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156B1 -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156B1
KR101187156B1 KR1020120013799A KR20120013799A KR101187156B1 KR 101187156 B1 KR101187156 B1 KR 101187156B1 KR 1020120013799 A KR1020120013799 A KR 1020120013799A KR 20120013799 A KR20120013799 A KR 20120013799A KR 101187156 B1 KR101187156 B1 KR 101187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waist circumference
guide rail
slid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명석
문현태
Original Assignee
문현태
유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11429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8715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문현태, 유명석 filed Critical 문현태
Priority to KR1020120013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14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소형으로 제작되어 주로 바지, 스커트 등의 허릿단 부분에 부착되어 허리둘레선의 길이를 일정 범위 내에서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허리둘레선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허리둘레선 조저장치는 의류 허릿단 부분의 한 곳 또는 좌우 2 곳이 분리되게 절개 형성된 내측 허릿단과 외측 허릿단의 중첩부에 설치되는 되는 것으로, 이는 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래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내측 허릿단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재봉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외측 허릿단의 내면에 부착되며, 상단의 일측으로 승강가이드가 돌출 형성된 부착 몸체와, 상기 가이드레일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와 직교하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승강가이드가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부착몸체에 결합된 래치하우징과,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래치돌기가 하부 양측에 중 어느 한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서 상부로 탄발되는 코일스프링이 끼워지는 스터드가 상기 하부에 형성되며 상단부에 형성된 승강안내구가 상기 승강가이드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가이드레일의 래치홈에 상기 래치돌기가 걸리는 래치플레이트로 구성된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허리둘레선 조절장치{An adjuster of the waist circumference line}
본 발명은 허리둘레선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으로 제작되어 주로 바지, 스커트 등의 허릿단 부분에 부착되어 허리둘레선의 길이를 일정 범위 내에서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허리둘레선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체에 착용하는 바지, 스커트 등의 하의는 사이즈가 고정된 상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자신의 체형보다 약간큰 사이즈의 하의를 구입하는 것이 보편적이나 이로 인해 옷맵시가 떨어지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성장속도가 빠른 청소년의 경우에는 자신의 늘어난 허리 사이즈에 맞는 하의를 새롭게 구입하거나 수선을 의뢰하여 하의의 허릿단 사이즈를 최대한 늘려서 착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 허리둘레선, 소위 허릿단의 길이를 조절하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허리둘레선의 길이 조절에 사용하는 조절장치는 특허 제10-060070호의 공보에 기재된 것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위 특허문헌에 개시된 허리둘레 조절구는 "바지의 허릿단이 적어도 한곳 이상 분리되게 절개되어 형성되는 내/외측 중첩부에 설치되어 허리둘레를 조절하게 되는 허리둘레 조절구에서, 상기 내측 중첩부에 횡 방향으로 재봉되되 상면에 래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중첩부와 면접하게 되는 일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제1삽입부가 마련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탄지 결합되어 상기 래치부에 걸림 고정되는 누름편과,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외측 중첩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조절구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허리둘레 조절구의 위치고정수단은 누름편이 이동부재의 일측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탄지 결합되어 있어 부피가 커서 의류의 허릿단에 실제 부착하여 해당 의류를 착용 시 위치고정수단이 허리부분을 크게 압박하여 해당 의류의 착용감이 불편하였다. 또한, 누름편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래치부에 래치된 걸림부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어서 해당 허리둘레 조절구가 부착된 의류를 착용한 상태에서 허리를 구부린다던가 하는 신체의 움직임에 의해 누름편이 눌러져 허리둘레선의 조정상태가 제대로 유지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60070호(2011. 08. 22.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측 허릿단의 단부 외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이 삽입되고, 외측 허릿단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의 크기를 초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갖는 허리둘레선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의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따라 하의 허리둘레선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외측 허릿단의 단부 내면에 부착된 가이드레일을 견고하게 래치하도록 구성된 래치플레이트의 구조를 갖는 허리둘레선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의류 허릿단 부분의 한 곳 또는 좌우 2 곳이 분리되게 절개 형성된 내측 허릿단과 외측 허릿단의 중첩부에 설치되는 허리둘레선 조절장치에 있어서, 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래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내측 허릿단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재봉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외측 허릿단의 내면에 부착되며, 상단의 일측으로 승강가이드가 돌출 형성된 부착 몸체와, 상기 가이드레일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와 직교하는 수직방향으로 래치가이드가 형성된 래치하우징과,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래치돌기(latch swelling)가 하부 양측에 중 어느 한 부분에 형성되고, 코일스프링이 끼워지는 스터드(stud)가 상기 하부에 형성되며 상단부에 형성된 승강안내구가 상기 승강가이드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가이드레일의 래치홈에 상기 래치돌기가 걸리는 래치플레이트로 구성된 슬라이더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더의 부착몸체와 래치하우징은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착몸체에는 상부와 하부에 두 개의 핀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허릿단의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결합파스너의 양단부가 상기 두 개의 핀구멍에 끼워져 눌려졌을 때 상기 내측 허릿단의 내면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치플레이트의 상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누름편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허리둘레선 조절장치는 허릿단의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는 슬라이더의 폭을 좁게 만들 수 있어 허리둘레선 조절장치의 크기를 대폭 축소할 수 있어 제작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고, 의류에 부착하여 착용 시 의류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허리둘레선 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허리둘레선 조절장치의 조립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로서, 슬라이더에 결합된 래치플레이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둘레선 조절장치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B-B선 단면도로서, 이는 의류의 허릿단에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허리둘레선 조절장치(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의 허릿단이 적어도 한곳 이상 분리되게 절개된 내측 허릿단(W1)의 외면과 외측 허릿단(W2)의 내면에 서로 중첩되도록 부착 설치된다. 허리둘레선 조절장치(10)가 부착되는 바지의 구조에 대하여서는 위 특허문헌을 참조 바란다.
도 1과 같이 구성된 허레둘레선 조절장치(10)의 가이드레일(20)의 양단부는 내측 허릿단(W1)의 외면에 재봉으로 부착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0)은 재봉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로 제조하는 것이 좋다. 상기 가이드레일(20)은 하단에는 홈형상의 래치홈(22)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레일 스트랩(Rail strap)(21)를 구성한다. 상기 슬라이더(30)는 외측 허릿단(W2)의 내면에 고정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외측 허릿단(W2)의 내면에 부착된 슬라이더(30)는 내측 허릿단(W1)의 외면에 부착된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좌우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30)는 상기 외측 허릿단(W2)의 내면에 부착되는 부착몸체(60)와, 상기 가이드레일(20)이 수평한 방향으로 관통 삽입될 삽입구(31)가 형성되어 상기 부착몸체(60)에 결합된 상기 래치하우징(35)과, 상기 래치하우징(35)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구(31)에 끼워진 가이드레일(20)을 래치하여 움직임을 방지하는 래치플레이트(4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래치하우징(3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상단에는 간격을 유지키 위한 돌부(32)가 전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양측에는 삽입구(31)가 형성되어 수직한 방향으로 가이드부(35a)를 형성한다. 또한, 래치하우징(35)의 하단에는 스프링지지부(33)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스프링지지부(33)는 도 2와 같이 전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신장되어 도 1과 같이 상부로 절곡된 형상으로 만들어지며, 삽입구(31)의 일측면에는 플레이지 지지부(34)가 절곡되어 그 내부를 일정 깊이를 갖는 가이드부(35a)를 형성한다.
상기 래치하우징(35)에 결합된 부착몸체(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2개의 핀구멍(61)이 형성된 부착판(65)과 상기 부착판(65)의 상부와 하부에서 전방향으로 절곡된 상부판(62) 및 하부판(67), 상기 상부판(62)의 중앙부분에서 전방향으로 돌출된 승강가이드(64), 상기 상부판(62) 및 하부판(67)의 양단부에서 전방향으로 돌출된 결합편(63, 6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판(62)의 결합편(66)과 하부판(67)의 결합편(66)은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하우징(35)의 가이드부(35a)의 내면으로 절곡되어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부착몸체(60)의 상부판(62)과 그 중앙 부분에서 전방향으로 돌출된 승강가이드(64)의 총 길이는 래치하우징(35)의 가이드부(35a)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몸체(60)에 래치하우징(35)이 결합되는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수지를 이용하여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결합편(63, 66)의 구성을 없앨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래치플레이트(42)는 상기 래치하우징(35)내의 가이드부(35a)의 수직 길이보다 더 긴 길게 형성된다. 이때, 래치플레이트(41)는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래치돌기(latch swelling)(43)가 하부 양단부에 중 어느 한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래치플레이트(41)의 하단중앙부분에는 일정 길이로 돌출된 스터드(44)가 형성되며, 하부 양단부 중 래치돌기(43)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승강가이드 플레이트(4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플레이트(41)의 상부 중앙에는 부착몸체(60)의 상부판(62)에 형성된 승강가이드(64)에 결합되는 승강안내구(42)가 형성되며, 상단에는 누름을 용이하게 하는 누름편(45)이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래치플레이트(41)는, 하부의 스터드(44)에 끼워진 코일스프링(50)의 아랫부분이 래치하우징(35)의 스프링지지부(33)에 안착되면서 상부의 승강안내구(42)가 상기 부착몸체(60)의 승강가이드(64)에 결합되도록 조립된다. 이때, 상기 래치플레이트(41)의 후면은 돌부(32)에 맞닿음으로서 상기 래치플레이트(35)와 부착몸체(60)간은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다.
한편, 내측 허릿단(W1)에는 가이드레일(2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려주는 덮개천(8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덮개천(80)은 가이드레일(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치되고 그 양단이 재봉되어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슬라이더(30)의 부착판(65)과 래치하우징(35)의 사이에는 덮개천(80)의 이동통로 역할을 하는 통로(90)가 형성되어 덮개천(80)이 슬라이더(30)의 왕복이동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30)가 가이드레일(20)과 덮개천(8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덮개천(80)은 내측 허릿단(W1)과 동일한 재질 및 색상의 옷감으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볼 때 상기 가이드레일(20)을 은폐시켜주게 된다.
도 1과 같은 구성을 갖는 허리둘레선 조절장치(10)의 슬라이더(30)가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과정을 도 3a,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래치플레이트(41)가 래치하우징(35)에 결합된 상태는 도 3a와 같다. 즉, 가이드레일(20)이 래치하우징(35)의 삽입구(31)에 삽입된 상태는 코일스프링(50)의 탄발력, 즉, 팽창에 의해 래치플레이트(41)가 래치하우징(30)의 가이드부(35a)의 윗 부분으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래치플레이트(41)의 하부의 중앙부분에서 아랫부분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래치돌기(43)의 상단은 가이드레일(20)의 래치홈(22)에 결합되어 슬라이더(30)는 가이드레일(20)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슬라이더(30)을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가이드레일(20)의 래치홈(22)들 사이에 형성된 돌기가 경사진 래치돌기(43)의 표면을 따라 내려감으로써 슬라이더(30)는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동이 멈추어지면, 래치플레이트(41)의 하단 중앙부에 설치된 스프링(50)의 탄성에 의해 래치플레이트(41)가 상부로 올라감으로써 래치돌기(43)가 가이드레일(20)의 래치홈(22)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여 슬라이더(30)의 이동을 방지한다.
상기 래치플레이트(41)의 상단부에 형성된 누름편(45)을 압입하여 아랫방향으로 누르면, 래치플레이트(41)의 승강안내구(42)가 부착몸체(60)에 형성된 승강가이드(64)를 따라 아랫방향으로 눌려지고 이로 인하여 가이드레일(20)의 래치홈(22)에 걸어진(latched) 래치돌기(43)가 상기 래치홈(22)로부터 도 3b와 같이 벗어난다. 따라서 래치플레이트(35)의 누름편(45)을 압입하는 경우 후에 슬라이더(30)의 위치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허리둘레선 조절장치(10)는 슬라이더(30)의 삽입구(31)에 가이드레일(20)이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의류의 허릿단에 부착된다. 즉, 도 1과 같은 슬라이더(30)의 삽입구(31)에 끼워진 가이드레일(20)의 양측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허릿단(W1)의 외면에 재봉되어 부착된다. 이때 가이드레일(20)의 양단부 아랫부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의 직물을 덧붙어 내측 허릿단(W1)의 외면에 재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슬라이더(30)의 부착몸체(60)의 표면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허릿단(W2)의 내면에 밀착시킨 후, 결합파스너(70)의 양단부에서 절곡 형성된 핀을 상기 부착몸체(60)의 핀구멍(61)의 내부로 밀어 넣고 압축하면, 상기 핀이 부착몸체(60)의 내부로 휘어져 들어가면서 상기 슬라이더(30)를 외측 허릿단(W2)의 내면에 부착시킨다.
도 5와 같이 내측 허릿단(W1)의 외면과 외측 허릿단(W2)의 내면에 허리둘레선 조절장치(10)가 부착된 상태에서, 허리둘레를 조절하기 위하여 슬라이더(30)의 래치플레이트(41)의 누름편(45)을 누르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플레이트(41)의 래치돌기(43)가 가이드레일(20)의 래치홈(22)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슬라이더(30)을 도 3a 또는 도 3b의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20)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시키면, 의류의 허리둘레선의 길이가 조절된다. 의류의 허리둘레선의 길이를 조절한 후, 래치플레이트(41)의 누름편(45)을 놓으면, 래치플레이트(41)의 래치돌기(43)가 가이드레일(20)의 래치홈(22)에 걸려 조절된 허리둘레선의 상태를 고정시켜 유지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둘레선 조절장치(10)를 의류의 일측에 설치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바지와 같은 경우 상기 허리둘레선 조절장치(30)는 바지의 양측 주머니단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레일(20)이 내측 허릿단(W1)의 외면에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더(30)가 내측 허릿단(W1)의 외면에 설치한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그 반대의 경우로 설치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허리둘레선 조절장치(30)는, 바지에 설치된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스커트 등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20 가이드레일, 21 레일스트랩, 22 래치홈, 30 슬라이더, 31 삽입구, 32 돌부, 33 스프링지지부, 34 플레이트지지부, 41 래치플레이트, 42 승강안내구, 43 래치돌기, 44 스터드, 45 누름편, 46 승강가이드플레이트, 50 스프링, 60 부착몸체, 61 핀구멍, 62 상부판, 63, 66 결합편, 64 승강가이드, 65 부착판, 67 하부판, 70 결합파스너, 80 덮개천

Claims (4)

  1. 의류 허릿단 부분의 한 곳 또는 좌우 2 곳이 분리되게 절개 형성된 내측 허릿단과 외측 허릿단의 중첩부에 설치되는 허리둘레선 조절장치에 있어서, 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래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내측 허릿단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재봉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외측 허릿단의 내면에 부착되며, 상단의 일측으로 승강가이드가 돌출 형성된 부착 몸체와, 상기 가이드레일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와 직교하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승강가이드가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부착몸체에 결합된 래치하우징과,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래치돌기가 하부 양측에 중 어느 한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서 상부로 탄발되는 코일스프링이 끼워지는 스터드가 상기 하부에 형성되며 상단부에 형성된 승강안내구가 상기 승강가이드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가이드레일의 래치홈에 상기 래치돌기가 걸리는 래치플레이트로 구성된 슬라이더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부착몸체에는 상하로 2개의 핀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래치하우징의 일측면과 일정한 간격을 갖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래치하우징의 일측면에 결합된 부착판이 구비되며, 상기 부착판의 핀구멍들에는 상기 외측 허릿단의 외면으로부터 끼워지는 결합파스너가 결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치플레이트의 상단부에는 누름편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부착몸체와 래치하우징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KR1020120013799A 2012-02-10 2012-02-10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KR101187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799A KR101187156B1 (ko) 2012-02-10 2012-02-10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799A KR101187156B1 (ko) 2012-02-10 2012-02-10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7156B1 true KR101187156B1 (ko) 2012-09-28

Family

ID=47114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799A KR101187156B1 (ko) 2012-02-10 2012-02-10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15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247B1 (ko) 2013-03-18 2013-07-05 백인선 간격 조절장치
KR101357448B1 (ko) 2012-06-21 2014-02-04 문현태 의류의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KR101384879B1 (ko) 2012-10-08 2014-04-29 박해오 허리둘레 조절장치
KR101423206B1 (ko) 2014-02-18 2014-07-24 성선경 의복용 허리둘레조절장치
KR101458960B1 (ko) * 2014-06-02 2014-11-07 방종호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
KR101474391B1 (ko) * 2014-07-19 2014-12-23 형배 김 하의용 허리단 치수 조절장치
KR101630186B1 (ko) * 2014-12-30 2016-06-14 백종환 분리형 간격 조절장치
WO2018212433A1 (ko) * 2017-05-15 2018-11-22 정지옹 길이 조절 장치
KR102081381B1 (ko) * 2019-12-27 2020-02-25 정지옹 길이조절이 가능한 착탈형 결합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2122A (ja) 1999-07-16 2001-02-06 Ykk Corp ウエスト調節具
JP2005179791A (ja) 2003-12-16 2005-07-07 Nagai Botan Kk 腰回り長さ調節具
KR100885850B1 (ko) 2008-08-01 2009-02-26 이종태 하의의 허리단 둘레조절장치
KR101060070B1 (ko) 2009-09-15 2011-08-29 박해오 허리둘레 조절구 및 그것이 구비된 바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2122A (ja) 1999-07-16 2001-02-06 Ykk Corp ウエスト調節具
JP2005179791A (ja) 2003-12-16 2005-07-07 Nagai Botan Kk 腰回り長さ調節具
KR100885850B1 (ko) 2008-08-01 2009-02-26 이종태 하의의 허리단 둘레조절장치
KR101060070B1 (ko) 2009-09-15 2011-08-29 박해오 허리둘레 조절구 및 그것이 구비된 바지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448B1 (ko) 2012-06-21 2014-02-04 문현태 의류의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KR101384879B1 (ko) 2012-10-08 2014-04-29 박해오 허리둘레 조절장치
KR101278247B1 (ko) 2013-03-18 2013-07-05 백인선 간격 조절장치
KR101423206B1 (ko) 2014-02-18 2014-07-24 성선경 의복용 허리둘레조절장치
KR101458960B1 (ko) * 2014-06-02 2014-11-07 방종호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
KR101474391B1 (ko) * 2014-07-19 2014-12-23 형배 김 하의용 허리단 치수 조절장치
KR101630186B1 (ko) * 2014-12-30 2016-06-14 백종환 분리형 간격 조절장치
WO2018212433A1 (ko) * 2017-05-15 2018-11-22 정지옹 길이 조절 장치
KR102081381B1 (ko) * 2019-12-27 2020-02-25 정지옹 길이조절이 가능한 착탈형 결합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156B1 (ko)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KR101060070B1 (ko) 허리둘레 조절구 및 그것이 구비된 바지
US9314069B2 (en) Top stop for slider
KR101357448B1 (ko) 의류의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KR200446210Y1 (ko) 탄성 필름을 이용한 마스크의 걸이밴드 조절구
JP3844960B2 (ja) 紐止め具
KR101265161B1 (ko) 허리 사이즈 조절장치
CN110215019B (zh) 锁定位置调整装置
US9351528B2 (en) Garment weight clip
KR20130092212A (ko)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KR20170102775A (ko)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US6256842B1 (en) Hooking device
KR200444929Y1 (ko) 허리 사이즈 조절 액세서리 및 그를 구비한 하의
CN105407751A (zh) 具有使乳房更加靠拢在一起的可逆效果的胸罩
KR200472352Y1 (ko)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KR200473562Y1 (ko) 혁대 버클
KR101717043B1 (ko) 의류 허리 둘레선 조절장치
KR101754922B1 (ko) 길이 조절 장치
US6343384B1 (en) Waist adjusting device
KR102148604B1 (ko) 허리둘레 조절장치
KR20170123302A (ko)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KR101350647B1 (ko) 후크 겸용 컨실드 지퍼
JP5548063B2 (ja) 衣服のウエストサイズ調節具及びそのウエストサイズ調節具を備えた衣服
KR101590931B1 (ko) 의류 허리단 둘레 조절장치 및 그를 포함한 허리단 둘레 조절이 가능한 의류
KR101507115B1 (ko) 사이즈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228

Effective date: 2014112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