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741Y1 - 버클을 사용하지 않는 벨트 - Google Patents

버클을 사용하지 않는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741Y1
KR200484741Y1 KR2020130003357U KR20130003357U KR200484741Y1 KR 200484741 Y1 KR200484741 Y1 KR 200484741Y1 KR 2020130003357 U KR2020130003357 U KR 2020130003357U KR 20130003357 U KR20130003357 U KR 20130003357U KR 200484741 Y1 KR200484741 Y1 KR 2004847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folding
bent
inner member
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3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503U (ko
Inventor
후미카즈 기타노
Original Assignee
모리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065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5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7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7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41F9/025Adjustable belts or gir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벨트 루프가 벨트의 접음부에 의해 인장되어 비틀려도, 외부로부터는 그 비틀림이 거의 보이지 않는, 버클을 사용하지 않는 벨트를 제공한다.
벨트 본체(2)와, 이 본체의 양 말단에 마련한 접음부(3)와, 이 접음부(3)를 개폐 가능하게 접합하는 접합 부재를 갖는, 버클을 사용하지 않는 벨트이다. 접음부(3)는, 내측 부재와, 이 내측 부재보다 길이 방향으로 긴 외측 부재를, 각각의 중앙부가 자유롭게 움직이는 상태로 중첩하여 고정하여 이루어진다. 외측 부재가 절곡되었을 때에 형성되는 제2 절곡부(35)의 내측에, 내측 부재가 절곡되었을 때에 형성되는 제1 절곡부(36)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버클을 사용하지 않는 벨트{BELT WITHOUT BUCKLE}
본 고안은 버클을 사용하지 않는 벨트에 관한 것이다.
바지류에 사용되는 벨트는, 주지와 같이, 개폐부에 버클을 사용하는 타입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벨트는, 바지류의 올리고 내림이나 개폐 시에 벨트를 느슨하게 하거나 졸라매거나, 벨트를 버클에 통과시키거나 빼거나 하는 조작이 필요하다. 그러나, 저연령의 아동이나 노인에게 있어서는 꽤 번거로우며, 시중드는 사람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면부에 버클을 부착하지 않고 웨이스트 조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웨이스트 조정 벨트가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 실용 신안 등록 제3088592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66139호, 일본 실용 신안 등록 제3163611호 등이다. 이들은, 벨트 본체의 양단에 접음부를 마련하고, 그 부분에서 개폐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접음부를 개방시킨 상태로 바지류의 벨트 루프를 수납하고, 그 후 접음부를 폐쇄함으로써, 벨트 루프의 수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실용 신안 등록 제3088592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66139호 특허문헌 3: 일본 실용 신안 등록 제3163611호 특허문헌 4: 일본 실용 신안 등록 제3167731호
상기 종래 기술의 벨트를 사용하면, 첨부된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 루프(41)가 이 벨트의 접음부(3X)에 의해 인장되어 크게 비틀린다. 사용에는 통상, 지장은 없지만, 미관이 나빠진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일본 실용 신안 등록 제3167731호로서, 접음부의, 절첩 상태에 있어서의 선단으로부터 접합 부재의 사이에 제1 고정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를 제안한 일이 있다.
본 고안은, 이 문제를 일본 실용 신안 등록 제3167731호와는 별도의 방법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벨트 루프가 벨트의 접음부에 의해 인장되어 비틀려도, 외부로부터는 그 비틀림이 거의 보이지 않는, 버클을 사용하지 않는 벨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본체와, 이 본체의 양 말단에 마련한 접음부와, 이 접음부를 개폐 가능하게 접합하는 접합 부재를 갖는, 버클을 사용하지 않는 벨트로서, 상기 접음부는, 내측 부재와, 이 내측 부재보다 길이 방향으로 긴 외측 부재를, 각각의 중앙부가 자유롭게 움직이는 상태로 중첩하여 고정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부재가 절곡되었을 때에 형성되는 제2 절곡부의 내측에, 상기 내측 부재가 절곡되었을 때에 형성되는 제1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1).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 부재 중 적어도 중앙부가 협폭부로 되어 있다(청구항 2).
상기 벨트 본체와 상기 접음부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여도 좋고, 상기 벨트 본체를 상기 접음부의 내외측 부재 중 어느 하나와 동일 부재로 형성하여도 좋다(청구항 3, 4). 통상은, 내측 부재와 동일 부재로 형성한다.
청구항 1의 고안에 따르면,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접음부가 길이 방향 중앙을 향하여 인장되어도, 벨트 루프는 제1 고정부에 접촉하여 그 위치에서 멈추고, 접음부의 폭 전체에 걸쳐 유지된다. 벨트 루프는 비틀리더라도 접음부로 감추어져 외부로부터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그 때문에, 본 고안의 벨트는 미관이 좋다.
청구항 2의 고안에 따르면, 내측 벨트가 (원래 외부로부터 보기 어려운 것이지만) 외부로부터 거의 완전하게 보이지 않게 되기 때문에, 미관이 좋아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벨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벨트의, 접음부를 폐쇄한 상태의 (a) 정면도, (b) 측면도, (c) 배면도, (d) 좌측면도, (e)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벨트의, 접음부를 개방한 상태의 (a) 정면도, (b) 측면도, (c) 배면도, (d) 좌측면도, (e) 우측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2의 (b)의 화살표를 따라 취한 확대 측면도, (b)는 도 3의 (b)의 화살표를 따라 취한 확대 측면도이다.
도 5는 (a) 본 고안과 (b) 종래예를 비교하는 정면 확대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의 벨트의, 접음부를 폐쇄한 상태의 (a) 정면도, (b) 측면도, (c) 배면도, (d) 좌측면도, (e) 우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벨트(1)도, 버클을 사용하지 않는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벨트 본체(2)의 양단에 접음부(3)를 마련하고, 그 부분에서 개폐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접음부(3)를 개방시킨 상태로 바지류(4)의 벨트 루프(41)를 수납하고, 그 후 접음부(3)를 폐쇄함으로써, 벨트 루프(41)의 수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보면, 벨트 본체(2)는 신축성을 갖는 직물 또는 편물제이며, 착용자의 전면을 제외한 허리 둘레에 장착되는 길이를 갖는다. 사용자의 개인차에 대응하기 위해, 벨트 본체(2)에는 길이 조절구(21)를 마련하는 것이 보통이다.
벨트 본체(2)의 양 말단에는 접음부(3)가 마련되어 있다. 접음부(3)는 벨트 본체(2)와 별도의 부재로서, 봉제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접음부(3)를 벨트 본체(2)와는 별도의 부재의 피혁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접음부(3)에 강도를 갖게 할 수 있으며, 미관상 바람직하다.
접음부(3)는 개폐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개폐용의 접합 부재(31, 32)이 접음부에 마련되어 있다. 버튼 대신에 면 패스너 및 그 외의 패스너를 사용하여도 좋다.
도 2의 (b) 및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음부(3)는 외측 부재(33)와 내측 부재(34)의 2부재를 중합시켜, 각각의 중앙부가 자유롭게 움직이는 상태로 하여, 상기 접합 부재(31, 32)로 고정되어 있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외측 부재(33)는 내측 부재(34)보다 길기 때문에, 양자를 중합시키면, 중앙부에 있어서 외측 부재(33)에 여분이 생긴다. 접음부를 개방한 상태(도 4의 (b)에 확대도를 나타냄)에서는, 외측 부재(33)는 중앙부가 외방으로 불룩해진다. 접음부(3)를 폐쇄한 상태(도 4의 (a)에 확대도를 나타냄)에서는, 내측 부재(34)가 형성하는 제1 절곡부(36)의 외방에, 외측 부재(33)의 제2 절곡부(35)를 형성한다.
또한,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부재(34) 중 적어도 중앙부는, 내측에 절입을 넣음으로써, 협폭부(37)로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접음부(3)를 폐쇄하였을 때, 제1 절곡부(36)가 밖으로부터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 벨트(1)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 접합 부재(31, 32)을 떼어내어, 접음부(3)를 개방한다. 계속해서 내측 부재와 접합 부재(31, 32) 부착 위치 사이에 바지 등의 벨트 루프(41)를 배치한 뒤에, 접합 부재(31, 32)을 닫아, 접음부(3)를 폐쇄한다(도 5의 (a) 참조).
도 5의 (a)의 상태에서는,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접음부(3)가 길이 방향 중앙을 향하여 인장되어도, 벨트 루프(41)는 내측 부재(34)의 제1 절곡부(36)에 접촉하여 그 위치에서 멈추고 유지된다. 벨트 루프(41)는 비틀리더라도, 제2 절곡부(35)로 감추어져 외부로부터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그 때문에, 본 고안의 벨트는 미관이 좋아져, 외관이 향상된다.
그에 대하여, 종래예를 나타낸 도 5의 (b)에서는, 제1 절곡부에 상당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접음부(3X)가 인장되면, 직접적으로 벨트 루프(41)가 인장되어, 크게 비틀린다.
[실시예 2]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이다. 벨트 본체(2A)의 양 말단에는 접음부(3A)가 마련되어 있다. 접음부(3A)의 내측 부재(34A)는 벨트 본체(2A)와 일체화한 옷감인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르다. 도시하지 않지만, 벨트 본체(2A)와 접음부(3A)의 내측 부재(34A)를 일체화시켜도 좋다.
이 제2 실시예에서는 내측 부재(34A)가 벨트 본체(2A)와 동일 부재이기 때문에, 신축성을 갖는 직물 또는 편물제인 것이 통상이며, 접합 부재(31A, 32A)를 부착할 때에 강도가 부족한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때에는, 암수 버튼의 주위에 덧댐판(38, 39)을 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의 점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품에는 제1 실시예의 부호에 「A」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조 공정이 간략화된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1A 벨트
2, 2A 벨트 본체
21, 21A 조절구
3, 3A 접음부
31, 32; 31A, 32A 암수 버튼
33, 33A 외측 부재
34, 34A 내측 부재
35, 35A 제2 절곡부
36, 36A 제1 절곡부
37 협폭부
38, 39 덧댐판
4 바지류
41 벨트 루프

Claims (4)

  1. 벨트 본체(2, 2A)와, 이 본체의 양 말단에 마련한 제1, 2 접음부(3, 3A)와, 이 제1, 2 접음부(3, 3A)를 개폐 가능하게 접합하는 접합 부재(31, 32; 31A, 32A)를 갖는, 버클을 사용하지 않는 벨트로서,
    상기 제1, 2 접음부(3, 3A)는, 내측 부재(34, 34A)와, 이 내측 부재(34, 34A)보다 길이 방향으로 긴 외측 부재(33, 33A)를, 각각의 부재(33, 34; 33A, 34A)의 중앙부가 자유롭게 움직이는 상태로 중첩하여 고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부재(33, 33A)가 절곡되었을 때에 형성되는 제2 절곡부(35, 35A)의 내측에, 상기 내측 부재(34, 34A)가 절곡되었을 때에 형성되는 제1 절곡부(36, 36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을 사용하지 않는 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부재(34) 중 적어도 중앙부가 협폭부(37)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을 사용하지 않는 벨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본체(2)와 상기 제1 접음부(3)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을 사용하지 않는 벨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음부(3A)의 내외측 부재(33A, 34A)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벨트 본체(2A)가 동일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을 사용하지 않는 벨트.
KR2020130003357U 2012-05-02 2013-04-30 버클을 사용하지 않는 벨트 KR20048474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02606U JP3177011U (ja) 2012-05-02 2012-05-02 バックルを使用しないベルト
JPJP-U-2012-002606 2012-05-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503U KR20130006503U (ko) 2013-11-12
KR200484741Y1 true KR200484741Y1 (ko) 2017-10-18

Family

ID=48003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357U KR200484741Y1 (ko) 2012-05-02 2013-04-30 버클을 사용하지 않는 벨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177011U (ko)
KR (1) KR200484741Y1 (ko)
CN (1) CN203194641U (ko)
TW (1) TWM50649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00267A (zh) * 2014-09-26 2016-04-20 中国航空工业第六一八研究所 一种作动器功能滑阀拆装工具
WO2016126617A1 (en) 2015-02-05 2016-08-11 Bsr Goldsmith, Llc Apparel belt and buckl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6139A (ja) 2001-03-01 2002-09-18 Izumi Ota 着脱簡単2wayベルト
JP3088592U (ja) 2002-02-08 2002-09-20 美由紀 三石 装着したままズボンが着脱可能なベルト
KR20100053728A (ko) * 2008-11-13 2010-05-24 (주)모던라인 의류용 벨트
JP3163611U (ja) 2010-08-11 2010-10-21 株式会社アイオイ商事 ベルト
JP3167731U (ja) 2011-02-24 2011-05-12 モリト株式会社 バックルを使用しないベル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67731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3194641U (zh) 2013-09-18
KR20130006503U (ko) 2013-11-12
JP3177011U (ja) 2012-07-12
TWM506495U (zh) 201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1784B2 (en) Anti-rotation link
EP2446759A2 (en) Infant bodysuit
US8960510B2 (en) Watch band and method of securing same
US20130298311A1 (en) Pants closure system
US20090188020A1 (en) Sock with decorative portion
KR200467542Y1 (ko) 끈 길이 조절형 마스크
US20210037896A1 (en) Activewear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KR200484741Y1 (ko) 버클을 사용하지 않는 벨트
KR101199286B1 (ko) 의류의 지퍼물림 방지용 구조를 가진 지퍼
US20230270184A1 (en) Activewear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KR101354710B1 (ko) 칼라 사이즈 조절 가능 셔츠
KR101811367B1 (ko) 아웃도어용 벨트 구조체
US9173455B2 (en) Device for closing and fastening two lengths of flexible strapping
US20140304892A1 (en) Leg Wear with Sliding Closure
EP2862462B1 (en) An item of clothing comprising a waistband
CN106723453A (zh) 可拆卸裤子
JP3167731U (ja) バックルを使用しないベルト
CN205696087U (zh) 一种拉链装置
KR200465208Y1 (ko) 슬라이드파스너를 가지는 의류용 상지구 커버
JP4081649B2 (ja) サスペンダー付きパンツ
JP6847549B2 (ja) 簡易着付け式着物
JP3112784U (ja) スーツケース等鞄用胴締ベルト
JP3196969U (ja)
BE1023917B1 (fr) Chemise à fermeture améliorée
TWM525648U (zh) 防夾拉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