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050B1 - 간격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간격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050B1
KR101387050B1 KR1020130016629A KR20130016629A KR101387050B1 KR 101387050 B1 KR101387050 B1 KR 101387050B1 KR 1020130016629 A KR1020130016629 A KR 1020130016629A KR 20130016629 A KR20130016629 A KR 20130016629A KR 101387050 B1 KR101387050 B1 KR 101387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elastic
locking
guide rai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인선
Original Assignee
백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인선 filed Critical 백인선
Priority to KR1020130016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0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2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간격 조절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간격 조절장치는: 내,외측 고정부 사이의 둘레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장치에 있어서, 내측 고정부에 구비되어 상측에 래치부가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외측 고정부에 구비되고, 가이드레일이 이동하는 제1안내부와 제1안내부의 상측에 분리판으로 구획되는 제2안내부를 형성하는 안내부재, 분리판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제1안내부와 제2안내부를 상호 연결하는 관통부, 및 제2안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으로 관통부를 통해 걸림부에 걸리거나, 분리판에 안착되어 가이드레일과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탄성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간격 조절장치{DEVICE FOR CONTROLLING SPACE}
본 발명은 간격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 조절부재를 안내부재에서 슬라이드방식으로 이동시켜 가이드레일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함으로써 바지의 허리 둘레 또는 모자의 둘레 사이즈를 간편하게 조절하도록 하는 간격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복의 바지, 스커트, 점퍼 등의 허리 둘레의 길이를 조절하는 데 허리 밴드에 조절구를 이용하여 조절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사이즈 조정은 바지, 스커트 등의 상체나 다리에 착용하는 의복에 한정되지 않고, 모자나 신발 등, 신체의 일부를 피복하는 것 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의복에 있어서도 적절한 장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모자는 헤드부에 맞추기 위해, 신발은 다리에 맞추기 위해, 사이즈 조절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범용적인 사이즈 조정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특허등록번호 제10-0666219호(발명의 명칭: 허리 사이즈 조정이 가능한 바지)가 제시된바 있다.
종래의 사이즈 조정장치는, 바지의 허리 사이즈를 조절한 후 걸고리의 걸림부를 전측에서 힌지 회동하여 닫아주면 걸림부가 가이드레일의 걸림홈과 결합되면서 허리사이즈가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걸고리의 걸림부가 전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젖힐 때 공간활용의 제약이 있어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상측에서 버튼식으로 젖히는 사이즈 조정장치가 있으나 전체 구성이 복잡하고, 탄성 스프링 및 힌지 등이 더 구비됨으로써 구조가 복잡하고, 그로 인해 제조비용이 증가하며, 사이즈 조정시 버튼을 항상 누르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탄성 조절부재를 안내부재에서 슬라이드방식으로 이동시켜 가이드레일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함으로써 바지의 허리 둘레 또는 모자의 둘레 사이즈를 간편하게 조절하도록 하는 간격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 조절부재를 안내부재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탄성돌부가 안착부에 안착되어 자동적으로 걸림 해제됨으로써 종래와 달리 탄성 조절부재를 지속적으로 누르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간격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간격 조절장치는, 내,외측 고정부 사이의 둘레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 고정부에 구비되어 상측에 래치부가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외측 고정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이 이동하는 제1안내부와 상기 제1안내부의 상측에 분리판으로 구획되는 제2안내부를 형성하는 안내부재; 상기 분리판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제1안내부와 상기 제2안내부를 상호 연결하는 관통부; 및 상기 제2안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으로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걸림부에 걸리거나, 상기 분리판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과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탄성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조절부재는, 상기 제1안내부에 삽입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의 상측 일측면에서 연결되고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이동체를 제1안내부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작동부; 상기 관통부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래치부에 걸려지는 걸림돌부; 및 상기 걸림돌부가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체의 하측 일측면에 탄성력으로 구부려지도록 연결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조절부재는, 상기 작동부를 밀어 상기 이동체를 제1삽입부의 내측 이동시, 상기 걸림돌부가 래치부와 관통부를 거쳐 상기 탄성부를 젖히면서 상기 분리판에 안착되므로 걸림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부는 상기 걸림돌부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벌려지는 경사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부가 상기 래치부에서 걸림 해제시,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상기 걸림돌부와 상기 래치부의 접촉 모서리부위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안내부재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ㄷ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되고, 상면에는 작동을 위해 상측으로 돌출된 푸쉬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부재에는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외측 고정부의 외부에 배치되는 고정부재의 결합돌부가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는, 탄성 조절부재를 안내부재에서 슬라이드방식으로 이동시켜 가이드레일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함으로써 바지의 허리 둘레 또는 모자의 둘레 사이즈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 조절부재를 안내부재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탄성돌부가 안착부에 안착되어 자동적으로 걸림 해제됨으로써 종래와 달리 탄성 조절부재를 지속적으로 누르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의 바지 적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의 조립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의 걸림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의 걸림 해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의 바지 적용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의 조립상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의 걸림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의 걸림 해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100)는, 의복의 바지, 스커트, 점퍼 등의 허리 둘레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모자의 헤드부 둘레 길이 및 구두의 사이즈 조절 등, 즉 고정물(2)의 내측 고정부(4)와 외측 고정부(6) 사이의 둘레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절장치(100)는 고정물(2)인 바지의 허리 둘레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태로 도시하겠으며, 내측 고정부(4)는 바지의 허리에 내측이 배치되는 내측 중첩부이고, 외측 고정부(6)는 바지의 허리 둘레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중첩부이다.
즉, 내측 고정부(4)는 고정물(2)인 바지의 주머니 내측과 결합되되, 허리단(3)에서 중첩되는 부분이고, 외측 고정부(6)는 고정물(2)인 바지의 주머니 외측과 결합되되, 허리단(3)에서 중첩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내,외측 고정부(4)(6)는 고정물(2)인 바지의 주머니단(8)이 절개되어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상술한 내,외측 고정부(4)(6)는 바지, 스커트를 포함한 의복, 모자, 신발 등의 고정물(2)에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100)의 구성은, 가이드레일(10), 안내부재(20), 관통부(30) 및 탄성 조절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이드레일(10)은 고정물(2)의 내측 고정부(4)의 일면에 가로방향으로 재봉되는 상태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가이드레일(10)의 상면에는 걸림을 위한 래치부(12)가 가로방향으로 설정 간격을 갖도록 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레일(10)의 일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14)가 형성된다.
가이드레일(10)의 타측면에는 돌기부(14)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안내홈부(16)가 형성된다.
이때, 돌기부(14)와 안내홈부(16)는 내,외측 고정부(4)(6)의 재봉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안내홈부(16)를 따라 박음질되는 재봉라인은 가이드레일(10) 몸체를 관통하여 돌기부(14)를 거쳐 내측 고정부(4)에 고정됨으로써, 가이드레일(10)이 내측 고정부(4)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도와준다.
이때, 가이드레일(10)을 고정하기 위한 재봉라인은 안내홈부(16)를 따라 함몰되는 상태로 재봉됨으로써, 외부로의 노출이 방지된다.
안내부재(20)는 외측 고정부(16)에 구비되고, 가이드레일(10)이 이동하는 제1안내부(22)와 제1안내부(22)의 상측에 분리판(26)으로 구획되는 제2안내부(24)를 형성한다.
안내부재(20)는 바지의 외측 고정부(16)에 후술하는 고정부재(60)를 통해 결합된다.
이때, 제1,제2안내부(22)(24)는 수평으로 관통되어 연결되는 가이드홈 형상으로 구비된다.
한편, 안내부재(20)는 고정부재(60)를 통해 바지의 허리단 외측 고정부재(60)에 고정된다.
안내부재(20)의 배면에는 외측 고정부(6)의 구멍에 끼워지는 결합돌부(62)가 형성된다.
안내부재(20)에는 제1안내부(22)에 삽입되는 가이드레일(10)을 덮어주기 위한 가림천(70)이 삽입되는 제3안내부(28)가 형성된다.
가림천(70)은 내측 고정부(4) 외측에 양단이 재봉되는 것으로서, 양단을 제외한 중심부위는 가이드레일(10)의 두께를 보상할 수 있도록 내측 고정부(4) 외측면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구비된다.
한편, 고정부재(60)는 외측 고정부재(60)의 외면으로 노출되는 구성으로서, 안내부재(20)는 외측 고정부(6))의 외부에 배치되는 고정부재(60)의 결합돌부(62)가 결합홈부(64)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된다.
결합돌부(62)는 쐐기 형상으로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3단으로 형성되는 상태로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부재(60)를 잡고서 결합돌부(62)를 외측 고정부(6)로 삽입한 후, 안내부재(20)의 결합홈부(62)에 3단으로 압입되어 쐐기 형태의 단차턱부(66)가 결합홈부(64)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고정부재(60)를 강제로 당기더라도 쉽게 분리되지 않아 안내부재(20)를 외측 고정부(6)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관통부(30)는 안내부재(20)의 분리판(26)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제1안내부(22)와 제2안내부(24)를 상호 연결하는 구멍으로서 후술하는 탄성조절부재(40)의 걸림돌부(48)가 삽입되는 구성이다.
관통부(30)는 걸림돌부(48)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벌려지는 경사면부(32)가 형성된다,
경사면부(32)의 개수는 사각형상의 구멍 4개 면에 모두 형성되는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걸림돌부(48)가 이동하는 일부 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30)는 사각형상으로 구멍으로 도시하였으나. 원형 또는 다른 다각형상의 구멍일 수 있다.
한편, 내측 고정부(4)에 결합되는 가이드레일(10)과 외측 고정부(6)에 결합되는 안내부재(20)를 상호 구속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
그래서, 안내부재(20)에 탄성조절부재(40)가 구비된다.
탄성조절부재(40)는 이동체(42), 작동부(44), 걸림돌부(48) 및 탄성부(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동체(42)는 제1안내부(22)에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적어도 일면이 제2안내부(24) 내면에 밀착 지지 된다. 즉, 이동체(42)의 상측면 또는 상,하측면이 제2안내부(24)의 내면에 밀착지지 될 수 있다,
이동체(42)는 탄성조절부재(42)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탄성부(48)에 대해 힌지점 역할을 수행한다.
작동부(44)는 이동체(42)의 상측 일측면에서 연결되고 일부가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이동체(44)를 제2안내부(24)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작동부(44)는 안내부재(2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면에는 작동을 위해 상측으로 돌출된 푸쉬부(45)가 형성된다.
버튼돌출부(45)는 사각형 블록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작동부(44)의 ㄷ 부위는 푸쉬부(45)를 일측으로 밀어 줄 때 분리판(26)의 일면에 내측면이 걸려짐으로써, 이동제한부위 역할도 수행한다.
작동부(44)에는 이동체(42)의 반대측에 제4안내부(22)에서 밀착 이동되게 하는 블록 형상의 보조이동체(4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조이동체(43)는 작동부(42)의 모서리 부위를 보강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걸림돌부(48)는 관통부(30)를 통해 제1안내부(22)로 삽입되어 가이드레일(10)의 래치부(12)에 걸려지는 구성이다.
탄성부(46)는 걸림돌부(48)가 하면에 구비되고, 이동체(42)의 하측 일측면에 탄성력으로 구부려지도록 연결된다.
탄성조절부재(40)는, 사용자가 푸쉬부(45)를 통해 작동부(44)를 밀어 이동체(42)를 제2안내부(24)의 내측 즉, 좌측으로 이동할 때, 걸림돌부(48)가 래치부(12)와 관통부(30)의 경사면부(32)를 거쳐 탄성부(46)를 젖히면서 분리판(26)에 안착됨으로써, 걸림이 해제된다. 즉, 도 5의 상태에서, 도 6의 상태로 이동됨으로써 걸림이 해제되는 것이다.
이러한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내측 고정부(4)에 고정된 가이드레일(10)을 외측 고정부(6)에 고정된 안내부재(20)의 제2안내부(2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켜 바지의 허리 둘레 사이드를 원하는 위치로 조절한다.
연이어, 사용자가 푸쉬부(45)를 통해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작동부(44)를 밀어주면, 분리판(26)에 안착된 걸림돌부(48)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걸림돌부(48)가 관통부(30)의 경사면부(32)를 거쳐 래치부(12)에 삽입됨으로써 걸림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도 6의 상태에서, 도 5의 상태로 이동됨으로써 걸림이 해제되는 것이다.
이때, 바지의 둘레가 벌려 질려고 하지만, 걸림돌부(48)가 관통부(30)와 래치부(12)를 동시에 구속함으로써, 걸림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허리 둘레가 벌려지는 방향으로, 가이드레일(10)이 좌측으로 이동하고, 안내부재(20)가 우측으로 이동할 때, 관통부(30)에 구속된 걸림돌부(48)의 수직면이 래치부(12)의 수직면에 밀착되므로 가이드레일(10)의 이동이 제한되어 걸림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걸림돌부(48)가 래치부(12)에서 걸림 해제시,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걸림돌부(48)와 래치부(12)의 접촉 모서리부위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즉, 탄성조절부재(40)의 걸림 해제작동에 의해 탄성부(46)를 젖히면서 걸림돌부(48)가 래치부(12)와 관통부(30)를 부드럽게 타고 올라 분리판(26)에 안착되게 해준다.
한편, 탄성조절부재(40)의 걸림 해제작동을 하지 않는 경우, 허리 둘레가 오므려 질려는 방향으로, 가이드레일(10)이 우측으로 이동하고, 안내부재(20)가 좌측으로 이동할 때, 다수의 걸림돌부(48)의 라운드부위와 다수의 래치부(12)의 라운드부위가 반복 접촉됨으로써 걸림돌부(48)가 분리판(26)에 안착되지 않아도 안내부재(20)에서 가이드레일(10)의 우측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 고정물 4 : 내측 고정부
6 : 외측 고정부 10 : 가이드레일
12 : 래치부 20 : 안내부재
24 : 제1안내부 26 : 제안내부
28 : 제3안내부 30 : 관통부
32 : 경사면부 40 : 이동체
44 : 작동부 45 : 푸쉬부
46 : 탄성부 48 : 걸림돌부
60 : 고정부재 62 : 결합돌부
64 : 결합홈부 66 : 단차턱부
70 : 가림천 100 : 간격조절장치

Claims (4)

  1. 내,외측 고정부 사이의 둘레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 고정부에 구비되어 상측에 래치부가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외측 고정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이 이동하는 제1안내부와 상기 제1안내부의 상측에 분리판으로 구획되는 제2안내부를 형성하는 안내부재;
    상기 분리판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제1안내부와 상기 제2안내부를 상호 연결하는 관통부; 및
    상기 제2안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으로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걸림부에 걸리거나, 상기 분리판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과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탄성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조절부재는,
    상기 제1안내부에 삽입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의 상측 일측면에서 연결되고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이동체를 제1안내부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작동부;
    상기 관통부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래치부에 걸려지는 걸림돌부; 및
    상기 걸림돌부가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체의 하측 일측면에 탄성력으로 구부려지도록 연결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조절부재는, 상기 작동부를 밀어 상기 이동체를 제1삽입부의 내측 이동시, 상기 걸림돌부가 래치부와 관통부를 거쳐 상기 탄성부를 젖히면서 상기 분리판에 안착되므로 걸림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걸림돌부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벌려지는 경사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부가 상기 래치부에서 걸림 해제시,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상기 걸림돌부와 상기 래치부의 접촉 모서리부위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안내부재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ㄷ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되고, 상면에는 작동을 위해 상측으로 돌출된 푸쉬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부재에는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외측 고정부의 외부에 배치되는 고정부재의 결합돌부가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장치.
KR1020130016629A 2013-02-15 2013-02-15 간격 조절장치 KR101387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629A KR101387050B1 (ko) 2013-02-15 2013-02-15 간격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629A KR101387050B1 (ko) 2013-02-15 2013-02-15 간격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7050B1 true KR101387050B1 (ko) 2014-04-18

Family

ID=50658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629A KR101387050B1 (ko) 2013-02-15 2013-02-15 간격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05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186B1 (ko) * 2014-12-30 2016-06-14 백종환 분리형 간격 조절장치
KR101826266B1 (ko) 2017-02-10 2018-02-06 백종환 분리형 간격 조절장치
WO2018201216A1 (en) * 2017-05-01 2018-11-08 Stayback Fitting Systems Inc. Garment fitting mechanism and hat incorporating same
KR101992563B1 (ko) * 2018-04-26 2019-06-26 주식회사 씨엔어스 치마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와 그 설치방법
KR101972818B1 (ko) * 2019-02-01 2019-08-23 정재표 길이 조절장치
KR20200134726A (ko) * 2019-05-23 2020-12-02 김홍원 허리둘레길이 조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5636A (ko) * 2005-04-01 2006-10-11 모리토 가부시키가이샤 웨이스트 조절용 어저스터
KR20090104796A (ko) * 2009-09-15 2009-10-06 박해오 허리둘레 조절구 및 그것이 구비된 바지
JP2011111681A (ja) 2009-11-24 2011-06-09 Morito Co Ltd ウエストサイズ調節具
KR20120008262U (ko) * 2011-05-24 2012-12-04 박해오 허리둘레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5636A (ko) * 2005-04-01 2006-10-11 모리토 가부시키가이샤 웨이스트 조절용 어저스터
KR20090104796A (ko) * 2009-09-15 2009-10-06 박해오 허리둘레 조절구 및 그것이 구비된 바지
JP2011111681A (ja) 2009-11-24 2011-06-09 Morito Co Ltd ウエストサイズ調節具
KR20120008262U (ko) * 2011-05-24 2012-12-04 박해오 허리둘레 조절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186B1 (ko) * 2014-12-30 2016-06-14 백종환 분리형 간격 조절장치
KR101826266B1 (ko) 2017-02-10 2018-02-06 백종환 분리형 간격 조절장치
WO2018201216A1 (en) * 2017-05-01 2018-11-08 Stayback Fitting Systems Inc. Garment fitting mechanism and hat incorporating same
KR101992563B1 (ko) * 2018-04-26 2019-06-26 주식회사 씨엔어스 치마의 허리둘레 조절장치와 그 설치방법
KR101972818B1 (ko) * 2019-02-01 2019-08-23 정재표 길이 조절장치
KR20200134726A (ko) * 2019-05-23 2020-12-02 김홍원 허리둘레길이 조절장치
KR102191474B1 (ko) 2019-05-23 2020-12-15 김홍원 허리둘레길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050B1 (ko) 간격 조절장치
KR101278247B1 (ko) 간격 조절장치
US9795192B2 (en) Buckle
MX2014005137A (es) Conector.
US9074395B2 (en) Removable door stop
KR101265161B1 (ko) 허리 사이즈 조절장치
US20170143897A1 (en) Needle Device
EP3348158A1 (en) Wireform attachment mechanism
KR101400683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US20160242515A1 (en) Convenient and quick-release textile
KR101458960B1 (ko)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
AU2016359516B2 (en) Needle puncture device
KR200483955Y1 (ko) 바지 걸이
KR101423206B1 (ko) 의복용 허리둘레조절장치
KR101630186B1 (ko) 분리형 간격 조절장치
US20170153666A1 (en) Bag computer vertical operating position holder
KR20170044474A (ko)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
KR20110063391A (ko) 옷걸이 보조구
CN209573440U (zh) 预防意外释锁的扣具
KR101826266B1 (ko) 분리형 간격 조절장치
KR101502955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레저의자용 베개
CN208675293U (zh) 一种手机指环扣固定装置
KR101590931B1 (ko) 의류 허리단 둘레 조절장치 및 그를 포함한 허리단 둘레 조절이 가능한 의류
JPH0880204A (ja) 紐止め具
KR101358891B1 (ko) 단추 달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