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844B1 - 의류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844B1
KR102312844B1 KR1020200118514A KR20200118514A KR102312844B1 KR 102312844 B1 KR102312844 B1 KR 102312844B1 KR 1020200118514 A KR1020200118514 A KR 1020200118514A KR 20200118514 A KR20200118514 A KR 20200118514A KR 102312844 B1 KR102312844 B1 KR 102312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sliding rail
circumference
sliding
waist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종환
Original Assignee
백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환 filed Critical 백종환
Priority to KR1020200118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8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41F1/008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7/00Means for holding-down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의 허리밴드를 슬림하게 연결하면서 부품을 간소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의류용 허리둘레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에 중첩되는 조절단을 갖는 허리밴드의 둘레를 조절하는 의류용 허리둘레 조절장치에 있어서, 랙이 구비되어 상기 조절단의 내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레일; 상기 슬라이딩레일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도록 상기 고정단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허리단의 둘레를 조절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레일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랙을 단속하도록 폴이 구비된 조절레버; 상기 조절레버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폴에 의해 상기 랙을 탄성적으로 단속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림천 없이도 슬라이딩레일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허리단의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고, 부품을 간소화하여 생산 및 판매 비용을 낮출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류용 허리둘레 조절장치{CIRCUMFERENCE ADJUSTER APPARATUS FOR CLOTHING}
본 발명은 의류용 허리둘레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의 허리밴드를 슬림하게 연결하면서 부품을 간소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의류용 허리둘레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바지나 스커트 따위의 의류에는 허리밴드가 구비되어 착의자의 허리에 맞도록 조절한다.
일반적으로 바지의 허리밴드에는 벨트고리가 구비되어 벨트를 그 사이로 넣어서 바지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벨트를 이용하는 경우 허리의 둘레에 따라 미세한 조절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바지를 착용할 때마다 벨트를 반드시 벨트고리에 넣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에 부착한 조절장치에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6266호(등록일자 2018년01월31일) ‘분리형 간격 조절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8247호(등록일자 2013년06월18일) ‘간격 조절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0186호(등록일자 2016년06월08일) ‘분리형 간격 조절장치’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고정측 허리단에 설치된 가이드레일를 가리기 위해 가림천이 구비되므로 허리단의 전체적인 두께가 두꺼워져 맵시가 좋지 않고 착용감이 떨어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들은 설치부재와 승강부재 및 작동부재 등의 부품이 많아서 생산 및 판매 비용의 부담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6266호(등록일자 2018년01월31일)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8247호(등록일자 2013년06월18일) (000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0186호(등록일자 2016년06월08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림천 없이 가이드레일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부품의 절감을 통해 생산 및 판매 비용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의류용 허리둘레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에 중첩되는 조절단을 갖는 허리밴드의 둘레를 조절하는 의류용 허리둘레 조절장치에 있어서, 랙이 구비되어 상기 조절단의 내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레일; 상기 슬라이딩레일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도록 상기 고정단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허리단의 둘레를 조절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레일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랙을 단속하도록 폴이 구비된 조절레버; 상기 조절레버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폴에 의해 상기 랙을 탄성적으로 단속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상기 조절레버의 일단에는 푸시노브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푸시노브에 암으로 연결되어 상기 랙을 단속하도록 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절레버는 상기 폴과 상기 암을 내측으로 만곡되게 연결하는 아치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치슬롯은 상기 허리밴드의 둘레를 줄이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레일을 자유롭게 슬라이딩시키도록 상기 랙에 걸린 상기 폴을 해제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슬라이딩레일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면 상기 조절레버의 폴 및 암을 수용하도록 안내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조절레버와 상기 가이드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 클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 클립은 일단부에 보어를 갖는 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클립은 상기 조절레버의 폴에 근접된 일면에 형성된 설치홈이 설치되며, 상기 설치홈에는 상기 스프링 클립의 보어가 결합되도록 스프링샤프트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가림천 없이도 슬라이딩레일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허리단의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고, 부품을 간소화하여 생산 및 판매 비용을 낮출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절장치가 바지의 허리밴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결합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해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정면에서 나타낸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동 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낸 작동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의류용 허리둘레 조절장치(100)는, 랙(111)이 구비되어 허리밴드(11)의 조절단(13)의 내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레일(110), 슬라이딩레일(11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도록 허리밴드(11)의 고정단(12)의 외면에 설치되어 허리밴드(11)의 둘레를 조절하는 가이드부재(120), 가이드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레일(11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랙(111)을 단속하도록 폴(131)이 구비된 조절레버(130), 조절레버(13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폴(131)에 의해 랙(111)을 탄성적으로 단속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의류는 착의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고정단(12)과 조절단(13)을 갖는 허리밴드(11)가 구비된 바지(10)와 스커트 따위를 포함하고, 도 1 내지 도 7은 의류 중 바지(10)를 하나의 실시예로 나타내었다.
슬라이딩레일(110)은 합성수지 재질에 의해 얇고 길게 형성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밴드(11)의 조절단(13)의 내면에 설치된다. 이때, 슬라이딩레일(110)의 랙(111)은 커버패널(114)에 의해 가려진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슬라이딩레일(110)의 이면 조절단(13)의 내면에 고정되는 면) 상부에는 허리밴드(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랙(111)이 구비되고, 표면에는 스티치슬릿(112)이 형성되어 조절단(13)의 내면에 재봉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슬라이딩레일(110)의 이면 중앙에는 허리밴드(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철부(113)가 구비되고, 표면에는 커버패널(114)이 구비되어 랙(111)을 가리게 된다.
가이드부재(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단(12)의 외면에 설치되어 허리단의 둘레를 조절하도록 슬라이딩레일(110)의 슬라이딩을 안내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부재(120)는 1~1.5㎜ 정도로 매우 얇은 하나의 금속 판재를 벤딩(bending) 가공하여 슬라이딩레일(11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도록 내부에 안내홈(121)을 형성한다.
그리고 가이드부재(120)의 전면 중앙에는 가이드요부(122)가 형성되어 상술한 슬라이딩철부(113)의 슬라이딩을 유동없이 안내한다.
또한, 가이드부재(120)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123)이 형성되어, 가이드부재(120)를 재봉틀 또는 손 바느질로 고정단(12)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재(120)는 허리밴드(11)의 고정단(12) 외면에 리벳팅 또는 박음질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조절레버(130)는 가이드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레일(11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랙(111)을 단속하도록 폴(131, pawl)이 구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조절레버(130)의 일단에는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푸시노브(133)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푸시노브(133)에 암(132)으로 연결되어 랙(111)을 단속하도록 폴(131)이 구비된다.
그리고 조절레버(130)의 폴(131)에 근접된 일면 상부에는 스프링샤프트(135)를 갖는 설치홈(134)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탄성부재의 스프링 클립(140)이 설치된다.
또한, 조절레버(130)는 폴(131)과 암(132)을 내측으로 만곡되게 연결하는 아치슬롯(136)을 포함한다. 아치슬롯(136)은 허리밴드(11)의 둘레를 줄이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레일(110)을 자유롭게 슬라이딩시켜서 랙(111)에 걸린 폴(131)을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조절레버(130)는 가이드부재(120)에 힌지(137)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때 폴(131)은 안내홈(121)에 수용되고 푸시노브(133)는 가이드부재(120)의 외부로 노출된다.
탄성부재는 조절레버(13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폴(131)에 의해 랙(111)을 탄성적으로 단속하는 기능을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탄성부재는 랙(111)을 단속하는 폴(131)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조절레버(130)와 가이드부재(120)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 클립(140, spring clip)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스프링 클립(140)은 일단부에 보어(141, bore)을 갖는 핀(pin) 형상으로 형성되어 조절레버(130)의 설치홈(134)에 설치되는데, 이때 스프링 클립(140)의 일단부에 형성된 보어(141)는 조절레버(130)의 스프링샤프트(135)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안내홈(121)의 상단에 지지되어, 폴(131)이 랙(111)에 걸리도록 조절레버(130)를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푸시노브(133)를 누르면 조절레버(130)가 힌지(137)로 회전되어 폴(131)이 랙(111)을 해제하므로 슬라이딩레일(110)의 슬라이딩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 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밴드(11)의 고정단(12)에 고정된 가이드부재(120)의 안내홈(121)으로 조절단(13)에 재봉된 슬라이딩레일(110)을 결합한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레일(110)의 랙(111)이 조절레버(130)의 아치슬롯(136)을 지나 랙(111)에 걸리게 된다.
이때, 슬라이딩레일(110)은 아치슬롯(136)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롭게 슬라이딩되어 허리밴드(11)의 둘레를 줄일 수 있다.
다음,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푸시노브(133)를 누르면 힌지(137)를 중심으로 조절레버(130)가 회전되어 랙(111)에 걸린 폴(131)을 해제하므로 슬라이딩레일(110)을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켜서 허리밴드(11)의 둘레를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림천 없이도 슬라이딩레일(110)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허리단의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고, 부품을 간소화하여 생산 및 판매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바지 11 : 허리밴드
12 : 고정단 13 : 조절단
100 : 허리둘레 조절장치 110 : 슬라이딩레일
111 : 랙 112 : 스티치슬릿
113 : 슬라이딩철부 114 : 커버패널
120 : 가이드부재 121 : 안내홈
122 : 가이드요부 130 : 조절레버
131 : 폴 132 : 암
133 : 푸시노브 134 : 설치홈
135 : 스프링샤프트 136 : 아치슬롯
137 : 힌지 140 : 스프링 클립
141 : 보어

Claims (5)

  1. 고정단(12)과 상기 고정단(12)에 중첩되는 조절단(13)을 갖는 허리밴드(11)의 둘레를 조절하는 의류용 허리둘레 조절장치에 있어서,
    허리밴드(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랙(111)이 구비되고, 표면에는 스티치슬릿(112)이 형성되어 조절단(13)의 내면에 재봉으로 고정되며, 이면 중앙에는 허리밴드(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철부(113)가 구비되고, 표면에는 커버패널(114)이 구비되어 랙(111)을 가리는 슬라이딩레일(110);
    상기 슬라이딩레일(11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도록 상기 고정단(12)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허리밴드(11)의 둘레를 조절하는 가이드부재(120);
    상기 가이드부재(120)에 힌지(137)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레일(11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일단에는 푸시노브(133)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푸시노브(133)에 암(132)으로 연결되어 상기 랙(111)을 단속하도록 폴(131)이 구비되며, 상기 폴(131)과 상기 암(132)을 내측으로 만곡되게 연결하는 아치슬롯(136)이 구비되고, 상기 아치슬롯(136)은 상기 허리밴드(11)의 둘레를 줄이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레일(110)을 자유롭게 슬라이딩시키도록 상기 랙(111)에 걸린 상기 폴(131)을 해제하는 조절레버(130);
    상기 조절레버(13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폴(131)에 의해 상기 랙(111)을 탄성적으로 단속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재(120)는
    상기 슬라이딩레일(11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면 상기 조절레버(130)의 폴(131) 및 암(132)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안내홈(121);
    전면 중앙에는 슬라이딩철부(113)의 슬라이딩을 유동없이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요부(122);
    고정단(12)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통공(1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조절레버(130)와 상기 가이드부재(120)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 클립(14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프링 클립(140)은 일단부에 보어(141)를 갖는 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클립(140)은 상기 조절레버(130)의 폴(131)에 근접된 일면에 형성된 설치홈(134)이 설치되며, 상기 설치홈(134)에는 상기 스프링 클립(140)의 보어(141)가 결합되도록 스프링샤프트(13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18514A 2020-09-15 2020-09-15 의류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KR102312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514A KR102312844B1 (ko) 2020-09-15 2020-09-15 의류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514A KR102312844B1 (ko) 2020-09-15 2020-09-15 의류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2844B1 true KR102312844B1 (ko) 2021-10-14

Family

ID=78116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514A KR102312844B1 (ko) 2020-09-15 2020-09-15 의류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8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966Y1 (ko) * 2021-10-22 2022-02-08 손순용 하의의 허리둘레 사이즈 조절장치
CN117862165A (zh) * 2024-03-11 2024-04-12 福建爱的电器有限公司 开盖结构及便携式清洗机
CN117862165B (zh) * 2024-03-11 2024-06-11 福建爱的电器有限公司 开盖结构及便携式清洗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247B1 (ko) 2013-03-18 2013-07-05 백인선 간격 조절장치
KR101474391B1 (ko) * 2014-07-19 2014-12-23 형배 김 하의용 허리단 치수 조절장치
KR101630186B1 (ko) 2014-12-30 2016-06-14 백종환 분리형 간격 조절장치
KR101717043B1 (ko) * 2016-01-19 2017-03-27 권현숙 의류 허리 둘레선 조절장치
KR101826266B1 (ko) 2017-02-10 2018-02-06 백종환 분리형 간격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247B1 (ko) 2013-03-18 2013-07-05 백인선 간격 조절장치
KR101474391B1 (ko) * 2014-07-19 2014-12-23 형배 김 하의용 허리단 치수 조절장치
KR101630186B1 (ko) 2014-12-30 2016-06-14 백종환 분리형 간격 조절장치
KR101717043B1 (ko) * 2016-01-19 2017-03-27 권현숙 의류 허리 둘레선 조절장치
KR101826266B1 (ko) 2017-02-10 2018-02-06 백종환 분리형 간격 조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966Y1 (ko) * 2021-10-22 2022-02-08 손순용 하의의 허리둘레 사이즈 조절장치
CN117862165A (zh) * 2024-03-11 2024-04-12 福建爱的电器有限公司 开盖结构及便携式清洗机
CN117862165B (zh) * 2024-03-11 2024-06-11 福建爱的电器有限公司 开盖结构及便携式清洗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8475B2 (en) Waist girth adjuster and trousers having same
US6618863B2 (en) Clothing
KR102312844B1 (ko) 의류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KR20070071962A (ko) 귀걸이 끈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마스크
KR101265161B1 (ko) 허리 사이즈 조절장치
KR20120004929A (ko) 의복 마무리기 및 여기에 사용되는 인체모형커버
US3027566A (en) Garment waistband construction
WO2017150776A1 (ko)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KR20060105636A (ko) 웨이스트 조절용 어저스터
EP3838052A1 (en) Buckle, belt, and belt part
KR20130092212A (ko)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KR200494966Y1 (ko) 하의의 허리둘레 사이즈 조절장치
KR20170123302A (ko)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KR101561100B1 (ko) 의류용 후방 조임장치
KR200437140Y1 (ko) 하의의 허리단 둘레조절장치
KR101590931B1 (ko) 의류 허리단 둘레 조절장치 및 그를 포함한 허리단 둘레 조절이 가능한 의류
EP1332686B1 (en) Cloth wearable as one piece or two pieces
KR810000034Y1 (ko) 허리칫수 조절장치를 보유하는 의류
KR20100053728A (ko) 의류용 벨트
KR20090121570A (ko) 바지의 허리 사이즈를 신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후크장치
JP3878893B2 (ja) 衣服
KR100443018B1 (ko) 하의용 허리둘레조절기구
JP6074100B1 (ja) 衣服ウエスト調整具
KR200333654Y1 (ko) 멜빵바지 및 멜빵치마의 허리사이즈 조절구조
CN216875081U (zh) 防皱禅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