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232B1 - 애완동물 수용구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수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232B1
KR102447232B1 KR1020140148113A KR20140148113A KR102447232B1 KR 102447232 B1 KR102447232 B1 KR 102447232B1 KR 1020140148113 A KR1020140148113 A KR 1020140148113A KR 20140148113 A KR20140148113 A KR 20140148113A KR 102447232 B1 KR102447232 B1 KR 102447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panel
pet
bel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6456A (ko
Inventor
히로히사 스즈키
겐지 이시이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56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급감속 시에 있어서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애완동물 수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애완동물 수용구(10)는 차량의 시트 벨트(7)를 이용해서 당해 차량의 좌석(5) 위에 부착된다. 애완동물 수용구는, 좌석의 등받이부(5b)에 대면하게 되는 후방 패널(39)을 포함하는 수용구 본체(20)와, 수용구 본체에 부착되며 또한 시트 벨트를 유지하게 되는 가이드 수단(49)과, 후방 패널에 지지된 금속제 보강재(7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 수용구{PET CONTAINER}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벨트를 이용해서 당해 차량의 좌석 위에 부착되는 애완동물 수용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애완동물을 차량에 태울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 이 경향에 수반하여, 예를 들면 JP2006-174712A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의 시트 벨트를 이용해서 당해 차량의 좌석 위에 부착 가능한 애완동물 수용구가 보급되고 있다. 이 애완동물 수용구에 애완동물을 수용해 두는 것에 의해, 차량의 급감속 시, 예를 들면 충돌 시에 차량 내에서 애완동물이 사람과 부딪혀 버리는 것이나, 애완동물이 차량의 어느 하나의 부위에 부딪혀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애완동물 수용구는 사용하지 않을 때의 취급성을 고려해서 절첩(折疊)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JP2006-174712A에 개시된 애완동물 수용구는 직방체 형상의 바깥 윤곽을 갖고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애완동물 수용구(90)에서는, 후벽부(91)에 상하 방향(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스트랩(9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트랩(92)은 상단(92a) 및 하단(92b)에 있어서 후벽부(91)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스트랩(92)은 상단(92a) 및 하단(92b)의 사이에 있어서 후벽부(91)에 접속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에 장비된 시트 벨트(97)의 허리 벨트(97a) 및 어깨 벨트(97b)는 스트랩(92)과 후벽부(91) 사이를 통과한다. 이 상태에서, 시트 벨트(97)에 유지된 텅(tongue)(98a)이 버클(98b)에 고정되어, 애완동물 수용구(90)가 차량 내에서 좌석(95)에 대하여 고정되게 된다.
그러나, JP2006-174712A에 개시된 애완동물 수용구는, 그 단락 0037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령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었다고 해도, 시트 벨트의 부착 또는 분리 작업 시에, 좌석(95)의 시트부(95a) 위에서 전개된 상태로 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특히, JP2006-174712A에 개시된 애완동물 수용구를 부착 또는 분리할 때에는, 애완동물 수용구(90)와 좌석(95)의 등받이부(95b) 사이의 매우 좁은 간극 내에서 시트 벨트(95)를 취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시트 벨트를 이용한 애완동물 수용구의 부착 및 분리는 매우 작업성이 나쁘다.
또한, 애완동물 수용구는, 차량의 급감속 시에, 애완동물이 당해 애완동물 수용구에 강하게 부딪힐 수 있는 것을 상정해서, 유연한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급감속 시, 특히 충돌 시에는, 애완동물 수용구 및 애완동물 수용구 내의 애완동물에게 가해지는 관성력에 의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애완동물 수용구가 크게 변형해 버린다. 구체적으로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애완동물 수용구(90)는, 높이 방향으로 찌부러짐과 함께, 전후 방향(차량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으로 이동 또는 뻗어나온다. 차량의 급감속 시에 애완동물 수용구가 전방으로 크게 변형 또는 이동하면, 애완동물 수용구 및 애완동물 수용구 내의 애완동물이 사람이나 차량의 각 부위에 부딪혀 버린다. 또한, 대부분의 애완동물 수용구는 사용하지 않을 때의 취급성을 고려해서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절첩 가능한 애완동물 수용구는 변형하기 쉬워 이 문제가 보다 현저해진다.
본 발명은, 차량에의 부착 및 차량으로부터의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애완동물 수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애완동물 수용구는,
차량의 시트 벨트를 이용해서 당해 차량의 좌석 위에 부착되는 절첩 가능한 애완동물 수용구로서,
대향해서 배치된 바닥 패널 및 상부 패널과, 상기 바닥 패널 및 상기 상부 패널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전방 패널 및 후방 패널을 요동 가능하게 접속하는 것에 의하여 통 형상으로 형성된 통 형상체를, 포함하는 수용구 본체와,
상기 통 형상체에 부착된 제 1 가이드 부재, 제 2 가이드 부재 및 제 3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는, 가로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되며, 또한 상기 시트 벨트의 허리 벨트 및 어깨 벨트의 양쪽을 유지하게 되고,
상기 제 3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의 사이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시트 벨트의 상기 어깨 벨트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애완동물 수용구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는, 각각, 상기 바닥 패널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애완동물 수용구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는, 각각, 상기 바닥 패널에 꿰매어 붙여지는 것에 의하여, 당해 바닥 패널에 부착되고,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를 상기 바닥 패널에 부착하기 위한 솔기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전방 패널 및 상기 후방 패널을 잇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애완동물 수용구에 있어서, 상기 제 3 가이드 부재는, 상기 상부 패널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애완동물 수용구에 있어서,
상기 제 3 가이드 부재는, 상기 상부 패널에 꿰매어 붙여지는 것에 의하여, 당해 상부 패널에 부착되고,
상기 제 3 가이드 부재를 상기 상부 패널에 부착하기 위한 솔기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전방 패널 및 상기 후방 패널을 잇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애완동물 수용구에 있어서,
상기 제 3 가이드 부재는, 상기 수용구 본체에 부착된 벨트재와, 상기 벨트재에 유지된 가이드재를 갖고,
상기 가이드재는, 상기 어깨 벨트가 통과 가능한 통과 공간을 구획 형성하며, 또한 상기 통과 공간으로 통하는 슬릿을 갖고,
상기 어깨 벨트는, 상기 슬릿을 통하여, 상기 통과 공간에 도입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애완동물 수용구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가 노출되도록, 절첩 가능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애완동물 수용구에 있어서, 상기 바닥 패널과 상기 전방 패널이 중첩되며 또한 상기 상부 패널과 상기 후방 패널이 중첩하도록 각 패널이 상대 요동하고, 다음으로, 중첩된 상기 바닥 패널 및 상기 전방 패널과, 중첩된 상기 상부 패널과 상기 후방 패널이, 중첩하도록 각 패널이 상대 요동하는 것에 의하여, 절첩 가능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애완동물 수용구에 있어서,
상기 수용구 본체는, 상기 통 형상체의 개구를 폐색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측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 패널, 상기 상부 패널, 상기 전방 패널 및 상기 후방 패널은, 장방형의 4개의 모서리를 모따기해서 이루어지는 평면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개구를 구획 형성하는 상기 통 형상체의 단부 가장자리는, 각 패널의 모따기된 부분을 포함해서 구획 형성되고,
각 측벽부는, 상기 모따기된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통 형상체의 상기 단부 가장자리에 접속된 직물 형상재를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애완동물 수용구는,
차량의 시트 벨트를 이용해서 당해 차량의 좌석 위에 부착되는 절첩 가능한 애완동물 수용구로서,
복수의 패널을 요동 가능하게 접속하는 것에 의해 통 형상으로 형성된 통 형상체를 포함하는 수용구 본체와,
상기 통 형상체에 부착된 제 1 가이드 부재, 제 2 가이드 부재 및 제 3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는, 상기 통 형상의 통 형상체가 이루는 한 쌍의 개구를 잇는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되며, 또한 상기 차량에 설치된 시트 벨트의 허리 벨트 및 어깨 벨트의 양쪽을 유지하게 되고,
상기 제 3 가이드 부재는, 상기 통 형상의 통 형상체가 이루는 한 쌍의 개구를 잇는 상기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의 사이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통 형상의 통 형상체가 이루는 한 쌍의 개구를 잇는 상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에 어긋나게 위치하며, 또한 상기 시트 벨트의 상기 어깨 벨트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및 제 2 애완동물 수용구에 의하면, 차량에 장비된 시트 벨트를 이용해서 당해 차량의 좌석에 애완동물 수용구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또한 당해 차량의 좌석으로부터 애완동물 수용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급감속 시에 있어서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애완동물 수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애완동물 수용구는,
차량의 시트 벨트를 이용해서 당해 차량의 좌석 위에 부착되는 애완동물 수용구로서,
상기 좌석의 등받이부에 대면하게 되는 후방 패널을 포함하는 수용구 본체와,
상기 수용구 본체에 부착되며 또한 상기 시트 벨트를 유지하게 되는 가이드 수단과,
상기 후방 패널에 지지된 금속제 보강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애완동물 수용구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시트 벨트의 허리 벨트 및 어깨 벨트의 양쪽을 유지하게 되는 제 1 가이드 부재 및 제 2 가이드 부재와, 상기 시트 벨트의 상기 어깨 벨트를 유지하게 되는 제 3 가이드 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는, 가로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간해서 배치되고,
상기 제 3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보다도 위쪽에 위치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애완동물 수용구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보강재는, 적어도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 사이가 되는 영역에 위치하며, 또한 적어도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보다도 위쪽이며 상기 제 3 가이드 부재보다도 아래쪽이 되는 영역에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애완동물 수용구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보강재는, 사각형 형상의 윤곽을 따라 연장되는 금속봉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애완동물 수용구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보강재는, 상기 후방 패널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가로 방향보다도 높이 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애완동물 수용구에 있어서, 상기 후방 패널은, 프레임체와, 프레임체에 지지된 직물 형상재를 갖고, 상기 금속제 보강재는, 상기 직물 형상재의 상기 좌석의 등받이부에 대면하는 측에 형성된 지지부에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애완동물 수용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가로 방향으로 개구된 포켓이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애완동물 수용구에 있어서, 상기 수용구 본체는, 상기 후방 패널과, 상기 후방 패널에 대향해서 배치된 전방 패널과, 상기 후방 패널 및 상기 전방 패널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바닥 패널 및 상부 패널을 포함하는 통 형상체를 갖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애완동물 수용구에 있어서, 각 패널은, 인접하는 다른 패널과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수용구 본체는, 절첩 가능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애완동물 수용구에 있어서, 상기 바닥 패널과 상기 전방 패널이 중첩되며 또한 상기 상부 패널과 상기 후방 패널이 중첩하도록 각 패널이 상대 요동하고, 다음으로, 중첩된 상기 바닥 패널 및 상기 전방 패널과, 중첩된 상기 상부 패널과 상기 후방 패널이, 중첩하도록 각 패널이 상대 요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수용구 본체는 절첩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애완동물 수용구에 있어서,
상기 수용구 본체는, 상기 통 형상체의 개구를 폐색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측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 패널, 상기 상부 패널, 상기 전방 패널 및 상기 후방 패널은, 장방형의 4개의 모서리를 모따기해서 이루어지는 평면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개구를 구획 형성하는 상기 통 형상체의 단부 가장자리는, 각 패널의 모따기된 부분을 포함해서 구획 형성되고,
각 측벽부는, 상기 모따기된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통 형상체의 상기 단부 가장자리에 접속된 직물 형상재를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애완동물 수용구에 의하면, 차량의 급감속 시에 있어서의 애완동물 수용구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애완동물 수용구를 후방 패널 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애완동물 수용구를 전방 패널 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애완동물 수용구의 측벽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패널의 접속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바닥 패널을 외면 측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상부 패널의 일부분을 외면 측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후방 패널을 외면 측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애완동물 수용구의 절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는 애완동물 수용구의 절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0은 애완동물 수용구의 절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1은 애완동물 수용구의 차량 좌석에의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2는 애완동물 수용구의 차량 좌석에의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3은 종래의 애완동물 수용구의 차량 좌석에의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4는 차량의 급감속에 수반하여 변형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13의 종래의 애완동물 수용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수용구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애완동물 수용구(10)는, 예를 들면 개, 고양이, 원숭이 등의 애완동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것이다. 이 애완동물 수용구(10)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에 장비된 시트 벨트(7)를 이용해서 당해 차량의 좌석(5) 위에 대하여 고정된다. 차량에 고정된 애완동물 수용구(10) 내에 애완동물을 수용해 두는 것에 의해, 차량의 급감속 시, 예를 들면 차량의 충돌 시에, 차량 내에서 애완동물이 사람과 부딪혀 버리는 것이나, 애완동물이 차량의 어느 하나의 부위에 부딪혀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시트 벨트(7)란, 차량에 있어서 탑승자를 좌석(5)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한쪽 편(도 12에 도시된 예에서는 좌측)의 허리로부터 다른 쪽 편(도 12에 도시된 예에서는 우측)의 허리로 연장되는 허리 벨트(7a)와, 한쪽 편의 어깨로부터 다른 쪽 편의 허리로 연장되는 어깨 벨트(7b)를 가진, 소위 3점식의 시트 벨트이다. 이 시트 벨트(7)는 1개의 벨트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며, 텅(tongue)(8a)을 삽입 통과하고 있다. 텅(8a)은, 당해 1개의 벨트 형상 부재를 절곡해서, 시트 벨트(7)를 허리 벨트(7a)와 어깨 벨트(7b)로 구분하고 있다. 또한, 좌석(5)의 다른 쪽 편에는 버클(8b)이 더 설치되어 있다. 텅(8a)이 버클(8b)에 걸리는 것에 의해, 좌석(5) 위에 착좌하는 사람의 신체가 시트 벨트(7)에 의하여 당해 좌석(5)에 고정된다.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애완동물 수용구(10) 및 그 구성 요소에 대하여 이용하는 「앞」, 「뒤」, 「가로」, 「위」 및 「아래」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을 경우, 의도된 태양으로 차량의 좌석(5)에 부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 「앞」, 「뒤」, 「가로」, 「위」 및 「아래」를 각각 의미한다. 애완동물 수용구(10) 및 그 구성 요소의 「전후 방향」이란 차량의 전후가 되는 방향이며, 차량의 직진 시에 있어서의 진행 방향에도 상당한다. 「앞」이란 차량의 앞과 일치하는 측이며, 「뒤」란 차량의 뒤와 일치하는 측이다. 애완동물 수용구(10) 및 그 구성 요소의 「높이 방향」이란 「상하 방향」이다.
애완동물 수용구(10)는, 전체적인 구성으로서, 애완동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구 본체(20)와, 수용구 본체(20)에 부착된 가이드 수단(49)과, 수용구 본체(20)에 지지된 금속제 보강재(75)(도 7 참조)를 갖고 있다. 가이드 수단(49)은 시트 벨트(7)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수단(49)이 시트 벨트(7)를 유지한 상태에서, 애완동물 수용구(10)가 차량의 좌석(5) 위에 고정되게 된다. 이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수용구 본체(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구 본체(20)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 통 형상체(25)와, 통 형상체(25)의 양 개구를 각각 폐색하는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측벽부(44)를 갖고 있다. 통 형상체(25)는 복수의 패널(30)을 포함하고 있다. 각 패널(30)은 그 가장자리부에서 다른 패널(30)의 가장자리부에 접속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 형상체(25)는 4개의 패널(30)을 포함하고 있으며, 대략 사각 통 형상의 외형상을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 형상체(25)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좌석(5)의 시트부(5a) 위에 배치되게 되는 바닥 패널(36)과, 바닥 패널(36)에 대향해서 배치된 상부 패널(37)과, 차량 좌석(5)의 등받이부(5b)에 대면하게 되는 후방 패널(39)과, 후방 패널(39)에 대향해서 배치된 전방 패널(38)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4개의 패널에 공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4개의 패널(36, 37, 38, 39)을 구별하지 않고 부호 「30」을 이용한다.
도 4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패널(30)은, 프레임체(31)와, 프레임체(31)에 지지된 직물 형상재(32)를 갖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물 형상재(32)를 이루는 재료의 가장자리부가 되접어서 꿰매어 붙여지는 것에 의해, 직물 형상재(32)의 가장자리부에 통 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체(31)는 이 통 형상부 내에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체(31)는 일례로서 금속제나 수지제의 평평한 봉재(棒材)를 구부리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직물 형상재(32)는 유연성을 갖는 얇은 재료, 예를 들면 직물재(33), 메시재(망 형상으로 형성된 직물 형상재)(34) 등으로 구성된다. 메시재(34)는, 애완동물 수용구(10)에 통기성을 확보하는 점이나, 애완동물 수용구(10) 내부의 시인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닥 패널(36) 및 후방 패널(39)의 직물 형상재(32)는 전면(全面)이 직물재(33)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부 패널(37) 및 전방 패널(38)의 직물 형상재(32)는, 일부가 직물재(33)에 의하여 형성되고, 그 밖의 부분이 메시재(34)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 형상체(25)가 인접하는 2개의 패널(3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접속재(35)를 더 갖고 있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패널(30)은 접속재(35)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접속재(35)는 직물 형상재, 즉 유연성을 갖는 얇은 재료, 예를 들면 직물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인접하는 2개의 패널(30)은 상대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도 4에 도시된 예에서는, 패널(30)의 직물 형상재(32)를 이루는 재료의 가장자리부를 되접어서 꿰매어 붙이는 위치에서, 접속재(35)도 함께 꿰매어 붙여져 있다. 또한,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애완동물 수용구(10)는,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개 상태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절첩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애완동물 수용구(10)가 변형을 행할 때, 패널(30)이 상대 요동해서, 통 형상체(25)가 통 형상의 상태, 또는 찌부러져서 패널(30)이 겹쳐진 상태를 취하게 된다.
그런데, 예를 들면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널(30)의 평면 형상은, 장방형 형상의 4개의 모서리를 모따기해서 이루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점에서, 통 형상체(25)는, 엄밀하게는 사각 통 형상과는 다른 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하나의 패널(30)은, 그 둘레 가장자리 중의 하나의 직선 형상 부분에 있어서, 다른 패널(30)의 둘레 가장자리 중의 하나의 직선 형상 부분과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구를 구획 형성하는 통 형상체(25)의 단부 가장자리(26)는, 각 패널(30)의 모따기된 모따기부(30a)를 포함해서 구획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44)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 형상체(25)의 개구를 폐색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측벽부(44)는, 직물 형상재, 즉 유연성을 갖는 얇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측벽부(44)를 이루는 직물 형상재는, 모따기부(30a)를 포함하는 통 형상체(25)의 단부 가장자리(26)의 둘레 전체에 걸쳐서 접속되어 있다. 즉, 측벽부(44)는 통 형상체(25)가 구획 형성하는 개구 영역 전체를 덮고 있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애완동물 수용구(10)가 전개된 상태에 있어서, 측벽부(44)는 입체적인 형상을 갖고 있다. 여기에서, 도 3에 있어서의 선(La)은, 전방 패널(38)과 바닥 패널(36)의 접속 위치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편의 단부(Px)와, 후방 패널(39)과 상부 패널(37)의 접속 위치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편의 단부(Py) 사이를 잇는, 측벽부(44)의 표면 위의 최단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측벽부(44)의 표면 위의 최단 경로(La)의 길이는, 단부(Px)와 단부(Py) 사이를 잇는 직선(Lb)의 길이보다도 대폭적으로 길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애완동물 수용구(10)의 절첩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측벽부(44)를 이루는 직물 형상재는, 예를 들면 직물재(45), 메시재(망 형상으로 형성된 직물 형상재)(46) 등으로 구성된다. 메시재(46)는, 애완동물 수용구(10)에 통기성을 확보하는 점이나, 애완동물 수용구(10)의 내부의 시인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메시재(46)는, 크게 신장할 수 있는 점에 있어서, 절첩 가능한 수용구 본체(20)의 측벽부(44)를 이루는 재료로서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측벽부(44)의 일부가 직물재(45)에 의하여 형성되고, 그 밖의 부분이 메시재(46)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벽부(44)는, 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체결구(48), 예를 들면 파스너를 갖고 있다. 체결구(48)는 측벽부(44)의 일부분을 도어체(47)로서 구분하고 있다. 즉, 체결구(48)의 체결 상태를 해제하면, 도어체(47)를 이루는 측벽부(44)의 일부분이 다른 부분에 대하여 요동 가능해진다. 따라서, 체결구(48)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도어체(47)를 개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어체(47)가 설치되어 있던 부분을 통하여, 수용구 본체(20)의 내부 공간을 외부와 연통(連通)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애완동물 수용구(10)의 내부에 애완동물을 수용하는 것, 및 애완동물 수용구(10)의 내부로부터 애완동물을 꺼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 및 도 2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각 측벽부(44)에 각각 도어체(47) 및 체결구(48)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가이드 수단(49)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수단(49)은 차량에 장비된 시트 벨트(7)를 유지하는 수단이다. 도시된 형태에 있어서, 가이드 수단(49)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가이드 부재(50), 제 2 가이드 부재(55) 및 제 3 가이드 부재(60)를 갖고 있다.
이 중,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정된 애완동물 수용구(10)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시트 벨트(7)의 허리 벨트(7a) 및 어깨 벨트(7b)의 양쪽을 유지한다. 한편, 제 3 가이드 부재(60)는, 예정된 애완동물 수용구(10)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시트 벨트(7)의 어깨 벨트(7b)만을 유지한다. 도 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는 가로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는 높이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3 가이드 부재(60)는, 가로 방향에 있어서,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의 사이, 엄밀하게는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의 중간에 위치해 있다. 또한, 제 3 가이드 부재(60)는 높이 방향에 있어서,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보다도 위쪽에 위치해 있다.
도 5는 바닥 패널(36)을 외측면으로부터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각 패널(30)에 대한 외측이란, 통 형상체(25)의 내측과는 반대측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는 각각 후방으로 뻗어나오도록 해서 바닥 패널(36)에 부착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는 각각 바닥 패널(36)에 꿰매어 붙여진 벨트 형상의 부재로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 형상 부재를 되접어서 바닥 패널(36)에 꿰매어 붙이는 것에 의해,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는, 시트 벨트(7)를 수용하는 루프부(51, 56)와, 바닥 패널(36)에 꿰매어 붙여진 부착부(52, 57)를 포함하고 있다. 루프부(51, 56)는 곡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며 시트 벨트(7)가 통과하게 되는 통과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를 바닥 패널(36)에 부착하기 위한 솔기(53, 58)의 적어도 일부분(53a, 58a)은 전방 패널(38) 및 후방 패널(39)을 잇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가이드 부재(60)는 후방으로 뻗어 나오도록 해서 상부 패널(37)에 부착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3 가이드 부재(60)는, 상부 패널(37)에 꿰매어 붙여진 벨트재(61)와, 벨트재(61)에 지지 또는 파지된 가이드재(65)를 갖고 있다. 벨트재(61)는 상부 패널(37)에 꿰매어 붙여진 부착부(62)를 갖고 있다. 부착부(62)를 상부 패널(37)에 부착하기 위한 솔기(63)의 적어도 일부분(63a)은 전방 패널(38) 및 후방 패널(39)을 잇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이드재(65)는 시트 벨트(7)의 어깨 벨트(7b)가 통과 가능한 통과 공간(66)을 구획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가이드재(65)는 통과 공간(66)으로 통하는 슬릿(67)을 갖고 있다. 어깨 벨트(7b)는 슬릿(67)을 통하여 통과 공간(66)에 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가이드재(65)는 금속제 또는 수지제의 봉재를 절곡해서 이루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봉재는, 벨트의 단면 형상에 대응한 가늘고 긴 영역을 둘러싸도록 구부러져 있다. 그리고, 봉재에 의하여 둘러싸인 공간이 통과 공간(66)을 이루고 있다. 또한, 가이드재(65)를 이루는 봉재의 양 단부 영역이 인접하도록 해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 봉재의 양 단부 영역의 사이에는 시트 벨트(7)의 두께 이상의 선 형상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이 슬릿(67)을 형성하고 있다. 슬릿(67)의 길이 방향은 시트 벨트(7)를 유지하기 위한 통과 공간(66)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한편, 슬릿(67)은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통과 공간(66)으로부터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슬릿(67)을 통하여 어깨 벨트(7b)를 통과 공간(66)으로 유도할 때, 어깨 벨트(7b)는 슬릿(67)을 통과한 후, 되접히도록 해서 통과 공간(66)으로 유도된다. 그 결과, 통과 공간(66)에 배치된 어깨 벨트(7b)는, 의도치 않게 통과 공간(66)을 통하여 가이드재(65)로부터 빠져나가 버리는 것이 극히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도 1, 도 7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 패널(39)의 직물 형상재(32)에는 금속제 보강재(75)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즉, 금속제 보강재(75)는 통 형상체(25)의 후방 패널(39)에 지지되어 있다. 금속제 보강재(75)는, 적어도 가로 방향에 있어서 제 1 가이드 부재(50)와 제 2 가이드 부재(55) 사이가 되는 영역에 위치하며, 또한 적어도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보다도 위쪽이며 제 3 가이드 부재(60)보다도 아래쪽이 되는 영역에 위치해 있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는, 금속제 보강재(75)는, 가로 방향에 있어서 제 1 가이드 부재(50)와 제 2 가이드 부재(55) 사이이고, 또한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보다도 위쪽이며 제 3 가이드 부재(60)보다도 아래쪽이 되는 영역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금속제 보강재(75)는, 후방 패널(39)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가로 방향보다도 높이 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다. 금속제 보강재(75)는, 예를 들면 사각형 형상의 윤곽을 따라 연장되는 금속봉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 패널(39)의 직물 형상재(32)는, 직물재(33)와, 솔기(41a)를 따라 직물재(33)에 꿰매어 붙여진 포켓 형성포(41)를 갖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포켓 형성포(41)는, 사각형 형상, 특히 높이 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는 장방형 형상의 직물재이다. 솔기(41a)는 포켓 형성포(41)의 바깥 윤곽을 이루는 3개의 변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그 결과, 후방 패널(39)의 직물 형상재(32)를 이루는 직물재(33)와 포켓 형성포(41) 사이에, 금속제 보강재(75)를 수용하는 지지부(40)가 포켓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포켓으로서 형성된 지지부(40)는, 포켓 형성포(41)의 바깥 윤곽을 이루는 한 변에 있어서 개구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포켓으로서 형성된 지지부(40)는 가로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지지부(40)의 개구를 이루는 부분에는, 면 파스너, 스냅, 버튼 등의 고정구(4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구(42)에 의하여 금속제 보강재(75)가 지지부(40)로부터 의도치 않게 빠져나가 버리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포켓 형성포(41)는 직물재(33)에 대하여 외면 측으로부터 꿰매어 붙여져 있다. 즉, 지지부(40)는, 후방 패널(39)의 직물 형상재(32)의, 차량 좌석(5)의 등받이부(5b)에 대면하는 측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애완동물 수용구(1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애완동물 수용구(10)를 절첩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개된 상태에 있는 애완동물 수용구(10)를 절첩할 때, 우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구 본체(20)의 통 형상체(25)를 찌부러뜨리는 바와 같이 힘을 가한다. 이것에 의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패널(38)이 바닥 패널(36) 위에 겹쳐서 배치되고, 상부 패널(37)이 후방 패널(39) 위에 겹쳐서 배치되게 된다. 다음으로, 중첩된 바닥 패널(36) 및 전방 패널(38)과, 중첩된 상부 패널(37)과 후방 패널(39)이 중첩하도록, 각 패널(36, 37, 38, 39)을 더 상대 요동시킨다. 그 결과, 통 형상체(25)를 이루는 4개의 패널(36, 37, 38, 39)이 서로 중첩되어 컴팩트한 치수로 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형태에는,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트랩 형상의 제 1 고정구(71)가 바닥 패널(36)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후방 패널(39)에는 제 1 고정구(71)에 대응해서 제 2 고정구(72)가 설치되어 있다. 일례로서, 제 1 고정구(71)는 기단부(基端部)가 바닥 패널(36)에 꿰매어 붙여지며, 선단부에 면파스너, 스냅, 버튼 등의 고정구를 갖고 있다. 한편, 제 1 고정구(71)의 선단부에 설치된 고정구와 걸어맞춤 가능한 면파스너, 스냅, 버튼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구가, 제 2 고정구(72)로서 후방 패널(39)에 부착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서, 제 1 고정구(71) 및 제 2 고정구(72)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수용구 본체(20)가 컴팩트한 치수로 유지된 절첩 상태에서 애완동물 수용구(10)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절첩된 상태에 있어서, 노출되게 되는 패널은 바닥 패널(36) 및 후방 패널(39)로 된다. 바닥 패널(36) 및 후방 패널(39)은 각각 좌석(5)의 시트부(5a) 및 등받이부(5b)에 대면하게 된다. 따라서, 바닥 패널(36) 및 후방 패널(39)은 시인성이 요구되지 않는 부재이다. 이 때문에, 이 패널(36, 39)들의 직물 형상재(32)는 메시재(34)를 이용하지 않고 형성될 수 있다. 오히려, 배설물의 유출 등을 회피하는 관점에서는, 바닥 패널(36) 및 후방 패널(39)의 직물 형상재(3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메시재(34)가 아닌 직물재(33)만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절첩된 상태의 애완동물 수용구(10)에서는, 가장 바깥면에 메시재(34)가 아닌 직물재(33)가 노출되게 된다. 그리고, 절첩 상태에 있는 애완동물 수용구(10)의 취급 중에, 애완동물 수용구(10)의 내부에 외부로부터 분진 등이 들어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애완동물 수용구(10)의 내부에 잔존하는 배설물이나 털 등이 누출되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첩된 상태에 있어서, 상부 패널(37)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부 패널(37)에 부착된 제 3 가이드 부재(60)는, 절첩된 애완동물 수용구(10)에 있어서, 패널(3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즉, 절첩된 애완동물 수용구(10)에 있어서, 제 3 가이드 부재(60)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절첩된 애완동물 수용구(10)의 취급 중에, 가이드재(65)를 선단에 갖는 제 3 가이드 부재(60)가 외부에 부딪혀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특히, 절첩된 상태의 애완동물 수용구(10)에 있어서, 제 3 가이드 부재(60)는 제 1 고정구(71) 및 제 2 고정구(72)의 근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 1 고정구(71) 및 제 2 고정구(72)를 이용해서 절첩된 상태로 유지된 애완동물 수용구(10)로부터, 제 3 가이드 부재(60)가 튀어 나와 버리는 것을 안정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한편, 절첩된 상태에 있어서, 바닥 패널(36)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바닥 패널(36)에 부착된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는 절첩된 애완동물 수용구(10)에 있어서 노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절첩 상태에 따르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애완동물 수용구(10)의 차량에의 부착 시 및 차량으로부터의 분리 시에, 애완동물 수용구(10)를 절첩된 상태인 채로 하면서,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에 대하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런데,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의 애완동물 수용구 중에는, 수용구 본체가 엄밀한 직방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도 존재한다. 이와 같은 애완동물 수용구에서는, 절첩된 상태와 전개된 상태 사이에서, 측벽부(93)의 대각(對角)을 이루는 한 쌍의 각(Pax, Pay) 사이에서 연장되는 부분(Lc)의 길이가 크게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전개된 상태에서는, 당해 부분(Lc)의 길이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부(93)의 대각선의 길이와 일치한다. 한편, 절첩된 상태에서는, 당해 부분(Lc)의 길이는, 대략 측벽부(93)를 이루는 정방형의 한 변의 길이의 배의 길이까지 늘어나야만 한다. 따라서, 측벽부(93)가 충분한 신장성을 갖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측벽부(93)가 돌출되어, 애완동물 수용구를 절첩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일본국 특개2005-348701호 공보에서는, 측벽부(93)에 상당하는 부분에 노치를 형성해 두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단, 애완동물 수용구가 애완동물의 수용 장소로서 기능하는 성질상, 이와 같은 노치는 개폐 가능하며, 또한 절첩 시에만 개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일본국 특개2005-348701호 공보에 개시된 애완동물 수용구의 취급은 복잡하고 번잡하여 취급성이 좋다고는 할 수 없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구 본체(20)의 통 형상체(25)를 형성하는 각 패널(30)은 모따기부(30a)를 갖고 있다. 그리고, 개구를 형성하는 통 형상체(25)의 단부 가장자리(26)는, 각 패널(30)의 모따기된 모따기부(30a)를 포함해서 구획 형성되고, 각 측벽부(44)는, 모따기부(30a)를 포함하는 통 형상체(25)의 단부 가장자리(26)의 둘레 전체에 접속된 직물 형상재(32)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개된 상태에 있어서, 측벽부(44)는 입체적인 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전방 패널(38)과 바닥 패널(36)의 접속 위치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편의 단부(Px)와, 후방 패널(39)과 상부 패널(37)의 접속 위치의 횡행(橫行)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편의 단부(Py) 사이를 잇는, 측벽부(44)의 표면 상에서 최단이 되는 경로(La)의 길이는, 전개 상태에 있는 애완동물 수용구(10)에 있어서 2개의 단부(Px)와 단부(Py) 사이를 잇는 직선(Lb)의 길이보다도, 대폭적으로 길게 되어 있다. 이것은, 애완동물 수용구(10)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경로(La)가 단부(Px) 및 단부(Py)의 위치보다도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편으로 어긋난 위치를 통과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애완동물 수용구(10)의 절첩 상태에 있어서, 경로(La)는 단부(Px) 및 단부(Py)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어긋날 필요는 없다. 이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애완동물 수용구(10)를 절첩할 때에 측벽부(44)가 충분한 크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체결구(48)를 해제해서 도어체(47)를 개방하지 않고, 애완동물 수용구(10)를 원활하게 절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애완동물 수용구(10)는 절첩 작업 시에 있어서의 취급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애완동물 수용구(10)를 절첩한 상태에 있어서, 측벽부(44)가 통 형상체(25)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크게 튀어나오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애완동물 수용구(10)의 절첩 형상의 외견을 개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 좌석(5)에의 애완동물 수용구(10)의 부착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우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첩 상태에 있는 애완동물 수용구(10)를, 차량 좌석(5)의 시트부(5a) 위에 얹어놓는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가 절첩된 상태의 애완동물 수용구(10)로부터 뻗어나와 있다. 이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가 등받이부(5b) 측(즉 후측)에 위치하며, 또한 애완동물 수용구(10)의 바닥 패널(36)이 시트부(5a)에 대면하도록 해서, 애완동물 수용구(10)를 차량 좌석(5) 위에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차량에 장비된 시트 벨트(7)에 유지된 텅(8a)을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의 양쪽의 루프부(51, 56) 내로 통과시킨다. 다음으로, 루프부(51, 56)를 통과한 텅(8a)을 버클(8b)에 건다. 이것에 의해, 시트 벨트(7)의 허리 벨트(7a) 및 어깨 벨트(7b)의 양쪽이,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의 루프부(51, 56) 내를 통과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좌석(5) 위에 배치된 애완동물 수용구(10)의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가 시트 벨트(7)의 허리 벨트(7a) 및 어깨 벨트(7b)를 유지한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절첩된 상태에 있는 애완동물 수용구(10)를 전개한다. 그 후, 시트 벨트(7)의 어깨 벨트(7b)를 제 3 가이드 부재(60)의 가이드재(65)에 설치된 슬릿(67)에 넣는다. 그리고, 슬릿(67)을 통하여 가이드재(65)의 통과 공간(66) 내로 어깨 벨트(7b)를 유도한다. 이와 같이 해서,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가 허리 벨트(7a) 및 어깨 벨트(7b)의 양쪽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 3 가이드 부재(60)가 어깨 벨트(7b)를 더 유지하게 된다. 이상의 작업에 의해, 차량에 장비된 시트 벨트(7)를 이용해서 애완동물 수용구(10)를 차량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작업과 반대의 수순을 밟는 것에 의해, 애완동물 수용구(10)를 차량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다음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가 가로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되며, 시트 벨트(7)의 허리 벨트(7a) 및 어깨 벨트(7b)의 양쪽을 유지하게 된다. 하나의 긴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는 것과 비교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시트 벨트(7)를 가이드 부재(50, 55)에 통과시키는 작업을 대폭적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시트 벨트(7)의 허리 벨트(7a) 및 어깨 벨트(7b)의 양쪽을 유지하는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와는 별도로, 어깨 벨트(7b)를 지지하는 제 3 가이드 부재(6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 가이드 부재(50, 55)를 적절한 위치에 높은 자유도로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애완동물 수용구(10)를 절첩한 상태에서,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를 노출시킬 수 있다. 즉, 절첩된 상태의 애완동물 수용구(10)를 좁은 차량 내에 가지고 들어가서 좌석(5)의 시트부(5a) 위에 배치하고, 또한 절첩된 상태의 애완동물 수용구(10)에 대하여, 시트 벨트(7)의 허리 벨트(7a) 및 어깨 벨트(7b)를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에 통과시키는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후에, 차량 내에서 애완동물 수용구(10)를 전개하여 펼치고, 제 3 가이드 부재(60)에 어깨 벨트(7b)를 통과시키는 작업을 행하면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한정된 차량 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면서, 시트 벨트(7)를 이용해서 애완동물 수용구(10)를 차량의 좌석(5)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부착 작업과 반대의 수순을 밟는 것에 의해, 한정된 차량 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면서, 애완동물 수용구(10)를 차량의 좌석(5)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도 13에 도시된 종래의 애완동물 수용구(90)에서는, 시트 벨트(97)가 후벽부(91)와 스트랩(92) 사이를 통과하고 있다. 따라서, 시트 벨트의 부착 또는 분리 작업 시에, 후벽부(91)가 세워 올려진 상태, 즉 애완동물 수용구(90)가 좌석(95)의 시트부(95a) 위에서 전개된 상태로 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도 13에 도시된 애완동물 수용구(90)를 좌석(95)에 부착할 때 또는 좌석(95)으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애완동물 수용구(90)와 좌석(95)의 등받이부(95b) 사이의 매우 좁은 간극에서 시트 벨트(95)를 취급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애완동물 수용구(90)와 비교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애완동물 수용구(10)는, 차량에의 부착 작업 및 차량으로부터의 분리 작업을 비약적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는 각각 바닥 패널(36)에 부착되어 있다. 즉, 바닥 패널(36)에 부착된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가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으로 뻗어나와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충돌 시와 같이 차량의 급감속 시에는, 애완동물 수용구(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관성력이 작용한다. 이때, 시트 벨트(7)를 유지한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에는 후방으로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한다. 즉, 바닥 패널(36)에 부착된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에는, 바닥 패널(36)에 대하여 후방으로 시프팅되는 힘(전단력)이 작용하여, 바닥 패널(36)의 법선 방향을 따른 힘(박리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의 부착 상태는 안정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는 기대된 기능을 안정적으로 계속해서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를 바닥 패널(36)에 부착하기 위한 솔기(53,58)의 적어도 일부분(53a, 58a)이, 전방 패널(38) 및 후방 패널(39)을 잇는 방향, 즉 전후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를 바닥 패널(36)에 부착하기 위한 솔기(53,58)의 적어도 일부분(53a, 58a)은, 차량의 급감속 시에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에 시트 벨트(7)를 통하여 가해지는 힘의 방향과 일치한다. 이 때문에,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의 부착 상태는 보다 안정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는 기대된 기능을 안정적으로 계속해서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3 가이드 부재(60)는 상부 패널(37)에 부착되어 있다. 즉, 상부 패널(37)에 부착된 제 3 가이드 부재(60)가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으로 뻗어나와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충돌 시와 같이 차량의 급감속 시에는, 애완동물 수용구(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관성력이 작용한다. 이때, 시트 벨트(7)를 유지한 제 3 가이드 부재(60)에는 후방으로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한다. 즉, 상부 패널(37)에 부착된 제 3 가이드 부재(60)에는, 상부 패널(37)에 대하여 후방으로 시프팅되는 힘(전단력)이 작용하여, 상부 패널(37)의 법선 방향을 따른 힘(박리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3 가이드 부재(60)의 부착 상태는 안정된다. 이것에 의해, 제 3 가이드 부재(60)는 기대된 기능을 안정적으로 계속해서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3 가이드 부재(60)를 상부 패널(37)에 부착하기 위한 솔기(63)의 적어도 일부분(63a)이, 전방 패널(38) 및 후방 패널(39)을 잇는 방향, 즉 전후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 3 가이드 부재(60)를 상부 패널(37)에 부착하기 위한 솔기(63)의 적어도 일부분(63a)은, 차량의 급감속 시에 시트 벨트(7)를 통하여 제 3 가이드 부재(6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과 일치한다. 이 때문에, 제 3 가이드 부재(60)의 부착 상태는 보다 안정된다. 이것에 의해, 제 3 가이드 부재(60)는 기대된 기능을 안정적으로 계속해서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3 가이드 부재(60)는, 수용구 본체(20)에 부착된 벨트재(61)와, 벨트재(61)에 파지된 가이드재(65)를 갖고 있다. 가이드재(65)는, 어깨 벨트(7b)가 통과 가능한 통과 공간(66)을 구획 형성하며, 또한 통과 공간(66)으로 통하는 슬릿(67)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제 3 가이드 부재(60)에 따르면, 허리 벨트(7a) 및 어깨 벨트(7b)가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를 통과한 상태에 있어서, 제 3 가이드 부재(60)의 가이드재(65)의 통과 공간(66)에 어깨 벨트(7b)를 용이하게 통과시키거나 혹은 통과 공간(66)으로부터 어깨 벨트(7b)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좌석(5)에의 애완동물 수용구(10)의 부착 및 차량의 좌석(5)으로부터의 애완동물 수용구(10)의 분리를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차량의 급감속 시, 예를 들면 차량의 충돌 시에는 애완동물 수용구 및 애완동물 수용구 내에 수용된 애완동물에게 관성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차량의 급감속 시, 예를 들면 차량의 충돌 시에 애완동물 수용구는 차량 내에서 변형 또는 이동하려고 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애완동물 수용구는 전후 방향(차량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으로 이동 또는 뻗어나온다. 특히, 도 14에 도시된 종래의 애완동물 수용구(90)에서는 시트 벨트(95)가 후벽부(91)와 스트랩(92) 사이를 통과해 있다. 그리고, 스트랩(92)은, 그 상단(92a) 및 하단(92b)의 사이에 있어서, 후벽부(91)로부터 이간하여 후벽부(91)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도 14의 종래의 애완동물 수용구(90)에서는, 차량의 급감속 시에 스트랩(92)이 후벽부(91)로부터 이간해서 전후 방향으로 크게 뻗어나오게 된다. 스트랩(92)의 변형에 수반하여, 애완동물 수용구(90)는 높이 방향으로 찌부러져서 전방에의 변형량이 보다 커진다. 또한, 스트랩(92)과 후벽부(91) 사이에 있어서, 시트 벨트(97)는 충분히 구속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시트 벨트(97)에 의하여, 애완동물 수용구(90)의 좌석(95) 위에서의 이동을 충분히 규제할 수 없다.
애완동물 수용구(90)가 전방으로 크게 이동 또는 변형하면, 애완동물 수용구(90) 및 당해 애완동물 수용구(90) 내의 애완동물이 사람이나 차량의 각 부위에 부딪혀 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즉, 애완동물 수용구에 의하여 본래 해결되어야 할 과제가, 종래의 애완동물 수용구(90)에서는 유효하게 해결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좌석(5)의 등받이부(5b)에 대면하게 되는 후방 패널(39)에 금속제 보강재(75)가 지지되어 있다. 즉, 금속제 보강재(75)에 의하여 후방 패널(39)의 변형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특히, 금속제 보강재(75)에 의하여, 애완동물 수용구(10)가 높이 방향으로 찌부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급감속 시, 예를 들면 차량의 충돌 시에 애완동물 수용구(10)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애완동물 수용구(90) 및 당해 애완동물 수용구(90) 내의 애완동물이, 차량의 급감속 시에 차량 내의 사람이나 차량의 각 부위에 부딪혀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제 보강재(75)는 후방 패널(39)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급감속 시 등에, 금속제 보강재(75)가 차량 내의 사람이나 애완동물 수용구(10) 내의 애완동물에게 부딪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가 가로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되며, 시트 벨트(7)의 허리 벨트(7a) 및 어깨 벨트(7b)의 양쪽을 유지한다. 따라서,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시트 벨트(7)의 허리 벨트(7a) 및 어깨 벨트(7b)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시트 벨트(7)를 이용해서 애완동물 수용구(10)를 차량의 좌석(5)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긴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는 것과 비교해서, 시트 벨트를 가이드 부재에 통과시키는 작업을 대폭적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부가해서, 시트 벨트(7)의 허리 벨트(7a) 및 어깨 벨트(7b)의 양쪽을 유지하는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와는 별도로, 어깨 벨트(7b)만을 지지하는 제 3 가이드 부재(6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 가이드 부재(50, 55, 60)가 안정적으로 시트 벨트(7)를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시트 벨트(7)를 이용해서 애완동물 수용구(10)를 차량의 좌석(5)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속제 보강재(75)는, 적어도 가로 방향에 있어서 제 1 가이드 부재(50)와 제 2 가이드 부재(55) 사이가 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또한 적어도 제 1 가이드 부재(50) 및 제 2 가이드 부재(55)보다도 위쪽이며 제 3 가이드 부재(60)보다도 아래쪽이 되는 영역에 위치해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속제 보강재(75)에 의하여 가이드 부재(50, 55, 60)가 소정의 상대 위치 관계로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시트 벨트(7)를 이용해서 애완동물 수용구(10)를 차량의 좌석(5)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차량의 급감속 시 등에 있어서의 애완동물 수용구(10)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속제 보강재(75)는 사각형 형상의 윤곽을 따라 연장되는 금속봉이다. 이와 같은 금속제 보강재(75)는 경량이며 고강성이다. 따라서, 차량의 급감속 시에 있어서의, 애완동물 수용구(10)에 가해지는 관성력을 크게 증대시키지 않고, 애완동물 수용구(10)의 이동 및 변형을 유효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속제 보강재(75)는, 후방 패널(39)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가로 방향보다도 높이 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금속제 보강재(75)는, 중량화를 회피하면서 차량의 급감속 시 등에 애완동물 수용구(10)가 높이 방향으로 찌부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급감속 시에 있어서의, 애완동물 수용구(10)에 가해지는 관성력을 크게 증대시키지 않아, 애완동물 수용구(10)의 이동 및 변형을 유효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속제 보강재(75)는, 후방 패널(39)의 직물 형상재(32)의 좌석(5)의 등받이부(5b)에 대면하는 측에 형성된 지지부(40)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애완동물 수용구(10)에 따르면, 금속제 보강재(75)가 애완동물 수용구(10) 내에 수용된 애완동물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부(40)는 가로 방향으로 개구된 포켓이다. 이와 같은 지지부(40)에 따르면, 차량의 급감속 시 등에, 애완동물 수용구(10)를 높이 방향으로 찌부러뜨리는 바와 같은 힘이 가해졌다고 해도, 금속제 보강재(75)가 당해 지지부(40)로부터 의도치 않게 빠져나와 탈락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즉, 이 지지부(40)에 따르면, 금속제 보강재(75)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금속제 보강재(75)가 기대된 작용 효과를 안정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도시하는 일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밖에도 다양한 태양으로 실시 가능하다.

Claims (20)

  1. 차량의 시트 벨트를 이용해서 당해 차량의 좌석 위에 부착되는 절첩(折疊) 가능한 애완동물 수용구로서,
    대향해서 배치된 바닥 패널 및 상부 패널과, 상기 바닥 패널 및 상기 상부 패널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전방 패널 및 후방 패널을 요동(搖動) 가능하게 접속하는 것에 의하여 통(筒) 형상으로 형성된 통 형상체를 포함하는 수용구 본체와,
    상기 통 형상체에 부착된 제 1 가이드 부재, 제 2 가이드 부재 및 제 3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는, 가로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되며, 또한 상기 시트 벨트의 허리 벨트 및 어깨 벨트의 양쪽을 유지하게 되고,
    상기 제 3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의 사이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시트 벨트의 상기 어깨 벨트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 3 가이드 부재는, 상기 수용구 본체로부터 후방으로 뻗어 나오고, 상기 시트 벨트의 상기 허리 벨트 및 상기 어깨 벨트를 상기 수용구 본체의 후방에서 유지하는, 애완동물 수용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는, 각각, 상기 바닥 패널에 부착되어 있는 애완동물 수용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는, 각각, 상기 바닥 패널에 꿰매어 붙여지는 것에 의하여, 당해 바닥 패널에 부착되고,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를 상기 바닥 패널에 부착하기 위한 솔기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전방 패널 및 상기 후방 패널을 잇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애완동물 수용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가이드 부재는, 상기 상부 패널에 부착되어 있는 애완동물 수용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가이드 부재는, 상기 상부 패널에 꿰매어 붙여지는 것에 의하여, 당해 상부 패널에 부착되고,
    상기 제 3 가이드 부재를 상기 상부 패널에 부착하기 위한 솔기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전방 패널 및 상기 후방 패널을 잇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애완동물 수용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가이드 부재는, 상기 수용구 본체에 부착된 벨트재와, 상기 벨트재에 유지된 가이드재를 갖고,
    상기 가이드재는, 상기 어깨 벨트가 통과 가능한 통과 공간을 구획 형성하며, 또한 상기 통과 공간으로 통하는 슬릿을 갖고,
    상기 어깨 벨트는, 상기 슬릿을 통하여, 상기 통과 공간에 도입되게 되는 애완동물 수용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가 노출되도록, 절첩 가능한 애완동물 수용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패널과 상기 전방 패널이 중첩되며 또한 상기 상부 패널과 상기 후방 패널이 중첩하도록 각 패널이 상대 요동하고, 다음으로, 중첩된 상기 바닥 패널 및 상기 전방 패널과, 중첩된 상기 상부 패널과 상기 후방 패널이, 중첩하도록 각 패널이 상대 요동하는 것에 의하여, 절첩 가능한 애완동물 수용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구 본체는, 상기 통 형상체의 개구를 폐색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측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 패널, 상기 상부 패널, 상기 전방 패널 및 상기 후방 패널은, 장방형의 4개의 모서리를 모따기해서 이루어지는 평면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개구를 구획 형성하는 상기 통 형상체의 단부 가장자리는, 각 패널의 모따기된 부분을 포함해서 구획 형성되고,
    각 측벽부는, 상기 모따기된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통 형상체의 상기 단부 가장자리에 접속된 직물 형상재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수용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패널에 지지된 금속제 보강재를 더 구비하는 애완동물 수용구.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보강재는, 적어도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 사이가 되는 영역에 위치하며, 또한 적어도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보다도 위쪽이며 상기 제 3 가이드 부재보다도 아래쪽이 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애완동물 수용구.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보강재는, 사각형 형상의 윤곽을 따라 연장되는 금속봉인 애완동물 수용구.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보강재는, 상기 후방 패널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가로 방향보다도 높이 방향으로 긴 애완동물 수용구.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패널은, 프레임체와, 프레임체에 지지된 직물 형상재를 갖고,
    상기 금속제 보강재는, 상기 직물 형상재의 상기 좌석의 등받이부에 대면하는 측에 형성된 지지부에 지지되어 있는 애완동물 수용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가로 방향으로 개구된 포켓인 애완동물 수용구.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40148113A 2013-11-15 2014-10-29 애완동물 수용구 KR1024472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37365 2013-11-15
JP2013237365A JP6338844B2 (ja) 2013-11-15 2013-11-15 ペット収容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456A KR20150056456A (ko) 2015-05-26
KR102447232B1 true KR102447232B1 (ko) 2022-09-26

Family

ID=52761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113A KR102447232B1 (ko) 2013-11-15 2014-10-29 애완동물 수용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38844B2 (ko)
KR (1) KR102447232B1 (ko)
CN (1) CN204232052U (ko)
HK (1) HK1198570A2 (ko)
TW (1) TWI6457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1900B2 (en) * 2015-06-04 2017-10-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et transport
DE202016001627U1 (de) * 2016-03-11 2016-05-23 Brüggli Wandelement für einen Tierkäfig
JP6615659B2 (ja) * 2016-03-16 2019-12-04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ペット囲い支持具
JP6755710B2 (ja) * 2016-05-19 2020-09-16 コンビ株式会社 固定具
SE541363C2 (en) * 2016-11-18 2019-08-20 Mim Construction Ab Pet protective transport arrangement
KR102297091B1 (ko) * 2020-06-10 2021-09-02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애완동물용 유모차
TWI773531B (zh) * 2021-09-16 2022-08-01 楊永權 寵物用乘車安全裝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8173A1 (en) * 2004-02-06 2006-12-14 Ken Kamijo Pet storage box fixing structure, pet storage box, and connect device
US20100000472A1 (en) * 2008-07-03 2010-01-07 Tibor Siklosi Seat belt loop system for a pet carrier
US20100139573A1 (en) 2008-12-10 2010-06-10 Wilson Randy R Pet carrier strapping system
JP2010263890A (ja) 2009-05-12 2010-11-25 Tk Holdings Inc 運搬装置
US20110197823A1 (en) * 2010-02-18 2011-08-18 Sea Glass, Inc. Portable, bedside-mountable, pet bed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1434A (en) * 1988-08-11 1990-07-17 Phillip Ellwanger Quick connect retaining leash
JP4006418B2 (ja) * 2004-06-14 2007-11-14 シーケー販売株式会社 ペット収納ボックス
JP4773082B2 (ja) * 2004-12-20 2011-09-14 シーケー販売株式会社 ペット収納ボックス及びその車両固定構造
JP3115037U (ja) * 2005-07-22 2005-11-04 リーマン株式会社 ペット用車載キャリー
CN201015346Y (zh) * 2006-12-27 2008-02-06 卢孔知 带栅网拉链的改进型可折叠式宠物笼
TWM430837U (en) * 2012-02-17 2012-06-11 Ye Bao-Yue Li Portable pet ba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8173A1 (en) * 2004-02-06 2006-12-14 Ken Kamijo Pet storage box fixing structure, pet storage box, and connect device
US20100000472A1 (en) * 2008-07-03 2010-01-07 Tibor Siklosi Seat belt loop system for a pet carrier
US20100139573A1 (en) 2008-12-10 2010-06-10 Wilson Randy R Pet carrier strapping system
JP2010263890A (ja) 2009-05-12 2010-11-25 Tk Holdings Inc 運搬装置
US20110197823A1 (en) * 2010-02-18 2011-08-18 Sea Glass, Inc. Portable, bedside-mountable, pet bed apparatu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유투브 영상 ‘Pet Gear All-in-One - Dog Booster Seat, Dog Carrier & Dog Car Seat - Awesome!’(https://www.youtube.com/watch?v=urSX52RusQc, 2011.06.09. 공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456A (ko) 2015-05-26
JP2015096052A (ja) 2015-05-21
TW201524344A (zh) 2015-07-01
TWI645776B (zh) 2019-01-01
JP6338844B2 (ja) 2018-06-06
CN204232052U (zh) 2015-04-01
HK1198570A2 (en) 201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7232B1 (ko) 애완동물 수용구
JP4852115B2 (ja) 車両用カーゴネット
US9609845B2 (en) Portable pet carrier restraint system
US20190380299A1 (en) Selectively deployable pet carrier attachable to a seat in a vehicle
US20100288204A1 (en) Vehicle pet restraint system
EP1944206A1 (en) Vehicle seatbelt
EP1671539A1 (en) Pet storage box fixing structure, pet storage box, and connection device
JP6755710B2 (ja) 固定具
JP6333543B2 (ja) ペット収容具
JP6341431B2 (ja) シート装置
JP4596067B2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JP5929700B2 (ja) 車両用シート
JP4452231B2 (ja) ペットシートカバー
JP4172480B2 (ja) 車両用シートカバー
JP7130566B2 (ja) 乗物用内装材のポケット構造
JP4235956B2 (ja) 車両用シートカバー
WO2023084617A1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6283951B2 (ja) 乗物用シート
JP2007268076A (ja) 子守帯
JP6533563B2 (ja) 車体構造
JP3240503U (ja) ペットキャリーバッグ
JP2011168074A (ja) 車両用シート
US20230165214A1 (en) Pet safety bag for vehicle
JP5026722B2 (ja) 子守帯
JP6933681B2 (ja) 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