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935A - 옷걸이 - Google Patents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0935A
KR20200110935A KR1020190030463A KR20190030463A KR20200110935A KR 20200110935 A KR20200110935 A KR 20200110935A KR 1020190030463 A KR1020190030463 A KR 1020190030463A KR 20190030463 A KR20190030463 A KR 20190030463A KR 20200110935 A KR20200110935 A KR 20200110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anger
stopper
suppor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지현
노정준
이아영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0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0935A/ko
Priority to PCT/KR2020/002912 priority patent/WO2020189920A1/ko
Priority to US17/438,641 priority patent/US11857095B2/en
Priority to EP20773243.9A priority patent/EP3942972B1/en
Publication of KR20200110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9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62Trouser or skirt stretchers or tensioners of the hanger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0Collapsible hangers
    • A47G25/4046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support arms of a series of links
    • A47G25/4053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support arms of a series of links telescopically or slidably connec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0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with devices for preserving the shape of the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62Trouser or skirt stretchers or tensioners of the hanger type
    • A47G25/621Trouser or skirt stretchers or tensioners of the hanger type for stretching or tensioning trouser leg ends or the trouser skirt waistband comprising gripping members being urged apart
    • A47G25/626Trouser or skirt stretchers or tensioners of the hanger type for stretching or tensioning trouser leg ends or the trouser skirt waistband comprising gripping members being urged apart comprising resilient gripping members
    • A47G25/627Trouser or skirt stretchers or tensioners of the hanger type for stretching or tensioning trouser leg ends or the trouser skirt waistband comprising gripping members being urged apart comprising resilient gripping members the hanger being adjustable to garment wid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66Trouser-stretchers with creasing or expan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0Collapsible hanger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수직 프레임;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된 센터부와, 센터부의 양측에서 길게 형성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 수직 프레임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무빙 바; 무빙 바의 상단에 연결되고 센터부 내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승강 바디; 지지부에 내장되고 승강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승강 바디의 승강에 따라 길이 가변되는 다절 링크; 및 지지 프레임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다절 링크에 연결되며 지지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옷걸이{HANGER}
본 발명은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옷걸이는 의류를 걸어두기 위한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옷걸이는 후크 및 상기 후크의 하단에서 양측으로 하방 경사지게 형성된 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옷장 등의 거치대에 걸려 매달릴 수 있고, 상기 걸이부에는 의류가 걸려 지지될 수 있다.
기능성 옷걸이는 사용의 편의성 또는 의류의 손상방지를 위해 옷걸이의 구조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행문헌 1(KR10-1811318B1)에 개시된 옷걸이는 어깨 걸이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선행문헌 2(KR10-2017-0009479A)에 개시된 옷걸이는 어깨걸이부 및 펼침 지지부가 각도 조절될 수 있다.
KR10-1811318B1 (원터치 접이식 옷걸이, 2017.12.15 등록) KR10-2017-0009479A (다기능 옷걸이, 2017.01.25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다양한 크기의 의류를 지지할 수 있도록 좌우로 확장 가능한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의류에 기계력을 인가하여 의류를 팽팽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다른 과제는, 좌우 확장 및 원복이 용이한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된 센터부와, 상기 센터부의 양측에서 길게 형성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무빙 바; 상기 무빙 바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센터부 내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승강 바디; 상기 지지부에 내장되고 상기 승강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승강 바디의 승강에 따라 길이 가변되는 다절 링크;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다절 링크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 바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측에 위치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센터부의 상측에서 체결되고 상기 승강 바디가 상승 가능한 내부공간이 형성된 어퍼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퍼 바디의 상부에는 후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에는, 탄성 변형되고 상기 어퍼 바디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탄성 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의 전방에서 체결되며 상기 탄성 밴드를 고정하는 밴드 고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 바에 상측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 바의 상승을 막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수직 프레임의 외면에 구비된 버튼; 상기 버튼에서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을 관통하는 스토퍼 본체; 및 상기 스토퍼 본체에서 돌출되고 상기 무빙 바의 걸림부에 걸리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복수개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걸림부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돌기가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돌기가 걸리는 수평면; 및 상기 수평면에 연결되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압축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돌기를 가압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된 한 쌍의 로어 프레임; 및 상기 로어 프레임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로어 프레임의 외측으로 둘출되는 로어 연장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연장 프레임과 상기 로어 연장 프레임을 연결하는 사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프레임에 내장되고 상기 로어 연장 프레임을 상기 로어 프레임 내부로 당기는 인장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 연장 프레임이 로어 프레임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로어 프레임의 외면에 구비된 버튼; 상기 버튼에서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로어 프레임을 관통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서 돌출되고 상기 로어 연장 프레임의 걸림부에 걸리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복수개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걸림부는 상기 로어 연장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가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를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돌기가 걸리는 수직면; 및 상기 수직면에 연결되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압축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돌기를 가압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 프레임의 상측에 위치한 로어 후크; 상기 로어 후크 및 상기 로어 프레임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연결부재; 및 상기 로어 후크 및 상기 로어 연장 프레임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 연장 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제2연결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가 형성되고, 상기 로어 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커넥터가 통과하는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된 센터부와, 상기 센터부의 양측에서 길게 형성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무빙 바; 상기 지지부에 내장되고 상기 무빙 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무빙 바의 승강에 따라 길이 가변되는 다절 링크;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다절 링크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장 프레임이 지지 프레임의 양측에서 돌출될 수 있다. 이로써 옷걸이가 좌우로 확장되어 다양한 크기의 의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무빙 바는 승강 바디 및 다절 링크에 의해 연장 프레임과 연동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무빙 바에 연결된 손잡이를 하측으로 당겨 옷걸이를 좌우로 간단히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 바디는 센터부의 내부공간 및 그와 연통된 어퍼 바디의 내부공간에서 상하로 승강할 수 있다. 이로써 승강 바디가 승강 가능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면서도 옷걸이가 컴팩트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어퍼 바디에는 탄성 변형되는 탄성 밴드가 구비될 수 있고, 밴드 고정장치는 탄성 밴드를 고정할 수 있다. 이로써 탄성 밴드는 의류의 깃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1버튼을 누르면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무빙 바가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연장 프레임이 지지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좌우 확장된 옷걸이가 간편하게 원복될 수 있다.
또한, 제1스토퍼가 걸리는 복수개의 걸림부는 무빙 바의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연장 프레임의 돌출 길이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1압축 스프링은 돌기가 걸림부에 걸리는 방향으로 제1스토퍼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제1버튼에 힘을 가하지 않으면 제1스토퍼는 무빙 바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는 수평면 및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무빙바가 하강할 경우에는 돌기가 걸림부에 걸리지 않고 무빙바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돌기가 걸림부에 걸릴 수 있다.
또한, 로어 연장 프레임이 로어 프레임의 양측에서 돌출될 수 있고, 연장 프레임과 로어 돌출 프레임을 연결하는 사이드 프레임이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사이드 프레임은 의류의 몸통 내에서 의류를 양측으로 밀 수 있고, 의류는 좌우로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은 의류의 형상에 알맞게 탄성 변형되어 기계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2버튼을 누르면 인장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로어 연장 프레임이 로어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좌우 확장된 옷걸이가 간편하게 원복될 수 있다.
또한, 제2스토퍼가 걸리는 복수개의 걸림부는 좌우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로어 연장 프레임의 돌출 길이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2압축 스프링은 돌기가 걸림부에 걸리는 방향으로 제2스토퍼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제2버튼에 힘을 가하지 않으면 제2스토퍼는 로어 연장 프레임이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는 수직면 및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로어 연장 프레임이가 외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돌기가 걸림부에 걸리지 않고, 로어 연장 프레임이 내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돌기가 걸림부에 걸릴 수 있다.
또한, 후크 장치는 의류의 하부를 고정하여 기계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로써 의류는 상하 방향으로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로어 연장 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후크 장치의 높이는 가변될 수 있다. 이로써 다양한 크기의 의류에 안정적으로 기계력을 인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전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상부의 내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장 프레임이 가이드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하측 일부가 확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스토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스토퍼와 무빙 바의 연결관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하부의 내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스토퍼와 로어 연장 프레임의 연결관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스토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밴드 및 밴드 고정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의류에는 옷(clothes), 의복(apparel)뿐만 아니라,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목도리 등과 같이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대상과 함께 인형, 수건, 이불과 같이 사람이 사용을 하는 대상을 포함하며,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대상물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전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수직 프레임(1)과, 지지 프레임(2)과, 연장 프레임(5)과, 무빙 바(1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1)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수직 프레임(1)의 내부에는 후술할 무빙 바(1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은 수직 프레임(1)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은 의류를 지지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지지 프레임(2)은 수직 프레임(1)의 상단에 연결된 센터부(3)와, 상기 센터부(3)의 양측에서 길게 형성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2)은 센터부(3)의 상측에 체결된 어퍼 바디(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터부(3)는 지지 프레임(2)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센터부(3)는 수직 프레임(1)의 상측에서 수직 프레임(1)의 상단과 체결될 수 있다.
센터부(3)의 내부에는 후술할 승강 바디(30)(도 2 참조)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4)는 의류의 어깨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4)는 센터부(3)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경사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4)는 센터부(3)의 일측에 위치한 제1지지부(4A)와, 센터부(3)의 타측에 위치한 제2지지부(4B)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4)의 내부에는 다절 링크(40)(도 2 참조) 및 상기 다절 링크(40)에 연결된 연장 프레임(5)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바디(6)는 센터부(3)의 상측에서 센터부(3)와 체결될 수 있다. 어퍼 바디(6)의 내부에는 상기 승강 바디(30)(도 2 참조)이 상승 가능한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어퍼 바디(6)의 내부공간은 센터부(3)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어퍼 바디(6)의 후크(6A)가 구비될 수 있다. 후크(6A)는 어퍼 바디(6)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후크(6A)는 옷장 등의 거치대에 걸려 옷걸이 전체를 지지할 수 있다.
어퍼 바디(6)에는 탄성 밴드(6B)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 밴드(6B)는 어퍼 바디(6)의 적어도 일부를 후방에서부터 둘러쌀 수 있다. 탄성 밴드(6B)의 높이는 어퍼 바디(6)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탄성 밴드(6B)는 탄성 변형되며 의류의 깃을 지지할 수 있다. 탄성 밴드(6B)는 의류의 펼쳐진 깃을 외측에서 둘러쌀 수 있다.
탄성 밴드(6B)는 후술할 밴드 고정장치(60)(도 12 참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연장 프레임(5)은 지지 프레임(2)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연장 프레임(5)은 지지 프레임(2)의 지지부(4)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지지부(4)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연장 프레임(5)은 지지부(4)와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연장 프레임(5)은 지지부(4)와 함께 의류를 지지할 수 있다.
연장 프레임(5)은 지지부(4)에서 돌출될 수 있다. 연장 프레임(5)이 지지부(4)에서 돌출되는 길이는 후술할 무빙 바(10) 및 손잡이(10A)의 조작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 프레임(5)은 다양한 크기를 갖는 의류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연장 프레임(5)은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연장 프레임(5)은 제1지지부(4A)에서 돌출되는 제1연장 프레임(5A)과, 제2지지부(4B)에서 돌출되는 제2연장 프레임(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장 프레임(5A)은 제1지지부(4A)와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연장 프레임(5B)은 제2지지부(4B)와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각 연장 프레임(5)은 지지부(4)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51)와, 상기 삽입부(51)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51)는 지지부(4)의 내부로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51)는 지지부(4)와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52)는 지지부(4)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52)는 지지부(4)의 단부에 걸려 지지부(4)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무빙 바(10)는 수직 프레임(1)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무빙 바(10)는 수직 프레임(1)과 나란하게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무빙 바(10)의 하단은 수직 프레임(1)의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무빙 바(10)의 하단에는 손잡이(10A)가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10A)는 수직 프레임(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10A)를 잡아당겨 무빙 바(10)를 하강시킬 수 있고, 무빙 바(10)에 연결된 승강 바디(30)(도 2 참조) 및 다절 링크(40)(도 2 참조)에 의해 한 쌍의 연장 프레임(5)이 지지 프레임(2)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로어 프레임(7)과, 로어 연장 프레임(8)과, 사이드 프레임(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어 프레임(7)은 수직 프레임(1)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로어 프레임(7)은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로어 프레임(7)은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어 프레임(7)은 지지 프레임(2), 좀 더 상세히는 지지부(4)와 하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로어 프레임(7)의 내부에는 인장 스프링(70)(도 2 참조) 및 상기 인장 스프링(70)에 연결된 로어 연장 프레임(8)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로어 프레임(7)은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로어 프레임(7)은 수직 프레임(1)의 일측에 위치한 제1로어 프레임(7A)과, 수직 프레임(1)의 타측에 위치한 제2로어 프레임(7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로어 프레임(7A)은 제1지지부(4A)와 상하로 중첩될 수 있고, 제2로어 프레임(7B)은 제2지지부(4B)와 상하로 중첩될 수 있다.
로어 연장 프레임(8)은 로어 프레임(7)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로어 연장 프레임(8)은 로어 프레임(7)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로어 연장 프레임(8)은 로어 프레임(7)와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로어 연장 프레임(8)은 로어 프레임(7)에서 돌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로어 연장 프레임(8)을 당겨 로어 연장 프레임(8)을 로어 프레임(7)에서 돌출시킬 수 있다. 이로써, 후술할 사이드 프레임(9)의 방향이 의류의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가변될 수 있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9)이 의류의 내측에서 좌우로 기계력을 원활하게 인가할 수 있다.
로어 연장 프레임(8)은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로어 연장 프레임(8)은 제1로어 프레임(7A)에서 돌출되는 제1로어 연장 프레임(8A)과, 제2로어 프레임(7B)에서 돌출되는 제2로어 연장 프레임(8B)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로어 연장 프레임(8)은 로어 프레임(7)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81)와, 상기 삽입부(81)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81)는 로어 프레임(7)의 내부로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81)는 로어 프레임(7)와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82)는 로어 프레임(7)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82)는 로어 프레임(7)의 단부에 걸려 로어 프레임(7)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9)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9)은 연장 프레임(5)과 로어 연장 프레임(8)을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사이드 프레임(9)은 연장 프레임(5)의 걸림부(52)와 로어 연장 프레임(8)의 걸림부(82)를 연결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9)은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9)은 비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9)에는 상하로 이격된 다수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사이드 프레임(9)은 의류의 형상에 알맞게 탄성 변형되어 기계력을 인가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9)은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9)은 제1사이드 프레임(9A) 및 제2사이드 프레임(9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사이드 프레임(9A)은 제1연장 프레임(5A)과 제1로어 연장 프레임(8A)을 연결할 수 있다. 제2사이드 프레임(9B)은 제2연장 프레임(5B)과 제2로어 연장 프레임(8B)을 연결할 수 있다.
제1사이드 프레임(9A)은 수직 프레임(1)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사이드 프레임(9B)은 수직 프레임(1)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사이드 프레임(9A) 및 제2사이드 프레임(9B)은 좌우 방향으로 수직 프레임(1)과 중첩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9)은 의류의 양측에 기계력을 가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사이드 프레임(9)은 옷걸이에 걸린 의류의 몸통 내측에서 외측으로 기계력을 가할 수 있다. 이로써, 의류가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고 다림질 등의 리프래쉬 작업 수행이 원활해질 수 있다.
한편, 수직 프레임(1)의 외면에는 제1버튼(19A)이 위치할 수 있다. 제1버튼(19A)은 수직 프레임(1)의 하부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버튼(19A)은 무빙 바(10)의 상승을 막는 제1스토퍼(19)(도 7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버튼(19A)을 누르면 탄성부재(12)(도 2 참조)의 탄성력에 의해 무빙 바(10)가 상승하고 연장 프레임(5)이 지지 프레임(2)의 지지부(4)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로어 프레임(7)의 외면에는 제2버튼(89A)이 위치할 수 있다. 제2버튼(89A)은 로어 프레임(7)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버튼(89A)은 제1로어 프레임(7A) 및 제2로어 프레임(7B)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버튼(89A)은 로어 연장 프레임(8)이 수직 프레임(1)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제2스토퍼(89)(도 11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버튼(89A)을 누르면 인장 스프링(70)(도 2 참조)의 탄성력에 의해 로어 연장 프레임(8)이 수직 프레임(1) 쪽으로 이동하여 로어 프레임(7)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로어 프레임(7)의 상측에는 의류의 하부를 잡아당겨 기계력을 인가하는 후크 장치(76)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후크 장치(76)는 의류의 하부를 직접 잡아당기길 수 있다. 다른 예로, 후크 장치(76)에는 별도의 클립이 연결되고 상기 클립이 의류의 하부를 잡아당길 수 있다.
후크 장치(76)는 로어 프레임(7)에 대한 로어 연장 프레임(8)의 돌출 정도에 따라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이로써 다양한 높이를 갖는 의류의 하부에 원활하게 기계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승강 바디(30) 및 다절링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 바디(30)은 무빙 바(10)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고, 무빙 바(10)와 함께 승강할 수 있다. 승강 바디(30)는 무빙 바(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승강 바디(30)은 지지 프레임(2)의 센터부(3) 내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승강 바디(30)은 센터부(3)의 내부 공간으로 하강하거나 어퍼 바디(6)의 내부 공간으로 상승할 수 있다.
승강 바디(30)의 양측에는 한 쌍의 다절 링크(40)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절 링크(40)는 지지부(4)에 내장될 수 있다. 다절 링크(40)는 승강 바디(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승강 바디(30)의 승강에 따라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다절 링크(40)는 자바라일 수 있다.
다절 링크(40)는 승강 바디(30)과 연장 프레임(5)을 연결할 수 있다.
무빙 바(10) 및 승강 바디(30)이 상승하면 다절 링크(40)의 길이는 ?F아질 수 있고, 다절 링크(40)는 연장 프레임(5)을 잡아당길 수 있다. 따라서, 연장 프레임(5)은 지지 프레임(2)의 지지부(4)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반대로 무빙 바(10) 및 승강 바디(30)이 하강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절 링크(40)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고, 다절 링크(40)는 연장 프레임(5)을 밀 수 있다. 따라서, 연장 프레임(5)은 지지 프레임(2)의 지지부(4)에서 돌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 링크(40)가 무빙 바(1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직접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무빙 바(10)의 상단부는 센터부(3)의 내부에 위치하며 옷걸이는 승강 바디(3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무빙 바(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공(11)이 형성될 수 있고, 각 장공(11) 내에는 탄성 부재(1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공(11)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2)는 무빙 바(10)에 상측 방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2)는 인장 스프링 또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수직 프레임(1)의 내부에는 탄성 부재(12)가 연결된 삽입돌기(1A)가 구비될 수 있다. 삽입돌기(1A)는 무빙 바(10)의 장공(11)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돌기(1A)는 수직 프레임(1)의 내면에서 장공(11)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12)는 삽입 돌기(1A)와 장공(1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탄성 부재(12)는 장공(11)의 하단과 삽입돌기(1A) 사이와, 장공(11)의 상단과 삽입돌기(1A) 사이 중 적어도 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탄성 부재(12)는 삽입 돌기(1A)의 하측 및/또는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무빙 바(10)가 수직 프레임(1)에 대해 하강하면 장공(11)의 상단이 삽입 돌기(1A)와 가까워질 수 있고 탄성 부재(12)는 압축 또는 인장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12)의 복원력에 의해 탄성 부재(12)는 무빙 바(10)에 상방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로어 프레임(7)에는 인장 스프링(70)이 내장될 수 있다. 인장 스프링(70)은 로어 연장 프레임(8)에 로어 프레임(7)의 내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로어 연장 프레임(8)이 외측으로 이동하면 인장 스프링(70)은 인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인장 스프링(70)은 압축되는 복원력에 의해 로어 연장 프레임(8)을 수직 프레임(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상부의 내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장 프레임이 가이드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 바디의 사시도이다.
승강 바디(30)은 본체(31)와, 본체(31)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무빙바 커넥터(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31)는 블록 형상일 수 있다. 무빙바 커넥터(32)는 본체(31)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무빙바 커넥터(32)는 복수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지지부(3)에는 승강 바디(30)의 하강 범위를 제한하는 멈춤판(3A)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멈춤판(3A)은 지지부(3)의 저면을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좀 더 상세히, 승강 바디(30)에는 본체(31)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승강 바디(30)은 돌출부(32)가 멈춤판(3A)의 상면에 접할때까지 하강할 수 있다.
무빙바 커넥터(32)는 지지부(3)의 멈춤판(3A)을 관통하여 무빙바(10)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무빙바 커넥터(32)가 멈춤판(3A)을 관통한 상태에서 승강 바디(30)이 승강하므로, 무빙바 커넥터(32)는 충분히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무빙바 커넥터(32)의 상하 길이는 돌출부(33)의 상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승강 바디(30)의 본체(31)에는 구배면(36)이 형성될 수 있다. 구배면(36)은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구배면(36)은 한 쌍의 다절링크(40)를 각각 가이드할 수 있다.
구배면(36)은 승강 바디(30)의 측면에 가까워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본체(31)의 측면에는 다절링크(40)가 통과하는 링크 통과홈(34)이 형성되고, 본체(31)의 상면에는 링크 통과홈(34)과 연통되는 통공(35)이 형성될 수 있다. 구배면(36)은 링크 통과홈(34)의 하단부터 통공(35)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링크 통과홈(34)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통공(35A)의 내부에는 다절 링크(4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 연결공(35A)이 형성될 수 있다.
승강 바디(30)이 상승하면 다절 링크(40)는 구배면(36)으로 접근할 수 있고, 승강 바디(30)이 하강하면 다절 링크(40)는 구배면(36)에서 멀어질 수 있다.
구배면(36)에 의해 승강 바디(30)의 승강에 따라 다절 링크(40)의 길이가 원활하게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지지 프레임(2)의 지지부(4) 내측에는 지지부(4)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홈(g)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g)은 지지부(4)의 내측 양면에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g)은 다절 링크(40) 및 연장 프레임(5)을 가이드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지지 링크(40)의 하단부는 회전축(41)에 의해 연장 프레임(5)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41)의 양단은 가이드홈(g)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링크(40)의 길이가 가변되면 상기 회전축(41)은 가이드홈(g)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가이드홈(g)은 회전축(41)에 연결된 다절 링크(40)와 연장 프레임(5)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하측 일부가 확대 도시된 도면이다.
후크 장치(76)는 로어 후크(77)와, 제1연결부재(78)와, 제2연결부재(79)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후크(77)는 로어 프레임(7)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연결부재(78)는 로어 후크(77) 및 로어 프레임(7)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79)는 로어 후크(77) 및 로어 연장 프레임(8)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로어 후크(77)는 의류의 하단에 연결되어 의류의 하단에 기계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일례로, 로어 후크(77)에는 별도의 클립(미도시)이 걸리고 상기 클립이 의류의 하부를 잡아당길 수 있다.
제1연결부재(78)는 수직 프레임(1)에 가까워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78)의 일 단은 로어 프레임(7)의 상면에 형성된 제1커넥터(7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78)의 타단은 로어 후크(7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79)는 수직 프레임(1)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79)의 일 단은 로어 연장 프레임(8)의 상면에 형성된 제2커넥터(8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79)의 타단은 로어 후크(7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로어 프레임(7)의 상면에는 상기 제2커넥터(83)가 통과하는 장공(7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공(72)은 로어 프레임(7)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로어 연장 프레임(8)이 로어 프레임(1)에서 돌출되면 제1연결부재(78) 및 제2연결부재(79)의 경사가 완만해질 수 있고, 로어 프레임(7)과 로어 후크(77)의 상하방향 거리가 줄어들 수 있다. 이로써 후크 장치(76)는 로어 후크(77)에 연결된 의류에 하방으로 기계력을 인가할 수 있고, 의류가 팽팽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스토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스토퍼와 무빙 바의 연결관계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무빙 바(10)의 상승을 막는 제1스토퍼(1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토퍼(19)는 수직 프레임(1)의 외면에 구비된 제1버튼(19A)과, 상기 제1버튼(19A)에서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스토퍼 본체(19B)와, 제1스토퍼 본체(19B)에서 돌출되고 무빙바(10)에 걸리는 돌기(19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버튼(19A)은 수직 프레임(1)의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수직 프레임(1)에는 제1스토퍼(19)가 장착되는 스토퍼 장착부(1B)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 장착부(1B)는 수직 프레임(1)의 하부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중공통 형상일 수 있다.
스토퍼 장착부(1B)는 제1버튼(19A)의 외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스토퍼 장착부(1B)의 내부는 수직 프레임(1)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제1스토퍼(19)은 스토퍼 장착부(1B)에 수평방향, 좀 더 상세히는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버튼(19A)을 누르면 제1스토퍼(19)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제1버튼(19A)에 힘을 가하지 않으면 제1압축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제1스토퍼(19)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스토퍼 본체(19B)는 제1버튼(19A)에서 후방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토퍼 본체(19B)의 직경은 제1버튼(19A)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제1스토퍼 본체(19B)는 수직 프레임(1)을 관통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스토퍼 본체(19B)는 버튼 장착부(1B)의 내부에서부터 수직 프레임(1)의 배면에 형성된 관통공(1C)을 지나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무빙 바(10)에는 제1스토퍼 본체(19B)가 통과하는 개방공(13)이 형성될 수 있다. 개방공(13)은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며 상하로 길게 형성된 장공일 수 있다. 또한, 수직 프레임(1)의 배면에는 상기 관통공(1C)을 커버하고 제1스토퍼 본체(19B)의 후단이 연결되는 연결커버(17)가 구비될 수 있다.
돌기(19C)는 제1스토퍼 본체(19B)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돌기(19C)는 제1스토퍼 본체(19B)에서 좌우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기(19C)는 무빙 바(10)에 형성된 걸림부(18)에 걸릴 수 있다. 도 7에는 무빙 바(10)가 최대로 하강하고 돌기(19C)가 최상단의 걸림부(18)에 걸린 상태가 도시된다.
걸림부(18)는 무빙 바(10)의 개방공(13)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개방공(13)의 내둘레 양측에는 돌출바디(13A)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 바디(13A)의 배면에는 복수개의 걸림부(18)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돌출 바디(13A)는 개방공(13)의 내둘레 양측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 바디(13A)는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8)는 돌출바디(13A)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 돌출 바디(13A)에 형성된 걸림부(18)은 복수개일 수 있다. 일례로, 각 돌출 바디(13A)에는 5개의 걸림부(18)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걸림부(18)는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각 걸림부(18)는 돌기(19C)가 걸리는 수평면(18A)과, 상기 수평면(18A)에 연결된 경사면(18B)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면(18A)은 돌기(19C)의 저면에 접하여 걸릴 수 있다. 즉, 탄성부재(12)(도 2 참조)의 탄성력에 의해 무빙 바(10)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걸림부(18)의 수평면(18A)이 돌기(19C)에 걸려 상승하지 않을 수 있다.
경사면(18B)은 수평면(18A)의 후단에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무빙바(10)가 하강하는 경우 경사면(18B)은 돌기(19C)를 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돌기(19C)의 전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빙 바(10)가 하강하면 경사면(18B)은 돌기(19C)의 전면에 접하며 돌기(19C)를 후방으로 밀 수 있다. 따라서, 무빙바(10)가 돌기(19C)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하강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걸림부(18)의 경사면(18B) 하단은, 상기 어느 하나의 걸림부(18)의 하측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걸림부(18)의 수평면(18A) 전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1스토퍼(19)에는 제1압축 스프링(16)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압축 스프링(16)은 돌기(19C)가 걸림부(18)에 걸리는 방향으로 제1스토퍼(19)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1압축 스프링(16)은 제1스토퍼(19)를 전방으로 밀 수 있다.
제1압축 스프링(16)은 제1스토퍼 본체(19B)의 외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압축 스프링(16)은 돌기(19C)와 연결 커버(17)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버튼(19A)을 누르면 돌기(19C)는 제1압축 스프링(16)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압축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제1버튼(19A)에 힘을 가하지 않으면 제1압축 스프링(16)은 돌기(19C)를 전방으로 가압하여 제1스토퍼(19)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걸림부(18)는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므로, 돌기(19C)가 걸린 걸림부(18)의 높이에 따라 무빙 바(10)의 위치 및 연장 프레임(5)의 지지 프레임(2)에 대한 돌출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스토퍼 장착부(1B)의 내둘레에는 제1스토퍼(19)의 장착 방향을 가이드하는 방향 가이드부(1D)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스토퍼(19)에는 보조 돌기(19D)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돌기(19D)는 스토퍼 장착부(1B)의 내부에 위치하며 제1스토퍼 본체(19B)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돌기(19D)는 제1스토퍼(19)가 설정 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에만 방향 가이드부(1D)를 통과하고, 그렇지 않으면 방향 가이드부(1D)에 걸릴 수 있다.
이하, 제1스토퍼(19)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무빙 바(10) 하단의 손잡이(10A)를 당기면 무빙바(10)는 하강할 수 있다. 무빙바(10)가 하강하면 어느 하나의 걸림부(18)의 경사면(18B)은 돌기(19C)를 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스토퍼(19)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1압축 스프링(16)은 돌기(19C)와 연결 커버(17)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돌기(19C)가 후방으로 이동하였으므로 무빙 바(10)는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걸림부(18)의 경사면(18B)이 돌기(19C)보다 아래로 내려가면, 제1압축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제1스토퍼(19)는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돌기(19C)는 상기 어느 하나의 걸림부(18)의 상측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걸림부(18)에 걸릴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무빙 바(10) 하단의 손잡이(10A)를 다시 당기면 앞서 설명한 과정을 반복하며 무빙 바(10)가 더 하강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무빙 바(10)의 승강에 연동되어 지지 프레임(2)에서 돌출되는 연장 프레임(4)의 돌출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제1버튼(19A)을 누르면 제1스토퍼(19)는 후방으로 이동하할 수 있다. 따라서 돌기(19C)는 걸림부(18)에 걸리지 않고 제1압축 스프링(16)을 압축할 수 있다.
돌기(19C)는 걸림부(18)에 걸리지 않으므로 무빙 바(10)는 탄성부재(12)(도 2 참조)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이로써 연장 프레임(5)은 지지 프레임(2)의 지지부(4)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제1버튼(19A)을 눌러 지지 프레임(2)에 대한 연장 프레임(5)의 돌출을 간단하게 원상 복귀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하부의 내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스토퍼와 로어 연장 프레임의 연결관계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스토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로어 연장 프레임(8)이 로어 프레임(7)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제2스토퍼(8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스토퍼(89)는 로어 프레임(7)의 외면에 구비된 제2버튼(89A)과, 상기 제2버튼(89A)에서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스토퍼 본체(89B)와, 제2스토퍼 본체(29B)에서 돌출되고 로어 연장 프레임(8)에 걸리는 돌기(89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버튼(89A)은 로어 프레임(7)의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로어 프레임(7)의 전면 중 외측 단부에 인접한 부분에는 제2스토퍼(89)가 통과하는 스토퍼 통과공(7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스토퍼(89)는 수평방향, 좀 더 상세히는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로어 프레임(7)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버튼(89A)을 누르면 제2스토퍼(89)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제2버튼(89A)에 힘을 가하지 않으면 제2압축 스프링(88)의 탄성력에 의해 제2스토퍼(89)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스토퍼 본체(89B)는 제2버튼(89A)에서 후방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스토퍼 본체(89B)의 직경은 제2버튼(89A)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제2스토퍼 본체(89B)는 로어 프레임(7)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2스토퍼 본체(89B)는 스토퍼 통과공(73)의 내부에서부터 로어 프레임(7)의 배면을 향해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로어 연장 프레임(8)에는 제2스토퍼 본체(89B)가 통과하는 개방공(81)이 형성될 수 있다. 개방공(81)은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며 좌우로 길게 형성된 장공일 수 있다.
돌기(89C)는 제2스토퍼 본체(89B)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돌기(89C)는 제2스토퍼 본체(89B)에서 상하로 돌출될 수 있다. 돌기(89C)는 로어 연장 프레임(8)에 형성된 걸림부(82)에 걸릴 수 있다.
걸림부(82)는 로어 연장 프레임(8)의 개방공(81)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개방공(81)의 내둘레 중 상면 및 저면에는 돌출바디(81A)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 바디(81A)의 배면에는 복수개의 걸림부(82)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돌출 바디(81A)는 개방공(81)의 내둘레 상측 및 하측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 바디(81A)는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82)는 돌출 바디(81A)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 돌출 바디(81A)에 형성된 걸림부(82)은 복수개일 수 있다. 복수개의 걸림부(82)는 로어 연장 프레임(8)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걸림부(82)는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각 걸림부(82)는 돌기(89C)가 걸리는 수직면(82A)과, 상기 수직면(82A)에 연결된 경사면(82B)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면(82A)은 돌기(89C)의 외측면에 접하여 걸릴 수 있다. 돌기(89C)의 외측면은 돌기(89C)의 양측면 중 수직 프레임(1)을 향하는 면의 반대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인장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로어 연장 프레임(8)이 로어 프레임(7)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걸림부(82)의 수직면(82A)이 돌기(89C)에 걸려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경사면(82B)은 수직면(82A)의 후단에서부터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로어 연장 프레임(8)이 로어 프레임(7)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경사면(82B)은 돌기(89C)를 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돌기(89C)의 전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로어 연장 프레임(8)이 외측으로 이동하면 경사면(82B)은 돌기(89C)의 전면에 접하며 돌기(89C)를 후방으로 밀 수 있다. 따라서, 로어 연장 프레임(8)이 돌기(89C)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걸림부(82)의 경사면(82B)의 외측단은, 상기 어느 하나의 걸림부(82)와 이웃한 다른 하나의 걸림부(82)의 수직면(18A) 전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2스토퍼(89)에는 제2압축 스프링(88)이 구비될 수 있다. 제2압축 스프링(88)은 돌기(89C)가 걸림부(82)에 걸리는 방향으로 제2스토퍼(89)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2압축 스프링(88)은 제2스토퍼(89)를 전방으로 밀 수 있다.
제2압축 스프링(88)은 제2스토퍼 본체(89B)의 외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압축 스프링(88)은 돌기(89C)와 로어 프레임(7)의 배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버튼(89A)을 누르면 돌기(89C)는 제2압축 스프링(88)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압축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제2버튼(89A)에 힘을 가하지 않으면 제2압축 스프링(88)은 돌기(89C)를 전방으로 가압하여 제2스토퍼(89)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걸림부(82)는 좌우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므로, 돌기(89C)가 걸린 걸림부(82)의 위치에 따라 로어 연장 프레임(8)의 로어 프레임(7)에 대한 돌출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이하, 제2스토퍼(89)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로어 연장 프레임(8)을 외측 방향으로 당기면 어느 하나의 걸림부(82)의 경사면(82B)은 돌기(89C)를 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스토퍼(89)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2압축 스프링(88)은 돌기(89C)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될 수 있다. 돌기(89C)가 후방으로 이동하였으므로 로어 연장 프레임(8)은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로어 연장 프레임(8)은 로어 프레임(7)에서 돌출될 수 있다.
로어 연장 프레임(8)이 외측으로 이동하면 로어 연장 프레임(8)에 연결된 인장 스프링(70)이 인장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걸림부(82)의 경사면(82B)이 돌기(89C)보다 외측으로 이동하면, 제2압축 스프링(88)의 탄성력에 의해 제2스토퍼(89)는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돌기(89C)는 상기 어느 하나의 걸림부(82)의 내측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걸림부(82)에 걸릴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로어 연장 프레임(8)를 다시 당기면 앞서 설명한 과정을 반복하며 로어 연장 프레임(8)가 더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로어 프레임(7)에서 돌출되는 로어 연장 프레임(8)의 돌출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제2버튼(89A)을 누르면 제2스토퍼(89)는 후방으로 이동하할 수 있다. 따라서 돌기(89C)는 걸림부(82)에 걸리지 않고 제2압축 스프링(88)을 압축할 수 있다.
돌기(89C)는 걸림부(82)에 걸리지 않으므로 로어 연장 프레임(8)는 인장 스프링(7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로어 연장 프레임(8)은 로어 프레임(7)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제2버튼(89A)을 눌러 로어 프레임(7)에 대한 로어 연장 프레임(8)의 돌출을 간단하게 원상 복귀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밴드 및 밴드 고정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탄성 밴드(6B)를 고정하는 밴드 고정장치(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밴드 고정장치(60)는 어퍼 바디(6)의 전방에서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어퍼 바디(6)의 전면에는 밴드 고정장치(60)가 체결되는 체결공(6C)이 형성될 수 있다.
밴드 고정장치(60)는 본체(61)와, 상기 본체(61)에 힌지 연결되어 탄성 밴드(6B)를 고정하는 고정부(62)와, 상기 본체(61)의 후방에 돌출되어 어퍼 바디(6)에 체결되는 체결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61)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판형일 수 있다.
고정부(62)는 본체(61)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62)는 본체(61)와 힌지 연결되어 상하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힌지에는 고정부(62)를 본체(61)를 향해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고정부(62)는 본체(61)와 함께 탄성 밴드(6B)를 고정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탄성 밴드(6B)의 양 단부는 본체(61)와 고정부(62)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63)는 본체(61)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63)는 어퍼 바디(6)의 체결공(6C)으로 삽입될 수 있다.
밴드 고정장치(60)가 탄성 밴드(6B)를 고정시킴으로써, 탄성 밴드(6B)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의류의 깃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수직 프레임 10: 무빙바
11: 장공 12: 탄성 부재
13: 개방공 16: 제1압축 스프링
19: 제1스토퍼 19A: 제1버튼
19C: 돌기 18: 걸림부
2: 지지 프레임 3: 센터부
30: 승강 바디 4: 지지부
40: 다절 링크 5: 연장 프레임
6: 어퍼 바디 6A: 후크
6B: 탄성 밴드 60: 밴드 고정장치
7: 로어 프레임 70: 인장 스프링
72: 장공 76: 후크 장치
8: 로어 연장 프레임 81: 개방공
82: 걸림부 89: 제2스토퍼
89A: 제2버튼 89C: 돌기
9: 사이드 프레임

Claims (21)

  1.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된 센터부와, 상기 센터부의 양측에서 길게 형성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무빙 바;
    상기 무빙 바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센터부 내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승강 바디;
    상기 지지부에 내장되고 상기 승강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승강 바디의 승강에 따라 길이 가변되는 다절 링크;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다절 링크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 프레임을 포함하는 옷걸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바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측에 위치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옷걸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센터부의 상측에서 체결되고 상기 승강 바디가 상승 가능한 내부공간이 형성된 어퍼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퍼 바디의 상부에는 후크가 구비된 옷걸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바디에는, 탄성 변형되고 상기 어퍼 바디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탄성 밴드가 구비된 옷걸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바디의 전방에서 체결되며 상기 탄성 밴드를 고정하는 밴드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옷걸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바에 상측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옷걸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바의 상승을 막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수직 프레임의 외면에 구비된 버튼;
    상기 버튼에서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을 관통하는 스토퍼 본체; 및
    상기 스토퍼 본체에서 돌출되고 상기 무빙 바의 걸림부에 걸리는 돌기를 포함하는 옷걸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복수개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걸림부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한 옷걸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가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옷걸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돌기가 걸리는 수평면; 및
    상기 수평면에 연결되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압축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돌기를 가압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옷걸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된 한 쌍의 로어 프레임; 및
    상기 로어 프레임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로어 프레임의 외측으로 둘출되는 로어 연장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옷걸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연장 프레임과 상기 로어 연장 프레임을 연결하는 사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옷걸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탄성 변형되는 옷걸이.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프레임에 내장되고 상기 로어 연장 프레임을 상기 로어 프레임 내부로 당기는 인장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옷걸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연장 프레임이 로어 프레임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로어 프레임의 외면에 구비된 버튼;
    상기 버튼에서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로어 프레임을 관통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서 돌출되고 상기 로어 연장 프레임의 걸림부에 걸리는 돌기를 포함하는 옷걸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복수개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걸림부는 상기 로어 연장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옷걸이.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가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를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옷걸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돌기가 걸리는 수직면; 및
    상기 수직면에 연결되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압축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돌기를 가압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옷걸이.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프레임의 상측에 위치한 로어 후크;
    상기 로어 후크 및 상기 로어 프레임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연결부재; 및
    상기 로어 후크 및 상기 로어 연장 프레임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옷걸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연장 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제2연결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가 형성되고,
    상기 로어 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커넥터가 통과하는 장공이 형성된 옷걸이.
  21.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된 센터부와, 상기 센터부의 양측에서 길게 형성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무빙 바;
    상기 지지부에 내장되고 상기 무빙 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무빙 바의 승강에 따라 길이 가변되는 다절 링크;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다절 링크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 프레임을 포함하는 옷걸이.
KR1020190030463A 2019-03-18 2019-03-18 옷걸이 KR2020011093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463A KR20200110935A (ko) 2019-03-18 2019-03-18 옷걸이
PCT/KR2020/002912 WO2020189920A1 (ko) 2019-03-18 2020-02-28 옷걸이
US17/438,641 US11857095B2 (en) 2019-03-18 2020-02-28 Clothes hanger
EP20773243.9A EP3942972B1 (en) 2019-03-18 2020-02-28 Clothes ha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463A KR20200110935A (ko) 2019-03-18 2019-03-18 옷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935A true KR20200110935A (ko) 2020-09-28

Family

ID=72520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463A KR20200110935A (ko) 2019-03-18 2019-03-18 옷걸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57095B2 (ko)
EP (1) EP3942972B1 (ko)
KR (1) KR20200110935A (ko)
WO (1) WO20201899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66146B2 (en) * 2020-07-10 2023-09-26 Matthew Heath Lane Hanging apparatus with a tension mechanism
GB2608585B (en) * 2021-06-04 2023-09-06 Lewis Nick Clothes hanger with extendable arms and trouser bar
USD977262S1 (en) * 2022-01-05 2023-02-07 Michael Mathis Clothing stretch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479A (ko) 2015-07-17 2017-01-25 유병남 다기능 옷걸이
KR101811318B1 (ko) 2017-06-14 2017-12-26 박병선 원터치 접이식 옷걸이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90722A (en) * 1940-02-19 1942-07-21 Weingarten Murray Collapsible garment hanger
US2507906A (en) 1946-12-28 1950-05-16 Joseph Ralph Garment hanger
US2496561A (en) * 1947-12-08 1950-02-07 Jack A Saunders Adjustable garment hanger
US2757836A (en) * 1953-05-25 1956-08-07 John W Niedermeyer Garment hangers
US5456391A (en) * 1994-10-27 1995-10-10 Chang; John Suit hanger with adjustable shoulders
JPH09294667A (ja) * 1996-03-06 1997-11-18 N K G:Kk ハンガー
KR200446345Y1 (ko) 2009-07-16 2009-10-20 김현 3단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
KR101364271B1 (ko) 2012-02-13 2014-03-12 류호찬 길이 가변형 옷걸이
KR20150077242A (ko) 2013-12-27 2015-07-07 이현웅 접이식 옷걸이
KR20150103802A (ko) 2014-03-04 2015-09-1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셔츠용 옷깃 걸이
KR20160122344A (ko) 2015-04-13 2016-10-24 주식회사 아이언맥스 다목적 기능성 행거
KR101848305B1 (ko) 2016-10-20 2018-04-13 서승환 어깨부분 변형 방지 옷걸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479A (ko) 2015-07-17 2017-01-25 유병남 다기능 옷걸이
KR101811318B1 (ko) 2017-06-14 2017-12-26 박병선 원터치 접이식 옷걸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42972A4 (en) 2022-11-30
EP3942972B1 (en) 2024-02-14
WO2020189920A1 (ko) 2020-09-24
EP3942972A1 (en) 2022-01-26
US11857095B2 (en) 2024-01-02
US20220183490A1 (en)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0935A (ko) 옷걸이
US20220117424A1 (en) Clothes hanger
KR101811318B1 (ko) 원터치 접이식 옷걸이
JP6346287B2 (ja) 突出屈折洗濯物かけ乾燥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洗濯物干し台
KR20170009479A (ko) 다기능 옷걸이
KR20120004929A (ko) 의복 마무리기 및 여기에 사용되는 인체모형커버
KR20090088802A (ko) 끈 스토퍼
CN206721542U (zh) 挂式折叠烫衣板
KR101388518B1 (ko) 기능성 옷걸이
KR20090096103A (ko) 접이형 옷걸이
KR20210043229A (ko) 옷걸이
KR20160122344A (ko) 다목적 기능성 행거
WO2018192119A1 (zh) 一种撑衣装置及衣物护理机
KR20210045756A (ko) 옷걸이 착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KR200466358Y1 (ko) 접이식 옷걸이
KR100766909B1 (ko) 접철식 빨래 건조대
KR20100055990A (ko) 스프링을 이용한 접이식 옷걸이
KR102103510B1 (ko) 다림질용 행거
KR102079746B1 (ko) 다기능 옷걸이 건조대
JP5822196B2 (ja) 物干しハンガー
US2153439A (en) Garment hanger
KR101067571B1 (ko) 스팀다리미용 행거
KR100859421B1 (ko) 빨래의 날림방지용 협지수단을 갖는 접철식 빨래 건조대
CN209202719U (zh) 一种多功能衣架
KR101758019B1 (ko) 다림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