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2212A -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2212A
KR20130092212A KR1020120013803A KR20120013803A KR20130092212A KR 20130092212 A KR20130092212 A KR 20130092212A KR 1020120013803 A KR1020120013803 A KR 1020120013803A KR 20120013803 A KR20120013803 A KR 20120013803A KR 20130092212 A KR20130092212 A KR 20130092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latch
plate
housing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명석
문현태
Original Assignee
유명석
문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명석, 문현태 filed Critical 유명석
Priority to KR1020120013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2212A/ko
Publication of KR20130092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2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44B19/30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 A44B19/306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in the form of a locking spring member actuated by the pull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소형으로 제작되어 주로 바지, 스커트 등의 허릿단 부분에 부착되어 허리둘레선의 길이를 일정 범위 내에서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허리둘레선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허리둘레 조절장치는 의류 허리단 부분의 한 곳 또는 좌우 2 곳이 분리되게 절개 형성된 내측 허리단과 외측 허리단의 중첩부에 설치되며, 이는 일정한 간격으로 래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내측 허리단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재봉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이 삽통되는 터널형 삽입통로의 상판과 하판을 관통하는 축을 가지고 상기 외측 허리단의 내면에 부착된 하우징과, 일단에 래치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 형성된 힌지구멍이 상기 축에 결합되어지되 상기 하우징의 삽입통로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래치판과, 상기 축에 결합되어 상기 래치판의 일면을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으로 가압하여 상기 래치돌기를 상기 래치홈에 래치시키는 판스프링과, 상기 상판에 형성된 대각선 방향의 장공을 통해 상기 래치판의 이면에 닿으면서 하판을 관통하여 일측이 피벗 형상으로 고정된 피벗레버를 포함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허리둘레선 조절장치{An adjuster of the waist circumference line}
본 발명은 허리둘레선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으로 제작되어 주로 바지, 스커트 등의 허릿단 부분에 부착되어 허리둘레선의 길이를 일정 범위 내에서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허리둘레선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체에 착용하는 바지, 스커트 등의 하의는 사이즈가 고정된 상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자신의 체형보다 약간큰 사이즈의 하의를 구입하는 것이 보편적이나 이로 인해 옷맵시가 떨어지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성장속도가 빠른 청소년의 경우에는 자신의 늘어난 허리 사이즈에 맞는 하의를 새롭게 구입하거나 수선을 의뢰하여 하의의 허리단 사이즈를 최대한 늘려서 착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 허리둘레선, 소위 허리단의 길이를 조절하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허리둘레선의 길이 조절에 사용하는 조절장치는 특허 제10-060070호의 공보에 기재된 것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위 특허문헌에 개시된 허리둘레 조절구는 "바지의 허리단이 적어도 한곳 이상 분리되게 절개되어 형성되는 내/외측 중첩부에 설치되어 허리둘레를 조절하게 되는 허리둘레 조절구에서, 상기 내측 중첩부에 횡 방향으로 재봉되되 상면에 래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중첩부와 면접하게 되는 일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제1삽입부가 마련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탄지 결합되어 상기 래치부에 걸림 고정되는 누름편과,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외측 중첩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조절구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허리둘레 조절구의 위치고정수단은 누름편이 이동부재의 일측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탄지 결합되어 있어 부피가 커서 의류의 허리단에 실제 부착하여 해당 의류를 착용 시 위치고정수단이 허리부분을 크게 압박하여 해당 의류의 착용감이 불편하였다. 또한, 누름편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래치부에 래치된 걸림부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어서 해당 허리둘레 조절구가 부착된 의류를 착용한 상태에서 허리를 구부린다던가 하는 신체의 움직임에 의해 누름편이 눌러져 허리둘레선의 조정상태가 제대로 유지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60070호(2011. 08. 22.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외측 허리단의 단부 내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이 삽입되고, 내측 허리단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의 크기를 초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갖는 허리둘레선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의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따라 하의 허리둘레선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외측 허리단의 단부 내면에 부착된 가이드레일을 견고하게 래치하도록 구성된 래치판의 구조를 갖는 허리둘레선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의류 허리단 부분의 한 곳 또는 좌우 2 곳이 분리되게 절개 형성된 내측 허리단과 외측 허리단의 중첩부에 설치되는 허리둘레선 조절장치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으로 래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내측 허리단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재봉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이 삽통(揷通)되는 터널형 삽입통로의 상판과 하판을 관통하는 축을 가지고 상기 외측 허리단의 내면에 부착된 하우징과, 일단에 래치돌기(latch swelling)가 형성되고 타측에 형성된 힌지구멍이 상기 축에 결합되어지되 상기 하우징의 삽입통로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래치판(latch plate)과, 상기 축에 결합되어 상기 래치판의 일면을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으로 가압하여 상기 래치돌기를 상기 래치홈에 래치시키는 판스프링과, 상기 상판에 형성된 대각선 방향의 장공을 통해 상기 래치판의 이면에 닿으면서 하판을 관통하여 일측이 피벗 형상으로 고정된 피벗레버를 포함하는 슬라이더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는 상부와 하부에 두 개의 핀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허리단의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결합파스너의 양단부가 상기 두 개의 핀구멍에 끼워져 눌려졌을 때 상기 내측 허리단의 내면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허리둘레선 조절장치는 허리단의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는 슬라이더의 폭을 좁게 만들 수 있어 허리둘레선 조절장치의 크기를 대폭 축소할 수 있어 제작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고, 의류에 부착하여 착용 시 의류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상판에 움직이는 피벗레버의 작동에 의해 래치판의 래치돌기를 가이드레일의 래치홈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어 바지 등에 부착하였을 때 움직임이 많은 활동을 하더라고 조절된 상태를 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허리둘레선 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허리둘레선 조절장치의 조립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허리둘레선 조절장치슬라이더의 횡단면도로서, 작동 전 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둘레선 조절장치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B-B선 단면도로서, 이는 의류의 허릿단에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허리둘레선 조절장치(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의 허리단이 적어도 한곳 이상 분리되게 절개된 내측 허리단(W1)의 외면과 외측 허리단(W2)의 내면에 서로 중첩되도록 부착 설치된다. 허리둘레선 조절장치(10)가 부착되는 바지의 구조에 대하여서는 위 특허문헌을 참조 바란다.
도 1과 같이 구성된 허레둘레선 조절장치(10)의 가이드레일(20)의 양단부는 내측 허리단(W1)의 외면에 재봉으로 부착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0)은 재봉될 수 있도록 수지로 제조하는 것이 좋다. 상기 가이드레일(20)의 하단에는 홈형상의 래치홈(22)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레일 스트랩(Rail strap)(21)이다. 상기 슬라이더(30)는 외측 허리단(W2)의 내면에 고정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외측 허리단(W2)에 부착된 슬라이더(30)는 내측 허리단(W1)의 외면에 부착된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좌우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30)는 일측이 상기 외측 허리단(W2)의 내면에 부착되는 하우징(31)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31)은 상기 가이드레일(20)이 내부로 삽통되도록 터널형의 삽입통로(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31)의 삽입통로(32)의 상판과 하판의 일측부에는 관통된 축구멍(33)이 형성되고, 상기 축구멍(33)에는 축(34)이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1)의 삽입통로(32)의 타측부의 하판에는 피벗축구멍(35)이 형성되고 그 윗부분의 상판에는 모서리로부터 중심부의 대각선방향으로 장공(36)이 형성되어 있다.
피벗레버(37)의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31)의 상판에 형성된 장공(36)을 통하여 하판에 형성된 피벗축구멍(35)에 움직이 가능토록 결합된다. 예를 들면, 피벗레버(37)의 일단부는 상기 피벗축구멍(35)을 관통한 후 이링(E-ring)에 의해 일단부가 하우징(31)의 하판 외부에 결합되거나, 피벗축구멍(35)을 관통한 피벗레버(37)의 일단부를 헤머 등으로 타격하여 단부의 표면적을 확장시켜 피벗축구멍(35)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형성을 갖는 하우징(31)의 삽입통로(32)에는 일측에 래치돌기(42)가 형성되고 타측에 축구멍(41)이 형성된 래치판(40)가 삽입되어 위치된다. 상기 래치판(40)의 타측부분의 중앙부분은 일부가 절개되어 있고, 상기 절개부분에는 판스프링(50)의 축구멍(51)이 맞물려 결합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50)의 일측(52)는 래치판(40)의 표면 위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며, 타측(53)은 하우징(31)의 측벽 내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축(34)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래치판(40)의 이면, 즉, 판스프링(50)의 일측(52)이 닿지 않은 부분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레버(37)에 밀착된다.
도 1과 같은 구성을 갖는 허리둘레선 조절장치(10)의 슬라이더(30)가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과정을 도 3a,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바지의 허리둘레선을 조절하지 않는 경우, 즉, 허리단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는 하우징(31)의 축(34)에 결합된 판스프링(50)이 하우징(50)내의 삽입공간(32)에 위치된 래치판(40)의 표면을 도 3a와 같이 압입하는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래치판(40)의 일단부에 형성된 래치돌기(42)가 삽입공간(32)에 삽입된 가이드레일(20)의 래치홈(22)에 걸러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슬라이더(30)은 화살표방향 D1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즉, 도 4 및 도 5와 같이 슬라이더(30)의 하우징(31)에 삽입되어 통과된 가이드레일(20)의 양단부가 내측 허리단(W1)의 외면에 재봉으로 부착되고, 상기 슬라이더(30)의 하우징(31)의 일측면이 외측 허리단(W2)의 내측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슬라이더(30)은 화상표방향 D1으로 이동되지 않습니다.
바지, 스커트 등의 의류 허리둘레선의 길이를 짧게 조절하기 위하여 슬라이더(30)을 도 3a의 화살표 D2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면, 판스링(50)의 탄발력에 의해 가이드레일(20)의 래치홈(20)에 밀착되어 끼워진 래치돌기(42)는 래치홈(20)의 사이의 스트랩(21)의 표면을 따라 전방향(도면 기준)으로 벌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30)은 가이드레일(2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된다.
슬라이더(30)이 이동이 멈추어지면, 하우징(30)의 축(34)에 결합된 판스프링(50)이 벌어져 일측(53)이 래치판(40)의 일면을 압입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판(40)의 일단부에 형성된 래치돌기(42)가 도 3a와 같이 가이드레일(20)의 래치홈(20)에 걸린다.
길이가 조절된 바지, 스커트 등의 허리둘레선의 길이를 더 길게 또는 짧게 조절하기 위하여 하우징(30)의 삽입통로(32)의 상판에 위치된 피벗레버(37)의 머리 부분을 장공(36)의 전방향으로 밀면, 래치판(40)의 이면은 상기 피벗레버(37)에 닿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향으로 벌어짐으로써 상기 래치판(40)의 일단부에 형성된 래치돌기(42)가 가이드레일(20)의 래치홈(22)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슬라이더(30)를 화살표 D1 또는 D2 방향으로 자유스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내측 허리단(W1)의 외면에 재봉된 가이드레일(20)에 결합되어 일측면 외측 허리단(W2)의 내면에 부착된 슬라이더(30)의 위치를 자유스럽게 이동시켜 바지, 스커트 등의 허리둘레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위와 같은 허리둘레선 조절장치(10)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의 삽입통로(32)에 가이드레일(20)이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의류의 허리단에 부착된다. 즉, 도 1과 같은 슬라이더(30)의 삽입통로(32)에 끼워진 가이드레일(20)은 덮개천(70)에 재봉되어 결합되며, 상기 덮개천(70)의 양단부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허리단(W1)의 외면에 재봉되어 부착된다.
또한, 슬라이더(30)의 하우징(310)의 일측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허리단(W2)의 내면에 밀착시킨 후, 결합파스너(60)의 양단부에서 절곡 형성된 핀을 상기 하우징(31)의 일측면에 형성된 핀구멍(39)의 내부로 밀어 넣어 외측 허리단(W2)의 내면에 부착시킨다. 도 5와 같이 내측 허리단(W1)의 외면과 외측 허리단(W2)의 내면에 허리둘레선 조절장치(10)가 부착된 상태에서, 허리둘레를 조절하기 위하여 슬라이더(30) 하우징(31)의 삽입통로(32)의 상판의 장공(36)에 결합된 피벗레버(37)을 전방향으로 당기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래치판(40의 래치돌기(42가 가이드레일(20)의 래치홈(22)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슬라이더(30)을 도 3b의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20)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시키면, 의류의 허리둘레선의 길이가 조절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둘레선 조절장치(10)를 의류의 일측에 설치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바지와 같은 경우 상기 허리둘레선 조절장치(30)는 바지의 양측 주머니단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레일(20)이 내측 허리단(W1)의 외면에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더(30)가 외측 허리단(W2)의 내면에서 설치한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그 반대의 경우로 설치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허리둘레선 조절장치(30)는, 바지에 설치된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스커트 등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20 가이드레일, 21 레일스트랩, 22 래치홈, 30 슬라이더, 31 래칭하우징, 32 삽입통로, 33 축구멍, 34 힌지축, 35 피벗축구멍, 36 장공, 37 피벗레버, 40 래치, 41 축구멍, 42 돌기, 50 판스프링, 51 힌지결합구, 60 결합핀, 70 덮개천,

Claims (2)

  1. 의류 허리단 부분의 한 곳 또는 좌우 2 곳이 분리되게 절개 형성된 내측 허리단과 외측 허리단의 중첩부에 설치되는 허리둘레선 조절장치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으로 래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내측 허리단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재봉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이 삽통되는 터널형 삽입통로의 상판과 하판을 관통하는 축을 가지고 상기 외측 허리단의 내면에 부착된 하우징과, 일단에 래치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 형성된 힌지구멍이 상기 축에 결합되어지되 상기 하우징의 삽입통로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래치판과, 상기 축에 결합되어 상기 래치판의 일면을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으로 가압하여 상기 래치돌기를 상기 래치홈에 래치시키는 판스프링과, 상기 상판에 형성된 대각선 방향의 장공을 통해 상기 래치판의 이면에 닿으면서 하판을 관통하여 일측이 피벗 형상으로 고정된 피벗레버를 포함하는 슬라이더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둘레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는 상부와 하부에 두 개의 핀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허리단의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결합파스너의 양단부가 상기 두 개의 핀구멍에 끼워져 내측 허리단의 내면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허리둘레 조절장치.
KR1020120013803A 2012-02-10 2012-02-10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KR20130092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803A KR20130092212A (ko) 2012-02-10 2012-02-10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803A KR20130092212A (ko) 2012-02-10 2012-02-10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212A true KR20130092212A (ko) 2013-08-20

Family

ID=49217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803A KR20130092212A (ko) 2012-02-10 2012-02-10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221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352Y1 (ko) * 2013-11-07 2014-04-18 이은실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KR101423206B1 (ko) * 2014-02-18 2014-07-24 성선경 의복용 허리둘레조절장치
KR101474391B1 (ko) * 2014-07-19 2014-12-23 형배 김 하의용 허리단 치수 조절장치
KR101698149B1 (ko) 2016-08-16 2017-01-19 성선경 허리둘레 조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352Y1 (ko) * 2013-11-07 2014-04-18 이은실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KR101423206B1 (ko) * 2014-02-18 2014-07-24 성선경 의복용 허리둘레조절장치
KR101474391B1 (ko) * 2014-07-19 2014-12-23 형배 김 하의용 허리단 치수 조절장치
KR101698149B1 (ko) 2016-08-16 2017-01-19 성선경 허리둘레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156B1 (ko)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JP4975852B2 (ja) ウエスト調節具およびそれが備えられたズボン
KR20130092212A (ko)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KR200466613Y1 (ko) 허리둘레 조절장치
KR101384879B1 (ko) 허리둘레 조절장치
KR200446210Y1 (ko) 탄성 필름을 이용한 마스크의 걸이밴드 조절구
KR20120004929A (ko) 의복 마무리기 및 여기에 사용되는 인체모형커버
KR101357448B1 (ko) 의류의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WO2017150776A1 (ko)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US2497821A (en) Slide fastener
JP2006283239A (ja) ウエスト調節用アジャスタ
CN105407751A (zh) 具有使乳房更加靠拢在一起的可逆效果的胸罩
KR200472352Y1 (ko)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KR101573617B1 (ko) 하의의 허리단 둘레조절장치
US2894469A (en) Fastener guiding attachment for sewing machines
CN203353717U (zh) 可修饰体型的外套服装
KR101717043B1 (ko) 의류 허리 둘레선 조절장치
KR102312844B1 (ko) 의류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US1962186A (en) Garment clasp
KR101350647B1 (ko) 후크 겸용 컨실드 지퍼
KR20170123302A (ko)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CN205795060U (zh) 一种用于布料的四合扣
KR20090121570A (ko) 바지의 허리 사이즈를 신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후크장치
CN206413781U (zh) 一种童装裤腰
KR102191474B1 (ko) 허리둘레길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