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271B1 - 옷걸이 - Google Patents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271B1
KR102632271B1 KR1020190031059A KR20190031059A KR102632271B1 KR 102632271 B1 KR102632271 B1 KR 102632271B1 KR 1020190031059 A KR1020190031059 A KR 1020190031059A KR 20190031059 A KR20190031059 A KR 20190031059A KR 102632271 B1 KR102632271 B1 KR 102632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ar
moving
moving block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1419A (ko
Inventor
윤지현
노정준
이아영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1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271B1/ko
Priority to PCT/KR2020/002913 priority patent/WO2020189921A1/ko
Priority to EP20773666.1A priority patent/EP3942971A4/en
Priority to US17/435,778 priority patent/US11666166B2/en
Publication of KR20200111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0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with devices for preserving the shape of the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0Collapsible 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0Collapsible hangers
    • A47G25/4015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one-piece support arms at least one only pivotally-connected to a central hook member
    • A47G25/4038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one-piece support arms at least one only pivotally-connected to a central hook member collapsing around a vertical axis, e.g. the axis of the hook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0Collapsible hangers
    • A47G25/4046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support arms of a series of lin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0Collapsible hangers
    • A47G25/4046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support arms of a series of links
    • A47G25/4061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support arms of a series of links rotatably connec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4Slidable hangers ; Adjustable 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4Slidable hangers ; Adjustable hangers
    • A47G25/441Slidable hangers ; Adjustable hangers having adjustable width
    • A47G25/442Slidable hangers ; Adjustable hangers having adjustable width to support shouldered garments
    • A47G25/443Slidable hangers ; Adjustable hangers having adjustable width to support shouldered garments comprising shoulder support arms or members being concurrently adjustable, e.g. by a rack and pinion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62Trouser or skirt stretchers or tensioners of the hanger type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수직 프레임;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된 센터부와, 센터부의 양측에서 길게 형성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 수직 프레임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무빙 바; 지지부에 내장되고 무빙 바의 승강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무빙 블록; 무빙 바와 무빙 블록을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 지지부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고 무빙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메인 링크; 지지부 및 메인 링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서브 링크; 및 메인 링크에 연결되고 상하로 길게 형성된 수직 바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옷걸이{HANGER}
본 발명은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옷걸이는 의류를 걸어두기 위한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옷걸이는 후크 및 상기 후크의 하단에서 양측으로 하방 경사지게 형성된 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옷장 등의 거치대에 걸려 매달릴 수 있고, 상기 걸이부에는 의류가 걸려 지지될 수 있다.
기능성 옷걸이는 사용의 편의성 또는 의류의 손상방지를 위해 옷걸이의 구조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행문헌 1(KR10-1811318B1)에 개시된 옷걸이는 어깨 걸이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선행문헌 2(KR10-2017-0009479A)에 개시된 옷걸이는 어깨걸이부 및 펼침 지지부가 각도 조절될 수 있다.
KR10-1811318B1 (원터치 접이식 옷걸이, 2017.12.15 등록) KR10-2017-0009479A (다기능 옷걸이, 2017.01.25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다양한 크기의 의류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전후로 확장 가능한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의류에 기계력을 인가하여 의류를 팽팽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다른 과제는, 전후 확장 및 원복이 용이한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된 센터부와, 상기 센터부의 양측에서 길게 형성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무빙 바; 상기 지지부에 내장되고 상기 무빙 바의 승강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무빙 블록; 상기 무빙 바와 상기 무빙 블록을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 상기 지지부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무빙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메인 링크;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메인 링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서브 링크; 및 상기 메인 링크에 연결되고 상하로 길게 형성된 수직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 바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측에 위치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센터부의 상측에서 체결된 어퍼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에는, 상기 어퍼 바디의 상면에 체결된 후크; 및 탄성 변형되고 상기 어퍼 바디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탄성 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의 전방에서 체결되며 상기 탄성 밴드를 고정하는 밴드 고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 바에 상측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 바의 상승을 막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수직 프레임의 외면에 구비된 버튼; 상기 버튼에서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을 관통하는 스토퍼 본체; 및 상기 스토퍼 본체에서 돌출되고 상기 무빙 바의 걸림부에 걸리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복수개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걸림부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돌기가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돌기가 걸리는 수평면; 및 상기 수평면에 연결되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압축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돌기를 가압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 블록의 전면 및 배면에는 상기 메인 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의 전면 및 배면에는 상기 커넥터가 통과하며 좌우로 길게 형성된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링크에는, 상기 메인 링크의 내측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무빙 블록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 상기 메인 링크의 외측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 바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서브 링크가 연결되는 제3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3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 체결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양측에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로어 프레임; 상기 연장부에 내장되고 상기 무빙 바의 승강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로어 무빙 블록; 상기 무빙바와 상기 로어 무빙블록을 연결하는 로어 커넥팅 로드; 상기 연장부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로어 무빙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로어 메인링크; 및 상기 연장부 및 상기 로어 메인링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로어 서브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바는, 상기 메인 링크와 상기 로어 메인링크를 연결할 수 있다.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연장부를 연결하는 사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무빙블록의 전면 및 배면에는 상기 메인 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의 전면 및 배면에는 상기 커넥터가 통과하며 좌우로 길게 형성된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메인링크에는, 상기 로어 메인링크의 내측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로어 무빙블록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 상기 로어 메인링크의 외측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 바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로어 서브링크가 연결되는 제3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3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의 수직 바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측에 후크가 구비된 수평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후로 회전하는 메인 링크에는 수직 바가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옷걸이가 전후로 확장되어 다양한 크기의 의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무빙 바는 커넥팅 로드 및 무빙 블록에 의해 메인 링크와 연동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무빙 바에 연결된 손잡이를 하측으로 당겨 옷걸이를 전후로 간단히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서브 링크는 메인 링크의 회전을 보조하여 수직 바가 원활하게 전후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에 포함된 어퍼 바디에는 탄성 변형되는 탄성 밴드가 구비될 수 있고, 밴드 고정장치는 탄성 밴드를 고정할 수 있다. 이로써 탄성 밴드는 의류의 깃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무빙 바가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전후 확장된 옷걸이가 간편하게 원복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가 걸리는 복수개의 걸림부는 무빙 바의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옷걸이의 전후 확장 정도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압축 스프링은 돌기가 걸림부에 걸리는 방향으로 스토퍼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버튼에 힘을 가하지 않으면 스토퍼는 무빙 바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는 수평면 및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무빙바가 하강할 경우에는 돌기가 걸림부에 걸리지 않고 무빙바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돌기가 걸림부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의 지지부의 전면 및 배면에는 무빙 블록에 연결된 커넥터가 통과하는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무빙 블록의 좌우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고, 메인 링크가 커넥터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링크의 양 단부는 무빙 블록 및 수직 바에 연결되고, 서브 링크는 메인 링크의 양 단부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링크가 연결된 연결부는 수직 바가 연결된 단부에 인접할 수 있다. 이로써 수직 바는 전후로 기 설정된 범위만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수직 바의 하단은 전후로 회전하는 로어 메인링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수직바는 의류의 상부부터 하부까지 전체적으로 전후방향 기계력을 가할 수 있고, 의류가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은 의류의 형상에 알맞게 탄성 변형되어 기계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수평바에 구비된 후크는 의류에 하방 기계력을 가할 수 있다. 이로써 의류가 상하로 팽팽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평면도이다.
도 2b은 도 2a에 도시된 옷걸이가 전후로 확장된 모습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저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옷걸이가 전후로 확장된 모습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상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상측 내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빙 블록, 메인링크 및 서브 링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하측 내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어 무빙블록, 로어 메인링크 및 로어 서브링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와 무빙 바의 연결관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밴드 및 밴드 고정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의류에는 옷(clothes), 의복(apparel)뿐만 아니라,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목도리 등과 같이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대상과 함께 인형, 수건, 이불과 같이 사람이 사용을 하는 대상을 포함하며,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대상물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사시도이고, 도 2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평면도이고, 도 2b은 도 2a에 도시된 옷걸이가 전후로 확장된 모습이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3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저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옷걸이가 전후로 확장된 모습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수직 프레임(1)과, 지지 프레임(2)과, 메인 링크(21)(22)와, 서브 링크(23)(24)와, 수직 바(51)(5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1)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수직 프레임(1)의 내부에는 후술할 무빙 바(1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은 수직 프레임(1)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은 의류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은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지지 프레임(2)은 수직 프레임(1)의 상단에 연결된 센터부(3)와, 상기 센터부(3)의 양측에서 길게 형성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2)은 센터부(3)의 상측에 체결된 어퍼 바디(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터부(3)는 지지 프레임(2)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센터부(3)는 수직 프레임(1)의 상측에서 수직 프레임(1)의 상단과 체결될 수 있다.
센터부(3)의 내부에는 무빙 바(10)(도 4 참조)의 상단부가 위치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4)는 의류의 어깨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4)의 상면은 센터부(3)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경사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4)의 저면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4)는 센터부(3)의 일측에 위치한 제1지지부(4A)와, 센터부(3)의 타측에 위치한 제2지지부(4B)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4)의 내부에는 무빙 블록(30)(도 4 참조) 및 상기 무빙 블록(30)에 연결된 커넥팅 로드(31)(도 4 참조)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4)의 내부 공간은 센터부(3)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어퍼 바디(5)는 센터부(3)의 상측에서 센터부(3)와 체결될 수 있다. 어퍼 바디(5)의 내부에는 상기 무빙 바(10)(도 4 참조)가 상승 가능한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어퍼 바디(5)의 내부공간은 센터부(3)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어퍼 바디(5)의 후크(5a)가 구비될 수 있다. 후크(5a)는 어퍼 바디(5)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후크(5a)는 옷장 등의 거치대에 걸려 옷걸이 전체를 지지할 수 있다.
어퍼 바디(5)에는 탄성 밴드(5B)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 밴드(5B)는 어퍼 바디(5)의 적어도 일부를 후방에서부터 둘러쌀 수 있다. 탄성 밴드(5B)의 높이는 어퍼 바디(5)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탄성 밴드(5B)는 탄성 변형되며 의류의 깃을 지지할 수 있다. 탄성 밴드(5B)는 의류의 펼쳐진 깃을 외측에서 둘러쌀 수 있다.
탄성 밴드(5B)는 후술할 밴드 고정장치(60)(도 13 참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메인 링크(21)(22)는 지지 프레임(2)의 지지부(4)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 링크(21)(22)는 후술할 무빙 블록(30)(도 4 참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링크(21)(22)는 좌우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메인 링크(21)(22)의 내측 단부는 상기 무빙 블록(30)에 연결될 수 있고, 외측 단부는 후술할 수직 바(51)(52)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링크(21)(22)의 내측 단부는 양 단부 중 센터부(3)에 가까운 단부를 의미하고, 외측 단부는 양 단부 중 센터부(3)와 먼 단부를 의미할 수 있다.
메인 링크(21)(22)는 지지부(4)에 대해 회동할 수 있다. 메인 링크(21)(22)의 내측 단부가 외측으로 이동하면, 메인 링크(21)(22)는 내측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 때 메인 링크(21)(22)의 외측 단부는 지지부(4)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멀어질 수 있다.
메인 링크(21)(22)의 회동은 후술할 무빙 바(10) 및 손잡이(10A)의 조작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메인 링크(21)(22)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메인 링크(21)(22)는 지지부(4)의 전방에 위치한 프론트 링크(21)와, 지지부(4)의 후방에 위치한 리어 링크(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4A) 및 제2지지부(4B)의 전방에는 각각 프론트 링크(21)가 위치할 수 있고, 제1지지부(4A) 및 제2지지부(4B)의 후방에는 각각 리어 링크(22)가 위치할 수 있다. 즉, 프론트 링크(21) 및 리어 링크(22)는 각각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론트 링크(21)는 지지부(4)에 대해 전방으로 회동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프론트 링크(21)의 내측 단부가 외측으로 이동하면, 프론트 링크(21)는 내측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 때 프론트 링크(21)의 외측 단부는 지지부(4)로부터 전방으로 멀어질 수 있다.
리어 링크(22)는 지지부(4)에 대해 후방으로 회동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리어 링크(22)의 내측 단부가 외측으로 이동하면, 리어 링크(22)는 내측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 때 리어 링크(22)의 외측 단부는 지지부(4)로부터 후방으로 멀어질 수 있다.
서브 링크(23)(24)는 지지부(4)와 메인 링크(21)(22)를 연결할 수 있다. 서브 링크(23)(24)는 지지부(4) 및 메인 링크(21)(2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서브 링크(23)(24)는 메인 링크(21)(22)의 회동을 보조할 수 있다. 서브 링크(23)(24)의 외측 단부는 지지부(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내측 단부는 메인 링크(21)(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서브 링크(23)(24)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서브 링크(23)(24)는 지지부(4)와 프론트 링크(21)를 연결하는 프론트 서브링크(23)와, 지지부(4)와 리어 링크(22)를 연결하는 리어 서브링크(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4A) 및 제2지지부(4B)의 전방측에는 각각 프론트 서브링크(23)가 연결될 수 있고, 제1지지부(4A) 및 제2지지부(4B)의 후방에는 각각 리어 서브링크(24)가 연결될 있다. 즉, 프론트 서브링크(23) 및 리어 서브링크(24)는 각각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론트 서브링크(23)는 지지부(4)에 대해 전방으로 회동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프론트 링크(21)가 전방으로 회동하는 경우, 프론트 서브링크(23)는 외측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 때 프론트 서브링크(23)의 내측 단부는 지지부(4)로부터 전방으로 멀어질 수 있다.
리어 서브링크(24)는 지지부(4)에 대해 후방으로 회동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리어 링크(22)가 후방으로 회동하는 경우, 리어 서브링크(24)는 외측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 때 리어 서브링크(24)의 내측 단부는 지지부(4)로부터 후방으로 멀어질 수 있다.
수직 바(51)(52)는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수직 바(51)(52)는 메인 링크(21)(22)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수직 바(51)(52)의 상단부는 메인 링크(21)(22)의 외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수직 바(51)(52)의 하단부는 후술할 로어 메인링크(61)(62)의 외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수직 바(51)(52)는 의류에 전후 방향으로 기계력을 인가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의류가 지지 프레임(2)에 걸리면 수직 바(51)(52)는 의류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메인 링크(21)(22) 및 로어 메인 링크(61)(62)가 전후로 회동하면 수직 바(51)(52)는 의류에 전후 방향으로 기계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로써 의류가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다.
수직 바(51)(52)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수직 바(51)(52)는 프론트 링크(21)에 연결된 프론트 수직바(51)와, 리어 링크(22)에 연결된 리어 수직바(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4A)에 연결된 프론트 링크(21) 및 제2지지부(4B)에 연결된 프론트 링크(21) 각각에는 프론트 수직바(51)가 연결될 수 있다. 제1지지부(4A)에 연결된 리어 링크(22) 및 제2지지부(4B)에 연결된 리어 링크(22) 각각에는 리어 수직바(52)가 연결될 수 있다. 즉, 프론트 수직바(51)와 리어 수직바(52)는 각각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론트 링크(21)가 전방으로 회동되고 리어 링크(22)가 후방으로 회동되면 프론트 수직바(51)와 리어 수직바(52)는 전후로 서로 멀어질 수 있다. 이로써 옷걸이가 전후로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로어 프레임(6)과, 로어 메인링크(61)(62)와, 로어 서브링크(63)(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어 프레임(6)은 수직 프레임(1)의 하부에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로어 프레임(6)은 수직 프레임(1)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로어 프레임(6)은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로어 프레임(6)은 수직 프레임(1)의 하부에 체결된 체결부(7)와, 상기 체결부(7)의 양측에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연장부(8)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7)는 로어 프레임(6)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체결부(7)는 수직 프레임 하부의 전면 및 배면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수직 프레임(1)은 체결부(7)을 관통하고, 수직 프레임(1)의 전면 및 배면은 체결부(7)의 내면과 체결될 수 있다.
연장부(8)는 체결부(7)에서 양측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8)와 체결부(7)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8)의 저면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연장부(8)는 체결부(7)의 일측에 위치한 제1연장부(8A)와, 체결부(7)의 타측에 위치한 제2연장부(8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장부(8A)는 제1지지부(4A)와 상하로 오버랩될 수 있고, 제2연장부(8B)는 제2지지부(4B)와 상하로 오버랩될 수 있다.
연장부(8)의 내부에는 로어 무빙 블록(70)(도 4 참조) 및 상기 로어 무빙블록(70)에 연결된 로어 커넥팅 로드(71)(도 4 참조)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연장부(8A)의 내부공간과 제2연장부(8B)의 내부공간은 서로 연통되지 않고 분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로어 메인링크(61)(62)는 로어 프레임(2)의 연장부(8)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로어 메인링크(61)(62)는 후술할 로어 무빙 블록(70)(도 4 참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로어 메인링크(61)(62)는 좌우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로어 메인링크(61)(62)의 내측 단부는 상기 로어 무빙블록(70)에 연결될 수 있고, 외측 단부는 수직 바(51)(52)에 연결될 수 있다. 로어 메인링크(61)(62)의 내측 단부는 양 단부 중 센터부(3)에 가까운 단부를 의미하고, 외측 단부는 양 단부 중 센터부(3)와 먼 단부를 의미할 수 있다.
로어 메인링크(61)(62)는 연장부(8)에 대해 회동할 수 있다. 로어 메인링크(61)(62)의 내측 단부가 외측으로 이동하면, 로어 메인링크(61)(62)는 내측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 때 로어 메인링크(61)(62)의 외측 단부는 연장부(4)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멀어질 수 있다.
로어 메인링크(61)(62)의 회동은 후술할 무빙 바(10) 및 손잡이(10A)의 조작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로어 메인링크(61)(62)는 메인 링크(21)(22)와 동시에 회동될 수 있다.
로어 메인링크(61)(62)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로어 메인링크(61)(62)는 연장부(8)의 전방에 위치한 프론트 로어링크(61)와, 연장부(8)의 후방에 위치한 리어 로어링크(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장부(8A) 및 제2연장부(8B)의 전방에는 각각 프론트 로어링크(61)가 위치할 수 있고, 제1연장부(8A) 및 제2연장부(8B)의 후방에는 각각 리어 로어링크(62)가 위치할 수 있다. 즉, 프론트 로어링크(61) 및 리어 로어링크(62)는 각각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론트 로어링크(61)는 연장부(8)에 대해 전방으로 회동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프론트 로어링크(61)의 내측 단부가 외측으로 이동하면, 프론트 로어링크(61)는 내측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 때 프론트 로어링크(61)의 외측 단부는 연장부(8)로부터 전방으로 멀어질 수 있다.
리어 로어링크(62)는 연장부(8)에 대해 후방으로 회동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리어 로어링크(62)의 내측 단부가 외측으로 이동하면, 리어 로어링크(62)는 내측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 때 리어 로어링크(62)의 외측 단부는 연장부(8)로부터 후방으로 멀어질 수 있다.
로어 서브링크(63)(64)는 연장부(8)와 로어 메인링크(61)(62)를 연결할 수 있다. 로어 서브링크(63)(64)는 연장부(8) 및 로어 메인링크(61)(6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로어 서브링크(63)(64)는 로어 메인링크(61)(62)의 회동을 보조할 수 있다. 로어 서브링크(63)(64)의 외측 단부는 연장부(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내측 단부는 로어 메인링크(61)(6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로어 서브링크(63)(64)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로어 서브링크(63)(64)는 연장부(8)와 프론트 로어링크(61)를 연결하는 프론트 로어 서브링크(63)와, 연장부(8)와 리어 로어링크(62)를 연결하는 리어 로어 서브링크(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장부(8A) 및 제2연장부(8B)의 전방측에는 각각 프론트 로어 서브링크(63)가 연결될 수 있고, 제1연장부(8A) 및 제2연장부(8B)의 후방에는 각각 리어 로어 서브링크(64)가 연결될 있다. 즉, 프론트 로어 서브링크(63) 및 리어 로어 서브링크(64)는 각각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론트 로어 서브링크(63)는 연장부(8)에 대해 전방으로 회동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프론트 로어 링크(61)가 전방으로 회동하는 경우, 프론트 로어 서브링크(63)는 외측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 때 프론트 로어 서브링크(63)의 내측 단부는 연장부(8)로부터 전방으로 멀어질 수 있다.
리어 로어 서브링크(64)는 연장부(4)에 대해 후방으로 회동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리어 로어링크(62)가 후방으로 회동하는 경우, 리어 로어 서브링크(64)는 외측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 때 리어 로어 서브링크(64)의 내측 단부는 연장부(8)로부터 후방으로 멀어질 수 있다.
상하로 길게 형성된 수직바(51)는 메인 링크(21)(22)와 로어 메인링크(61)(62)를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프론트 수직바(51)는 프론트 링크(21)와 프론트 로어링크(61)를 연결할 수 있고, 리어 수직바(52)는 리어 링크(22)와 리어 로어링크(62)를 연결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프론트 수직바(51)는 프론트 링크(21)의 외측 단부와 프론트 로어링크(61)의 외측 단부를 연결할 수 있고, 리어 수직바(52)는 리어 링크(22)의 외측 단부와 리어 로어링크(62)의 외측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사이드 프레임(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9)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9)은 지지 프레임(2)과 로어 프레임(6)을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사이드 프레임(9)은 지지부(4)의 외측 단부와 연장부(8)의 외측 단부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9)의 내측면은 프론트 수직바(51)와 리어 수직바(52)의 사이를 향할 수 있다. 즉, 사이드 프레임(9)은 프론트 수직바(51)와 리어 수직바(52)의 사이 공간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9)은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9)은 비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9)은 사출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9)에는 상하로 이격된 다수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사이드 프레임(9)은 의류의 형상에 알맞게 탄성 변형되어 기계력을 인가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9)은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9)은 제1사이드 프레임(9A) 및 제2사이드 프레임(9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사이드 프레임(9A)은 제1지지부(4A)과 제1연장부(8A)를 연결할 수 있다. 제2사이드 프레임(9B)은 제2지지부(4B)과 제2연장부(8B)을 연결할 수 있다.
제1사이드 프레임(9A)은 수직 프레임(1)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사이드 프레임(9B)은 수직 프레임(1)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사이드 프레임(9A) 및 제2사이드 프레임(9B)은 좌우 방향으로 수직 프레임(1)과 중첩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9)은 의류의 양측에 기계력을 가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사이드 프레임(9)은 옷걸이에 걸린 의류의 몸통 내측에서 외측으로 기계력을 가할 수 있다. 이로써, 의류가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고 다림질 등의 리프래쉬 작업 수행이 원활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무빙바(10), 무빙 블록(30), 커넥팅 로드(3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로어 무빙블록(70), 로어 커넥팅 로드(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빙 바(10)는 수직 프레임(1)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무빙 바(10)는 수직 프레임(1)과 나란하게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무빙 바(10)의 하단은 수직 프레임(1)의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무빙 바(10)의 하단에는 손잡이(10A)가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10A)는 수직 프레임(1) 및 로어 프레임(6)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10A)를 잡아당겨 무빙 바(10)를 하강시킬 수 있고, 무빙 바(10)에 연결된 커넥팅 로드(31)와, 커넥팅 로드(31)에 연결된 무빙 블록(30)에 의해 메인 링크(21)(22) 및 로어 메인링크(61)(62)가 전후로 회동할 수 있다.
무빙 바(10)의 상단은 지지 프레임(2)의 센터부(3)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센터부(3)의 저면에는 무빙 바(10)가 삽입되도록 상하 관통된 삽입공(3A)이 형성될 수 있다. 무빙 바(10)의 상단이 어퍼 바디(5)의 내부까지 상승되는 것도 가능하다.
무빙 블록(30)은 지지 프레임(2)의 지지부(4)에 내장될 수 있다. 무빙 블록(30) 지지부(4)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제1지지부(4A) 및 제2지지부(4B)에는 무빙 블록(30)이 각각 내장될 수 있다. 제1지지부(4A)에 내장된 무빙 블록(30)과 제2지지부(4B)에 내장된 무빙 블록(30)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무빙 블록(30)은 앞서 설명한 메인 링크(21)(2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무빙 블록(30)의 좌우 이동에 따라 메인 링크(21)(22)가 전후로 회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커넥팅 로드(31)는 무빙 바(10)와 무빙 블록(30)을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커넥팅 로드(31)의 내측 단부는 무빙 바(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측 단부는 무빙 블록(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커넥팅 로드(31)는 무빙 바(10)의 상단부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커넥팅 로드(31)의 내측 단부는 외측 단부보다 높을 수 있다. 즉, 커넥팅 로드(31)는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커넥팅 로드(31)는 무빙 바(10)의 상하방향 이동을 무빙 블록(30)의 좌우방향 이동과 연동시킬 수 있다. 무빙 바(10)가 하강하면 커넥팅 로드(31)의 경사는 완만해지고 무빙 블록(30)은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무빙 바(10)가 상승하면 커넥팅 로드(31)의 경사는 가팔라지고 무빙 블록(30)은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로어 무빙블록(70)은 로어 프레임(6)의 연장부(8)에 내장될 수 있다. 로어 무빙블록(70) 연장부(8)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제1연장부(8A) 및 제2연장부(8B)에는 로어 무빙블록(70)이 각각 내장될 수 있다. 제1연장부(8A)에 내장된 로어 무빙블록(70)과 제2연장부(8B)에 내장된 로어 무빙블록(70)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로어 무빙블록(70)은 앞서 설명한 로어 메인링크(61)(6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로어 무빙블록(70)의 좌우 이동에 따라 로어 메인링크(61)(62)가 전후로 회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로어 커넥팅 로드(71)는 무빙 바(10)와 로어 무빙블록(70)을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로어 커넥팅 로드(71)의 내측 단부는 무빙 바(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측 단부는 로어 무빙 블록(7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로어 커넥팅 로드(71)의 내측 단부는 외측 단부보다 높을 수 있다. 즉, 로어 커넥팅 로드(71)는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로어 커넥팅 로드(71)는 무빙 바(10)의 상하방향 이동을 로어 무빙블록(70)의 좌우방향 이동과 연동시킬 수 있다. 무빙 바(10)가 하강하면 로어 커넥팅 로드(71)의 경사는 완만해지고 로어 무빙 블록(70)은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무빙 바(10)가 상승하면 로어 커넥팅 로드(71)의 경사는 가팔라지고 로어 무빙 블록(70)은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무빙 바(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공(11)이 형성될 수 있고, 각 장공(11) 내에는 탄성 부재(1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공(11)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2)는 무빙 바(10)에 상측 방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2)는 인장 스프링 또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수직 프레임(1)의 내부에는 삽입돌기(1A)가 구비될 수 있다. 삽입돌기(1A)는 무빙 바(10)의 장공(11)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돌기(1A)는 수직 프레임(1)의 내면에서 장공(11)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12)는 삽입 돌기(1A)와 장공(1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탄성 부재(12)는 장공(11)의 하단과 삽입돌기(1A) 사이와, 장공(11)의 상단과 삽입돌기(1A) 사이 중 적어도 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탄성 부재(12)는 삽입 돌기(1A)의 하측 및/또는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무빙 바(10)가 수직 프레임(1)에 대해 하강하면 장공(11)의 상단이 삽입 돌기(1A)와 가까워질 수 있고 탄성 부재(12)는 압축 또는 인장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12)의 복원력에 의해 탄성 부재(12)는 무빙 바(10)에 상방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상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상측 내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빙 블록, 메인링크 및 서브 링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무빙바(10)의 양측면에는 커넥팅 로드(31)가 통과하는 통공(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1B)은 무빙바(10) 상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이 좌우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통공(1B)은 무빙 바(10)의 상승에 따라 회동하는 커넥팅 로드(31)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무빙 블록(30)의 전면 및 배면에는 메인 링크(21)(2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3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4)의 전면 및 배면에는 커넥터(32)가 통과하며 좌우로 길게 형성된 장공(40)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32)는 메인 링크(21)(22)를 무빙 블록(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커넥터(32)는 장공(40)을 통과하여 지지부(4)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커넥터(32)는 장공(40)을 지나는 상태를 유지하며 무빙 블록(30)과 함께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프론트 링크(21)는, 무빙 블록(30)의 전면에 구비되고 지지부(4)의 전방으로 돌출된 커넥터(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리어 링크(22)는 무빙 블록(30)의 배면에 구비되고 지지부(4)의 후방으로 돌출된 커넥터(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프론트 링크(21)와 연결된 커넥터(32)는 프론트 커넥터로 명명될 수 있고, 리어 링크(22)와 연결된 커넥터(32)는 리어 커넥터로 명명될 수 있다.
지지부(4)에 형성된 장공(40)은 커넥터(32)와 지지부(4)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무빙 블록(30) 및 커넥터(32)는 장공(40)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지지부(4)에 형성된 장공(40)은 무빙 블록(30) 및 커넥터(32)의 좌우 방향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4)의 내부에는 커넥팅 로드(31)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회피홈(41)이 형성될 수 있다. 회피홈(41)은 지지부(4)의 내측 상면에서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회피홈(41)은 지지부(4) 상면의 경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무빙 블록(30)에 연결된 커넥팅 로드(31)가 지지부(4)의 내면과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메인 링크(21)(22)에는, 무빙 블록(30)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25A)와, 수직 바(51)(52)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25B)와, 서브 링크(23)(24)가 연결되는 제3연결부(25C)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연결부(25A)는 커넥터(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부(25B)는 수직 바(51)(52)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3연결부(25C)에는 서브 링크(23)(24)의 내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25A)는 메인 링크(21)(22)의 내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25B)는 메인 링크(21)(22)의 외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3연결부(25C)는 메인 링크(21)(22)의 양 단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부(25C)와 상기 제2연결부(25B)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3연결부(25C)와 상기 제1연결부(25A)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 즉, 제3연결부(25C)는 메인 링크(21)(22)의 양 단부 중 외측 단부에 더 인접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프론트 링크(21)의 제1연결부(25A)는 무빙 블록(30)의 전면에 구비된 커넥터(3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프론트 링크(21)의 제2연결부(25B)는 프론트 수직바(51)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프론트 링크(21)의 제3연결부(25C)에는 프론트 서브링크(23)의 내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리어 링크(22)의 제1연결부(25A)는 무빙 블록(30)의 배면에 구비된 커넥터(3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리어 링크(22)의 제2연결부(25B)는 리어 수직바(52)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리어 링크(22)의 제3연결부(25C)에는 리어 서브링크(24)의 내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하측 내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어 무빙블록, 로어 메인링크 및 로어 서브링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무빙바(10)의 양측면에는 로어 커넥팅 로드(71)가 통과하는 로어 통공(1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통공(1C)은 무빙바(10) 하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이 좌우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로어 통공(1C)은 무빙 바(10)의 상승에 따라 회동하는 로어 커넥팅 로드(71)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로어 프레임(6)의 상면에는 로어 커넥팅 로드(71)가 통과하는 개방공(8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공(8C)은 각 연장부(8)의 내측 일부의 상면이 상하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개방공(8C)은 체결부(7) 상면까지 이어질 수 있다. 개방공(8C)은 무빙 바(10)의 상승에 따라 회동하는 로어 커넥팅 로드(71)와 간섭되지 않도록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무빙블록(70)의 전면 및 배면에는 로어 메인링크(61)(6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로어 커넥터(7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로어 프레임(6)의 연장부(8)의 전면 및 배면에는 로어 커넥터(72)가 통과하며 좌우로 길게 형성된 장공(80)이 형성될 수 있다.
로어 커넥터(72)는 로어 메인링크(61)(62)를 로어 무빙블록(7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로어 커넥터(72)는 장공(80)을 통과하여 연장부(8)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로어 커넥터(72)는 장공(80)을 지나는 상태를 유지하며 로어 무빙블록(70)과 함께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프론트 로어링크(61)는, 로어 무빙블록(70)의 전면에 구비되고 연장부(8)의 전방으로 돌출된 로어 커넥터(7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리어 로어링크(62)는 로어 무빙블록(70)의 배면에 구비되고 연장부(8)의 후방으로 돌출된 로어 커넥터(7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프론트 로어링크(61)와 연결된 로어 커넥터(72)는 프론트 로어 커넥터로 명명될 수 있고, 리어 로어링크(62)와 연결된 로어 커넥터(72)는 리어 로어 커넥터로 명명될 수 있다.
연장부(8)에 형성된 장공(80)은 로어 커넥터(72)와 연장부(8)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어 무빙블록(70) 및 로어 커넥터(72)는 장공(80)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연장부(8)에 형성된 장공(40)은 로어 무빙블록(70) 및 로어 커넥터(72)의 좌우 방향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8)의 내부에는 로어 커넥팅 로드(71)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회피홈(81)이 형성될 수 있다. 회피홈(81)은 연장부(8)의 내측 상면에서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회피홈(81)은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로어 무빙블록(70)에 연결된 로어 커넥팅 로드(71)가 연장부(8)의 내면과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로어 메인링크(61)(62)에는, 로어 무빙블록(70)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65A)와, 수직 바(51)(52)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65B)와, 서브 링크(23)(24)가 연결되는 제3연결부(65C)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연결부(65A)는 로어 커넥터(7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부(65B)는 수직 바(51)(52)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3연결부(65C)에는 로어 서브링크(63)(64)의 내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65A)는 로어 메인링크(61)(62)의 내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65B)는 로어 메인링크(61)(62)의 외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부(65C)는 로어 메인링크(61)(62)의 양 단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부(65C)와 상기 제2연결부(65B)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3연결부(65C)와 상기 제1연결부(65A)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 즉, 제3연결부(65C)는 로어 메인 링크(61)(62)의 양 단부 중 외측 단부에 더 인접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프론트 로어링크(61)의 제1연결부(65A)는 로어 무빙블록(70)의 전면에 구비된 로어 커넥터(7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프론트 로어링크(61)의 제2연결부(65B)는 프론트 수직바(51)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프론트 로어링크(61)의 제3연결부(65C)에는 프론트 로어 서브링크(63)의 내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리어 로어링크(62)의 제1연결부(65A)는 로어 무빙블록(70)의 배면에 구비된 로어 커넥터(7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리어 로어링크(62)의 제2연결부(65B)는 리어 수직바(52)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리어 로어링크(62)의 제3연결부(65C)에는 리어 로어 서브링크(64)의 내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후크(91A)(92A)가 구비된 수평바(91)(92)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바(91)(92)는 로어 프레임(6)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한 쌍의 수평바(91)(92)는 로어 프레임(6)의 전방에 위치한 프론트 수평바(91)와, 로어 프레임(6)의 후방에 위치한 리어 수평바(9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에는 프론트 수평바(91)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수평바(91)(92)는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의 수직바(51)(52)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프론트 수평바(91)는 한 쌍의 프론트 수직바(51)를 서로 연결할 수 있고, 리어 수평바(92)는 한 쌍의 리어 수직바(52)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수평바(91)(92)의 양 단부에는 수직바(51)(52)와 연결되는 연결홀(91B)(92B)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홀(91B)(92B)은 로어 메인링크(61)(62)의 제2연결부(65B)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수평바(91)(92)의 단부는 로어 메인링크(61)(62)의 외측 단부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홀(91B)(92B)은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직바(51)(52)는 수평바(91)(92)에 구속되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수평바(91)(92)에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91A)(92A)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91A)(92A)는 수평바(91)(92)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수평바(91)(92)의 후크(91A)(92A)는 의류의 하부를 잡아당겨 기계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일례로, 후크(91A)(92A)에는 별도의 클립(미도시)이 연결되고 상기 클립이 의류의 하부를 잡아당길 수 있다.
이로써 후크(91A)(92A)는 의류에 하방으로 기계력을 인가할 수 있고, 의류가 팽팽해질 수 있다.
한편, 수직 프레임(1)의 외면에는 버튼(19A)이 위치할 수 있다. 버튼(19A)은 수직 프레임(1)의 하부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버튼(19A)은 무빙 바(10)의 상승을 막는 스토퍼(19)(도 11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19A)을 누르면 탄성부재(12)(도 4 참조)의 탄성력에 의해 무빙 바(10)가 상승하고 전후로 확장되어 있던 옷걸이가 원상복귀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와 무빙 바의 연결관계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무빙 바(10)의 상승을 막는 스토퍼(19)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9)는 수직 프레임(1)의 외면에 구비된 버튼(19A)과, 상기 버튼(19A)에서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스토퍼 본체(19B)와, 스토퍼 본체(19B)에서 돌출되고 무빙바(10)에 걸리는 돌기(19C)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9A)은 수직 프레임(1)의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수직 프레임(1)에는 스토퍼(19)가 장착되는 스토퍼 장착부(1D)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 장착부(1D)는 수직 프레임(1)의 하부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중공통 형상일 수 있다.
스토퍼 장착부(1D)는 버튼(19A)의 외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스토퍼 장착부(1D)의 내부는 수직 프레임(1)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스토퍼(19)은 스토퍼 장착부(1D)에 수평방향, 좀 더 상세히는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19A)을 누르면 스토퍼(19)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가 버튼(19A)에 힘을 가하지 않으면 압축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스토퍼(19)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토퍼 본체(19B)는 버튼(19A)에서 후방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 본체(19B)의 직경은 버튼(19A)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스토퍼 본체(19B)는 수직 프레임(1)을 관통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스토퍼 본체(19B)는 버튼 장착부(1B)의 내부에서부터 수직 프레임(1)의 배면에 형성된 관통공(1E)을 지나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무빙 바(10)에는 스토퍼 본체(19B)가 통과하는 개방공(13)이 형성될 수 있다. 개방공(13)은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며 상하로 길게 형성된 장공일 수 있다. 또한, 수직 프레임(1)의 배면에는 상기 관통공(1E)을 커버하고 스토퍼 본체(19B)의 후단이 연결되는 연결커버(17)가 구비될 수 있다.
돌기(19C)는 스토퍼 본체(19B)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돌기(19C)는 스토퍼 본체(19B)에서 좌우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기(19C)는 무빙 바(10)에 형성된 걸림부(18)에 걸릴 수 있다. 도 11에는 무빙 바(10)가 최대로 하강하고 돌기(19C)가 최상단의 걸림부(18)에 걸린 상태가 도시된다.
걸림부(18)는 무빙 바(10)의 개방공(13)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개방공(13)의 내둘레 양측에는 돌출바디(13A)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 바디(13A)의 배면에는 복수개의 걸림부(18)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돌출 바디(13A)는 개방공(13)의 내둘레 양측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 바디(13A)는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8)는 돌출바디(13A)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 돌출 바디(13A)에 형성된 걸림부(18)은 복수개일 수 있다. 일례로, 각 돌출 바디(13A)에는 5개의 걸림부(18)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걸림부(18)는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각 걸림부(18)는 돌기(19C)가 걸리는 수평면(18A)과, 상기 수평면(18A)에 연결된 경사면(18B)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면(18A)은 돌기(19C)의 저면에 접하여 걸릴 수 있다. 즉, 탄성부재(12)(도 4 참조)의 탄성력에 의해 무빙 바(10)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걸림부(18)의 수평면(18A)이 돌기(19C)에 걸려 상승하지 않을 수 있다.
경사면(18B)은 수평면(18A)의 후단에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무빙바(10)가 하강하는 경우 경사면(18B)은 돌기(19C)를 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돌기(19C)의 전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빙 바(10)가 하강하면 경사면(18B)은 돌기(19C)의 전면에 접하며 돌기(19C)를 후방으로 밀 수 있다. 따라서, 무빙바(10)가 돌기(19C)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하강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걸림부(18)의 경사면(18B) 하단은, 상기 어느 하나의 걸림부(18)의 하측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걸림부(18)의 수평면(18A) 전단과 연결될 수 있다.
스토퍼(19)에는 압축 스프링(16)이 구비될 수 있다. 압축 스프링(16)은 돌기(19C)가 걸림부(18)에 걸리는 방향으로 스토퍼(19)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압축 스프링(16)은 스토퍼(19)를 전방으로 밀 수 있다.
압축 스프링(16)은 스토퍼 본체(19B)의 외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 스프링(16)은 돌기(19C)와 연결 커버(17)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19A)을 누르면 돌기(19C)는 압축 스프링(16)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압축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19A)에 힘을 가하지 않으면 압축 스프링(16)은 돌기(19C)를 전방으로 가압하여 스토퍼(19)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걸림부(18)는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므로, 돌기(19C)가 걸린 걸림부(18)의 높이에 따라 무빙 바(10)의 높이 및 수직바(51)(52)의 전후방향 이동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스토퍼 장착부(1B)의 내둘레에는 스토퍼(19)의 장착 방향을 가이드하는 방향 가이드부(1F)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9)에는 보조 돌기(19D)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돌기(19D)는 스토퍼 장착부(1D)의 내부에 위치하며 스토퍼 본체(19B)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돌기(19D)는 스토퍼(19)가 설정 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에만 방향 가이드부(1F)를 통과하고, 그렇지 않으면 방향 가이드부(1F)에 걸릴 수 있다.
이하, 스토퍼(19)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무빙 바(10) 하단의 손잡이(10A)를 당기면 무빙바(10)는 하강할 수 있다. 무빙바(10)가 하강하면 어느 하나의 걸림부(18)의 경사면(18B)은 돌기(19C)를 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19)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압축 스프링(16)은 돌기(19C)와 연결 커버(17)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돌기(19C)가 후방으로 이동하였으므로 무빙 바(10)는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걸림부(18)의 경사면(18B)이 돌기(19C)보다 아래로 내려가면, 압축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스토퍼(19)는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돌기(19C)는 상기 어느 하나의 걸림부(18)의 상측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걸림부(18)에 걸릴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무빙 바(10) 하단의 손잡이(10A)를 다시 당기면 앞서 설명한 과정을 반복하며 무빙 바(10)가 더 하강할 수 있다.
무빙 바(10)가 하강하면 프론트 링크(21)와 프론트 로어링크(61)는 전방으로 회동할 수 있고, 리어 링크(22)와 리어 로어링크(62)는 후방으로 회동할 수 있다. 즉, 프론트 수직바(51)와 로어 수직바(52)는 서로 멀어질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무빙 바(10)의 승강에 연동되어 옷걸이를 전후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버튼(19A)을 누르면 스토퍼(19)는 후방으로 이동하할 수 있다. 따라서 돌기(19C)는 걸림부(18)에 걸리지 않고 압축 스프링(16)을 압축할 수 있다.
돌기(19C)는 걸림부(18)에 걸리지 않으므로 무빙 바(10)는 탄성부재(12)(도 4 참조)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 링크(21)와 프론트 로어링크(61)는 후방으로 회동할 수 있고, 리어 링크(22)와 리어 로어링크(62)는 전방으로 회동할 수 있다. 즉, 프론트 수직바(51)와 로어 수직바(52)는 서로 가까워질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버튼(19A)을 눌러 전후로 확장되어 있던 옷걸이를 간편하게 원상복귀시킬 수 있다.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밴드 및 밴드 고정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탄성 밴드(5B)를 고정하는 밴드 고정장치(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밴드 고정장치(90)는 어퍼 바디(5)의 전방에서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어퍼 바디(5)의 전면에는 밴드 고정장치(90)가 체결되는 체결공(5C)이 형성될 수 있다.
밴드 고정장치(90)는 본체(91)와, 상기 본체(91)에 힌지 연결되어 탄성 밴드(5B)를 고정하는 고정부(92)와, 상기 본체(91)의 후방에 돌출되어 어퍼 바디(5)에 체결되는 체결부(9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91)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판형일 수 있다.
고정부(92)는 본체(61)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92)는 본체(91)와 힌지 연결되어 상하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힌지에는 고정부(92)를 본체(91)를 향해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고정부(92)는 본체(91)와 함께 탄성 밴드(5B)를 고정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탄성 밴드(5B)의 양 단부는 본체(91)와 고정부(92)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93)는 본체(91)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93)는 어퍼 바디(5)의 체결공(5C)으로 삽입될 수 있다.
밴드 고정장치(90)가 탄성 밴드(5B)를 고정시킴으로써, 탄성 밴드(5B)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의류의 깃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수직 프레임 10: 무빙바
11: 장공 12: 탄성 부재
16: 압축 스프링 19: 스토퍼
19A: 버튼 19C: 돌기
18: 걸림부 2: 지지 프레임
21, 22: 메인 링크 23, 24: 서브 링크
3: 센터부 30: 무빙 블록
31: 커넥팅 로드 32: 커넥터
4: 지지부 40: 장공
5: 어퍼 바디 5A: 후크
5B: 탄성 밴드 51, 52: 수직 바
6: 로어 프레임 61, 62: 로어 메인링크
63, 64: 로어 서브링크 7: 체결부
70: 로어 무빙블록 71: 로어 커넥팅 로드
72: 로어 커넥터 8: 연장부
80: 장공 9: 사이드 프레임
91, 92: 수평 바 91A, 92A: 후크

Claims (20)

  1.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된 센터부와, 상기 센터부의 양측에서 길게 형성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무빙 바;
    상기 지지부에 내장되고 상기 무빙 바의 승강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무빙 블록;
    상기 무빙 바와 상기 무빙 블록을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
    상기 지지부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무빙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메인 링크;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메인 링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서브 링크; 및
    상기 메인 링크에 연결되고 상하로 길게 형성된 수직 바를 포함하는 옷걸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바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측에 위치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옷걸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센터부의 상측에서 체결된 어퍼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퍼 바디에는,
    상기 어퍼 바디의 상면에 체결된 후크; 및
    탄성 변형되고 상기 어퍼 바디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탄성 밴드가 구비된 옷걸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바디의 전방에서 체결되며 상기 탄성 밴드를 고정하는 밴드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옷걸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바에 상측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옷걸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바의 상승을 막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수직 프레임의 외면에 구비된 버튼;
    상기 버튼에서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을 관통하는 스토퍼 본체; 및
    상기 스토퍼 본체에서 돌출되고 상기 무빙 바의 걸림부에 걸리는 돌기를 포함하는 옷걸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복수개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걸림부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한 옷걸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가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옷걸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돌기가 걸리는 수평면; 및
    상기 수평면에 연결되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압축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돌기를 가압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옷걸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블록의 전면 및 배면에는 상기 메인 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의 전면 및 배면에는 상기 커넥터가 통과하며 좌우로 길게 형성된 장공이 형성된 옷걸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링크에는,
    상기 메인 링크의 내측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무빙 블록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
    상기 메인 링크의 외측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 바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서브 링크가 연결되는 제3연결부가 형성된 옷걸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3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운 옷걸이.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 체결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양측에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로어 프레임;
    상기 연장부에 내장되고 상기 무빙 바의 승강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로어 무빙 블록;
    상기 무빙바와 상기 로어 무빙블록을 연결하는 로어 커넥팅 로드;
    상기 연장부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로어 무빙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로어 메인링크; 및
    상기 연장부 및 상기 로어 메인링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로어 서브링크를 더 포함하는 옷걸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바는,
    상기 메인 링크와 상기 로어 메인링크를 연결하는 옷걸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연장부를 연결하는 사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옷걸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탄성 변형되는 옷걸이.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무빙블록의 전면 및 배면에는 상기 메인 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의 전면 및 배면에는 상기 커넥터가 통과하며 좌우로 길게 형성된 장공이 형성된 옷걸이.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메인링크에는,
    상기 로어 메인링크의 내측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로어 무빙블록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
    상기 로어 메인링크의 외측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 바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로어 서브링크가 연결되는 제3연결부가 형성된 옷걸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3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운 옷걸이.
  20. 제 18 항에 있어서,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의 수직 바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측에 후크가 구비된 수평바를 더 포함하는 옷걸이.
KR1020190031059A 2019-03-19 2019-03-19 옷걸이 KR102632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059A KR102632271B1 (ko) 2019-03-19 2019-03-19 옷걸이
PCT/KR2020/002913 WO2020189921A1 (ko) 2019-03-19 2020-02-28 옷걸이
EP20773666.1A EP3942971A4 (en) 2019-03-19 2020-02-28 HANGER
US17/435,778 US11666166B2 (en) 2019-03-19 2020-02-28 Clothes ha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059A KR102632271B1 (ko) 2019-03-19 2019-03-19 옷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419A KR20200111419A (ko) 2020-09-29
KR102632271B1 true KR102632271B1 (ko) 2024-02-02

Family

ID=72520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059A KR102632271B1 (ko) 2019-03-19 2019-03-19 옷걸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66166B2 (ko)
EP (1) EP3942971A4 (ko)
KR (1) KR102632271B1 (ko)
WO (1) WO20201899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66146B2 (en) * 2020-07-10 2023-09-26 Matthew Heath Lane Hanging apparatus with a tension mechanism
CN112499115B (zh) * 2020-11-06 2022-07-15 泰安圣锦服装有限公司 基于衣物生产的自动吊挂装置
USD977262S1 (en) * 2022-01-05 2023-02-07 Michael Mathis Clothing stretch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7906A (en) 1946-12-28 1950-05-16 Joseph Ralph Garment hanger
JP2006122468A (ja) 2004-10-29 2006-05-18 Sookoo Kk 物干具用グリップ及びこれを用いた物干具
KR200446345Y1 (ko) 2009-07-16 2009-10-20 김현 3단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41719A (en) 1928-10-26 1932-01-19 Brodie H Ashby Garment stretching device
US1978123A (en) * 1933-11-14 1934-10-23 Lawrence W Anderson Dress former
US2455066A (en) * 1947-06-05 1948-11-30 Paul S Kempf Garment hanger
FR967546A (fr) 1947-08-16 1950-11-06 Dispositif tendeur de pantalon
US2531108A (en) * 1949-06-08 1950-11-21 Casey Taggart Adjustable garment hanger
US2666559A (en) * 1950-07-19 1954-01-19 Wexler Benjamin Collapsible dress form
US3273765A (en) * 1965-03-22 1966-09-20 Unipress Company Inc Shirt buck apparatus
US3737080A (en) * 1971-07-07 1973-06-05 A Paris Short sleeve presser expander
US4917278A (en) * 1988-08-29 1990-04-17 Ventimiglia Peter G Portable mannequin
JP2617892B2 (ja) * 1994-11-07 1997-06-04 ソーコー株式会社 前後二重型洗濯ハンガー
US7032336B2 (en) 2001-08-29 2006-04-25 Exeq S.A. Compact automatic ironing press for trousers
KR20150077242A (ko) * 2013-12-27 2015-07-07 이현웅 접이식 옷걸이
KR20150103802A (ko) * 2014-03-04 2015-09-1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셔츠용 옷깃 걸이
KR20160122344A (ko) * 2015-04-13 2016-10-24 주식회사 아이언맥스 다목적 기능성 행거
KR20170009479A (ko) 2015-07-17 2017-01-25 유병남 다기능 옷걸이
KR101811318B1 (ko) 2017-06-14 2017-12-26 박병선 원터치 접이식 옷걸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7906A (en) 1946-12-28 1950-05-16 Joseph Ralph Garment hanger
JP2006122468A (ja) 2004-10-29 2006-05-18 Sookoo Kk 物干具用グリップ及びこれを用いた物干具
KR200446345Y1 (ko) 2009-07-16 2009-10-20 김현 3단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89921A1 (ko) 2020-09-24
US20220117424A1 (en) 2022-04-21
US11666166B2 (en) 2023-06-06
KR20200111419A (ko) 2020-09-29
EP3942971A4 (en) 2022-11-23
EP3942971A1 (en) 202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2271B1 (ko) 옷걸이
KR20200110935A (ko) 옷걸이
KR20170009479A (ko) 다기능 옷걸이
CN206721542U (zh) 挂式折叠烫衣板
KR20090096103A (ko) 접이형 옷걸이
KR101074658B1 (ko) 옷걸이
CN209779260U (zh) 带晾被杆的晾衣组件和晾衣机
KR20160122344A (ko) 다목적 기능성 행거
KR102103510B1 (ko) 다림질용 행거
KR20210043229A (ko) 옷걸이
KR200466358Y1 (ko) 접이식 옷걸이
KR102079746B1 (ko) 다기능 옷걸이 건조대
KR101953827B1 (ko) 주름 방지 옷걸이
US2887257A (en) Garment stretcher
JP3837413B2 (ja) 折畳み式物干し器および物干し器用物干し竿の係留装置
KR102238713B1 (ko) 자동 버튼식 옷걸이
KR20210045756A (ko) 옷걸이 착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KR100799173B1 (ko) 절첩식 빨래 건조대
KR200196101Y1 (ko) 옷걸이
KR100808556B1 (ko) 옷걸이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세탁물 건조대
KR102091545B1 (ko) 빨래 건조대
CN209779262U (zh) 带晾被杆的晾衣组件和晾衣机
KR100859421B1 (ko) 빨래의 날림방지용 협지수단을 갖는 접철식 빨래 건조대
JP3871212B2 (ja) アイロン台
JP2015036092A (ja) フックおよび洗濯干し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