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3728A - 의류용 벨트 - Google Patents

의류용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3728A
KR20100053728A KR1020080112483A KR20080112483A KR20100053728A KR 20100053728 A KR20100053728 A KR 20100053728A KR 1020080112483 A KR1020080112483 A KR 1020080112483A KR 20080112483 A KR20080112483 A KR 20080112483A KR 20100053728 A KR20100053728 A KR 20100053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belt
fixing
elastic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춘석
Original Assignee
(주)모던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던라인 filed Critical (주)모던라인
Priority to KR1020080112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3728A/ko
Publication of KR20100053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7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41F9/025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지 등을 내리거나 벗을려고 하는 경우 의류용 벨트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지 않고도, 즉 의류용 벨트에 대한 아무런 처리 없이도 바지 등을 내릴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의류용 벨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축부재 ; 상기 신축부재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되, 제1체결 버튼 및 상기 제1체결 버튼과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체결 버튼과 체결되는 형태를 가진 제2체결버튼이 동일한 면에 마련된 한 쌍의 고정용 띠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신축부재는 : 길이 방향의 신축이 가능한 신축띠와 ; 하단부에 톱니 형태의 고정부가 형성된 회동면과 상기 회동면의 상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띠 단부 고정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띠 단부 고정대와 ; 상기 회동면의 상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격되어 마련되는 띠 중간부 고정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띠 중간부 고정대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신축띠의 일단이 상기 고정부와 상기 띠 중간부 고정면 사이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띠 단부 고정면에 결합되어 상기 신축부재의 전체 길이가 조절 가능하며, 상기 고정용 띠 중 하나는 상기 신축띠의 타단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고정용 띠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띠 단부 고정대와 상기 띠 중간부 고정대 사이의 신축띠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류용 벨트{BELT FOR CLOTHES}
본 발명은 의류용 벨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강한 성인과 달리 신체 활동이 아직 부자연스럽거나 재빠르지 못한 유아나 거동이 불편한 사람을 위한 의류용 벨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의류용 벨트는 바지의 벨트 구멍 등에 장착된 후 최종적으로 벨트 버클로 잠구어 바지 등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 등을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의류용 벨트는 허리를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의 의류용 벨트를 건강한 성인이 사용하는 것은 아무런 불편이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신체 활동이 아직 부자연스럽거나 재빠르지 못한 유아나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용변 등을 보기 위하여 바지를 내리려고 할 경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벨트는 먼저 벨트 버클을 푼 후 바지 단추 등을 풀어야 하므로 신속하게 바지를 내릴 수 없다.
통상 유아의 경우 용변 등을 급하게 느끼는 경우가 자주 있으며, 이와 같이 급한 경우에 벨트 버클을 갑자기 풀려고 하면 아직 행동이 재빠르지 못하기 때문에 벨트를 푸는 데 당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당황할 경우 벨트를 푸는 것은 더욱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의류용 벨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바지 등을 내리거나 벗을려고 할 경우 의류용 벨트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지 않고도, 즉 의류용 벨트에 대한 아무런 처리 없이도 바지 등을 내릴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의류용 벨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착용자의 허리를 완전히 감싸지 않는, 즉 일부 신체가 개방되는 형태의 의류용 벨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축부재 ; 상기 신축부재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되, 제1체결 버튼 및 상기 제1체결 버튼과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체결 버튼과 체결되는 형태를 가진 제2체결버튼이 동일한 면에 마련된 한 쌍의 고정용 띠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신축부재는 : 길이 방향의 신축이 가능한 신축띠와 ; 하단부에 톱니 형태의 고정부가 형성된 회동면과 상기 회동면의 상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띠 단부 고정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띠 단부 고정대와 ; 상기 회동면의 상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격되어 마련되는 띠 중간부 고정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띠 중간부 고정대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신축띠의 일단이 상기 고정부와 상기 띠 중간부 고정면 사이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띠 단부 고정면에 결합되 어 상기 신축부재의 전체 길이가 조절 가능하며, 상기 고정용 띠 중 하나는 상기 신축띠의 타단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고정용 띠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띠 단부 고정대와 상기 띠 중간부 고정대 사이의 신축띠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의류용 벨트가 착용자의 허리를 완전히 감싸지 않는 구조로 허리에 장착되도록 하여, 바지 등을 내리거나 벗을려고 할 경우 의류용 벨트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지 않고도, 즉 의류용 벨트에 대한 아무런 처리 없이도 바지 등을 내릴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의류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례에 따라 그 구체적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다른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2에서 띠 단부 고정대와 띠 중간부 고정대의 역할을 보이기 위한 정면도 및 부분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의류용 벨트를 의류에 장착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본 의류용 벨트는 크게 신축부재(100)와 고정용 띠(200a, 200b)로 이루어진다.
신축부재(100)는 길이 방향의 신축이 가능한 부재로서, 본 실시례에서는 신축띠(110)와 띠 단부 고정대(120)와 띠 중간부 고정대(130)로 이루어진다.
신축띠(110)는 그 길이 방향의 신축이 가능한 재질의 띠 형태이면 무엇이든 적용될 수 있다.
신축부재(100)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신축띠(110)에 띠 단부 고정대(120)와 띠 중간부 고정대(130)가 마련된다.
띠 단부 고정대(120)는 "ㄱ"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지며, 회동면(121)과 상기 회동면(121)의 상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띠 단부 고정면(122)으로 이루어진다.
회동면(121)의 하단부에는 톱니 형태의 고정부(121a)가 형성된다.
띠 단부 고정면(122)에는 신축띠(110)의 일단이 결합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례에는 띠 단부 고정면(122)의 양측에 띠 장착부(122a)가 형성되어 있다. 즉 띠 장착부(122a)를 내측으로 굽혀 띠 단부 고정면(122)상에 배치된 신축띠(110)를 강제로 눌러주면 금속 재질의 띠 장착부(122a)와 띠 단부 고정면(122)에 의하여 신축띠(110)의 일단이 고정된다.
한편 회동면(121)의 상단부에 띠 중간부 고정대(130)가 결합된다.
띠 중간부 고정대(130)는 회동면(121)의 상단부를 지나는 가상의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띠 중간부 고정대(130)에는 띠 중간부 고정면(131)이 마련되며, 띠 중간부 고정면(131)은 고정부(121a)로부터 이격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신축띠(110)의 일단이 띠 중간부 고정면(131)과 고정부(121a) 사이를 관통한 후, 그 신축띠(110)의 일단이 띠 단부 고정면(122)에 결합되면 도 3 및 도 4의 상태가 된다.
이때 회동면(121)을 띠 중간부 고정면(131)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하면, 즉 띠 단부 고정면(122)이 띠 중간부 고정면(131)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하면, 고정부(121a)와 띠 중간부 고정면(131)과의 간격이 좁아지게 됨으로써 신축띠(110)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신축부재(100)의 전체 길이가 고정된다.(도 3 참조)
신축부재(100)의 전체 길이를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 도 4와 같이 회동면(121)을 띠 중간부 고정면(131)에 대하여 평행이 되도록 하면, 즉 띠 단부 고정면(122)이 띠 중간부 고정면(131)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가 되도록 하면, 고정부(121a)와 띠 중간부 고정면(131)과의 간격이 넓어지게 됨으로써 신축띠(110)가 고정부(121a)와 띠 중간부 고정면(131) 사이로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신축부재(100)의 전체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도 4의 상태에서 신축띠(110)를 적절히 이동시켜 신축부재(100)의 전체 길이를 조정한 후 도 3의 상태로 변화시키면 신축부재(100)의 전체 길이가 조정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신축부재(100)의 전체 길이 조정은 착용자의 허리 사이즈에 맞게 본 의류용 벨트의 전체 길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신축부재(100)의 양단에는 고정용 띠(200a, 200b)가 각각 마련된다.
고정용 띠(200a)는 신축부재(100)를 이루는 신축띠(110)의 타단에 고정 결합된다.
이에 반하여 다른 고정용 띠(200b)는 띠 단부 고정대(120)와 띠 중간부 고정대(130) 사이의 신축띠(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고정용 띠(200b)에는 금속 고리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용 띠(200a, 200b) 각각에는 동일한 면에 제1체결 버튼(201) 및 제2체결 버튼(202)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된다.
제1체결 버튼(201)과 제2체결 버튼(202)은 서로 대응하여 체결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일명 "똑딱이 단추"라고도 불리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의류용 벨트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의류용 벨트가 바지의 벨트 구멍을 전부 통과하도록 도 5와 같이 배치한다.
다음으로 도 6과 같이 제1체결 버튼(201)과 제2체결 버튼(202)이 서로 체결되도록 고정용 띠(200a, 200b)의 일부를 외측 방향으로 돌린 후 제1체결 버튼(201)과 제2체결 버튼(202)을 서로 체결한다.
따라서 바지의 여러개의 벨트 구멍마다 마련되는 각각의 벨트 구멍용 고리 중 바지의 전면에 마련된 벨트 구멍용 고리는 고정용 띠(200a, 200b)에 둘러싸인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의류용 벨트를 착용하면, 바지를 내릴 필요가 있을 경우 바지 전 면의 단추나 자크 등을 푸는 것만으로 바지를 내릴 수가 있게 되며, 이 경우 의류용 벨트 자체에 대하여는 아무런 조작을 가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신체 활동이 아직 부자연스럽거나 재빠르지 못한 유아나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용변 등을 보기 위하여 바지를 내리거나 벗을려고 하는 경우에도 신속히 바지를 내리거나 벗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실시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내지 조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내지 조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한다면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바지 등의 의류에 장착되는 의류용 벨트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른 상태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2에서 띠 단부 고정대와 띠 중간부 고정대의 역할을 보이기 위한 정면도 및 부분 개념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의류용 벨트를 의류에 장착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신축부재 110 : 신축띠
120 : 띠 단부 고정대
130 : 띠 중간부 고정대
200a, 200b : 고정용 띠
201 : 제1체결 버튼 202 : 제2체결 버튼

Claims (1)

  1. 신축부재 ; 상기 신축부재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되, 제1체결 버튼 및 상기 제1체결 버튼과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체결 버튼과 체결되는 형태를 가진 제2체결버튼이 동일한 면에 마련된 한 쌍의 고정용 띠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신축부재는 : 길이 방향의 신축이 가능한 신축띠와 ; 하단부에 톱니 형태의 고정부가 형성된 회동면과 상기 회동면의 상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띠 단부 고정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띠 단부 고정대와 ; 상기 회동면의 상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격되어 마련되는 띠 중간부 고정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띠 중간부 고정대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신축띠의 일단이 상기 고정부와 상기 띠 중간부 고정면 사이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띠 단부 고정면에 결합되어 상기 신축부재의 전체 길이가 조절 가능하며,
    상기 고정용 띠 중 하나는 상기 신축띠의 타단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고정용 띠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띠 단부 고정대와 상기 띠 중간부 고정대 사이의 신축띠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벨트.
KR1020080112483A 2008-11-13 2008-11-13 의류용 벨트 KR201000537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483A KR20100053728A (ko) 2008-11-13 2008-11-13 의류용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483A KR20100053728A (ko) 2008-11-13 2008-11-13 의류용 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728A true KR20100053728A (ko) 2010-05-24

Family

ID=42278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483A KR20100053728A (ko) 2008-11-13 2008-11-13 의류용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372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6503U (ko) * 2012-05-02 2013-11-12 모리토 가부시키가이샤 버클을 사용하지 않는 벨트
CN104874139A (zh) * 2015-06-23 2015-09-02 国家电网公司 折叠调长保险绳
KR200491422Y1 (ko) * 2018-11-12 2020-04-06 서인교 의류의 품 조절을 위한 품 조절 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6503U (ko) * 2012-05-02 2013-11-12 모리토 가부시키가이샤 버클을 사용하지 않는 벨트
CN104874139A (zh) * 2015-06-23 2015-09-02 国家电网公司 折叠调长保险绳
KR200491422Y1 (ko) * 2018-11-12 2020-04-06 서인교 의류의 품 조절을 위한 품 조절 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93067C (en) Suspenders that support pants with belt
US9320307B2 (en) Garment with adjustable lacing arrangement
US20150181965A1 (en) Discreet elastic belt
US20150007374A1 (en) Transferable garment addition to swimwear
US4937886A (en) Infant shirt hold-down
US10165815B1 (en) Shirt stay
US3307538A (en) Adjustable orthopedic sling
KR20100053728A (ko) 의류용 벨트
WO2006015351A2 (en) Elastic belt band with snap-buckles for holding garment waistband
US20110083253A1 (en) Pant leg retaining device
US20170265538A1 (en) Convertible swimsuit cover-up
US20230309637A1 (en) Garm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0342596Y1 (ko) 바지의 숨김형 허리사이즈 조절구조
JP4728100B2 (ja) マタニティ用下半身着衣
JP3141210U (ja) ズボン等のウエスト調整構造
CN220423162U (zh) 一种便于束腰的衣服
CN112218691A (zh) 血流限制运动服装
KR102396423B1 (ko) 바지 사이즈 조절장치
JP6012059B1 (ja) 前開きロンパース
KR100443018B1 (ko) 하의용 허리둘레조절기구
KR102153321B1 (ko) 휠체어 낙상 방지용 탈부착 보조의
KR102076578B1 (ko) 유아용 캐리어
JP5913198B2 (ja) パンツ
CN219109879U (zh) 一种可调式矫姿带
CN206744658U (zh) 一种衬衣用衣角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