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6103A - 접이형 옷걸이 - Google Patents

접이형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6103A
KR20090096103A KR1020080021478A KR20080021478A KR20090096103A KR 20090096103 A KR20090096103 A KR 20090096103A KR 1020080021478 A KR1020080021478 A KR 1020080021478A KR 20080021478 A KR20080021478 A KR 20080021478A KR 20090096103 A KR20090096103 A KR 20090096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main body
hook
operating unit
pus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태
Original Assignee
최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태 filed Critical 최상태
Priority to KR1020080021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6103A/ko
Publication of KR20090096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1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1442Handling hangers, e.g. stacking,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0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with devices for preserving the shape of the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0Collapsible hangers
    • A47G25/4015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one-piece support arms at least one only pivotally-connected to a central hook member
    • A47G25/4023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one-piece support arms at least one only pivotally-connected to a central hook member collapsing downwardly away from the hook member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형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접힌 상태로 보관할 수 있어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하고, 사용시에는 의류의 목 부분을 늘이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고, 의류의 크기에 따라 크기를 변경시켜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옷걸이로서, 상기 옷걸이는 걸고리, 상기 걸고리의 하단에 결합되어 걸이대 본체를 펴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동부의 동작에 따라 펴지거나 접혀지는 걸이대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옷걸이, 원터치, 접이형, 이동, 보관, 민소매, 바지 걸이

Description

접이형 옷걸이{A foldable suit hanger}
본 발명은 접이형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접힌 상태로 보관할 수 있어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하고, 사용시에는 의류의 목 부분을 늘이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고, 의류의 크기에 따라 크기를 변경시켜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옷걸이는 의류를 걸어 옷장 등에 수납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 12를 참조로 일반적인 옷걸이를 설명한다.
도12는 일반적인 옷걸이의 평면도이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옷걸이(10)는, 걸고리(11)와 걸이부(12)를 포함하고, 걸이부(12)의 종단을 연결하는 바지 걸이부(13)가 추가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옷걸이(10)는, 걸이부(12)에 의류의 상의를 걸거나, 바지 걸이부(13)에 바지를 걸어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옷걸이(10)는 대략 삼각형의 고정된 형상을 갖고 있어, 티셔츠와 같은 목부분이 좁은 의류를 걸 때에는, 목부분을 강제로 늘린 상태에서 옷걸이의 걸이부(12)를 삽입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의류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 다.
또한 여행 등을 위하여 옷걸이(10)를 휴대하는 경우에는 옷걸이(10)가 차지하는 면적이 커서 휴대가 불편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더불어, 옷걸이(10)는 고정된 크기를 갖기 때문에, 크기가 큰 의류나 자켓을 걸 경우에, 의류의 어깨 부분이 옷걸이(10)에 의해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의류의 목 부분을 늘이지 않고도 옷을 걸 수 있는 옷걸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깨 부분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어, 의류의 어깨 부분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히는 구조로 인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접이형 옷걸이는, 옷걸이에 있어서, 걸고리, 상기 걸고리의 하단에 결합되어 걸이대 본체를 펴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동부의 동작에 따라 펴지거나 접혀지는 걸이대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동부는 누름 버튼, 상기 작동부의 동 작에 따라 압축된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이대 본체를 접철시키는 관절연결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절연결대는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걸고리의 하단에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는 고정관절연결대와, 상기 걸고리의 하부로 이동되는 이동관절연결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동부는 누름 버튼, 상기 걸고리의 하단에 연장 형성된 가이드대의 외주를 감싸되 그 측부에 개방홀이 형성된 고정대, 상기 누름 버튼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고정대의 측부에 형성된 개방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걸림단, 상기 누름 버튼의 일측에 위치되어 누름 버튼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 부재 및 및외력에 의해 상기 걸이대 본체를 접철시키는 관절연결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관절연결대는 상기 고정대의 하부에 결합된 이동관절 연결대, 상기 걸고리의 하단에 연장형성된 가이드대의 하단에 결합된 고정관절 연결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걸이대 본체는 걸이대 본체의 하부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지 걸이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바지 걸이대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걸이대 본체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걸이대 본체의 상부를 감싸며, 상기 걸이대 본체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부는 하단 상면에 걸이홈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부는 내면 하부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걸이대 본체는 상부면에 상기 베어링이 안착되기 위한 길이 조정홈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부에 의해 걸이대 본체가 펴지거나 접혀질 수 있어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의류의 목 부분을 늘리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는 옷걸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누름번튼, 탄성부재, 관절부재의 구성에 의해 누름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걸이대 본체를 펼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옷걸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부가 걸이대 본체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어깨부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의류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옷걸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걸이대 본체 하부에는 바지 걸이대가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어 필요할 때에만 펼쳐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외관이 깔끔하고 본체의 접힘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부는 하단 상면에 걸이홈이 추가로 형성되어, 속옷 등 옷걸이에 걸기가 용이하지 않은 옷들도 보관이 가능한 옷걸이를 제공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실시예의 경우 수동식으로 옷걸이를 접철할 수 있는 구조로,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므로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제조 공정이 간단하여 경제적인 옷걸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경우는 자동식으로 옷걸이의 접철이 가능하므로, 간단하고 편리한 방법으로 작동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사용이 더욱 용이한 옷걸이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1실시예)
먼저 첨부된 도면 도1 내지 도6을 참조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형 옷걸이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정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펼친상태의 정면도 및 작동부의 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접힌 상태의 정면도 및 작동부의 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와 걸이대 본체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에서 걸이대 본체와 바지 걸이대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6은 도5에서 바지 걸이대가 걸이대 본체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형 옷걸이(100: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접이형 옷걸이'는 간략히 '옷걸이'라 한다)는 크게 걸고리(110), 작동부(130), 걸이대 본체(140), 바지 걸이대(150) 및 커버부(160)를 포함한다.
걸고리(110)는 옷걸이(100)를 벽이나 옷장에 걸기 위해 사용되며 갈고리 형상을 갖는다.
작동부(130)는 걸고리(110)의 하단에 결합되어 누름 버튼(120)의 조작에 따라 걸이대 본체(140)를 편다.
첨부된 도면 도2 및 도3을 참조로 작동부(13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사용된 작동부(130)는 주지의 수동 우산과 유사하게 동작한다.
걸림단(122)은 누름 버튼(12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되, 고정대(134)의 측부에 형성된 개방홀(135)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탄성 부재(124)는 누름 버튼(120)의 일측에 위치되어 누름 버튼(120)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가이드대(132)는 걸고리(11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된다.
고정대(134)는 가이드대(132)의 외주를 감싸되 측부에 개방홀(135)이 형성된다.
이동관절 연결대(133)는 고정대(134)의 하부에 결합된다.
고정관절 연결대(136)는 가이드대(132)의 하단에 결합된다.
관절 부재(137)는 이동관절 연결대(133)와 고정 관절 연결대(136)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대(134)의 이동에 따라 걸이대 본체(140)를 접철시킨다.
즉, 사용자가 걸고리(110)를 잡고 이동관절 연결대(133) 또는 고정대(134)를 위로 올리면, 개방홀(135)에 걸림단(122)이 걸리게 되고, 이동관절 연결대(133)와 고정관절 연결대(136)는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관절 부재들의 작용으로 걸이대 본체(140)가 펴지게 된다. 이때의 상태가 도2에 도시된다.
이후, 누름 버튼(120)을 누르면, 탄성 부재(124)가 압착되면서 걸림단(122)이 내려가서, 고정대(134)를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고정대(134)를 아래로 이동시키면, 이동관절 연결대(133)와 고정관절 연결대(136)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된다. 이에 의해 관절 부재들의 작용으로 걸이대 본체(140)가 접히게 된다. 이때의 상태가 도3에 도시된다.
걸이대 본체(140)는 작동부(130)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동부(130)의 동작에 따라 펴지거나 접혀진다.
걸이대 본체(140)의 상부면에는 베어링이 안착되기 위한 길이 조정홈(141)이 다수개 형성된다. 길이 조정홈(141)의 기능 및 동작은 커버부((160)의 설명에서 후술될 것이다.
바지 걸이대(150)는 걸이대 본체(140)의 하부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와 도6을 참조로 바지 걸이대(150)의 동작을 설명한다.
바지 걸이대(150)를 사용할 경우에는, 바지 걸이대(150)를 걸이대 본체(140)의 수용 공간으로부터 접철시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때 걸이대 본체(140)의 걸림단(142)에 의해 바지 걸이대(150)가 수평이 될 때까지만 접철되게 된다. 이때의 상태가 도5에 도시된다.
이후, 바지 걸이대(15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걸이대 본체(140)의 내부 공간에 수용시킨다. 이때의 상태가 도6에 도시된다. 이에 의해, 옷걸이(100)는 깔끔한 외관을 갖게 된다.
커버부(160)는 걸이대 본체(140)의 상부를 감싸고, 걸이대 본체(14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부(160)의 하단 상면에는 걸이홈(161)이 추가로 형성된다. 걸이홈(161)은 민소매 셔츠나 속옷을 걸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60)의 내면 하부에는 스프링(162)과 이 스프링(162)의 탄성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베어링(163)을 포함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60)를 걸이대 본체(14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시키게 되면, 베어링(163)이 길이 조정홈(141)에 안착되어 원하는 지점에서 커버부(160)가 위치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부(160)가 스프링(162)과 베어링(163) 및 조정홈(141)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고정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컨대 옷걸이 본체(140)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커버부(160)에 홈부를 형성하거나, 반대로 본체(140)에 홈부, 커버부(160)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해당 홈부 에 이동 후 돌기부가 걸리는 형식으로 상하 슬라이드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7 내지 도9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사용예에 따라 옷걸이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사용예에 따라 옷걸이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사용예에 따라 커버부가 걸이대 본체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1단계, 걸이대 본체(140)를 접은 상태로, 옷걸이(100)를 의류(20)의 목 부분(21)에 삽입한다.
이때의 상태가 도7에 도시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대 본체(140)를 접은 상태에서 옷걸이(100)는 목 부분(21)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갖기 때문에 목 부분(21)을 늘리지 않고도 옷걸이(100)의 삽입이 가능하다.
제2단계, 누름 버튼(120)을 누른다. 누름 버튼(120)이 눌려지게 되면, 작동부(130)의 동작에 따라 걸이대 본체(140)가 펼쳐진다.
이때의 상태가 도8에 도시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대 본체(140)가 펼쳐지면 의류(20)가 옷걸이(100)에 걸린 상태가 된다.
이후, 걸고리(110)를 사용하여 벽이나 옷장에 걸어두게 된다.
한편, 자켓이나 큰 크기를 갖는 의류를 걸기 위해서는 옷걸이(100)의 너비가 커질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는, 커버부(160)를 걸이대 몸체(140)를 따라 필요한 너비가 될 때까지 슬라이드 이동 시킨다. 이때의 상태가 도9에 도시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의류의 어깨 부분 변형 없이 의류의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제2실시예)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접힌상태의 작동부의 단면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펼친상태의 작동부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200)는 제1실시예에 따른 옷걸이(100)와 비교하여 작동부(230)가 상이하며, 그 이외의 구성은 동등한 바, 이하에서는 작동부(23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도9 및 도10을 참조로 작동부(23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사용된 작동부(230)는 누름 버튼(220), 탄성 부재(231), 가이드대(232) 및 관절연결대(232,233)를 포함하고, 주지의 원터치 자동 우산과 유사하게 동작한다.
탄성 부재(231)는 작동부의 동작에 따라 압축된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며, 코일형 스프링이 사용된다.
관절연결대는 고정 관절 연결대(233) 및 이동 관절 연결대(234)를 포함하고, 탄성 부재(231)의 탄성력에 의해 걸이대 본체를 접철시킨다.
즉, 사용자가 인력으로 걸이대 본체를 접으면, 탄성 부재(231)는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때의 상태가 도10에 도시된다.
이후, 누름 버튼(220)을 누르면 탄성 부재(231)의 압축된 상태가 해제되어 이동 관절 연결대(234)가 고정 관절 연결대(233)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이동 관절 연결대(234)의 이동에 의해 이에 연결된 링크의 작용에 의해 걸이대 본체가 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의 상태가 도11에 도시된다.
즉, 이와 같은 작동부의 구성에 의해 누름버튼을 누르는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는 옷걸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펼친상태의 정면도 및 작동부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접힌 상태의 정면도 및 작동부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와 걸이대 본체의 요부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에서 걸이대 본체와 바지 걸이대의 사용 상태도.
도6은 도5에서 바지 걸이대가 걸이대 본체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7은 본 발명의 사용예에 따라 옷걸이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
도8은 본 발명의 사용예에 따라 옷걸이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
도9는 본 발명의 사용예에 따라 커버부가 걸이대 본체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접힌상태의 작동부의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펼친상태의 작동부의 단면도.
도12는 일반적인 옷걸이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옷걸이 20: 의류
100,200: 옷걸이 110,210: 걸고리
120: 누름 버튼 130: 작동부
140: 걸이대 본체 150: 바지 걸이대
160: 커버부

Claims (8)

  1. 옷걸이에 있어서,
    걸고리;
    상기 걸고리의 하단에 결합되어 걸이대 본체를 펴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동부의 동작에 따라 펴지거나 접혀지는 걸이대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옷걸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누름 버튼;
    상기 작동부의 동작에 따라 압축된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이대 본체를 접철시키는 관절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옷걸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연결대는: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걸고리의 하단에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는 고정관절연결대와;
    상기 걸고리의 하부로 이동되는 이동관절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옷걸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누름 버튼;
    상기 걸고리의 하단에 연장 형성된 가이드대의 외주를 감싸되 그 측부에 개방홀이 형성된 고정대;
    상기 누름 버튼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고정대의 측부에 형성된 개방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걸림단;
    상기 누름 버튼의 일측에 위치되어 누름 버튼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 부재; 및
    외력에 의해 상기 걸이대 본체를 접철시키는 관절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옷걸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연결대는
    상기 고정대의 하부에 결합된 이동관절 연결대;
    상기 걸고리의 하단에 연장형성된 가이드대의 하단에 결합된 고정관절 연결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옷걸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 본체는:
    걸이대 본체의 하부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지 걸이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바지 걸이대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걸이대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옷걸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 본체의 상부를 감싸며, 상기 걸이대 본체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옷걸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하단 상면에 걸이홈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옷걸이.
KR1020080021478A 2008-03-07 2008-03-07 접이형 옷걸이 KR200900961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478A KR20090096103A (ko) 2008-03-07 2008-03-07 접이형 옷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478A KR20090096103A (ko) 2008-03-07 2008-03-07 접이형 옷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103A true KR20090096103A (ko) 2009-09-10

Family

ID=41296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478A KR20090096103A (ko) 2008-03-07 2008-03-07 접이형 옷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610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54236A (zh) * 2013-12-25 2014-03-26 苏州市晨彩纺织研发有限公司 多功能衣架
KR101388518B1 (ko) * 2011-06-24 2014-04-28 송재현 기능성 옷걸이
CN105361611A (zh) * 2014-08-18 2016-03-02 史新龙 一种除异味防变形衣架
CN106859244A (zh) * 2017-04-17 2017-06-20 杨加坤 一种多功能折叠衣架
CN108078340A (zh) * 2017-12-29 2018-05-29 潘建杰 一种内裤架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518B1 (ko) * 2011-06-24 2014-04-28 송재현 기능성 옷걸이
CN103654236A (zh) * 2013-12-25 2014-03-26 苏州市晨彩纺织研发有限公司 多功能衣架
CN105361611A (zh) * 2014-08-18 2016-03-02 史新龙 一种除异味防变形衣架
CN106859244A (zh) * 2017-04-17 2017-06-20 杨加坤 一种多功能折叠衣架
CN108078340A (zh) * 2017-12-29 2018-05-29 潘建杰 一种内裤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6729B2 (en) Gravity actuated collapsible garment hanger
US5979721A (en) Garment hanger
KR20090096103A (ko) 접이형 옷걸이
KR102632271B1 (ko) 옷걸이
KR101480246B1 (ko) 접이식 옷걸이
KR20170009479A (ko) 다기능 옷걸이
KR20200110935A (ko) 옷걸이
JP2014104072A (ja) 和服用ハンガー
US6427882B1 (en) Collapsible garment hanger
KR20160133277A (ko) 접이식 옷걸이 어셈블리
KR101953827B1 (ko) 주름 방지 옷걸이
JP2014230646A (ja) 衣服用伸縮ハンガー
US2459280A (en) Folding support
KR101023888B1 (ko)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KR102103510B1 (ko) 다림질용 행거
KR200447741Y1 (ko) 옷걸이
JP2010178811A (ja) 衣類用の多機能ハンガー
KR200196101Y1 (ko) 옷걸이
CN217118097U (zh) 可收折衣架
CN113874576A (zh) 用于支撑衣服的支撑装置
KR20110005177U (ko) 전신 옷걸이
KR102442551B1 (ko) 옷걸이
JP2001334099A (ja) ハンガー
KR102238713B1 (ko) 자동 버튼식 옷걸이
KR200348371Y1 (ko) 바지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504

Effective date: 2011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