200)도, 종래의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1)와 마찬가지로, 애완동물용 캐리어(70)를 카트 본체(201)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수단(종래의 고정구(53), 고정구 받이(77)에 상당)을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1)의 캐리어 지지체(50)에 있어서는, 그 후방 부분이 갈라져 있으므로, 애완동물용 캐리어(70)를 들어올릴 때에는, 그 갈라진 부분을 이용하여 애완동물용 캐리어(70)의 가장자리부를 잡을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캐리어 지지체(204)가 환상을 이루고 있고, 그 후방 부분이 갈라져 있지 않다. 그래서, 애완동물용 캐리어(70)를 들어올릴 때, 혹은 애완동물용 캐리어(70)를 올려놓을 때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넣을 간극(S)(도 6)을 확보하기 위해서, 캐리어 지지체(204)의 전방 지지부(206)에 형성된 만곡부(208)와, 동일한 만곡부(209)가, 후방 지지부(207)에도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200)에 의하면, 애완동물용 캐리어(70)를 지지하기 위한 캐리어 지지체(204)가, 카트 본체(201)의 설계상의 강도를 담보하기 위한 구조 부재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종래의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1)에 비해, 카트(200)를 제조하기 위한 부품 점수를 줄일 수 있다.
또, 애완동물용 캐리어(70)를 지지하기 위한 캐리어 지지체(204)를 환상으로 형성함과 더불어, 카트 본체(201)의 설계상의 강도를 캐리어 지지체(204)에도 분담시키도록 했으므로, 캐리어 지지체(204)의 강도를 종래보다도 높일 수 있다. 이 로써, 보다 체중이 무거운(사이즈가 큰) 애완동물을 반송할 수 있는 강도가 높은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200)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참고예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에 대해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의 카트 본체(201A)에 있어서는, 좌우 한 쌍의 측면 조립체(202) 중 한쪽의 측면 조립체(202)의 전방 링크 부재(33)의 한쪽의 단부와, 다른쪽의 측면 조립체(202)의 전방 링크 부재(33)의 한쪽의 단부가, 전방 연결 부재(210)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전방 링크 부재(33)는, 삼각형상의 판금(211)을 통해 전각(2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좌우의 전방 링크 부재(33)와 전방 연결 부재(210)를, 예를 들면 한 개의 파이프 부재를 굽힘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좌우의 전방 링크 부재(33)의 전단끼리를 전방 연결 부재(210)로 연결했으므로, 이 전방 연결 부재(210)를, 카트 본체(201)의 설계상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구조 부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도 16a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애완동물용 캐리어(70)에 돔형상의 덮개(220)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돔형상의 덮개(220)는, 원호형상의 복수의 골격 부재(221)와, 이들 골격 부재(221) 사이에 장설된 천 부재(222)를 구비하고 있다.
천 부재(222)는, 2장의 평면을 꿰맴으로써, 입체적이 되어, 고정구 없이 다양한 어레인지가 가능해져, 각각의 개방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즉, 좌우의 부분의 천을 중앙 부분의 천 위에 접어 젖힘으로써, 좌우의 부분에 개구(창)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6b 내지도 16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220)는 단계적으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 큰 창을 만들거나 혹은 작은 창을 만들거나 양측에 창을 만들거나 편측에 창을 만들거나 할 수 있다.
개 등의 애완동물은, 폐쇄된 공간(캐리어 등)에서는 열사병 대책이 중요하므로, 덮개 창을 크게 함으로써 열사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천 부재(222)와는 별도로, 천 부재(222)의 하면측에 메쉬(그물망) 천을 장설하여, 덮개 창을 연 상태에서도, 메쉬 천에 의해서 애완동물용 캐리어(70)의 상방이 덮여 있는 상태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통기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애완동물용 캐리어(70)로부터의 애완동물의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1:전각
22:전륜
23:후각
24:후륜
32:후방 링크 부재
33:전방 링크 부재
34:중간 링크 부재
50:캐리어 지지체
51A:캐리어 지지체의 후방 지지편
70A:애완동물용 캐리어
75A:상측 가장자리 틀체
80A:애완동물 수용체
100: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
101:포켓 부재
102:캐리어의 뚜껑 부재
103:뚜껑 부재측의 고정구
104:애완동물 수용체측의 고정구
105:수납 주머니
106:덮개 부재
107:탄성 가늘고 긴 부재
108:가요성 시트 부재
200: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
201, 201A:카트 본체
202:측면 조립체
203:중앙 연결체
204:환상의 캐리어 지지체
205:캐리어 지지체의 측방 지지부
206:캐리어 지지체의 전방 지지부
207캐리어 지지체의 후방 지지부
208:전방 지지부의 만곡부
209:후방 지지부의 만곡부
210:전방 연결 부재
211:판금
212:지지 부재
220:덮개
221:덮개의 골격 부재
222:덮개의 천 부재
G:전후 방향 간극

Claims (9)

  1. 애완동물을 싣고 반송하기 위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을 수용하기 위한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접을 수 있는 카트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캐리어는,
    상면 개구를 갖는 애완동물 수용체와,
    상기 애완동물 수용체 상측 가장자리부에 장착된 상측 가장자리 틀체를 갖고,
    상기 카트 본체는, 상기 상측 가장자리 틀체가 올려놓아지는 캐리어 지지체를 갖고,
    상기 캐리어의 전후 치수는, 상기 캐리어 지지체의 전후 치수보다도 작고, 이에 의해, 상기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 지지체 사이에 전후 방향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는, 상기 전후 방향 간극에 배치된 포켓 부재를 더 갖는,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켓 부재의 상측 가장자리부가 상기 캐리어 지지체에 장착되어 있는,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지지체에 대한 상기 캐리어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전후 이동 규제 수단을 더 갖는,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후 이동 규제 수단은, 상기 캐리어를 상기 캐리어 지지체의 전단측으로 당긴 상태로 상기 캐리어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애완동물 수용체의 상기 상면 개구를 평탄 상태로 개방 가능하게 봉지하기 위한 뚜껑 부재를 더 갖는,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뚜껑 부재는 가요성 시트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뚜껑 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주머니를 더 갖는,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지지체는, 전방 지지부, 후방 지지부, 및 좌우 한 쌍의 측방 지지부를 갖고,
    상기 후방 지지부는,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방 지지부의 각각의 후단부로부터 좌우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편을 갖고,
    상기 포켓 부재는 가요성 시트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포켓 부재 상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통형상부에 상기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편이 삽입되어 있는,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애완동물 수용체의 상기 상면 개구의 상방을 덮기 위해서 상기 애완동물 수용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 부재를 더 갖는,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 본체는, 전후 방향으로 접을 수 있음과 더불어 좌우 방향으로도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
KR1020140169650A 2013-12-03 2014-12-01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 KR201500646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50603 2013-12-03
JP2013250603A JP6225006B2 (ja) 2013-12-03 2013-12-03 ペット用キャリー付きカート
JPJP-P-2013-250602 2013-12-03
JP2013250602A JP6415043B2 (ja) 2013-12-03 2013-12-03 ペット用キャリー付きカ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686A true KR20150064686A (ko) 2015-06-11

Family

ID=53224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650A KR20150064686A (ko) 2013-12-03 2014-12-01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150064686A (ko)
CN (1) CN204341125U (ko)
HK (1) HK1207244A2 (ko)
TW (1) TWI643776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56399A (zh) * 2020-08-07 2022-02-18 环玮健康科技国际企业股份有限公司 宠物推车
KR102477203B1 (ko) * 2022-09-08 2022-12-13 주식회사 벤하우스 충격을 완화한 반려 동물용 유모차
KR102668701B1 (ko) * 2023-05-12 2024-05-24 주식회사 토탈키즈 클립홀더가 설치된 반려동물 이동 카트용 보호가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7597A1 (zh) * 2019-05-31 2020-12-03 陈阳升 多功能的宠物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1060B1 (en) * 2006-03-26 2007-08-28 Diane Garofola Pet transporter construction defining interior space for pet
JP3133057U (ja) * 2007-04-16 2007-06-28 株式会社フェリーチェ ペット用カート
JP5938203B2 (ja) * 2011-12-15 2016-06-22 コンビ株式会社 ペット用キャリー付きカート、カー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56399A (zh) * 2020-08-07 2022-02-18 环玮健康科技国际企业股份有限公司 宠物推车
KR102477203B1 (ko) * 2022-09-08 2022-12-13 주식회사 벤하우스 충격을 완화한 반려 동물용 유모차
KR102668701B1 (ko) * 2023-05-12 2024-05-24 주식회사 토탈키즈 클립홀더가 설치된 반려동물 이동 카트용 보호가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29389A (zh) 2015-08-01
HK1207244A2 (en) 2016-01-22
CN204341125U (zh) 2015-05-20
TWI643776B (zh) 201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8203B2 (ja) ペット用キャリー付きカート、カート
JP6790059B2 (ja) 折り畳み式ワゴン
US7090239B2 (en) Stroller
US20160021843A1 (en) Pet stroller with latchable canopy bar
KR20150064686A (ko)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갖는 카트
US20080258437A1 (en) Removable Cargo Liners for a Stroller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7113479B2 (ja) ペット飼育具
KR102447232B1 (ko) 애완동물 수용구
JP6415043B2 (ja) ペット用キャリー付きカート
JP2018531117A6 (ja) 外部コンパートメントを有する手荷物用品
JP2018531117A (ja) 外部コンパートメントを有する手荷物用品
CN111196301B (zh) 罩、婴儿车用的带收纳袋的罩及婴儿车
JP6225006B2 (ja) ペット用キャリー付きカート
KR20140005457U (ko) 여행용 가방
KR20060051236A (ko) 덮개가 있는 유모차
JP5313815B2 (ja) カーゴキャリー
JP3199144U (ja) 車椅子用バッグ
JP3171028U (ja) 多機能バッグ
KR20240062767A (ko) 애완동물 이동용 캐리어 가방
KR20110061702A (ko) 어깨에 멜 수 있는 휴대용 운반장치
JP5111013B2 (ja) バスケット
JPH0748092Y2 (ja) 荷台付き旅行鞄
JP2005124851A (ja) 背負い具
JP2013014193A (ja) 手押車
KR20110011370U (ko) 태블릿 pc용 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