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2344A - 다목적 기능성 행거 - Google Patents

다목적 기능성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2344A
KR20160122344A KR1020150052016A KR20150052016A KR20160122344A KR 20160122344 A KR20160122344 A KR 20160122344A KR 1020150052016 A KR1020150052016 A KR 1020150052016A KR 20150052016 A KR20150052016 A KR 20150052016A KR 20160122344 A KR20160122344 A KR 20160122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rest
shoulder
fixing
guid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언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언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언맥스
Priority to KR1020150052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2344A/ko
Publication of KR20160122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3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62Trouser or skirt stretchers or tensioners of the hanger type
    • A47G25/621Trouser or skirt stretchers or tensioners of the hanger type for stretching or tensioning trouser leg ends or the trouser skirt waistband comprising gripping members being urged apart
    • A47G25/625Trouser or skirt stretchers or tensioners of the hanger type for stretching or tensioning trouser leg ends or the trouser skirt waistband comprising gripping members being urged apart the gripping members being provided on resilient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0Collapsible hangers
    • A47G25/4046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support arms of a series of links
    • A47G25/4053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support arms of a series of links telescopically or slidably connected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기능성 행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탠드형 스팀다리미에 사용되는 거치능력과 인장력이 향상된 다목적 기능성 행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기능성 행거는, 상단부에 고리가 형성되고, 하단부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의를 걸칠 수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상의를 펼치기 위하여 마련되는 어깨 받침부; 상기 어깨 받침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를 향한 일측에 상기 가이드부와 간섭되기 위한 걸림부를 구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깨 받침부가 상기 몸체부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의가 펼쳐지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되는 요철부에 걸려 상기 어깨 받침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목적 기능성 행거{Versatile functional hanger}
본 발명은 다목적 기능성 행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탠드형 스팀다리미에 사용되는 거치능력과 인장력이 향상된 다목적 기능성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탠드형 스팀다리미의 경우 옷이 팽팽하게 펼쳐져야 다림질이 잘되고, 용이하게 다릴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스탠드형 스팀다리미에 사용되는 옷걸이는 단순히 옷을 거치하는 수준에 불과하여 옷이 팽팽하게 펴지지 않아서 다림질 할 때 손으로 옷을 일일이 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10-56777 호에는 집게를 이용하여 옷의 하단부를 고정시키고, 옷을 펼쳐줌으로써 다림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어깨 부분 조절이 불가능하여 사이즈가 큰 옷의 경우 옷의 상부를 좌우로 펴주기 어렵고, 집게로 고정시킨 부분은 다림질 할 수 없어서 집게의 위치를 바꿔가면서 다림질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56777 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탠드형 스팀다리미의 옷걸이에, 어깨 받침부의 길이를 조절하고, 고정부를 마련함으로써, 옷을 팽팽하게 펼칠 수 있고 용이하게 다림질 할 수 있는 다목적 기능성 행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기능성 행거는, 상단부에 고리가 형성되고, 하단부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의를 걸칠 수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상의를 펼치기 위하여 마련되는 어깨 받침부; 상기 어깨 받침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를 향한 일측에 상기 가이드부와 간섭되기 위한 걸림부를 구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깨 받침부가 상기 몸체부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의가 펼쳐지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되는 요철부에 걸려 상기 어깨 받침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목적 기능성 행거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먼 상기 어깨 받침부의 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부분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조절부를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상의의 하부를 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부는, 상기 걸림부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요철부에 걸려 상기 고정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에 하방으로 힘을 가하는 텐션부; 상기 몸체부를 기준으로 먼 쪽에 위치한 상기 고정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눌러져 상기 고정부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어깨 받침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푸셔; 상기 걸림부와 푸셔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를 상기 어깨 받침부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하는 결합핀;을 더 포함하고, 상의를 펼쳐 고정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어깨 받침부가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요철부에 걸려 상기 어깨 받침부가 고정되고, 상기 어깨 받침부의 고정이 해제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푸셔가 눌러져 상기 걸림부가 상기 결합핀을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요철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어깨 받침부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목적 기능성 행거는,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몸체부 축; 및 상기 어깨 받침부 및 몸체부 축을 연결하여, 상기 어깨 받침부를 상기 몸체부 축에 견고하게 지지하는 링크바;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바는, 'X'자 형으로 서로 교차하면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각각의 일단은 상기 몸체부 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어깨 받침부에 연결되는 2개의 바를 포함하며, 상기 어깨 받침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2개의 바가 서로 회동하면서 측방향으로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목적 기능성 행거는, 상기 2개의 바 중 제 1 바의 일단을 상기 몸체부 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승강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깨 받침부의 내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2개의 바 중 제 2 바의 타단이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탠드형 스팀다리미의 옷걸이에, 어깨 받침부의 길이를 조절하고, 고정부를 마련함으로써, 옷을 팽팽하게 펼칠 수 있고 용이하게 다림질 할 수 있는 다목적 기능성 행거가 제공된다.
또한, 어깨 받침부의 하방으로 연장된 내부에 상하조절부를 설치함으로써, 옷의 하부를 팽팽하게 펴줄 수 있는 다목적 기능성 행거가 제공된다.
또한, 어깨 받침부와 몸체부 축을 연결하는 링크바를 설치함으로써, 펼쳐진 어깨 받침부를 지지할 수 있는 다목적 기능성 행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목적 기능성 행거가 접혔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목적 기능성 행거가 펼쳐졌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목적 기능성 행거의 가이드부에 고정부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목적 기능성 행거의 가이드부에 고정부가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기능성 행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다목적 기능성 행거가 접혔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목적 기능성 행거가 펼쳐졌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목적 기능성 행거의 가이드부에 고정부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목적 기능성 행거의 가이드부에 고정부가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기능성 행거는 몸체부(10), 어깨 받침부(20), 고정부(30), 링크바(40), 몸체부 축(50)을 포함한다.
몸체부(10)는 상단부에 고리가 형성되고, 하단부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상의의 중심부위를 지지 한다.
가이드부(11)는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에 마련되고, 하기 어깨 받침부(20)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요철부(12)는 상기 가이드부(11)를 향한 일면이 요철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1)의 하단에 마련된다.
어깨 받침부(20)는 'ㄱ'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부가 상기 가이드부(11)에 삽입된다. 상기 어깨 받침부(20)는 상기 몸체부(1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의를 펼칠 수 있다. 상기 어깨 받침부(20)가 상기 몸체부(1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완전히 이탈되지 않고, 상기 몸체부(20)를 향한 상기 어깨 받침부(20)의 일단부가 상기 요철부(12)에 고정된다.
상하조절부(22)는 막대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어깨 받침부(20)의 하방으로 연장된 부분의 내부에 위치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조절부(22)를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펼치면, 상기 상의의 하부도 펼쳐진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0)는 'ㄱ'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어깨 받침부(2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어깨 받침부(20)가 상기 몸체부(1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펼쳐질 때, 상기 요철부(12)와 간섭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0)를 향한 상기 고정부(30)의 일측에 걸림부(31)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부(30)는 텐션부(33), 푸셔(32), 결합핀(34)을 더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부(33)는 상기 걸림부(31)로부터 상방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어깨 받침부(20)의 상단에 접한다. 상기 텐션부(33)는 상기 걸림부(31)가 상기 요철부(12)에 걸려 상기 고정부(3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31)에 하방으로 힘을 가한다.
푸셔(32)는 상기 몸체부(10)를 기준으로 먼 쪽에 위치한 상기 고정부(30)의 일단에 형성된다. 상기 푸셔(32)는 사용자에 의하여 눌러져 상기 고정부(30)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어깨 받침부(20)의 외부로 돌출된다.
결합핀(34)은 상기 걸림부(31)와 상기 푸셔(32)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고정부(30)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결합핀(34)은 상기 고정부(30)를 상기 어깨 받침부(2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한다.
상의를 펼쳐 고정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어깨 받침부(20)가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걸림부(31)가 상기 요철부(12)에 걸려 상기 어깨 받침부(20)가 고정된다.
상기 어깨 받침부(20)의 고정이 해제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푸셔(32)가 눌러져 상기 걸림부(31)가 상기 결합핀(34)을 기준으로 회동하고, 상기 걸림부(31)가 상기 요철부(12)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어깨 받침부(20)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몸체부 축(50)은 상기 몸체부(10)의 중심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링크바(40)는 제 1바(41) 및 제 2바(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바(41) 및 제 2바(42)는'X'자 형으로 서로 교차하면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제 1바(41)의 일단은 몸체부 축(50)과 타단은 하기 가이드 홀(21)과 연결된다. 상기 제 2바(42)의 일단은 어깨 받침부(20)와 타단은 몸체부 축(50)과 연결된다. 상기 링크바(40)는 상기 어깨 받침부(20) 및 몸체부 축(50)을 연결하여, 상기 어깨 받침부(20)를 상기 몸체부 축(50)에 견고하게 지지한다. 상기 어깨 받침부(20)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1바(41) 및 제 2바(42)가 서로 회동하면서 측방향으로 신축된다. 즉, 상기 어깨 받침부(20)가 외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 1바(41)가 하기 가이드 홀(21)을 따라 상승하고, 상기 링크바(40)의 좌우방향의 길이가 늘어난다. 상기 어깨 받침부(20)가 내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 1바(41)가 하기 가이드 홀(21)을 따라 하강하고, 상기 링크바(40)의 좌우방향의 길이가 줄어든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홀(21)은 상기 어깨 받침부(20)의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홀(21)은 상기 제 1바(41)를 수용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연결부(51)는 중공형의 관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승강연결부(51)는 상기 어깨 받침부(20)가 이동할 때 상기 제 2바(42)가 상기 몸체부 축(50)을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즉, 상기 어깨 받침부(20)가 외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승강연결부(51)가 상승하고, 상기 어깨 받침부(20)가 내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승강연결부(51)가 하강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기능성 행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스탠드형 스팀다리미를 이용하여 상의를 다림질 하기 위하여, 상의를 몸체부(10)에 걸친다.
거치 후 상기 상의를 펼치기 위하여 어깨 받침부(20)를 상기 몸체부(1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펼쳐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깨 받침부(20)를 상기 몸체부(1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펼칠 때, 고정부(30)에 형성되는 걸림부(31)가 텐션부(33)에 의하여 하방으로 힘을 받고, 가이드부(11)의 하단에 형성되는 요철부(12)와 간섭되어 고정된다.
상기 어깨 받침부(20)의 고정이 해제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푸셔(32)를 누르면, 상기 걸림부(31)가 결합핀(34)을 기준으로 회동하고, 상기 걸림부(31)가 상기 요철부(12)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어깨 받침부(20)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의의 어깨 부분을 펼치고 난후, 상기 상의의 하부를 펼쳐주기 위하여 상하조절부(22)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상하조절부(22)에 의하여 상기 상의의 하부가 펼쳐진다.
상기 어깨 받침부(20)가 상기 몸체부(10)의 반대방향으로 펼쳐지면, 상기 어깨 받침부(20)를 몸체부 축(50)에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링크바(40)가 작동한다. 상기 링크바(40)는 제 1바(41) 및 제 2바(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어깨 받침부(20)가 외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 1바가 가이드 홀(21)을 따라 상승하고, 상기 링크바(40)의 좌우방향의 길이가 늘어난다. 상기 어깨 받침부(20)가 내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 1바(41)가 상기 가이드 홀(21)을 따라 하강하고, 상기 링크바(40)의 좌우방향의 길이가 줄어든다. 상기 어깨 받침부(20)가 이동할 때, 승강연결부(51) 역시 몸체부 축(50)을 따라 승강한다. 상기 승강연결부(51)는 상기 어깨 받침부(20)가 이동할 때 상기 제 2바(42)가 상기 몸체부 축(50)을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즉, 상기 어깨 받침부(20)가 외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승강연결부(51)가 상승하고, 상기 어깨 받침부(20)가 내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승강연결부(51)가 하강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몸체부
11 : 가이드부
12 : 요철부
13 : 몸체부
20 : 어깨 받침부
21 : 가이드 홀
22 : 상하조절부
30 : 고정부
31 : 걸림부
32 : 푸셔
33 : 텐션부
40 : 링크바
41 : 제 1바
42 : 제 2바
50 : 몸체부 축
51 : 승강연결부

Claims (5)

  1. 상단부에 고리가 형성되고, 하단부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의를 걸칠 수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상의를 펼치기 위하여 마련되는 어깨 받침부;
    상기 어깨 받침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를 향한 일측에 상기 가이드부와 간섭되기 위한 걸림부를 구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깨 받침부가 상기 몸체부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의가 펼쳐지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되는 요철부에 걸려 상기 어깨 받침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기능성 행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로부터 먼 상기 어깨 받침부의 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부분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조절부를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상의의 하부를 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기능성 행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걸림부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요철부에 걸려 상기 고정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에 하방으로 힘을 가하는 텐션부;
    상기 몸체부를 기준으로 먼 쪽에 위치한 상기 고정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눌러져 상기 고정부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어깨 받침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푸셔;
    상기 걸림부와 푸셔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를 상기 어깨 받침부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하는 결합핀;을 더 포함하고,
    상의를 펼쳐 고정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어깨 받침부가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요철부에 걸려 상기 어깨 받침부가 고정되고,
    상기 어깨 받침부의 고정이 해제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푸셔가 눌러져 상기 걸림부가 상기 결합핀을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요철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어깨 받침부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기능성 행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몸체부 축; 및
    상기 어깨 받침부 및 몸체부 축을 연결하여, 상기 어깨 받침부를 상기 몸체부 축에 견고하게 지지하는 링크바;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바는, 'X'자 형으로 서로 교차하면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각각의 일단은 상기 몸체부 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어깨 받침부에 연결되는 2개의 바를 포함하며,
    상기 어깨 받침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2개의 바가 서로 회동하면서 측방향으로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기능성 행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바 중 제 1 바의 일단을 상기 몸체부 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승강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깨 받침부의 내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2개의 바 중 제 2 바의 타단이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기능성 행거.
KR1020150052016A 2015-04-13 2015-04-13 다목적 기능성 행거 KR201601223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016A KR20160122344A (ko) 2015-04-13 2015-04-13 다목적 기능성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016A KR20160122344A (ko) 2015-04-13 2015-04-13 다목적 기능성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344A true KR20160122344A (ko) 2016-10-24

Family

ID=57256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016A KR20160122344A (ko) 2015-04-13 2015-04-13 다목적 기능성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234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062B1 (ko) 2018-10-08 2019-12-03 (주)볼드전자 스팀다리미를 포함하는 스탠드형 오토메틱행거
WO2020189921A1 (ko) * 2019-03-19 2020-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EP3942972A4 (en) * 2019-03-18 2022-11-30 LG Electronics Inc. HANGE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062B1 (ko) 2018-10-08 2019-12-03 (주)볼드전자 스팀다리미를 포함하는 스탠드형 오토메틱행거
EP3942972A4 (en) * 2019-03-18 2022-11-30 LG Electronics Inc. HANGER
US11857095B2 (en) 2019-03-18 2024-01-02 Lg Electronics Inc. Clothes hanger
WO2020189921A1 (ko) * 2019-03-19 2020-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KR20200111419A (ko) * 2019-03-19 2020-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EP3942971A4 (en) * 2019-03-19 2022-11-23 LG Electronics Inc. HANGER
US11666166B2 (en) 2019-03-19 2023-06-06 Lg Electronics Inc. Clothes hang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0963C2 (ru) Отпариватель для одежды с наклоняемой гладильной доской
KR20160122344A (ko) 다목적 기능성 행거
CN106480696B (zh) 熨衣板和挂烫机
KR20110033806A (ko) 욕실용 의자
KR102632271B1 (ko) 옷걸이
KR20170009479A (ko) 다기능 옷걸이
KR20200110935A (ko) 옷걸이
CN207919176U (zh) 立式晾衣架
KR101737024B1 (ko) 빨래 건조대 승하강 링크의 축 고정구조
KR20090096103A (ko) 접이형 옷걸이
KR101317146B1 (ko) 테이블 상판의 각도조절장치
KR200483476Y1 (ko) 절첩식 텐트의 상부 프레임
KR101625654B1 (ko) 옷걸이
JP5266403B2 (ja) 折畳み式多連ハンガー具
KR100766909B1 (ko) 접철식 빨래 건조대
JP3205300U (ja) 折り畳みテント
JP4668115B2 (ja) 物干し具
KR101758019B1 (ko) 다림판
KR101975014B1 (ko) 자동 펼침 기능을 구비한 거꾸로 접히는 우산
JP3480817B2 (ja) 高さ可変テーブル
KR100934503B1 (ko) 관절 스톱부
KR20080098870A (ko) 자동 우산
KR20110000516U (ko) 빨래 건조대
JP3133481U (ja) 折り畳み式ハンガー
TWI491462B (zh) 工具機之支撐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