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5756A - 옷걸이 착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 Google Patents

옷걸이 착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5756A
KR20210045756A KR1020190129170A KR20190129170A KR20210045756A KR 20210045756 A KR20210045756 A KR 20210045756A KR 1020190129170 A KR1020190129170 A KR 1020190129170A KR 20190129170 A KR20190129170 A KR 20190129170A KR 20210045756 A KR20210045756 A KR 20210045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ner
hanger
pair
vertical ba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81586B1 (ko
Inventor
노정준
이아영
박정연
윤지현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9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1586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2917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81586B1/ko
Publication of KR20210045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1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1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0Collapsible hangers
    • A47G25/4007Collapsible hangers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8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0Collapsible hangers
    • A47G25/4046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support arms of a series of links
    • A47G25/4053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support arms of a series of links telescopically or slidably connec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0Collapsible hangers
    • A47G25/4046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support arms of a series of links
    • A47G25/4061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support arms of a series of links rotatably connected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착탈 모듈은, 옷걸이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유닛; 결합유닛의 하측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저면이 개방되며 둘레면에 복수개의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 복수개의 개구를 커버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된 수직바; 수직바에 삽입되고 수직바에 대해 승강하는 승강바; 수직바의 외둘레에 고정된 어퍼 러너; 수직바의 외둘레에 고정되고 어퍼 러너의 하측으로 이격된 로어 러너; 어퍼 러너와 로어 러너의 사이에 위치하고, 승강바와 함께 하강하는 미드 러너; 플레이트를 어퍼 러너, 로어 러너 및 미드 러너에 연결하고, 미드 러너가 하강하면 플레이트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링키지(linkage)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옷걸이 착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HANGER COUPLING MODULE AND HANGER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옷걸이가 착탈되는 옷걸이 착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옷걸이는 의류를 걸어두기 위한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옷걸이는 후크 및 상기 후크의 하단에서 양측으로 하방 경사지게 형성된 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옷장 등의 거치대에 걸려 매달릴 수 있고, 상기 걸이부에는 의류가 걸려 지지될 수 있다.
기능성 옷걸이는 사용의 편의성 또는 의류의 손상방지를 위해 옷걸이의 구조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행문헌 1(KR10-1811318B1)에 개시된 옷걸이는 어깨 걸이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선행문헌 2(KR10-2017-0009479A)에 개시된 옷걸이는 어깨걸이부 및 펼침 지지부가 각도 조절될 수 있다.
KR10-1811318B1 (원터치 접이식 옷걸이, 2017.12.15 등록) KR10-2017-0009479A (다기능 옷걸이, 2017.01.25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의류에 기계력을 인가하여 의류를 팽팽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옷걸이 착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착탈 모듈은, 수직바가 하강하면 수직바의 승강과 연동된 링키지가 확장되고, 링키지에 연결된 플레이트가 의류의 외면을 외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의류가 전체적으로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착탈 모듈은, 옷걸이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유닛; 상기 결합유닛의 하측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저면이 개방되며 둘레면에 복수개의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복수개의 개구를 커버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된 수직바; 상기 수직바에 삽입되고 상기 수직바에 대해 승강하는 승강바; 상기 수직바의 외둘레에 고정된 어퍼 러너; 상기 수직바의 외둘레에 고정되고 상기 어퍼 러너의 하측으로 이격된 로어 러너; 상기 어퍼 러너와 로어 러너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바와 함께 하강하는 미드 러너;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어퍼 러너, 로어 러너 및 미드 러너에 연결하고, 상기 미드 러너가 하강하면 상기 플레이트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링키지(linkag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 착탈 모듈은, 상기 어퍼 러너와 상기 미드 러너를 연결하며, 상기 미드 러너를 상측으로 당기는 리턴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바에는 상하로 긴 개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바에는 상기 개방홈을 통해 상기 수직바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미드 러너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옷걸이 착탈 모듈은, 상기 승강바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저면을 커버하는 제1위치와 상기 케이스의 하측으로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승강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 착탈 모듈은, 상기 손잡이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바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클립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손잡이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클립은 상기 케이스의 하측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결합유닛은, 상면에서 하측으로 함몰된 함몰홈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옷걸이를 구속하는 구속 커버; 상기 함몰홈 내에 수평하게 연결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록킹 레버; 상기 구속 커버에서 상기 록킹 레버를 향해 돌출된 돌기; 상기 록킹 레버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걸리며 상기 회전축의 상측에 위치하는 록킹홈; 상기 베이스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록킹 레버의 하단부를 후방으로 가압하는 릴리즈 스위치; 및 상기 릴리즈 스위치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바에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한 복수개의 아우터홀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바에는 상기 복수개의 아우터홀 중 일 아우터홀을 향하는 이너홀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바의 내부에는 상기 이너홀과 상기 일 아우터홀에 걸리는 걸림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승강바의 내부에 고정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탄성 변형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너홀과 상기 일 아우터홀에 걸리는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 착탈 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걸림 부재를 누르는 리턴 스위치;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바와 상기 리턴 스위치의 사이를 지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고 상기 리턴 스위치가 통과하는 관통공;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리턴 스위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리턴 스위치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턴 스위치는, 상기 케이스의 전방으로 돌출된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후단에서 좌우로 확장되어 상기 가압 스프링에 접하는 날개부; 및 상기 버튼부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걸림 부재를 누르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키지는, 상기 어퍼 러너에 연결된 한 쌍의 제1이너 링크; 상기 한 쌍의 제1이너 링크를 상기 미드 러너에 연결하는 한 쌍의 제2이너 링크; 상기 로어 러너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이너 링크의 사이 및 상기 한 쌍의 제2이너 링크의 사이를 통과하며, 상기 한 쌍의 제2이너 링크와 조인트로 연결된 제3이너 링크; 상기 제3이너 링크를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 내면에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제1이너 링크와 나란하게 유지되는 한 쌍의 제1아우터 링크; 상기 한 쌍의 제1이너 링크 및 상기 한 쌍의 제2이너 링크를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 내면에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아우터 링크의 사이를 통과하며, 상기 제3이너 링크와 나란하게 유지되는 제2아우터 링크; 및 상기 제3이너 링크 및 상기 한 쌍의 제1아우터 링크를 상기 제2아우터 링크에 연결하고, 상기 제2이너 링크와 나란하게 유지되는 한 쌍의 연결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러너는, 상기 수직바의 외둘레를 감싸는 러너 바디; 및 상기 러너 바디의 외둘레에서 상기 한 쌍의 제1이너 링크의 사이로 돌출된 링크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이너 링크를 연결하는 연결핀은 상기 링크 연결부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로어 러너는, 상기 수직바의 외둘레를 감싸는 러너 바디; 및 상기 러너 바디의 외둘레에서 상기 제3이너 링크를 사이에 두고 돌출된 한 쌍의 링크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링크 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핀은 상기 제3이너 링크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미드 러너는, 상기 수직바의 외둘레를 감싸는 러너 바디; 상기 러너 바디의 외둘레에서 상기 한 쌍의 제2이너 링크의 사이로 돌출된 링크 연결부; 및 상기 링크 연결부에 상기 링크 연결부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이너 링크를 연결하는 연결핀은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3이너 링크는, 상기 링크 연결부가 통과하는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러너 바디의 외둘레에는, 상기 미드 러너를 상측으로 당기는 리턴 스프링이 연결되는 연결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바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함몰홈이 형성되고, 상기 러너 바디의 내둘레에는 상기 함몰홈을 향해 돌출된 삽입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장치는, 후크가 구비된 센터부와, 상기 센터부의 양측에서 하방 경사지게 연장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옷걸이; 상기 옷걸이와 결합되는 결합유닛; 상기 결합유닛의 하측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저면이 개방되며 둘레면에 복수개의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복수개의 개구를 커버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된 수직바; 상기 수직바에 삽입되고 상기 수직바에 대해 승강하는 승강바; 상기 수직바의 외둘레에 고정된 어퍼 러너; 상기 수직바의 외둘레에 고정되고 상기 어퍼 러너의 하측으로 이격된 로어 러너; 상기 어퍼 러너와 로어 러너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바와 함께 하강하는 미드 러너;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어퍼 러너, 로어 러너 및 미드 러너에 연결하고, 상기 미드 러너가 하강하면 상기 플레이트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링키지(linkag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유닛은, 상면에서 하측으로 함몰된 함몰홈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옷걸이를 구속하는 구속 커버; 상기 함몰홈 내에 수평하게 연결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록킹 레버; 상기 구속 커버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돌기; 상기 록킹 레버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걸리며 상기 회전축의 상측에 위치하는 걸림홈; 상기 베이스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록킹 레버의 하단부를 후방으로 가압하는 릴리즈 스위치; 및 상기 릴리즈 스위치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속 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후크가 통과하는 탑 개방공이 형성되고, 상기 구속 커버의 양측면에는 상기 지지부가 통과하는 사이드 개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개의 플레이트가 의류의 내면을 외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의류가 전체적으로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어퍼 러너, 로어 러너, 미드 러너 및 링키지에 의해, 승강바의 승강과 플레이트의 수평방향 이동이 연동될 수 있다. 이로써, 승강바를 하강시킴으로써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용이하게 외측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리턴 스프링은 미드 러너를 상측으로 당길 수 있다. 이로써, 승강바가 수직바에 대해 록킹 해제되면, 미드 러너 및 승강바가 상승하고, 링키지는 접히며, 플레이트는 초기 위치로 원상 복귀될 수 있다.
또한, 승강바에 형성된 돌출홈, 수직홈에 형성된 개방홈을 통해 미드 러너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미드 러너와 승강바가 함께 승강할 수 있다.
또한, 승강바의 하단에는 케이스의 저면을 커버하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옷걸이 착탈 모듈의 외관이 디자인적으로 향상될 수 있고, 사용자는 손잡이를 잡고 승강바를 용이하게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손잡이의 상측에는 의류의 하단을 고정 가능한 클립이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의류가 상하 방향으로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클립은 승강바에 대해 회전 가능하므로, 케이스 내에 용이하게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옷걸이는 결합 유닛의 베이스와 구속 커버 사이에 구속될 수 있고, 베이스와 구속 커버는 서로 록킹될 수 있다. 이로써, 옷걸이가 결합 유닛에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릴리즈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베이스와 구속 커버를 간단하게 록킹 해제 시킬 수 있다. 이로써, 옷걸이가 결합 유닛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는 수직바의 복수개의 아우터 홀 중 어느 하나와, 승강 바의 이너홀에 걸릴 수 있다. 이로써 승강바가 수직바에 대해 록킹되어 플레이트가 확장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가 걸린 아우터 홀의 높이에 따라 플레이트의 확장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의 바디부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승강바를 충분히 강하게 하측으로 당기면, 걸림부재의 후크부는 아우터 홀에서 이탈할 수 있고, 승강바가 원활하게 하강할 수 있다.
또한, 리턴 스위치는 걸림부재를 누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리턴 스위치를 눌러 승강바를 수직바에 대해 용이하게 록킹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링키지의 구성에 의해, 미드 러너의 승강 범위에 비해 플레이트의 가동 범위가 커질 수 있다.
또한, 미드 러너의 링크 연결부에는 장공이 형성되므로, 미드 러너에 연결된 링크는 회전 및 병진운동이 가능하다. 이로써, 미드 러너의 승강에 따라 링키지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제3이너 링크에는 미드 러너의 링크 연결부가 통과하는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링키지가 접혔을 때 미드 러너의 링크 연결부와 제3이너 링크가 서로 간섭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착탈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옷걸이 착탈 모듈에 옷걸이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착탈 모듈이 확장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착탈 모듈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착탈 모듈이 확장된 상태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손잡이 주변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바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바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 부재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착탈 모듈의 케이스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키지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퍼 러너, 로어 러너 및 미드 러너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턴 스위치 및 그 주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리턴 스위치 및 그 주변 구성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유닛이 확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구속커버가 후방으로 회전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유닛을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8A 내지 도 1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유닛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성 요소들과 관련하여, 접미사 "모듈" 및 "유닛"은 설명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기재된 것이며, 다른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접미사 "모듈" 및 "유닛"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일 요소가 타 요소에 "체결" 또는 "연결"된다고 기재된 것은, 두 요소가 직접 체결되거나 연결된 것을 의미하거나, 두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존재하고 상기 제3의 요소에 의해 두 요소가 서로 연결되거나 체결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일 요소가 타 요소에 "직접 체결" 또는 "직접 연결"된다고 기재한 것은, 두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의류에는 옷(clothes), 의복(apparel)뿐만 아니라,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목도리 등과 같이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대상과 함께 인형, 수건, 이불과 같이 사람이 사용을 하는 대상을 포함하며,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대상물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착탈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옷걸이 착탈 모듈에 옷걸이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착탈 모듈이 확장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착탈 모듈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착탈 모듈이 확장된 상태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착탈 모듈은, 옷걸이(2)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옷걸이 착탈 모듈은, 옷걸이(2)에 지지된 의류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의류에 기계력을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가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다.
옷걸이(2)가 결합된 옷걸이 착탈 모듈은, 옷걸이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옷걸이(2)는 센터부(3)와, 한 쌍의 지지부(4)와, 후크(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4)는 센터부(3)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4)는 센터부(3)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12)는 의류(미도시)를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한 쌍의 지지부(11)는 의류의 양 어깨부분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후크(5)는 센터부(3)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후크(5)는 옷장 등의 거치대에 걸려 옷걸이(2) 및 옷걸이 착탈 모듈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 착탈 모듈은, 결합 유닛(10)과, 케이스(20)와, 플레이트(3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유닛(10)은 옷걸이 착탈 모듈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결합 유닛(10)에는 옷걸이(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 유닛(10)은, 베이스(11)와, 구속 커버(12)와, 록킹 레버(15)와, 릴리즈 스위치(16)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는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속 커버(12)는 베이스(1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1)와 구속 커버(12)는 힌지 연결될 수 있다.
구속 커버(12)는 저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일 수 있다. 구속 커버(12)에는 옷걸이(2)의 후크(5)가 통과하는 탑 개방공(12b)과, 옷걸이(2)의 지지부(4)가 통과하는 한 쌍의 사이드 개방홈(12c)이 형성될 수 있다. 탑 개방공(12b)은 구속 커버(12)의 상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개방홈(12c)은 구속 커버(12)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옷걸이(2)는 구속 커버(12)와 베이스(11)의 사이에 구속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옷걸이(2)의 센터부(3)는 베이스(11)와 구속 커버(12)의 사이에 구속될 수 있다. 구속 커버(12)는 옷걸이(2)의 센터부(3)를 상측에서 커버할 수 있다.
록킹 레버(15)는 구속 커버(12)를 베이스(11)에 록킹시킬 수 있다.
릴리즈 스위치(16)는 베이스(11)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릴리즈 스위치(16)는 록킹 레버(15)를 가압하여 구속 커버(12)를 베이스(11)에 대해 록킹 해제시킬 수 있다.
결합 유닛(1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케이스(20)는 결합 유닛(10)의 하측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결합 유닛(10)의 베이스(11)의 저면은 케이스(20)의 상면과 체결될 수 있다. 다만, 케이스(20)의 상면이 개방된 경우에는, 결합 유닛(10)의 베이스(11)의 저면은 케이스(20)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케이스(20)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20)는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의 저면은 개방될 수 있다. 케이스(20)의 개방된 저면은 후술할 손잡이(8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케이스(20)의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개구(20a)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케이스(20)의 둘레면에는 한 쌍의 개구(20a)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개구(20a)는 케이스(2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개구(20a)는 좌우방향에 대해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케이스(20)의 전면에는 후술할 리턴 스위치(26)가 돌출되는 관통공(20b)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20b)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 장공일 수 있다.
플레이트(30)는 케이스(20)의 둘레면에 형성된 개구(20a)를 커버할 수 있다. 플레이트(3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30)는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30)는 의류의 내면을 외측으로 밀어, 의류를 팽팽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플레이트(3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플레이트(30)의 개수는 개구(20a)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많을 수 있다.
일례로, 플레이트(30)는 2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각 개구(20a)는 한 쌍의 플레이트(3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복수개의 플레이트(30)는 우측 개구(20a)를 커버하는 한 쌍의 라이트 플레이트(30a)(30b)와, 좌측 개구(20a)를 커버하는 한 쌍의 레프트 플레이트(30c)(30d)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라이트 플레이트(30a)(30b)는, 우측 개구(20a)의 전단을 커버하는 제1라이트 플레이트(30a)와, 상기 우측 개구(20a)의 후단을 커버하는 제2라이트 플레이트(30b)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미드 러너(60)가 하강하면, 상기 제1라이트 플레이트(30a)는 우측 전방을 향해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2라이트 플레이트(30b)는 우측 후방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한 쌍의 레프트 플레이트(30c)(30d)는, 좌측 개구(20a)의 전단을 커버하는 제1레프트 플레이트(30c)와, 상기 좌측 개구(20a)의 후단을 커버하는 제2레프트 플레이트(30d)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미드 러너(60)가 하강하면, 상기 제1레프트 플레이트(30c)는 좌측 전방을 향해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2레프트 플레이트(30d)는 좌측 후방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결합 유닛은 수직바(21)와, 승강바(22)와, 어퍼 러너(40)와, 로어 러너(50)와, 미드 러너(60)와, 링키지(7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바(21)는 케이스(20)의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수직바(21)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직바(21)의 상단은 케이스(2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수직바(21)의 상단은 결합 유닛(10)의 베이스(11)에 고정될 수 있다.
승강바(22)는 수직바(21)에 삽입될 수 있다. 승강바(22)는 수직바(21)에 대해 승강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승강바(22)의 일부는 수직바(2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승강바(22)의 다른 일부는 수직바(21)의 하측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승강바(22)의 승강에 따라, 승강바(22) 중 수직바(21)의 내부에 위치한 부분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승강바(22)는 후술할 걸림부재(도 9 참조)에 의해 수직바(21)에 록킹될 수 있다. 또한, 승강바(22)의 하단은 후술할 손잡이(80)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80)를 당겨 승강바(22)를 하강시킬 수 있다.
어퍼 러너(40) 및 로어 러너(50)는 수직바(21)의 외둘레에 고정될 수 있다. 로어 러너(50)는 어퍼 러너(40)의 하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어퍼 러너(40)와 로어 러너(50)는 상하로 이격될 수 있다.
미드 러너(60)는 어퍼 러너(40) 및 로어 러너(5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미드 러너(60)는 수직바(21)의 외둘레를 둘러싸고, 수직바(21)를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미드 러너(60)는 승강바(22)와 함께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80)를 잡고 승강바(22)를 하강시키면, 승강바(22)는 미드 러너(60)를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미드 러너(60)는 후술할 리턴 스프링(39)(도 10 참조)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미드 러너(60)가 상승하면, 승강바(22)는 미드 러너(60)와 함께 상승할 수 있다.
링키지(70)는 서로 연결된 복수개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링키지(70)는 플레이트(30)에 연결될 수 있고, 플레이트(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링키지(70)는 플레이트(30)를 어퍼 러너(40), 로어 러너(50) 및 미드 러너(60)에 연결할 수 있다. 미드 러너(60)가 하강하면, 링키지(70)는 외측으로 확장될 수 있고, 플레이트(30)를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플레이트(30)가 케이스(20)의 개구(20a)를 커버하면, 링키지(70)는 케이스(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플레이트(30)가 외측으로 이동하면, 링키지(70)는 케이스(20)의 개구(20a)를 통과할 수 있다.
플레이트(30)의 내면에는 링키지(70)가 연결되는 링크 연결부(31)(32)(도 10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링키지(70)는 복수개의 플레이트(30) 각각에 연결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링키지(70)의 개수는 플레이트(30)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일례로, 링키지(70)의 개수는 4개일 수 있다.
복수개의 링키지(70)는 수직바(21)에 대해 대칭 형상일 수 있다.
어퍼 러너(40), 로어 러너(50) 및 미드 러너(60)에는 복수개의 링키지(70)가 연결되므로, 미드 러너(60)가 하강하면 복수개의 플레이트(30)가 동시에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옷걸이 착탈 모듈은 리턴 스위치(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턴 스위치(26)는 케이스(2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리턴 스위치(26)는 케이스(20)의 전면에 배치된 관통공(20b)을 통과할 수 있다. 리턴 스위치(26)는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리턴 스위치(15)를 누르면, 리턴 스위치(26)는 수직바(21)에 대한 승강바(22)의 록킹을 해제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리턴 스위치(26)는 걸림부재(25)(도 9 참조)에 의한 록킹을 해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승강바(22)가 수직바(21)에 대해 상승할 수 있다.
옷걸이 착탈 모듈은 손잡이(80) 및 클립(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80)는 승강바(22)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80)를 당겨 승강바(22)를 하강시킬 수 있다.
손잡이(80)는 케이스(20)의 개방된 저면을 커버하는 제1위치(P1)와, 케이스(20)의 하측으로 이격되는 제2위치(P2) 사이에서 승강할 수 있다.
손잡이(80)가 제1위치(P1)에 위치하면, 플레이트(30)는 케이스(20)의 개구(20a)를 커버할 수 있고 링키지(70)는 케이스(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손잡이(80)가 제2위치(P2)로 하강하면, 승강바(22) 및 미드 러너(60)는 하강할 수 있고, 링키지(70)는 개구(20a)를 통과하여 플레이트(30)를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플레이트(30)는 케이스(20)와 이격될 수 있다.
클립(90)은 승강바(22)에 연결되고 손잡이(8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클립(90)은 승강바(2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손잡이(80)가 제1위치(P1)에 위치하면 클립(90)은 케이스(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클립(90)은 케이스(20)의 개방된 저면을 통해 케이스(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클립(90)은 좌우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손잡이(80)가 제2위치(P2)에 위치하면 클립(90)은 케이스(20)의 하측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클립(90)이 케이스(20)의 하측 외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클립(90)이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클립을 회전시킬 수 있고, 의류의 하단을 클립(9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로써, 의류가 상하 방향으로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손잡이 주변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클립(9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클립(90)은, 회전 바디(91) 및 회전 바디(9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클립 본체(9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바디(91)는 승강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회전 바디(91)는 베이스(92)와, 한 쌍의 고정판(93)과, 연결부(94)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92)와, 한 쌍의 고정판(93)과, 연결부(9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92)는 대략 수평한 판형일 수 있고, 승강바(22)는 베이스(92)를 관통할 수 있다.
한 쌍의 고정판(93)은 베이스(92)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판(93)의 내면은 승강바(22)를 향할 수 있다. 한 쌍의 고정판(93)은 서로 나란할 수 있고, 승강바(22)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94)는 고정판(93)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94)는 한 쌍의 고정판(93)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94)는 고정판(93)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립 본체(95)는 적어도 1회 휘어진 판형일 수 있다. 클립 본체(95)의 하단은 고정판(93)의 외면을 향할 수 있고, 상단은 상측을 향할 수 있다. 클립 본체(95)의 내면의 하측 일부는 고정판(93)의 외면을 향할 수 있고, 클립 본체(95)의 내면의 상측 일부는 승강바(22)를 향할 수 있다.
클립 본체(95)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클립 본체(95)는 한 쌍의 연결부(94)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클립 본체(95)는 회전 바디(91)의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클립 본체(95)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클립 본체(95)는 고정판(93)과 함께 의류의 하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의류의 하단부는 고정판(93)의 외면과 클립 본체(95)의 하단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바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바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 부재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수직바(21) 및 승강바(22)의 단면은 비원형일 수 있다. 따라서, 승강바(22)는 수직바(21)에 대해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수직바(21)의 상면 및 저면은 개방될 수 있다. 수직바(21)에는 상하로 긴 개방홈(21a)이 형성될 수 있다. 개방홈(21a)은 수직바(21)의 둘레면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개방홈(21a)은 수직바(21)의 개방된 상면과 연결될 수 있다. 즉, 개방홈(21a)의 상단은 개방될 수 있다.
개방홈(21a)은 서로 이격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개방홈(21a)은 수직바(21)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개방홈(21a)의 상하 길이는 수직바(21)의 상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개방홈(21a)의 상하 길이는 승강바(22)의 승강 범위와 같거나 그보다 길 수 있다.
수직바(21)에는 상하로 긴 함몰홈(21b)이 형성될 수 있다. 함몰홈(21b)은 수직바(21)의 외둘레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함몰홈(21b)은 서로 이격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함몰홈(21ba)은 수직바(21)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각 함몰홈(21b)은 수직바(21)의 둘레 방향에 대해 한 쌍의 개방홈(21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함몰홈(21b)과 한 쌍의 개방홈(21a)은 수직바(21)의 둘레 방향에 대해 서로 교번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함몰홈(21b)의 상하 길이는 개방홈(21a)의 상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함몰홈(21b)의 상하 길이는 수직바(21)의 상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수직바(21)에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한 복수개의 아우터홀(2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아우터홀(23)은 상하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아우터홀(23)은 함몰홈(21b)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복수개의 아우터홀(23)은 수직바(21)의 전방측에 형성돈 함몰홈(21b)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승강바(22)의 상면 및 저면은 개방될 수 있다. 승강바(22)에는, 수직바(21)의 개방홈(21a)을 통해 수직바(2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2a)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2a)는 미드 러너(60)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승강바(22)가 하강하면, 돌출부(22a)는 개방홈(21a)을 따라 하강할 수 있고 수직바(21)의 외둘레에 배치된 미드 러너(60)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미드 러너(60)가 승강바(20)와 함께 하강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22a)는 수직바(21)에 대한 승강바(22)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수직바(21)의 개방홈(21a)은 승강바(22)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돌출부(22a)는 각 개방홈(21a)을 통과하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돌출부(22a)는 승강바(22)의 좌우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승강바(22)에는 이너홀(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홀(24)은 승강바(22)의 외둘레부터 내둘레까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너홀(24)은 승강바(22)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홀(24)은 복수개의 아우터홀(23) 중 어느 하나를 향할 수 있다. 이너홀(24)이 마주보는 아우터홀(23)은 수직바(21)에 대한 승강바(22)의 승강 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승강바(22)의 내부에는 이너홀(24) 및 일 아우터 홀(23)에 걸리는 걸림 부재(25)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 부재(25)에 의해, 수직바(21)에 대한 승강바(22)의 승강이 록킹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바(22)에 일정 크기보다 큰 외력이 작용하거나, 록킹 해제되기 전까지는 승강바(22)가 수직바(21)에 록킹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걸림부재(25)는 고정부(25A)와, 바디부(25B)와, 후크부(25C)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5A)는 승강바(22)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25A)는 걸림부재(25)의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부(25A)는 승강바(22)의 내둘레에 피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바디부(25B)는 고정부(25A)에서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25B)는 승강바(22)의 내둘레에 접할 수 있다. 바디부(25B)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바디부(25B)는 고정부(25A)를 중심으로 전후 방향에 대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후크부(25C)는 바디부(25B)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25C)는 바디부(25B)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후크부(25C)는 이너홀(24) 및 아우터홀(23)에 걸릴 수 있다. 후크부(25C)의 저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25C)의 상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걸림부재(25)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후크부(25C)가 일 아우터 홀(23)에 걸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승강바(22)를 하측으로 충분히 강하게 당기면, 상기 일 아우터 홀(23)의 내둘레는 후크부(25C)의 저면을 상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후크부(25C)의 저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바디부(25B)는 내측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고 후크부(25C)는 상기 일 아우터 홀(23)에서 이탈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바(22)는 후크부(25C)가 상기 일 아우터 홀(23)과 이웃한 타 아우터 홀(23)에 걸리기 전까지 용이하게 하강할 수 있다. 후크부(25C)가 상기 타 아우터 홀(23)에 도달하면, 바디부(25B)의 탄성에 의해 후크부(25C)는 상기 타 아우터 홀(23)에 걸릴 수 있다. 이로써, 승강바(22)가 수직바(21)에 용이하게 록킹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착탈 모듈의 케이스를 제거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키지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퍼 러너, 로어 러너 및 미드 러너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착탈 모듈은, 어퍼 러너(40)와 미드 러너(60)를 연결하는 리턴 스프링(3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턴 스프링(39)은 미드 러너(60)를 상측으로 당길 수 있다. 리턴 스프링(39)은 복수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어퍼 러너(40)는 수직바(21)에 고정되고 미드 러너(60)는 승강바(22)와 함께 하강하므로, 승강바(22)가 하강하면 리턴 스프링(39)은 인장될 수 있다. 승강바(22)가 수직바(21)에 록킹되면 리턴 스프링(39)은 인장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후, 승강바(22)가 수직바(21)에 대해 록킹 해제되면 리턴 스프링(39)은 압축될 수 있고, 리턴 스프링(39)의 탄성력에 의해 미드 러너(60)가 상승할 수 있다. 미드 러너(60)는 상승하며 승강바(22)의 돌출부(22a)를 상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바(22)는 미드 러너(60)와 함께 상승할 수 있다.
이하, 링키지(7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각 링키지(70)는 제1이너 링크(71)와, 제2이너 링크(72)와, 제3이너 링크(73)와, 제1아우터 링크(74)와, 제2아우터 링크(75)와, 연결 링크(7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이너 링크(71)는 어퍼 러너(40)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이너 링크(71)는 어퍼 러너(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이너 링크(71)는 어퍼 러너(40)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 형상일 수 있다. 제1이너 링크(71)는 서로 나란하게 이격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제2이너 링크(72)는 미드 러너(60)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2이너 링크(72)는 미드 러너(60)에 회전 및 병진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이너 링크(72)는 미드 러너(60)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 형상일 수 있다. 제2이너 링크(72)의 기울기는 제1이너 링크(71)의 기울기보다 완만할 수 있다.
제2이너 링크(72)는 서로 나란하게 이격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이너 링크(72)는 한 쌍의 제1이너 링크(71)를 미드 러너(60)에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2이너 링크(72)의 내측 단부는 미드 러너(60)에 연결될 수 있고, 외측 단부는 제1이너 링크(71)에 연결될 수 있다.
제3이너 링크(73)는 로어 러너(50)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3이너 링크(73)는 로어 러너(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이너 링크(73)는 미드 러너(60)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 형상일 수 있다.
제3이너 링크(73)는 제1이너 링크(71) 및 제2이너 링크(72)와 교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3이너 링크(73)는 한 쌍의 제1이너 링크(71)의 사이 및 한 쌍의 제2이너 링크(72)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제1아우터 링크(74)는 플레이트(30)의 내면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플레이트(30)의 내면에는 로어 연결부(31)가 형성될 수 있고, 제1아우터 링크(74)는 로어 연결부(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아우터 링크(74)는 플레이트(30)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 형상일 수 있다. 제1아우터 링크(74)는 제1이너 링크(71)와 나란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1아우터 링크(74)는 서로 나란하게 이격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아우터 링크(74)는 제3이너 링크(73)를 플레이트(30)의 하부 내면에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아우터 링크(74)의 내측 단부는 제3이너 링크(73)에 연결될 수 있고, 외측 단부는 플레이트(30)의 로어 연결부(3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아우터 링크(75)는 플레이트(30)의 내면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플레이트(30)의 내면에는 어퍼 연결부(32)가 형성될 수 있고, 제2아우터 링크(75)는 어퍼 연결부(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어퍼 연결부(32)는 로어 연결부(3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어퍼 연결부(32)와 로어 연결부(31)는 상하로 이격될 수 있다.
제2아우터 링크(75)는 플레이트(30)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 형상일 수 있다. 제2아우터 링크(75)는 제3이너 링크(73)와 나란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2아우터 링크(75)는 제1아우터 링크(74)와 교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2아우터 링크(75)는 한 쌍의 제1아우터 링크(74)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제2아우터 링크(75)는 한 쌍의 제1이너 링크(71) 및 한 쌍의 제2이너 링크(72)를 플레이트(30)의 상부 내면에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2아우터 링크(75)의 내측 단부는 제1이너 링크(71) 및 제2이너 링크(72)에 연결될 수 있고, 외측 단부는 플레이트(30)의 어퍼 연결부(32)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링크(76)는 제3이너 링크(73) 및 한 쌍의 제1아우터 링크(74)를 제2아우터 링크(75)에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2아우터 링크(75)의 내측 단부는 제3이너 링크(73) 및 제1아우터 링크(74)에 연결될 수 있고, 외측 단부는 제2아우터 링크(75)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링크(76)는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 형상일 수 있다. 연결 링크(76)는 제2이너 링크(72)와 나란하게 유지될 수 있다.
연결 링크(76)는 서로 나란하게 이격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제1이너 링크(71)의 외측 단부와, 한 쌍의 제2이너 링크(72)의 외측 단부와, 제2아우터 링크(75)의 내측 단부는, 제1조인트(77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이너 링크(73)의 외측 단부와, 한 쌍의 제1아우터 링크(74)의 내측 단부와, 연결 링크(76)의 내측 단부는, 제2조인트(77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이너 링크(72)와, 제3이너 링크(73)는 서로 교차하며 제3조인트(77c)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조인트(77c)는, 제2이너 링크(72)의 길이 방향에 대해 미드 러너(60)와 제1조인트(77a)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조인트(77c)는, 제3이너 링크(73)의 길이 방향에 대해 로어 러너(50)와 제2조인트(77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 링크(76)와 제2아우터 링크(75)는 제4조인트(77d)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4조인트(77d)는, 제2아우터 링크(75)의 길이 방향에 대해, 제1조인트(77a)와 플레이트(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이너 링크(71)와 제1아우터 링크(74)는 서로 나란하게 유지되고, 제2이너 링크(72)와 연결 링크(76)는 서로 나란하게 유지되고, 제3이너 링크(73)와 제2아우터 링크(75)는 서로 나란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조인트(77a) 내지 제4조인트(77d)는, 링키지(70)에 의해 형성되는 평행 사변형의 꼭지점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링키지(70)의 구성에 의해, 중간 러너(60)의 승강 범위가 짧더라도 복수개의 플레이트(30)가 외측으로 넓게 확장될 수 있다.
이하, 어퍼 러너(40), 로어 러너(50) 및 미드 러너(6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어퍼 러너(40)는 러너 바디(41) 및 링크 연결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러너 바디(41) 및 링크 연결부(4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러너 바디(41)는 대략 고리 형상일 수 있다. 러너 바디(41)는 수직바(21)의 외둘레를 감쌀 수 있고, 수직바(21)에 고정될 수 있다.
러너 바디(41)의 외둘레에는 리턴 스프링(39)이 연결되는 연결돌기(44)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돌기(44)에는 리턴 스프링(39)의 상단이 걸릴 수 있다. 연결 돌기(44)는 복수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연결 돌기(44)는 러너 바디(41)의 외둘레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러너 바디(41)의 내둘레에는, 수직바(21)의 함몰홈(21b)을 향해 돌출된 삽입 돌기(43)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 돌기(43)는 한 쌍의 함몰홈(21b) 각각에 삽입된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링크 연결부(42)는 러너 바디(41)의 외둘레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링키지(70)는 링크 연결부(42)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한 쌍의 제1이너 링크(71)는 링크 연결부(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링크 연결부(42)는 한 쌍의 제1이너 링크(71)의 사이로 돌출될 수 있고, 한 쌍의 제1이너 링크(71)를 연결하는 연결핀(미도시)은 링크 연결부(42)를 관통할 수 있다. 링크 연결부(42)에는 상기 연결핀이 통과하는 연결공(42a)이 형성될 수 있다.
링크 연결부(42)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링크 연결부(42)의 개수는 링키지(70)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일례로, 링크 연결부(42)는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로어 러너(50)는 러너 바디(51) 및 링크 연결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러너 바디(51) 및 링크 연결부(5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러너 바디(51)는 대략 고리 형상일 수 있다. 러너 바디(51)는 수직바(21)의 외둘레를 감쌀 수 있고, 수직바(21)에 고정될 수 있다.
러너 바디(51)의 내둘레에는, 수직바(21)의 함몰홈(21b)을 향해 돌출된 삽입 돌기(53)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 돌기(53)는 한 쌍의 함몰홈(21b) 각각에 삽입된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링크 연결부(52)는 러너 바디(41)의 외둘레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링키지(70)는 링크 연결부(42)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3이너 링크(73)는 한 쌍의 링크 연결부(52)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링크 연결부(52)는 제3이너 링크(73)를 사이에 두고 돌출될 수 있다.
한 쌍의 링크 연결부(52)를 연결하는 연결핀(미도시)은 제3이너 링크(73)를 관통할 수 있다. 링크 연결부(52)에는 상기 연결핀이 통과하는 연결공(52a)이 형성될 수 있다.
링크 연결부(42)는 복수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링크 연결부(42)는 4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미드 러너(60)는 러너 바디(61) 및 링크 연결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러너 바디(61) 및 링크 연결부(6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러너 바디(61)는 대략 고리 형상일 수 있다. 러너 바디(61)는 수직바(21)의 외둘레를 감쌀 수 있다. 러너 바디(61)는 수직바(21)에 고정되지 않고 수직바(21)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승강바(22)의 돌출부(22)는 러너 바디(61)의 상단에 접할 수 있다.
러너 바디(61)의 외둘레에는 리턴 스프링(39)이 연결되는 연결돌기(64)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돌기(64)에는 리턴 스프링(39)의 하단이 걸릴 수 있다. 연결 돌기(64)는 복수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연결 돌기(64)는 러너 바디(61)의 외둘레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러너 바디(61)의 내둘레에는, 수직바(21)의 함몰홈(21b)을 향해 돌출된 삽입 돌기(63)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 돌기(63)는 한 쌍의 함몰홈(21b) 각각에 삽입된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 돌기(63)에 의해, 미드 러너(60)는 수직바(21)에 대해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삽입 돌기(63)에 의해 미드 러너(60)의 승강이 가이드될 수 있다.
링크 연결부(62)는 러너 바디(61)의 외둘레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링키지(70)는 링크 연결부(62)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한 쌍의 제2이너 링크(72)는 링크 연결부(62)에 회전 및 병진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링크 연결부(62)는 한 쌍의 제2이너 링크(72)의 사이로 돌출될 수 있다. 링크 연결부(62)에는 링크 연결부(6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62a)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이너 링크(72)를 연결하는 연결핀(미도시)은 장공(62a)을 통과할 수 있고, 장공(62a)을 따라 슬라이드될 수 있다. 링키지(70)가 확장되면 상기 연결핀은 장공(62a)의 내측 단부로 이동할 수 있고, 링키지(70)가 원상복귀되면 상기 연결핀은 장공(62a)의 외측 단부로 이동할 수 있다.
링크 연결부(62)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링크 연결부(62)의 개수는 링키지(70)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일례로, 링크 연결부(62)는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제3이너 링크(73)는, 미드 러너(60)의 링크 연결부(62)가 통과하는 개방부(73a)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부(73a)는 직사각 프레임 형상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링키지(70)가 확장되지 않고 접힌 상태이면, 미드 러너(60)의 링크 연결부(62)는 개방부(73a)를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링크 연결부(62)와 제3이너 링크(73)가 간섭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링키지(7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승강바(22)가 하강하면 승강바(22)의 돌출부(22a)는 미드 러너(60)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고, 미드 러너(60)가 하강할 수 있다. 미드 러너(60)가 하강하면 링키지(70)가 펼쳐져 확장될 수 있다.
미드 러너(60)가 하강하면, 제1이너 링크(71)는 상측으로 회전하여 기울기가 완만해질 수 있다. 제2이너 링크(72)는 상측으로 회전하여 기울기가 완만해질 수 있다. 제3이너 링크(73)는 하측으로 회전하여 기울기가 완만해질 수 있다. 제1아우터 링크(74)는 하측으로 회전하여 기울기가 완만해질 수 있다. 제2아우터 링크(75)는 상측으로 회전하여 기울기가 완만해질 수 있다. 연결 링크(76)는 상측으로 회전하여 기울기가 완만해질 수 있다.
따라서, 링키지(70)가 확장될 수 있고, 플레이트(30)가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플레이트(30)가 의류에 외측 방향으로 기계력을 인가할 수 있다.
반대로, 승강바(22)가 록킹 해제되면, 리턴 스프링(39)의 탄성력에 의해 미드 러너(60)가 상승할 수 있다. 이 때 미드 러너(60)는 승강바(22)의 돌출부(22a)를 상측으로 가압할 수 있고, 승강바(22)가 상승할 수 있다.
미드 러너(60)가 상승하면, 제1이너 링크(71)는 하측으로 회전하여 기울기가 커질 수 있다. 제2이너 링크(72)는 하측으로 회전하여 기울기가 커질 수 있다. 제3이너 링크(73)는 상측으로 회전하여 기울기가 커질 수 있다. 제1아우터 링크(74)는 상측으로 회전하여 기울기가 커질 수 있다. 제2아우터 링크(75)는 하측으로 회전하여 기울기가 커질 수 있다. 연결 링크(76)는 하측으로 회전하여 기울기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링키지(70)가 접힐 수 있고, 플레이트(30)가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링키지(70) 및 플레이트(30)가 원상 복귀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턴 스위치 및 그 주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리턴 스위치 및 그 주변 구성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착탈 모듈은, 리턴 스위치(26)와, 브라켓(27)과, 가압 스프링(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턴 스위치(26)는, 케이스(20)의 전면에 형성된 관통공(20b)을 통과하여 케이스(2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리턴 스위치(26)는 걸림 부재(25)를 누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리턴 스위치(26)는 수직바(21)의 아우터 홀(23)에 걸린 상태의 걸림부재(25)의 후크부(25c)를 누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리턴 스위치(26)를 누르면 걸림부재(25)가 아우터 홀(23)에서 이탈할 수 있고, 승강바(22)가 수직바(21)에 대해 록킹 해제될 수 있다.
리턴 스위치(26)는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리턴 스위치(26)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한 복수개의 아우터 홀(23)을 모두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부재(25)가 걸려있는 아우터 홀(23)의 위치에 상관없이, 걸림부재(25)를 용이하게 누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리턴 스위치(26)는 버튼부(26a)와, 날개부(26b)와, 가압부(26c)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26a)는 케이스(2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버튼부(26a)는 케이스(20)의 전면에 형성된 관통공(20b)을 통과할 수 있다.
날개부(26b)는 버튼부(26a)의 후단에서 좌우로 확장될 수 있다. 날개부(26b)는 후술할 가압 스프링(28)에 접할 수 있다. 가압 스프링(28)은 날개부(26b)를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고, 이로써 리턴 스위치(26)가 전방으로 바이어스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날개부(26b)는 케이스(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날개부(26b)는 케이스(20)의 관통공(20b) 주변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날개부(26b)는 리턴 스위치(26)가 관통공(20b)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부(26c)는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가압부(26c)는 수직바(21)의 아우터 홀(23)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가압부(26c)는 후술할 브라켓(27)을 관통하여 걸림부재(25), 좀 더 상세히는 후크부(25c)를 누를 수 있다.
가압부(26c)의 좌우방향 폭은, 수직바(21)의 함몰홈(21b)의 좌우방향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26c)는 아우터 홀(23)이 형성된 함몰홈(21b) 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걸림부재(25)를 누를 수 있다.
브라켓(27)은 케이스(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27)은 수직바(21)와 리턴 스위치(26)의 사이를 지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브라켓(27)은 수직바(21)와 리턴 스위치(26)의 사이를 지나는 패널(27a)과, 상기 패널(27a)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절곡된 절곡부(27b)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은 절곡부(27b)의 전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케이스(20)의 내면에 체결되는 체결부(27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27)에는 리턴 스위치(26)가 통과하는 관통공(27d)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브라켓(27)의 패널(27a)에는 리턴 스위치(26)의 가압부(26c)가 통과하는 관통공(27d)이 형성될 수 있다.
리턴 스위치(26)의 날개부(26b)는 한 쌍의 절곡부(27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26b)는 패널(26a)의 전면과 케이스(20)의 내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가압 스프링(28)은 브라켓(27)과 리턴 스위치(26)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가압 스프링(28)은 리턴 스위치(26)를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가압 스프링(28)은 전후로 압축 또는 인장될 수 있다. 가압 스프링(28)은 복수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히, 가압 스프링(28)은 리턴 스위치(26)의 날개부(26b)와 브라켓(27)의 패널(27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가압 스프링(28)은 압축된 상태로 날개부(26b)와 패널(27a)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리턴 스위치(26)가 전방으로 바이어스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리턴 스위치(26)를 누르면 리턴 스위치(26)는 걸림부재(25)를 누를 수 있다. 따라서, 승강바(22)는 수직바(21)에 대해 록킹 해제되고 승강바(22)가 상승할 수 있다.
사용자가 리턴 스위치(26)를 누르지 않으면 가압 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해 리턴 스위치(26)는 원상 복귀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유닛이 확대 도시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구속커버가 후방으로 회전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유닛을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8A 내지 도 1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유닛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 유닛(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 유닛(10)은 베이스(11)와, 구속 커버(12)와, 록킹 레버(15)와, 릴리즈 스위치(16)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유닛(10)은 가압 스프링(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에는 구속 커버(12)와 힌지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11a)가 형성될 수 있다. 힌지 연결부(11a)는 베이스(11)의 상면 후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힌지 연결부(11a)는 좌우로 이격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구속 커버(12)에는 힌지 연결부(11a)와 힌지 연결되는 힌지 연결홈(12a)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 연결홈(12a)은 구속 커버(12)의 배면 하단에서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힌지 연결홈(12a)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힌지 연결홈(12a)의 개수는 힌지 연결부(11a)와 동일할 수 있다.
힌지 연결부(11a)는 힌지 연결홈(12a)에 삽입될 수 있고, 좌우로 긴 힌지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구속 커버(12)는 베이스(11)에 대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동할 수 있다.
베이스(11)에는 함몰홈(11b)이 형성될 수 있다. 함몰홈(11b)은 베이스(11)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함몰홈(11b)에는 록킹 레버(15)가 삽입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속 커버(12a)는 저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일 수 있다. 구속 커버(12)에는 옷걸이(2)의 후크(5)가 통과하는 탑 개방공(12b)과, 옷걸이(2)의 지지부(4)가 통과하는 한 쌍의 사이드 개방홈(12c)이 형성될 수 있다.
탑 개방공(12b)은 구속 커버(12)의 상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개방홈(12c)은 구속 커버(12)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개방홈(12c) 각각의 하단은 개방될 수 있다.
구속 커버(12)에는 서브 행거(14)가 연결될 수 있다. 서브 행거(14)는 구속 커버(12)의 배면에 연결될 수 있다. 서브 행거(14)는 'ㄷ'자를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형상일 수 있다. 서브 행거(14)는 벽이나 구조물에 설치된 후크에 걸릴 수 있고, 이로써 옷걸이 착탈 모듈이 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구속 커버(12)의 배면에는 리어홈(12d)이 형성될 수 있고, 서브 행거(14)는 리어홈(12d) 내에 수평하게 연결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서브 행거(14)는 리어홈(12d) 내에 위치한 히든위치와, 구속커버(12)의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옷걸이 착탈 모듈을 거치시킬때만 서브 행거(14)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구속 커버(12)에는 프론트 개방공(12e)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개방공(12e)는 구속 커버(12)의 전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옷걸이(2)의 센터부(3)는 프론트 개방공(12e)을 통해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록킹 레버(15)는 구속 커버(12)를 베이스(11)에 록킹시킬 수 있다.
록킹 레버(15)는 베이스(11)의 함몰홈(11b)에 삽입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록킹 레버(15)의 일부는 함몰홈(11b) 내에 위치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함몰홈(11b)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록킹 레버(15)는 구속 커버(12)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록킹 레버(15)는 베이스(11)의 함몰홈(11b) 내에 수평하게 연결된 회전축(15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5a)은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구속 커버(12) 및 록킹 레버(15)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13)가 형성될 수 있고, 구속 커버(12) 및 록킹 레버(15) 중 다른 하나에는 돌기(13)가 걸리는 록킹홈(15b)이 형성될 수 있다. 돌기(13)가 록킹홈(15b)에 걸림으로써 구속 커버(12)가 베이스(11)에 대해 록킹될 수 있다. 따라서, 구속 커버(12)는 옷걸이(2)를 구속할 수 있고, 결합 유닛(10)에 옷걸이(2)가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속 커버(12)에 돌기(13)가 형성되고, 록킹 레버(15)에 록킹홈(15b)이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돌기(13)는 구속 커버(12)의 전면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기(13)의 상면은 수평하고, 저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기(13)는 좌우로 이격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록킹홈(15b)은 록킹 레버(15)에 전후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록킹홈(15b)는 회전축(15a)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록킹홈(15b)은 베이스(11)의 함몰홈(11b)의 외부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록킹홈(15b)은 좌우로 이격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구속 커버(12)가 전방으로 회동하면, 돌기(13)는 록킹 레버(11)의 상단부를 누를 수 있다. 돌기(13)의 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돌기(13)가 록킹 레버(11)의 상단부를 누르면 록킹 레버(11)의 상단부는 전방으로 회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돌기(13)는 록킹홈(15b)에 걸릴때까지 용이하게 하측으로 회동할 수 있다. 돌기(13)가 록킹홈(15b)에 도달하면, 후술할 가압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 레버의 상단부가 후방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로써, 돌기(13)가 록킹홈(15b)에 걸릴 수 있고, 구속 커버(12)가 베이스(11)에 대해 록킹될 수 있다.
릴리즈 스위치(16)는 베이스(11)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베이스(11)의 전방에는 릴리즈 스위치(16)가 통과하는 관통공(11d)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1d)은 함몰홈(11b)과 연통될 수 있다.
릴리즈 스위치(16)는 록킹 레버(15)의 하단부를 후방으로 가압하여, 구속 커버(12)를 베이스(11)에 대해 록킹 해제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릴리즈 스위치(16)가 록킹 레버(15)의 하단부를 후방으로 밀면 록킹 레버(15)가 회전하며 록킹홈(15b)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돌기(13)는 록킹홈(15b)에서 이탈할 수 있고, 구속 커버(12)는 베이스(11)에 대해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다.
릴리즈 스위치(16)는 버튼부(16a)와 가압부(16b)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16a)는 베이스(11)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버튼부(16a)는 베이스(11)의 전면에 형성된 관통공(11d)을 통과할 수 있다.
가압부(16b)는 버튼부(16a)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16b)는 함몰홈(11b)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가압부(16b)는 록킹 레버(15)의 하단부를 후방으로 밀 수 있다.
가압부(16b)의 크기는 버튼부(16a)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16b)는 베이스(11)의 관통공(11d) 주변에 걸릴 수 있다. 가압부(16b)는 릴리즈 스위치(16)가 관통공(11d)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 스프링(17)은 릴리즈 스위치(16)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가압 스프링(17)은 함몰홈(11b) 내에 위치할 수 있다. 가압 스프링(28)은 압축된 상태로 함몰홈(11b)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릴리즈 스위치(16)가 전방으로 바이어스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함몰홈(11b)은 상측으로 개방된 제1홈(11c)과, 상기 제1홈(11c)과 연통되고 전후 방향으로 상기 제1홈(11c)보다 넓은 제2홈(11d)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홈(11d)은 제1홈(11d)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가압 스프링(17)은 제2홈(11d)에 위치할 수 있다. 가압 스프링(28)은 전후로 압축 또는 인장될 수 있다.
가압 스프링(17)은 릴리즈 스위치(16)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가압 스프링(17)은 릴리즈 스위치(16)의 하단부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리턴 스위치(26)가 전방으로 바이어스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리턴 스위치(26)를 누르면 리턴 스위치(26)는 걸림부재(25)를 누를 수 있다. 따라서, 승강바(22)는 수직바(21)에 대해 록킹 해제되고 승강바(22)가 상승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결합 유닛 11: 베이스
12: 구속 커버 15: 록킹 레버
16: 릴리즈 스위치 20: 케이스
21: 수직바 22: 승강바
23: 아우터홀 24: 이너홀
25: 걸림부재 26: 리턴 스위치
27: 브라켓 30: 플레이트
39: 리턴 스프링 40: 어퍼 러너
50: 로어 러너 60: 미드 러너
70: 링키지 80: 손잡이
90: 클립

Claims (20)

  1. 옷걸이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유닛;
    상기 결합유닛의 하측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저면이 개방되며 둘레면에 복수개의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복수개의 개구를 커버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된 수직바;
    상기 수직바에 삽입되고 상기 수직바에 대해 승강하는 승강바;
    상기 수직바의 외둘레에 고정된 어퍼 러너;
    상기 수직바의 외둘레에 고정되고 상기 어퍼 러너의 하측으로 이격된 로어 러너;
    상기 어퍼 러너와 로어 러너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바와 함께 하강하는 미드 러너;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어퍼 러너, 로어 러너 및 미드 러너에 연결하고, 상기 미드 러너가 하강하면 상기 플레이트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링키지(linkage)를 포함하는 옷걸이 착탈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러너와 상기 미드 러너를 연결하며, 상기 미드 러너를 상측으로 당기는 리턴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옷걸이 착탈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에는 상하로 긴 개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바에는 상기 개방홈을 통해 상기 수직바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미드 러너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옷걸이 착탈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바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저면을 커버하는 제1위치와 상기 케이스의 하측으로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승강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옷걸이 착탈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바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클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클립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손잡이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클립은 상기 케이스의 하측 외부에 위치한 옷걸이 착탈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은,
    상면에서 하측으로 함몰된 함몰홈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옷걸이를 구속하는 구속 커버;
    상기 함몰홈 내에 수평하게 연결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록킹 레버;
    상기 구속 커버에서 상기 록킹 레버를 향해 돌출된 돌기;
    상기 록킹 레버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걸리며 상기 회전축의 상측에 위치하는 록킹홈;
    상기 베이스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록킹 레버의 하단부를 후방으로 가압하는 릴리즈 스위치; 및
    상기 릴리즈 스위치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을 포함하는 옷걸이 착탈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에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한 복수개의 아우터홀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바에는 상기 복수개의 아우터홀 중 일 아우터홀을 향하는 이너홀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바의 내부에는, 상기 이너홀과 상기 일 아우터홀에 걸리는 걸림 부재가 구비된 옷걸이 착탈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승강바의 내부에 고정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탄성 변형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너홀과 상기 일 아우터홀에 걸리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옷걸이 착탈 모듈.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걸림 부재를 누르는 리턴 스위치;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바와 상기 리턴 스위치의 사이를 지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고 상기 리턴 스위치가 통과하는 관통공;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리턴 스위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리턴 스위치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옷걸이 착탈 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위치는,
    상기 케이스의 전방으로 돌출된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후단에서 좌우로 확장되어 상기 가압 스프링에 접하는 날개부; 및
    상기 버튼부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걸림 부재를 누르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옷걸이 착탈 모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키지는,
    상기 어퍼 러너에 연결된 한 쌍의 제1이너 링크;
    상기 한 쌍의 제1이너 링크를 상기 미드 러너에 연결하는 한 쌍의 제2이너 링크;
    상기 로어 러너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이너 링크의 사이 및 상기 한 쌍의 제2이너 링크의 사이를 통과하며, 상기 한 쌍의 제2이너 링크와 조인트로 연결된 제3이너 링크;
    상기 제3이너 링크를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 내면에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제1이너 링크와 나란하게 유지되는 한 쌍의 제1아우터 링크;
    상기 한 쌍의 제1이너 링크 및 상기 한 쌍의 제2이너 링크를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 내면에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아우터 링크의 사이를 통과하며, 상기 제3이너 링크와 나란하게 유지되는 제2아우터 링크; 및
    상기 제3이너 링크 및 상기 한 쌍의 제1아우터 링크를 상기 제2아우터 링크에 연결하고, 상기 제2이너 링크와 나란하게 유지되는 한 쌍의 연결 링크를 포함하는 옷걸이 착탈 모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러너는,
    상기 수직바의 외둘레를 감싸는 러너 바디; 및
    상기 러너 바디의 외둘레에서 상기 한 쌍의 제1이너 링크의 사이로 돌출된 링크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이너 링크를 연결하는 연결핀은 상기 링크 연결부를 관통하는 옷걸이 착탈 모듈.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러너는,
    상기 수직바의 외둘레를 감싸는 러너 바디; 및
    상기 러너 바디의 외둘레에서 상기 제3이너 링크를 사이에 두고 돌출된 한 쌍의 링크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링크 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핀은 상기 제3이너 링크를 관통하는 옷걸이 착탈 모듈.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 러너는,
    상기 수직바의 외둘레를 감싸는 러너 바디;
    상기 러너 바디의 외둘레에서 상기 한 쌍의 제2이너 링크의 사이로 돌출된 링크 연결부; 및
    상기 링크 연결부에 상기 링크 연결부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이너 링크를 연결하는 연결핀은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하는 옷걸이 착탈 모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이너 링크는, 상기 링크 연결부가 통과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옷걸이 착탈 모듈.
  16. 제 12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러너 바디의 외둘레에는, 상기 미드 러너를 상측으로 당기는 리턴 스프링이 연결되는 연결돌기가 형성된 옷걸이 착탈 모듈.
  17.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함몰홈이 형성되고,
    상기 러너 바디의 내둘레에는 상기 함몰홈을 향해 돌출된 삽입 돌기가 형성된 옷걸이 착탈 모듈.
  18. 후크가 구비된 센터부와, 상기 센터부의 양측에서 하방 경사지게 연장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옷걸이;
    상기 옷걸이와 결합되는 결합유닛;
    상기 결합유닛의 하측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저면이 개방되며 둘레면에 복수개의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복수개의 개구를 커버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된 수직바;
    상기 수직바에 삽입되고 상기 수직바에 대해 승강하는 승강바;
    상기 수직바의 외둘레에 고정된 어퍼 러너;
    상기 수직바의 외둘레에 고정되고 상기 어퍼 러너의 하측으로 이격된 로어 러너;
    상기 어퍼 러너와 로어 러너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바와 함께 하강하는 미드 러너;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어퍼 러너, 로어 러너 및 미드 러너에 연결하고, 상기 미드 러너가 하강하면 상기 플레이트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링키지(linkage)를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은,
    상면에서 하측으로 함몰된 함몰홈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옷걸이를 구속하는 구속 커버;
    상기 함몰홈 내에 수평하게 연결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록킹 레버;
    상기 구속 커버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돌기;
    상기 록킹 레버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걸리며 상기 회전축의 상측에 위치하는 걸림홈;
    상기 베이스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록킹 레버의 하단부를 후방으로 가압하는 릴리즈 스위치; 및
    상기 릴리즈 스위치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을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후크가 통과하는 탑 개방공이 형성되고,
    상기 구속 커버의 양측면에는 상기 지지부가 통과하는 사이드 개방홈이 형성된 옷걸이 장치.
KR1020190129170A 2019-10-17 옷걸이 착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KR102681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170A KR102681586B1 (ko) 2019-10-17 옷걸이 착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170A KR102681586B1 (ko) 2019-10-17 옷걸이 착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756A true KR20210045756A (ko) 2021-04-27
KR102681586B1 KR102681586B1 (ko) 2024-07-05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479A (ko) 2015-07-17 2017-01-25 유병남 다기능 옷걸이
KR101811318B1 (ko) 2017-06-14 2017-12-26 박병선 원터치 접이식 옷걸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479A (ko) 2015-07-17 2017-01-25 유병남 다기능 옷걸이
KR101811318B1 (ko) 2017-06-14 2017-12-26 박병선 원터치 접이식 옷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4992B2 (en) Dryer
US20200347635A1 (en) Button-type central locking device for folding tent
US7322127B2 (en) Dryer
KR102632271B1 (ko) 옷걸이
JP6184616B2 (ja) 傾斜可能なアイロン台を有する衣類スチーマー
JP2009502367A (ja) 物干し装置における、および物干し装置に関する、改良
US11857095B2 (en) Clothes hanger
KR102681586B1 (ko) 옷걸이 착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KR20210045756A (ko) 옷걸이 착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옷걸이 장치
KR20170009479A (ko) 다기능 옷걸이
KR102055296B1 (ko) 파티션 벨트라인의 접이식 선반용 개폐유닛
KR102675288B1 (ko) 옷걸이
CN104878580A (zh) 一种可折叠式熨烫机
CN105361385A (zh) 一种多功能旅行箱
JP6688843B2 (ja) コードストッパ装置及び間仕切り装置
KR20090096103A (ko) 접이형 옷걸이
US2459280A (en) Folding support
KR200485117Y1 (ko) 피난구조용 완강기 거치대
TWI568918B (zh) Shaping device, chain unit and chain carrier
KR100766909B1 (ko) 접철식 빨래 건조대
KR20220132138A (ko) 벨트라인 상에 개폐식 선반 기능을 구비한 파티션
KR200466358Y1 (ko) 접이식 옷걸이
WO2022260191A1 (ko) 휴대용 접이식 옷걸이
KR101517189B1 (ko) 우산
KR100515154B1 (ko) 옷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