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4474A -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4474A
KR20170044474A KR1020150144234A KR20150144234A KR20170044474A KR 20170044474 A KR20170044474 A KR 20170044474A KR 1020150144234 A KR1020150144234 A KR 1020150144234A KR 20150144234 A KR20150144234 A KR 20150144234A KR 20170044474 A KR20170044474 A KR 20170044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moving shaft
latch
space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종환
백인선
Original Assignee
백종환
백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환, 백인선 filed Critical 백종환
Priority to KR1020150144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4474A/ko
Publication of KR20170044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4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7Garments with built-in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02Free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uckles (AREA)

Abstract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는: 내측고정부에 구비되고, 상측에 래치부가 형성되는 가이드레일와, 가이드레일이 안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 이동되고, 외측고정부에 구비되는 설치부재와, 안내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작동부재와, 작동부재의 길이방향 동작에 따라 승강하고, 래치부에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승강걸림부재와, 외측고정부를 내측고정부 측으로 이동하여 허리 간격을 줄일 때, 작동부재의 작동 없이도 승강걸림부재가 젖혀져 걸림부가 래치부에서 이탈되어 이동되게 하는 젖힘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THROW BACK TYPE SPAC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지 허리춤을 줄일 때, 작동부재의 슬라이드 작동 없이도 외측고정부(외피)의 이동만으로 승강부재의 젖힘 동작으로 걸림돌부의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하는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복의 바지, 스커트, 점퍼 등의 허리 둘레의 길이를 조절하는 데 허리 밴드에 조절구를 이용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사이즈 조정은 바지, 스커트 등의 상체나 다리에 착용하는 의복에 한정되지 않고, 모자나 신발 등, 신체의 일부를 피복하는 것 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의복에 있어서도 적절한 장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모자는 헤드부에 맞추기 위해, 신발은 다리에 맞추기 위해, 사이즈 조절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범용적인 간격 조절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간격 조절장치 중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이동 및 승강구조를 이용하여 가이드레일의 래치부에 걸려지게 구성함으로써, 바지 등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기존의 슬라이드 방식 간격조절장치는 바지의 내측고정부(내피)에 고정되는 부분과 외측고정부(외피)에 고정되는 부분이 상호 연결되어 길이조절은 가능하지만, 바지의 허리를 줄이거나 늘려줄 때, 작동버튼을 반드시 눌러주어야지만 래치부가 가이드레일의 기어치에서 걸림 해제되어 이동가능하므로 사용상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즉, 바지의 허리를 줄일 때도 버튼을 눌러서 걸림을 해제해야 하고, 바지의 허리춤을 늘릴 때도 버튼을 눌러서 걸림을 해제해야 하므로 불편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특허등록번호 제10-1387050호(발명의 명칭: 간격 조절장치, 등록일: 2014.04.14)가 제시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바지 허리춤을 줄일 때, 작동부재의 슬라이드 작동 없이도 외측고정부(외피)의 이동만으로 승강부재의 젖힘 동작으로 걸림돌부의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는, 내측고정부에 구비되고, 상측에 래치부가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이 안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 이동되고, 외측고정부에 구비되는 설치부재; 상기 안내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의 길이방향 동작에 따라 승강하고, 상기 래치부에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승강걸림부재; 및 상기 외측고정부를 상기 내측고정부 측으로 이동하여 허리 간격을 줄일 때, 상기 작동부재의 작동 없이도 상기 승강걸림부재가 젖혀져 상기 걸림부가 상기 래치부에서 이탈되어 이동되게 하는 젖힘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젖힘작동부는, 상기 작동부재의 버튼부 측에 가깝게 상기 작동부재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홈부; 상기 제1경사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승강걸림부재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이동축; 상기 제1경사홈부에 이웃하여 상기 작동부재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홈부; 상기 제2경사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승강걸림부재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2이동축; 및 상기 제2경사홈부에 연결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래치부를 따라 이동하여 걸림이 해제되도록 상기 제2이동축이 상측으로 젖혀지는 이동공간을 제공하는 젖힘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젖힘공간부는 직사각형 형태의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이동축은 상기 승강걸림부재 젖힘시 힌지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2이동축의 하측에만 형성되고, 상기 제2이동축은 상기 승강걸림부재 젖힘시 상기 젖힘공간부의 상부 내측면에 걸리는 이탈방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래치부에서 용이하게 젖혀지도록 상기 제1이동축 방향으로 경사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경사면부 반대측에 상기 래치부에 구속되도록 수직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설치부재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탄성스프링에 의해 틴성력을 제공받으며,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설치부재의 일측으로 형성된 차단부재에 차단되며, 상기 설치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작동부재의 버튼부가 삽입되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는, 바지 허리춤을 줄일 때, 작동부재의 슬라이드 작동 없이도 외측고정부(외피)의 이동만으로 승강부재의 젖힘 동작으로 걸림돌부의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부재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수납홈부를 형성하여 작동부재의 버튼부를 수납하므로 노출되는 부위를 줄여주어 미관상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를 바지에 적용한 상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의 구속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에서 바지의 허리를 줄일 때, 작동부재의 작동 없이도 젖힘작동부에 의해 승강부재가 젖혀지므로 걸림이 해제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에서 작동부재를 눌러서 걸림을 해제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에서 작동부재에 수납홈부가 형성된 상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를 바지에 적용한 상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의 구속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에서 바지의 허리를 줄일 때, 작동부재의 작동 없이도 젖힘작동부에 의해 승강부재가 젖혀지므로 걸림이 해제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들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에서 작동부재를 눌러서 걸림을 해제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조절장치는, 의복의 바지, 스커트, 점퍼 등의 허리 둘레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모자의 헤드부 둘레 길이 및 구두의 사이즈 조절 등, 즉 고정물(2)의 내측고정부(4, 내피)와 외측고정부(6, 외피) 사이의 둘레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고정물(2)을 바지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일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절장치는 고정물(2)인 바지의 허리 둘레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태로 도시하겠으며, 내측고정부(4)는 바지의 허리에 내측이 배치되는 내측 중첩부이고, 외측고정부(6)는 바지의 허리 둘레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중첩부이다.
즉, 내측고정부(4)는 고정물(2)인 바지의 주머니 내측과 결합되되, 허리단(3)에서 중첩되는 부분이고, 외측고정부(6)는 고정물(2)인 바지의 주머니 외측과 결합되되, 허리단(3)에서 중첩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내,외측고정부(4,6)는 고정물(2)인 바지의 주머니단(8)이 절개되어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내,외측고정부(4,6)는 바지, 스커트를 포함한 의복, 모자, 신발 등의 고정물(2)에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은, 가이드레일(10), 설치부재(20), 작동부재(30), 승강걸림부재(40) 및 젖힙작동부(50)를 포함한다.
가이드레일(10)은 고정물(2)의 내측고정부(4)의 일면에 가로방향으로 재봉되는 상태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가이드레일(10)의 상측 면에는 걸림을 위한 래치부(12)가 길이방향으로 설정 간격을 갖도록 다수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레일(10)의 측면에는 설치부재(20)의 안내부(22)에 삽입되어 유동 없이 슬라이드 이동되게 한다. 따라서, 가이드레일(10)이 설치부재(20)의 안내부(22)에서 상하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한다.
가이드레일(10)은 내측고정부(4)에 재봉을 통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레일(10)에는 재봉 작업시 재봉라인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되는 함몰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설치부재(20)는 가이드레일(10)이 이동하는 안내부(2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측고정부(6)에 구비된다. 설치부재(20)는 고정물(2)의 외측고정부(6)에 고정부재(80)를 통해 결합된다.
고정부재(80)의 배면에는 외측고정부(6)의 구멍에 끼워지고, 설치부재(20)의 결합공(26)에 삽입되어 구부려지므로 고정부재(80)를 외측고정부(4)에 고정하는 결합돌부(82)가 형성된다. 결합돌부(82)는 한 쌍 형성되고, 단부가 바지의 구멍 및 결합공(26)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뾰족하게 형성된다.
설치부재(20)에는 안내부(22)에 삽입되는 가이드레일(10)을 덮어주기 위한 가림천(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가림천은 내측고정부(4) 외측에 양단이 재봉되는 것으로서, 양단을 제외한 중심부위는 가이드레일(10)의 두께를 보상할 수 있도록 내측고정부(4) 외측면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80)는 외측고정부(6)의 외면으로 노출되는 구성이다.
결합공(26)은 설치부재(20)의 일 측면에 수평으로 2개 이상 관통 형성된다.
결합돌부(82)는 결합공(26)에 삽입된 후, 단부가 압착되어 고정되거나 쐐기 형상으로 원주방향으로 다단 돌출 형성되어 압입(壓入)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작동부재(30)는 안내부(22)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구성이다.
작동부재(30)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밀거나 당겨줄 수 있도록 설치부재(20)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버튼부(32)가 구비된다.
버튼부(32)는 설치부재(20)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노출되어 밀어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버튼부(32)가 작동부재(30)의 우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작동부재(30)는 판재형태로 이루어지고, 버튼부(32)는 버튼 형태로 작동부재(30)의 모서리부위에서 ㄱ자로 구부려져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작동부재(30)는 설치부재(20)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탄성스프링(60)에 의해 틴성력을 제공 받는다.
탄성스프링(60)은 설치부재(20)의 일측으로 형성된 차단부재(62)에 차단되어 지지력을 제공받는다. 차단부재(62)는 설치부재(20)의 가장자리를 구부려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스프링(60)은 코일스프링을 적용하도록 한다.
승강걸림부재(40)는 작동부재의 길이방향 동작에 따라 승강하고, 래치부(12)에 걸리는 걸림부(42)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승강걸림부재(40)는 판재형태로 이루어진다.
걸림부(42)는 승강걸림부재(40)의 하측에 형성되어 래치부(12)에 걸려 구속된다.
젖힘작동부(50)는 외측고정부(6)를 내측고정부(4) 측으로 이동하여 허리 간격을 줄일 때, 작동부재(30)의 작동 없이도 승강걸림부재(40)가 젖혀져 걸림부(42)가 래치부(12)에서 이탈되어 이동되게 하는 구성이다.
젖힘작동부(50)는 작동부재(30)의 버튼부(32) 측에 가깝게 작동부재(30)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홈부(52)와, 제1경사홈부(52)에 삽입되도록 승강걸림부재(4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이동축(54)와, 제1경사홈부(52)에 이웃하여 작동부재(30)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홈부(55)와, 제2경사홈부(55)에 삽입되도록 승강걸림부재(4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2이동축(56)과, 제2경사홈부(55)에 연결되어 걸림부(42)가 래치부(12)를 따라 이동하여 걸림이 해제되도록 제2이동축(56)이 상측으로 젖혀지는 이동공간을 제공하는 젖힘공간부(58)를 포함한다.
젖힘공간부(58)는 직각삼각형 형태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제1이동축(54)은 승강걸림부재(40) 젖힘시 제1경사홈부(52)의 하측 단부에 지지되어 힌지 역할을 수행한다.
승강걸림부재(40)가 허리를 줄일 때, 설치부재(20) 역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래치부(12)에 걸려진 걸림부(42)가 제2이동축(56)이 작동공간부(58) 측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젖혀지면서 걸림이 해제딘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작동부재(30)의 버튼부(32) 슬라이드 작동 없이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젖힘공간부(58)를 통해 제2이동축(56)이 상하 이동하여 승강걸림부재(40)가 젖혀지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설치부재(20)를 이동(도 5에서 우측방향 이동)하여 바지의 허리춤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외측고정부(60)에 고정된 설치부재(20)의 이동을 멈추면, 즉, 바지의 허리춤을 줄이지 않으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부재(20)가 좌측으로 이동할려는 힘을 받게 되게 되지만, 걸림부(42)가 래치부(12)에 삽입되어 구속되므로 바지의 허리 간격이 고정된다.
즉, 이 경우에는 작동부재(30)가 탄성스프링(60)에 의해 설치부재(20)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게 되고, 제1,제2경사홈부(52,55)가 제1,제2이동축(54,56)을 우측으로 밀어주려는 힘이 가이드홈부(24)에 구속된 가이드축(44)에 의해 하강방향으로 전환되므로 승강걸림부재(40)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걸림부(42)가 래치부(42)에 삽입되어 구속되는 것이다. 이때, 제1,제2이동축(54,56)은 제1,제2경사홈부(52,55)듸 하측단부에 위치한 상태에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42)가 래치부(12)에서의 걸림 상태를 헤제하고자 하는 경우, 버튼부(32)를 눌려 탄성스프링(60)을 압축하도록 작동부재(30)를 설치부재(20)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면, 제1,제2경사홈부(52,55)가 제1,제2이동축(54,56)을 좌측으로 밀어주려는 힘이 가이드홈부(24)에 구속된 가이드축(44)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전환되므로 승강걸림부재(40)가 상승하게 되고, 걸림부(42)가 래치부(42)에서 이탈되면서 구속이 해제된다. 이때, 제1,제2이동축(54,56)은 제1,제2경사홈부(52,55)듸 상측단부에 위치한 상태에 있게 된다.
걸림부(52)는 제2이동축(56)의 하측에만 형성된다.
제2이동축(56)은 승강걸림부재(40) 젖힘시 젖힘공간부(58)의 상부 내측면에 걸리는 이탈방지 역할을 수행한다.
걸림부(52)는 래치부(12)에서 용이하게 젖혀지도록 제1이동축(54) 방향으로 경사면부(46)를 형성한다. 걸림부(52)는 경사면부(46) 반대측에 래치부(12)에 구속이 용이하도록 수직면부(48)가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부재(20)의 일측에는 작동부재(30)의 버튼부(32)가 삽입되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납홈부(70)가 형성될 수 있다.
수납홈부(70)는 설치부재(20)의 상측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버튼부(32)가 수납되므로 작동부재(30)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는, 바지 허리춤을 줄일 때, 작동부재의 슬라이드 작동 없이도 외측고정부(외피)의 이동만으로 승강부재의 젖힘 동작으로 걸림돌부의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부재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수납홈부를 형성하여 작동부재의 버튼부를 수납하므로 노출되는 부위를 줄여 주어 미관상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 고정물 4 : 내측고정부
6 : 외측고정부 10 : 가이드레일
12 : 래치부 20 : 설치부재
22 : 안내부 24 : 가이드홈부
30 : 작동부재 32 : 버튼부
40 : 승강걸림부재 42 : 걸림부
44 : 가이드축 46 : 경사면부
48 : 수직면부 50 : 젖힘작동부
52 : 제1경사홈부 54 : 제1이동축부
55 : 제2경사홈부 56 : 제2이동축부
58 : 젖힘공간부 60 : 탄성스프링
62 : 차단부재 70 : 수납홈부
80 : 고정부재 82 : 결합돌부

Claims (5)

  1. 내측고정부에 구비되고, 상측에 래치부가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이 안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 이동되고, 외측고정부에 구비되는 설치부재;
    상기 안내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의 길이방향 동작에 따라 승강하고, 상기 래치부에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승강걸림부재; 및
    상기 외측고정부를 상기 내측고정부 측으로 이동하여 허리 간격을 줄일 때, 상기 작동부재의 작동 없이도 상기 승강걸림부재가 젖혀져 상기 걸림부가 상기 래치부에서 이탈되어 이동되게 하는 젖힘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젖힘작동부는,
    상기 작동부재의 버튼부 측에 가깝게 상기 작동부재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홈부;
    상기 제1경사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승강걸림부재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이동축;
    상기 제1경사홈부에 이웃하여 상기 작동부재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홈부;
    상기 제2경사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승강걸림부재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2이동축; 및
    상기 제2경사홈부에 연결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래치부를 따라 이동하여 걸림이 해제되도록 상기 제2이동축이 상측으로 젖혀지는 이동공간을 제공하는 젖힘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젖힘공간부는 직각삼각형 형태의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이동축은 상기 승강걸림부재 젖힘시 힌지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2이동축의 하측에만 형성되고,
    상기 제2이동축은 상기 승강걸림부재 젖힘시 상기 젖힘공간부의 상부 내측면에 걸리는 이탈방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래치부에서 용이하게 젖혀지도록 상기 제1이동축 방향으로 경사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경사면부 반대측에 상기 래치부에 구속되도록 수직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설치부재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탄성스프링에 의해 틴성력을 제공받으며,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설치부재의 일측으로 형성된 차단부재에 차단되며,
    상기 설치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작동부재의 버튼부가 삽입되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
KR1020150144234A 2015-10-15 2015-10-15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 KR20170044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234A KR20170044474A (ko) 2015-10-15 2015-10-15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234A KR20170044474A (ko) 2015-10-15 2015-10-15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474A true KR20170044474A (ko) 2017-04-25

Family

ID=58703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234A KR20170044474A (ko) 2015-10-15 2015-10-15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44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5109B1 (ja) バンドとバックルのスライドアジャスタ
KR101387050B1 (ko) 간격 조절장치
KR101265161B1 (ko) 허리 사이즈 조절장치
TWI556805B (zh) Hinge mechanism of hinged aligner
ITVE20120004A1 (it) Bracciolo, in particolare per sedie da ufficio.
KR101425027B1 (ko)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착탈식 버클
KR20170044474A (ko) 젖힘식 간격 조절장치
KR101474391B1 (ko) 하의용 허리단 치수 조절장치
KR101357448B1 (ko) 의류의 허리둘레선 조절장치
JPS58191203A (ja) ウエストバンド用締付具
KR101458960B1 (ko) 하의용 허리둘레조절장치
CN104806854B (zh) 手机或平板电脑放置支架
US20180049495A1 (en) Garment Protector
KR101630186B1 (ko) 분리형 간격 조절장치
KR102312844B1 (ko) 의류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KR20170123302A (ko) 하의의 허리단 길이조절장치
KR101698149B1 (ko) 허리둘레 조절장치
KR101972818B1 (ko) 길이 조절장치
KR20160012479A (ko) 안마의자 다리마사지 유닛
TW201808166A (zh) 用於具有調整手段的抽屜或類似物之抽出導件
KR102081381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착탈형 결합구
JP3194395U (ja) テーブル用折畳み支脚におけるv字型ステーのロック装置
KR20090006750U (ko) 허리 사이즈 조절 잠금장치 및 그를 구비한 하의
KR101985613B1 (ko)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JP3208186U (ja) 手袋装着支援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