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034Y1 - 허리칫수 조절장치를 보유하는 의류 - Google Patents

허리칫수 조절장치를 보유하는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034Y1
KR810000034Y1 KR2019800007661U KR800007661U KR810000034Y1 KR 810000034 Y1 KR810000034 Y1 KR 810000034Y1 KR 2019800007661 U KR2019800007661 U KR 2019800007661U KR 800007661 U KR800007661 U KR 800007661U KR 810000034 Y1 KR810000034 Y1 KR 8100000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waist
skirt
inserting portion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76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께시 아베
Original Assignee
다께시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께시 아베 filed Critical 다께시 아베
Priority to KR20198000076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0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0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034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허리칫수 조절장치를 보유하는 의류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는 스커트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중요부분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III-III선에 의한 제2도의 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표시하는 스커트의 일부 확대사시도.
제5도는 제2실시예의 괘지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4도의 V-V선에 의한 횡단면도.
제6도는 제2실시예의 중요부분을 표시하는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표시하는 일부 확대사시도.
제8도는 제3실시예의 괘지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7도의 VIII-VIII선에 의한 횡단면도.
제9도는 제7도에 내부에서 본 상태의 정면도.
제10도는 재봉 순서를 표시하는 제7도의 X-X선 단면도.
본 고안은 허리칫수 조절장치를 보유한 의류에 관한 것이다.
스커트나 바지등의 의류는 보통 의류제조시에 직물의 재단칫수에 따라 허리칫수가 결정된다.
이렇게 제조된 의류를 착용할 때 어느정도 허리칫수를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종래에는 허리둘레의 벨트 길이를 변경시키거나, 벨트 설치부분의 측단이나 후단에 부착한 후크를 걸림편에 걸어주는 것으로서 행하여 왔다.
그러나 착용시마다 벨트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어느하나의 걸림편을 선택하여 걸어주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고 더구나 이렇게 착용된 의류는 외관이 흉해질 뿐만 아니라 편안하지 못한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결점을 해결하고자 허리칫수 조절에 필요한 길이(대략 6㎝정도)만큼 신장가능한 허리칫수 조절장치를 보유한 의류를 제공함에 있으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의류는 허리부분 둘레에 설치되어 개구와 대향하고 있는 벨트 삽설부에 그 한쪽 개구를 통하여 저신장성의 유연한 벨트를 그 한끝이 한쪽 개구에서 돌출되도록 삽설하고, 벨트의 다른 끝을 허리 부분의 벨트 삽설부에 폐지부와 함께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한 벨트의 한 끝에는 벨트의 압지, 해방가능한 괘합부를 연결한 구조의 허리 조절장치를 보유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스커트에 적용한 제1실시예로서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서 (1)은 스커트로서 그 허리부분 둘레에는 밸트 삽설부(10)를 부착하고 있으며, 벨트 삽설부(10)의 양 끝개구(13)는 스커트(1)의 절개부(11)를 따라 재봉된 지퍼(12)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벨트 삽설부(10)는 주름을 잡거나 신축성의 메리야스 천을 사용하여 허리 칫수 조절에 필요한 길이(대략 6㎝정도)만큼 신장 가능하게 한다. 벨트 삽설부(10)의 내부에는 벨트(2)를 삽설하며, 그 양끝(21)(22)은 벨트 삽설부(10)의 개구(13)밖으로 돌출되어서 한쪽끝(21)에는 괘지부(3)를 고정 부착하고, 다른 쪽 끝(22)에는 괘합부(4)를 부설하고 있다. 벨트(2)는 유연하면서도 저신장성을 가진 합성수지재나 가죽, 나일론 섬유직물 등으로 만든 것이 좋다.
괘지부(3)는 제2도, 제3도의 표시와 같이 한쌍의 내,외측 금속판(33)(34)을 벨트(2)의 한쪽 끝(21)의 양면에 부착하고, 결착핀(30)으로서 관통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내측 금속판(33)은 벨트 삽설부(10)의 내측으로 절곡하여 괘지편(31)으로 하고, 외측금속판(34)는 외측으로 절곡하여 장신구(32)의 효과를 얻도록 한다.
괘합부(4)는 편평한 금속판(40)과, 그 양측을 절곡하여 대향기립시킨 측벽(41)과, 측벽(41)에 천설된 관통공(42) 및 금속판(40) 후단의 걸림편(4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측벽(41)의 관통공(42)에는 캠(51)과 레버판(52)를 일체로 보유하는 벨트 홀더(5)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축(hinge 軸)을 삽입한다.
벨트홀더(5)의 캠(51)은 레버판(52)의 작동에 따라 연동되어 캠(51)과 금속판(40) 사이를 통과하는 벨트(2)를 압지, 또는 해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스커트를 착용함에 있어서 스커트(1)의 허리 칫수를 조절하고자 할 때, 우선 스커트(1)를 착용하고, 벨트(2)의 한쪽끝(2)에 부설된 괘지편(31)을 괘합부(4)의 걸림편(43)에 걸고, 이어서 레버판(52)을 내측으로 당겨올리면, 캠(51)은 레버판(52)에 의해 회동되어 벨트(2)의 압지를 해방한다.
따라서 벨트(2)는 금속판(40)과 캠(51)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므로 착용자의 허리 칫수에 알맞는 길이로 벨트(2)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때 벨트 삽설부(10)는 잡아당겨지거나 밀리게 된다.
벨트(2) 길이를 맞춘 후에 레버판(52)을 벨트(2)쪽으로 접어넣어서 재차 캠(51)으로 벨트(2)를 압지시키는 것에 의해 허리 칫수 조절이 완료된다.
제4도내지 제6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벨트(2)를 벨트 삽설부(10)에 내장하는 점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지만, 벨트(2) 길이의 조절장치에 차이점이 있다.
즉, 제4도의 표시와 같이 벨트(2)를 벨트삽설부(10)에 내장하되 그 한쪽 끝(21)은 걸림편(6)에 의해 벨트삽설부(10)의 한쪽 끝에 고정되고, 벨트(2)의 다른쪽 끝(22)은 괘합부(7)에 연결되어서 제5도의 표시와 같이 감겨져 있다.
따라서 괘합부의 구조에 차이점이 있고, 제2실시예의 괘합부(7)는 다음과 같은 구조이다.
괘합부(7)는 수직벽(70)과, 그 벽(70)의 상,하단에서 돌출되어 대향한 보호벽(71)을 보유하고, 또한 수직벽(70)의 이면에 괘지편(61)을 형성한다.
보호벽(71)에는 제6도의 표시와 같이 지지공(72)과 그 양측에 연속되는 홈(74)을 일체로 천설하고, 또한 이 지지공(72)에 회동핀(75)을 회동 가능하게 삽설한다.
회동핀(75)의 몸체에는 벨트(2)가 꽂히는 절결구(76)를 길게 천공하고, 보호벽(7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동핀(75)의 한 끝에 손잡이(77)를 부착한다.
또한 회동핀(75)의 하단과 손잡이(77)의 하단에 고정돌기(78)를 형성하고, 이것을 지지공(72)의 홈(74)에 삽탈 가능하게 괘지한다.
그리고, 내부에 벨트 삽입로(73)를 관통 설치한 유도판(79)은 수직벽(70)의 후방에 연속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제2실시예에서 벨트(2)는 유도판(79)의 벨트삽입로(73)를 경유하여 그 한끝(22)이 절결구(76)에 꽂혀져서 회동핀(75)의 주위에 감겨진다.
스커트(1)의 착용시에 수직벽(70)의 괘지편(61)을 대향하는 걸림편(6)에 괘지시키고, 손잡이(77)를 회동하여 벨트(2)를 감거나, 풀어서 길이를 조절한다.
허리 칫수에 알맞은 길이로 벨트(2) 조절이 끝나면 손잡이(77)를 눌러서 회동핀(75)의 고정돌기(78)를 지지공(72)의 홈(74)에 끼워 고정시킨다.
이와같이 하여 허리 칫수 조절에 필요한 만큼 벨트(2)의 길이를 가감할 수 있다.
제7도내지 제9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벨트삽설부(10)의 한끝(14)은 벨트(2)를 포함하여 스커트의 절개부(11) 상단에 일체 재봉하고, 공지형상의 후크(8)와 스냅단추(80)를 제9도의 표시와 같이 이면의 적당한 위치에 부착하며, 벨트삽설부(10)의 다른 쪽 개구(13)에는 버클(9)과 스냅단추(81)를 부착한 것이다.
버클(9)은 2개의 직립주(Vertical post)(90)(91)와, 후크(8)에 대응하는 절결괘지부(92)를 보유한다.
따라서 개구(13)에서 돌출되는 벨트(2)의 선단은 제8도의 표시와 같이 직립주(90)(91) 사이를 지그재그형으로 통과하여 개구(13)에 재삽입되어 버클(9)에 고정된다.
스커트의 착용에 있어서 벨트(2)의 길이는 버클(9)에 삽입하는 것으로서 용이하게 조절되고, 한번 조절된 벨트 길이는 쉽게 버클(9)에서 이완되지 않는다.
벨트(2)의 길이를 조절한 후에 버클(9)의 절결괘지부(92)와 후크(8)를 걸고, 스냅단추(80)(81)를 맞춰 끼우는 것으로 스커트의 착용은 완료한다.
상기한 제1-제3실시예에서 벨트(2)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벨트삽설부(10)는 제10도의 표시와 같이 스커트(1)의 허리 부분에 재봉하는 것이 좋다.
우선, 벨트삽설부(10)의 상주연과 스커트(1)의 상주연(16)을 겹쳐놓고, 재봉선(17)을 따라 재봉한 후에 벨트삽설부(10)를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접어올리고, 가장자리(15)를 따라 부호(17')로 표시한 바와 같이 재봉한다.
이와같이 재봉하면, 벨트삽설부(10)는 직립상태로 부착되므로, 보통의 스커트와 같이 품위있는 외형을 갖추게 된다.

Claims (1)

  1. 의류의 허리부분에 신축성을 보유하는 벨트삽설부(10)를 부착하고, 이 벨트삽설부(10)에 저신축성의 벨트(2)를 삽입함과 아울러, 벨트(2)의 한쪽 끝(21)은 괘지부(3)와 일체로 벨트삽설부(10)의 한쪽 개구(13)에 고착하고 다른쪽 끝(22)은 돌출시켜서 버클등의 벨트(2)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괘합부(4)를 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칫수 조절장치를 보유한 의류.
KR2019800007661U 1980-11-28 1980-11-28 허리칫수 조절장치를 보유하는 의류 KR8100000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7661U KR810000034Y1 (ko) 1980-11-28 1980-11-28 허리칫수 조절장치를 보유하는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7661U KR810000034Y1 (ko) 1980-11-28 1980-11-28 허리칫수 조절장치를 보유하는 의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60000768 Division 1976-03-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034Y1 true KR810000034Y1 (ko) 1981-01-31

Family

ID=19219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7661U KR810000034Y1 (ko) 1980-11-28 1980-11-28 허리칫수 조절장치를 보유하는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0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47815A (zh) * 2022-04-06 2022-07-15 大连大杨服装定制科技有限公司 一种可自动收腰的男士西裤及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47815A (zh) * 2022-04-06 2022-07-15 大连大杨服装定制科技有限公司 一种可自动收腰的男士西裤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8920A (en) Adjustment system for garments
US3848268A (en) Multiple size slacks
KR810000034Y1 (ko) 허리칫수 조절장치를 보유하는 의류
JPH0613211Y2 (ja) 衣服用腰回り調整装置
US3828370A (en) Band adjusting device for garments
US6434754B2 (en) Hook assembly used for waist-adjusting mechanism of garment and garment having waist-adjusting mechanism
KR100387408B1 (ko) 의복의 허리사이즈가 조절가능한 걸림부재, 훅크구성체, 고리구성체 및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CA1087464A (en) Presser foot for concealed slide fasteners
US11540573B1 (en) Waistband clip
US3760426A (en) Article of apparel
JPS5831852Y2 (ja) ズボン、スカ−ト等衣類
KR100443018B1 (ko) 하의용 허리둘레조절기구
US1555380A (en) Drawers
CN220694424U (zh) 一种防面料撕裂的衣服
KR101105863B1 (ko) 의류
CN220275001U (zh) 一种外套可调节扣
US5063643A (en) Apparel belt retaining device
US1029828A (en) Garment-connecting device.
KR20090004533U (ko) 바지위로 삐짐을 방지하는 구조의 셔츠
JPH0443050Y2 (ko)
US2112025A (en) Shirt holder
JPS5935523Y2 (ja) 折畳み収納できるオ−バ−ズボン
JPS6026083Y2 (ja) ズボン
KR200208615Y1 (ko) 허리조절이 용이한 임신복
JPS5940408Y2 (ja) ズボンの胴回り調節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