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8556B1 - 옷걸이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세탁물 건조대 - Google Patents

옷걸이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세탁물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556B1
KR100808556B1 KR1020060085201A KR20060085201A KR100808556B1 KR 100808556 B1 KR100808556 B1 KR 100808556B1 KR 1020060085201 A KR1020060085201 A KR 1020060085201A KR 20060085201 A KR20060085201 A KR 20060085201A KR 100808556 B1 KR100808556 B1 KR 100808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guide
guide frame
hanger devic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성
Original Assignee
이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성 filed Critical 이기성
Priority to KR1020060085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85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92Details of rods for suspending clothes-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64Standing garment supporting racks; Garment 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78Hook-to-rail connections, with provisions for easy removal of the hook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옷걸이 장치는 의류 매장이나 가정용 옷걸이 및 세탁물 건조대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제1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 및 상기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홈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제1 가이드에 결합되는 제1 삽입 홈과, 상기 제2 가이드에 결합되는 제2 삽입 홈, 상기 본체의 한쪽에 옷걸이의 연결부재 및 이 연결부재에 형성된 걸림 돌기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걸림 홈, 상기 걸림 홈의 안쪽에 형성되는 걸림 턱을 포함하는 삽입부재를 포함한다.
옷걸이, 건조대, 빨래, 세탁물, 가이드, 걸림 턱, 걸림 홈, 걸림 돌기

Description

옷걸이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세탁물 건조대 {Clothes Rack and Lundary Drying Device using the same}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도1 옷걸이 장치의 조립 상태 및 사용 방법의 사시도이다.
도3은 삽입부재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4는 도1 옷걸이 장치에서 덮개를 개방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5는 도1 옷걸이 장치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7은 설치부재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8은 도6 옷걸이 장치의 조립 상태 및 사용 방법의 사시도이다.
도9는 도6 옷걸이 장치의 제1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10은 도6 옷걸이 장치의 제2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2는 도11 옷걸이 장치의 조립 상태 및 사용 방법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옷걸이 장치 10, 110, 210: 가이드 프레임
20, 120, 220: 삽입부재 11, 111, 211: 제1 가이드
12, 112, 212: 제2 가이드 13, 113, 213: 가이드 홈
14: 결합홈 21, 121, 221: 본체
22, 122, 222: 제1 삽입 홈 23, 123, 223: 제2 삽입 홈
24, 124, 224: 걸림 홈 24a, 124a, 224a: 대홈
24b, 124b, 224b: 소홈 25, 125, 225:걸림 턱
30: 옷걸이 31: 팔 부분
32: 연결부재 33: 걸림 돌기
24c: 멈춤부 40, 140: 덮개
41: 경첩 50: 마감 부재
51: 결합 돌기 60: 브래킷
61: 걸림부 62: 줄
160: 설치부재 16a, 16b:제1, 제2 설치부재
260: 프레임 70: 행거
170: 세탁물 건조대 201: 종 바아
202: 링크
본 발명은 옷걸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 매장이나 가정용 옷걸이 및 세탁물 건조대로 사용되는 옷걸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걸이 장치는 의류를 걸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일례를 들면, 옷걸이 장치는 스탠드에 하나 이상의 가로 바아(bar)를 구비하고, 이 가로 바아에 옷걸이의 고리를 거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의류 매장이나 가정에서는 의류를 옷걸이에 걸고 이 옷걸이를 가로 바아에 걸어서 의류를 전시하거나 보관하게 된다.
이 옷걸이 장치는 대부분 직선형 가로 바아를 사용하므로 이 가로 바아에 걸린 옷걸이들이 가로 바아 상에서 불필요하게 이동되거나 옷걸이에 걸린 의류들의 자세를 흐트러지게 한다.
소비자의 시선을 집중시켜야 하는 백화점 및 고급 의류 매장에 사용되는 옷걸이 장치는 옷걸이들의 자세를 원하는 상태로 유지시킬 필요성을 가진다. 또한 가정에 사용되는 옷걸이 장치는 다량의 의류를 보관할 필요성을 가진다.
다른 예를 들면, 가정용 세탁물 건조대는 다수의 가로 바아를 구비하여 천정에 설치되고 이 가로 바아들을 승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가로 바아에 세탁물을 직접 펼쳐 넒으로써 세탁물이 건조되거나, 별도의 옷걸이에 걸고 이 옷걸이를 가로 바아에 걺으로써 세탁물이 건조된다.
이 세탁물 건조대를 형성하는 옷걸이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신속한 건조를 위하여, 다량의 의류를 균일한 간격으로 걸고, 의류들 사이에 공기 통로를 형성할 필요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의류 매장이나 가정용 옷걸이 및 세탁물 건조대로 사용될 수 있는 옷걸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 및 상기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홈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제1 가이드에 결합되는 제1 삽입 홈과, 상기 제2 가이드에 결합되는 제2 삽입 홈, 상기 본체의 한쪽에 옷걸이의 연결부재 및 이 연결부재에 형성된 걸림 돌기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걸림 홈, 상기 걸림 홈의 안쪽에 형성되는 걸림 턱을 포함하는 삽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전방에는 상하 방향으로 개폐되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기 제1 방향 양 끝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기 제1 방향 양 끝에 상기 제1 방향으로 감싸 결합되는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하방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 의 후방과 상방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후방과 상방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 홈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전방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 삽입 홈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하방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홈은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소정의 깊이를 가지고 본체의 전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 돌기에 대응하는 대홈과 상기 연결부재에 대응하고 상기 대홈보다 작은 소홈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 턱은 상기 걸림 홈의 상기 소홈 안쪽에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방에는 전후 방향으로 개폐되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기 제1 방향 양 끝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마감부재 사이에 삽입되는 설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하방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후방에 대응하고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 홈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방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 삽입 홈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하방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홈은 상기 본체의 전방 전체에 대하여 상기 연결부재에 대응하여 전방에서 후방으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소홈과 이 소홈의 끝에 상기 걸림 돌기에 대응하고 상기 소홈보다 크게 형성되는 대홈을 가지며, 상기 걸림 턱은 상기 걸림 홈의 상기 소홈 안쪽에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홈은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전방에 상기 걸림 돌기에 대응하여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대홈과 상기 연결부재에 대응하고 상기 대홈보다 작은 소홈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 턱은 상기 걸림 홈의 상기 소홈 안쪽에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복수로 결합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재는, 옷걸이에 형성된 연결부재 및 이 연결부재에 형성된 걸림 돌기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걸림 홈과, 상기 걸림 홈의 안쪽에 형성되어 걸림 돌기를 지지하는 걸림 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 홈은, 상기 걸림 돌기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대홈과 상기 연결부재에 대응하고 상기 대홈보다 작은 소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대는 상기한 옷걸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 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2는 도1 옷걸이 장치의 조립 상태 및 사용 방법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100)는 제1 방향(이하 "길이 방향"이라 한다)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 프레임(10)과, 이 가이드 프레임(10)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부재들(20)을 포함한다.
가이드 프레임(10)은 옷걸이 장치의 토대를 형성하며, 옷걸이 장치의 전체 중량 및 이에 걸리는 의류의 중량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질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프레임(10)은 기계적 강도가 큰 금속재로 형성되며, 알루미늄재로 형성된다.
삽입부재(20)는 가이드 프레임(10)에 삽입되어 복수의 옷걸이(30)를 걸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 삽입부재(20)는 가이드 프레임(10)의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가이드 프레임(10)의 강도보다 낮은 강도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부재(20)는 경량이면서 우수한 성형성을 가지고 또한 가이드 프레임(10)에 삽입되어 강한 체결력을 가질 수 있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가이드 프레임(10)은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이하 "직교 방향"이라 한다)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가이드(11)와 제2 가이드(12) 및 이 제1 가이드(11)와 제2 가이드(12)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13)을 포함한다.
편의상 도면의 방향을 참조하면, 이 제1 가이드(11)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돌 출 형성되고, 제2 가이드(12)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 홈(13)은 이 제1 가이드(11)와 제2 가이드(12)에 의하여 전방과 하방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다.
이 가이드 프레임(10)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므로, 이 제1 가이드(11)와 제2 가이드(12) 및 가이드 홈(13)은 이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예들 들면 가이드 프레임(10)은 사출에 의하여 성형될 수 있다.
삽입부재(20)는 가이드 프레임(1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의 복수개로 구비되어 가이드 프레임(10)에 삽입 결합됨으로서 옷걸이 장치를 형성한다. 이 삽입부재(20)는 본체(21)와 제1 삽입 홈(22)과 제2 삽입 홈(23)과 걸림 홈(24) 및 걸림 턱(25)(도3 참조)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삽입부재(20)를 가이드 프레임(10)에 삽입할 때, 본체(21)는 가이드 프레임(10)의 가이드 홈(13)에 대응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본체(21)는 가이드 프레임(10)의 단면 형상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며, 제1 실시예서 가이드 프레임(10)과 본체(21)는 대략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다. 즉 가이드 프레임(10)과 본체(21)는 원형 또는 삼각형 그리고 이와 다른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미도시).
이 본체(21)는 삽입부재(20)의 토대를 형성하고, 실질적으로 직교 방향 각 측에 제1 삽입 홈(22)과 제2 삽입 홈(23)과 걸림 홈(24) 및 걸림 턱(25)을 구비한다.
또한, 삽입부재(20)를 가이드 프레임(10)에 삽입할 때, 제1 삽입 홈(22)은 제1 가이드(11)에 대응하여 결합된다. 또한 제2 삽입 홈(23)은 제2 가이드(12)에 대응하여 결합된다.
본체(21)와 제1 삽입 홈(22)과 제2 삽입 홈(23)이 각각 가이드 홈(13)과 제1 가이드(11)와 제2 가이드(12)에 결합됨에 따라, 삽입부재(20)는 가이드 프레임(10) 에 안정된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걸림 홈(24)과 걸림 턱(25)을 설명하기에 앞서, 옷걸이(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옷걸이(30)는 옷(미도시)이 걸리는 팔 부분(31)과, 이 팔 부분(31)에 연결되는 연결부재(32), 및 이 연결부재(32)의 끝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33)를 포함한다.
걸림 돌기(33)는 연결부재(32)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32)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걸림 돌기(33)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걸림 돌기(33)와 연결부재(32)는 각각 사각기둥 형상과 육면체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거나 또 다른 형상들로 형성될 수 있다(미도시).
걸림 홈(24)은 본체(21)의 한쪽에 옷걸이(30)의 연결부재(32) 및 걸림 돌기(33)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걸림 턱(25)은 걸림 홈(24)의 안쪽에 형성되어 걸림 돌기(33)를 지지한다.
도2를 참조하면, 걸림 홈(24)은 본체(2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소정의 깊이를 가지고 본체(21)의 전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걸림 홈(24)은 걸림 돌기(33)에 대응하는 대(大)홈(24a)과, 연결부재(32)에 대응하고 대홈(24a)보다 작은 소(小)홈(24b)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체(21)의 전방에서, 대홈(24a)은 걸림 돌기(33)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고, 소홈(24b)은 연결부재(32)의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도3을 참조하면, 대홈(24a)은 걸림 돌기(33)가 본체(2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되는 범위를 한정하도록 대홈(24a)의 후방에 멈춤부(24c)가 구비된다.
걸림 턱(25)은 걸림 홈(24)의 소홈(24b) 안쪽에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다. 또한 걸림 턱(25)은 대홈(24a)의 후방에 형성되는 멈춤부(24c)의 하방에 형성되어, 이 멈춤부(24c)에 의하여 하방으로 안내되는 걸림 돌기(33)를 지지한다. 따라서 걸림 턱(25)에서 연결부재(32)는 하방으로 삽입되어 있고, 걸림 돌기(33)는 상방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옷걸이(30)의 연결부재(32)는 걸림 홈(24)의 대홈(24a)과 소홈(24b)으로 삽입되고, 걸림 돌기(33)는 걸림 턱(25)에 지지되어, 옷걸이(30)는 삽입부재(20) 및 이 삽입부재(20)를 통하여 가이드 프레임(1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4를 참조하면, 이 삽입부재(20)는 복수로 구비되어 가이드 프레임(10)에 결합되어 이 가이드 프레임(10)과 함께 하나의 옷걸의 장치를 형성한다. 가이드 프레임(10)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고, 삽입부재(20)는 가이드 프레임(10)의 길이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가이드 프레임(10)의 전방에는 덮개(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덮개(40)는 걸림 홈(24)과 걸림 턱(25)을 구비하는 삽입부재(20)의 형상에 따라 적절히 구비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덮개(40)는 가이드 프레임(10)의 전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개폐되는 구조로 장착된다. 이 덮개(40)와 가이드 프레임(10) 사이에는 경첩(41)이 구비되어, 양자를 서로 개폐 구조로 연결한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10)의 길이 방향 양 끝에는 마감 부재(50)가 구비된다. 이 마감 부재(50)는 가이드 프레임(10)에서 이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마감부재(50)는 가이드 프레임(10)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 홈(14)에 결합되는 결합 돌기(51)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가이드 프레임(10)과 삽입부재(20)가 강한 결합력을 가지도록 결합 돌기(51)는 결합 홈(14)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옷걸이 장치는 별도의 프레임을 구비함에 따라 의류 매장에서 또는 가정에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프레임을 구비하지 않은 삽입부재(20)와 가이드 프레임(10)으로 구비되는 옷걸이 장치는 기존의 옷장에 설치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5를 참조하면, 가이드 프레임(10)의 길이 방향 양 끝에는 브래킷(60)이 구비된다. 이 브래킷(60)은 가이드 프레임(10)을 감싸는 구조로 결합된다.
이 경우, 덮개(40)는 가이드 프레임(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브래킷(60)의 결합에도 불구하고 원활하게 개폐 작동된다. 이 브래킷(60)은 걸림부(61)를 구비하여, 이 걸림부(61)에 줄(62)을 연결하여, 가이드 프레임(10)의 승강을 가능하게 한다.
이 줄(62)을 천정에 설치하는 경우, 이 옷걸이 장치는 세탁물 건조대로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승강 장치(미도시)를 적용하는 경우, 세탁 건조대로서 더욱 편리한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7은 설치부재의 후방 사시도이며, 도8은 도6 옷걸이 장치의 조립 상태 및 사용 방법의 사시도이다.
여기에서는 제2 실시예를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서로 동일 및 유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역시 도면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옷걸이 장치(200)는 가이드 프레임(110)과 삽입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 프레임(110)에서, 제1 가이드(111)는 가이드 프레임(11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2 가이드(112)는 가이드 프레임(110)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 홈(113)은 가이드 프레임(110)의 후방에서 상기 제1 가이드(111)와 제2 가이드(112) 사이에 형성된다.
삽입부재(12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가이드 프레임(110)에 삽입 결합되어 옷걸이 장치를 형성한다. 이 삽입부재(120)는 본체(121)와 제1 삽입 홈(122)과 제2 삽입 홈(123)과 걸림 홈(124) 및 걸림 턱(125)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삽입부재(120)에서, 본체(121)는 가이드 프레임(110)의 후방에 대응하고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제1 삽입 홈(122)은 가이드 프레임(110)의 상방에 대응 하여 형성된다. 제2 삽입 홈(123)은 가이드 프레임(110)의 하방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삽입부재(120)를 가이드 프레임(110)에 삽입할 때, 본체(121)는 가이드 프레임(110)의 가이드 홈(113)에 대응하여 결합된다. 제1 삽입 홈(122)은 제1 가이드(111)에 대응하여 결합된다. 제2 삽입 홈(123)은 제2 가이드(112)에 대응하여 결합된다.
걸림 홈(124)은 대홈(124a)과 소홈(124b)을 포함한다. 소홈(124b)는 본체(121)의 전방 전체에 대하여 연결부재(32)에 대응하여 전방에서 후방으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다. 대홈(124a)는 소홈(124b)과 소홈(124b)의 끝에 걸림 돌기(33)에 대응하고 소홈(124b)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옷걸이(30)의 연결부재(32)는 삽입부재(120)의 전방 전체 범위에 걸쳐 소홈(124b)으로 삽입되고, 걸림 돌기(33)는 소홈(124b)의 후방에 형성되는 대홈(124a)을 통하여 아래로 삽입된다.
걸림 턱(125)은 걸림 홈(124)의 소홈(124b) 안쪽에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걸림돌기(33)는 대홈(124a)을 따라 삽입되어 이 대홈(124a)의 하방에 형성되는 걸림 턱(125)에 걸리어 지지된다.
다시 도6 및 도8을 참조하면, 가이드 프레임(110)의 상방에는 덮개(140)가 구비된다. 제2 실시예에서 덮개(140)는 경첩(141)을 개재하여 가이드 프레임(110)의 상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개폐되는 구조로 장착된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 양 끝과 마감부재(150) 사이에 설치 부재(160)가 구비된다. 이 설치부재(160)는 삽입부재(120)와 같은 구조로 가이드 프레임(110)에 삽입되고,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7을 참조하면, 설치부재(160)는 가이드 프레임(110)에 삽입되는 제1 설치부재(160a)와, 이 제1 설치부재(160a)에 결합되어 그 일부가 가이드 프레임(110)에 삽입되는 제2 설치부재(160b)를 포함한다. 이 제2 설치부재(160b)의 하단은 다른 프레임에 설치된다.
도9는 도6 옷걸이 장치의 제1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옷걸이 장치(200)를 설치부재(160)를 통하여 프레임(260)에 설치하여 형성된 행거(70)의 사용 상태를 보여 준다.
도10은 도6 옷걸이 장치의 제2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옷걸이 장치(200)를 세탁물 건조대(170)에 설치한 사용 상태를 보여 준다.
이때, 옷걸이 장치(200)는 종 바아(201)로 서로 연결되고, 접철 구조를 형성하는 다수의 링크(202)를 이 종 바아(201)에 연결함으로써 세탁물 건조대(170)를 형성한다. 이때, 링크(202)의 접철 작용에 따라 옷걸이 장치(200)는 승강 작동된다.
이 링크(202)를 접철 및 승강시키는 구성은 공지의 세탁물 건조대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12는 도11 옷걸이 장치의 조립 상태 및 사용 방법의 사시도이다.
제3 실시예의 옷걸이 장치(300)는 제1 실시예의 옷걸이 장치(100)의 변형이며,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행거(70) 및 세탁물 건조대(170)에 적용될 수 있다.
역시, 옷걸이 장치(300)는 가이드 프레임(210)과 삽입부재(220)를 포함한다. 삽입부재(220)의 걸림 홈(224)과 걸림 턱(225)를 구비한다. 걸림 홈(224)는 대홈(224a)과 소홈(224b)를 포함한다. 대홈(224a)은 본체(22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고, 본체(221)의 전방에 걸림 돌기(33)에 대응하여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다. 소홈(224b)는 연결부재(32)에 대응하고 대홈(224a)보다 작게 형성된다.
삽입부재(220)를 가이드 프레임(210)에 삽입할 때, 본체(221)는 가이드 홈(213)에 대응하여 결합된다. 제1 삽입 홈(222)은 제1 가이드(211)에 대응하여 결합된다. 또한 제2 삽입 홈(223)은 제2 가이드(212)에 대응하여 결합된다.
이 본체(221)와 제1 삽입 홈(222)과 제2 삽입 홈(223)이 각각 가이드 홈(213)과 제1 가이드(211)와 제2 가이드(212)에 결합됨에 따라, 삽입부재(220)는 가이드 프레임(210)에 안정된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걸림 턱(225)은 걸림 홈(224)의 소홈(224b) 안쪽에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옷걸이(30)의 걸림 돌기(33)를 지지한다.
제3 실시예의 대홈(224a)은 삽입부재(2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특정 위치에 제한적으로 형성된 제1, 제2 실시예의 대홈(24a, 124a)에 옷걸이(30)의 걸림 돌기(33)를 삽입하는 것보다 삽입 작용을 용이하게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는 가이드 프레임에 복수의 삽입부재를 결합하고, 이 삽입부재에 걸림 홈과 걸림 턱을 구비하여, 옷걸이의 연결부재를 걸림 홈으로 삽입하여 연결부재에 형성된 걸림 돌기를 걸림 턱에 걸어 지지케 한다. 따라서 의류 매장이나 가정에서 의류를 가지런한 상태로 걸어 둘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량의 세탁물을 걸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걸림 홈의 소정 간격에 따라 걸린 세탁물을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하여 공기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세탁물의 신속한 건조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제1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 및 상기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홈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제1 가이드에 결합되는 제1 삽입 홈과, 상기 제2 가이드에 결합되는 제2 삽입 홈, 상기 본체의 한쪽에 옷걸이의 연결부재 및 이 연결부재에 형성된 걸림 돌기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걸림 홈, 상기 걸림 홈의 안쪽에 형성되는 걸림 턱을 포함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전방에는 상하 방향으로 개폐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기 제1 방향 양 끝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기 제1 방향 양 끝에 상기 제1 방향으로 감싸 결합되는 브래킷을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하방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후방과 상방에 형성되는 옷걸이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후방과 상방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 홈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전방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 삽입 홈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하방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옷걸이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홈은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소정의 깊이를 가지고 본체의 전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 돌기에 대응하는 대홈과 상기 연결부재에 대응하고 상기 대홈보다 작은 소홈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 턱은 상기 걸림 홈의 상기 소홈 안쪽에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옷걸이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방에는 전후 방향으로 개폐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기 제1 방향 양 끝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마감부재 사이에 삽입되는 설치부재를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하방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후방에 형성되는 옷걸이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후방에 대응하고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 홈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방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 삽입 홈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하방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옷걸이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홈은 상기 본체의 전방 전체에 대하여 상기 연결부재에 대응하여 전방에서 후방으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소홈과 이 소홈의 끝에 상기 걸림 돌기에 대응하고 상기 소홈보다 크게 형성되는 대홈을 가지며,
    상기 걸림 턱은 상기 걸림 홈의 상기 소홈 안쪽에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옷걸이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홈은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전방에 상기 걸림 돌기에 대응하여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대홈과 상기 연결부재에 대응하고 상기 대홈보다 작은 소홈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 턱은 상기 걸림 홈의 상기 소홈 안쪽에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옷걸이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60085201A 2006-09-05 2006-09-05 옷걸이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세탁물 건조대 KR100808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201A KR100808556B1 (ko) 2006-09-05 2006-09-05 옷걸이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세탁물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201A KR100808556B1 (ko) 2006-09-05 2006-09-05 옷걸이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세탁물 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8556B1 true KR100808556B1 (ko) 2008-02-29

Family

ID=39383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201A KR100808556B1 (ko) 2006-09-05 2006-09-05 옷걸이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세탁물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85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718A (ko) * 2018-04-11 2019-10-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트럿바
KR102445695B1 (ko) 2021-07-30 2022-09-23 조인환 옷걸이 결합형 건조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4082U (ja) 1982-10-22 1984-04-27 シンコハンガ−株式会社 洋服掛け用吊掛具
JPH0477336U (ko) * 1990-11-19 1992-07-06
KR20060007532A (ko) * 2004-07-20 2006-01-26 이기성 진열 장치
JP2008003005A (ja) * 2006-06-23 2008-01-10 Omron Corp 電波セン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4082U (ja) 1982-10-22 1984-04-27 シンコハンガ−株式会社 洋服掛け用吊掛具
JPH0477336U (ko) * 1990-11-19 1992-07-06
KR20060007532A (ko) * 2004-07-20 2006-01-26 이기성 진열 장치
JP2008003005A (ja) * 2006-06-23 2008-01-10 Omron Corp 電波セン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718A (ko) * 2018-04-11 2019-10-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트럿바
KR102478062B1 (ko) * 2018-04-11 2022-1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트럿바
KR102445695B1 (ko) 2021-07-30 2022-09-23 조인환 옷걸이 결합형 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832B1 (ko) 창틀 부착형 빨래 건조대
US20150150399A1 (en) Foldable clothes hanger
KR100808556B1 (ko) 옷걸이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세탁물 건조대
KR20100008123U (ko) 벽면 부착형 행거
KR100634245B1 (ko) 빨래 건조대
JP7055332B2 (ja) ハンガー装置
KR200367922Y1 (ko) 절첩식 소형 세탁물 건조대
KR102199669B1 (ko) 옷걸이
KR200442157Y1 (ko) 빨래 건조대용 집게
KR102445695B1 (ko) 옷걸이 결합형 건조대
JP5783350B2 (ja) 物干し器
KR20090003383U (ko) 착탈식 걸이대 및 이를 장착한 빨래 건조대
JP3140272U (ja) ピンチハンガー
JP2006204848A (ja) 洗濯物用ハンガー
KR101280627B1 (ko) 벽면 부착형 빨래 건조대
CN217810121U (zh) 一种挂杆及晾衣架
KR20200000492U (ko) 도어용 옷걸이
KR200369448Y1 (ko) 빨래 건조대의 빨래걸이봉 지지대
KR200448209Y1 (ko) 옷걸이 연결걸이
JP2021191369A (ja) 室内物干し具
KR200142176Y1 (ko) 옷걸이
JP6495350B2 (ja) カーテンレール
KR200232979Y1 (ko) 옷장용 위치 가변 걸이구 본체
CA2398735A1 (en) Hanger support
KR200388625Y1 (ko) 건조실을 구비하는 옷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