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5154B1 - 옷걸이 - Google Patents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5154B1
KR100515154B1 KR10-2002-0076597A KR20020076597A KR100515154B1 KR 100515154 B1 KR100515154 B1 KR 100515154B1 KR 20020076597 A KR20020076597 A KR 20020076597A KR 100515154 B1 KR100515154 B1 KR 100515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hanger
support portion
rim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6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8663A (ko
Inventor
안태진
Original Assignee
안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진 filed Critical 안태진
Priority to KR10-2002-0076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5154B1/ko
Publication of KR20040048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8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0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with devices for preserving the shape of the clothe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부에 고리가 형성된 지지부와;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며 옷이 걸쳐지는 한쌍의 아암부와; 양단부가 아암부의 내측 단부에 결합되며 지지부의 축선에 대해 대칭을 이루도록 지지부에 결합되어, 각 아암부가 지지부의 축선에 대해 상호 접근 및 이격하도록 탄성변형하는 상부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앞트임이 없는 옷의 목부위의 변형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옷을 걸 수 있으며, 또한 옷걸이의 절첩구조를 단순화한 옷걸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옷걸이{CLOTHES HANGER}
본 발명은,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부분을 포함한 전체가 통형상을 갖는 앞트임이 없는 옷을 변형없이 편리하게 걸 수 있도록 하는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옷걸이는 상단부에 고리가 형성된 지지부와, 지지부를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길게 일체로 형성되어 옷이 걸쳐지는 받침대로 이루어지며, 대략 삼각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옷을 옷걸이 걸때에는 받침대에 옷의 목부분과 어깨부분을 걸치게 한 후, 고리를 옷장의 걸이봉에 걸어서 보관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옷걸이는 옷걸이가 절첩되지 아니하므로, 즉 옷걸이의 모양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앞트임이 없는 옷을 옷걸이에 걸때에는 옷의 목부위를 무리하게 늘려야만 양측 받침대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옷걸이에 있어서는, 옷걸이가 절첩되지 아니하여 목부분을 포함한 전체가 통형상을 갖는 앞트임이 없는 옷 등을 옷걸이에 걸때에는 옷의 목부위를 무리하게 늘려야 하므로, 옷의 목부위가 변형되어 옷의 손상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앞트임이 없는 옷의 목부위의 변형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옷을 걸 수 있는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옷걸이의 절첩구조를 단순화한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옷걸이에 있어서, 상단부에 고리가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며 옷이 걸쳐지는 한쌍의 아암부와; 양단부가 상기 아암부의 내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의 축선에 대해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각 아암부가 상기 지지부의 축선에 대해 상호 접근 및 이격하도록 탄성변형하는 상부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여기서, 상기 상부림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한쌍의 아암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림의 탄성변형에 따라 상기 상부림을 향해 승강하며 탄성변형하는 하부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림과 상기 하부림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림과 상기 하부림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상부림에 대해 탄성부세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함으로써, 탄성변형된 옷걸이가 원래의 상태로 용이하게 복원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상부림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의 축선방향을 따라 다수의 후크홈이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판과; 상기 하부림으로부터 상기 가이드판을 향해 각각 돌출되어, 상기 후크홈에 걸림유지되며 상기 하부림의 승강을 제한하는 한쌍의 후크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지지부의 축선에 대해 상기 한쌍의 아암부가 절첩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가이드판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후크홈을 상기 후크에 걸림유지 및 걸림해제시키는 레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림과 상기 하부림을 둘러싸는 커버를 더 포함하여,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목적은, 옷걸이에 있어서, 상단부에 고리가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며 옷이 걸쳐지는 한쌍의 아암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의 축선방향을 따라 다수의 후크홈이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판과, 상기 한쌍의 아암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한쌍의 가이드판 사이에 마련되어 승강하며 상기 가이드판을 향해 각각 돌출되어 상기 후크홈에 걸림유지되는 한쌍의 후크를 갖는 연결링크와, 상기 한쌍의 가이드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에 대해 탄성부세하는 스프링부재를 가지며, 상기 각 아암부가 상기 지지부의 축선에 대해 상호 접근 및 이격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가이드판과 상기 아암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각 가이드판의 외주면을 따라 승강하는 한쌍의 보조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를 둘러싸며, 상기 보조링크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함으로써,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옷걸이를 안정적으로 절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부터 제4실시예까지 각각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참조부호만 달리 표기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에 대한 정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옷걸이(100)는, 상단부에 고리(111)가 형성된 지지부(110)와, 지지부(110)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아암부(115)와, 지지부(110)와 한쌍의 아암부(115)를 상호 연결하며, 각 아암부(115)가 지지부(110)의 축선에 대해 상호 접근 및 이격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를 가진다.
지지부(110)의 상단부에는 고리(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리(111)의 일단부는 지지부(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한쌍의 아암부(115)는 지지부(110)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며 옷의 어깨부분 등이 걸쳐지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옷걸이(100)는 탄성부로서, 양단부가 아암부(115)의 내측 단부에 결합되며 지지부(110)의 축선에 대해 대칭을 이루도록 지지부(110)에 결합되는 상부림(121)과, 상부림(121)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쌍의 아암부(115)에 결합되는 하부림(123)을 가진다.
상부림(121)은 지지부(110)의 축선에 대해 접근 및 이격하도록 탄성변형하며, 상부림(121)은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림(121)은 아암부(115)가 지지부(110)의 축선에 대해 접근 및 이격시 탄성변형이 용이하도록 대략 종형상을 가진다.
하부림(123)은 상부림(121)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부림(121)의 탄성변형에 따라 상부림(121)을 향해 승강하며 탄성변형한다. 하부림(123)은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림(121)과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생산성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이다.
여기서, 하부림(123)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옷걸이(100)의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부림(121)과 하부림(123)을 둘러싸는 커버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한쌍의 아암부(115)를 지지부(110)의 축선에 대해 접근시키면, 상부림(121)과 하부림(123)은 지지부(110)의 축선을 향해 탄성변형이 일어나 옷걸이(100)는 절첩된다.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림(123)의 중앙영역은 지지부(110)의 축선을 따라 상부림(121)을 향해 상승하며, 상부림(121)과 하부림(123)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게 된다.
반대로, 한쌍의 아암부(115)를 지지부(110)의 축선에 대해 이격시키면, 상부림(121)과 하부림(123)은 지지부(110)의 축선에 대해 외측으로 탄성변형이 일어나 옷걸이(100)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 때, 하부림(123)의 중앙영역은 지지부(110)의 축선을 따라 상부림(121)으로부터 하강하며, 상부림(121)과 하부림(123) 사이의 간격이 커지게 된다.
이에, 목부분을 포함한 전체가 통형상을 갖는 앞트임이 없는 옷 등을 옷걸이(100)에 걸때에는 한쌍의 아암부(115)를 지지부(110)의 축선에 대해 접근시켜 옷걸이(100)를 절첩하여 옷의 목부위를 통해 옷걸이(100)를 삽입한 후, 각 아암부(115)에 옷의 어깨부분이 걸쳐지도록 한쌍의 아암부(115)를 지지부(110)의 축선에 대해 이격시킴으로써, 앞트임이 없는 옷의 목부위의 변형을 방지하며 편리하게 옷을 걸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옷걸이(100)는 그 절첩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정면도 및 절첩된 상태의 정면도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옷걸이(200)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는 달리, 상부림(221)과 하부림(223) 사이에 마련되어 상부림(221)과 하부림(223)을 상호 연결하는 스프링부재(225)를 더 가진다.
스프링부재(225)는 지지부(210)의 축선상에 마련되며, 양단부가 상부림(221)과 하부림(223)에 지지되어 상부림(221)에 대해 탄성부세한다. 이에, 옷걸이(200)를 절첩하여 옷의 목부위를 통해 옷걸이(200)를 삽입한 후, 각 아암부(215)에 옷의 어깨부분이 걸쳐지도록 한쌍의 아암부(215)를 지지부(210)의 축선에 대해 이격시키면, 절첩되어 탄성변형된 옷걸이(200)가 스프링부재(225)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용이하게 복원된다.
여기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옷걸이(200)의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부림(221)과 하부림(223)을 둘러싸는 커버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옷걸이(200)를 절첩하기 위해 한쌍의 아암부(215)를 지지부(210)의 축선에 대해 접근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림(223)의 중앙영역은 지지부(210)의 축선을 따라 상부림(221)을 향해 상승하며, 상부림(221)과 하부림(223)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며, 동시에 스프링부재(225) 또한 압축된다.
반대로, 한쌍의 아암부(215)를 지지부(210)의 축선에 대해 이격시키면, 스프링부재(225)의 탄성력에 의해 하부림(223)의 중앙영역이 지지부(210)의 축선을 따라 상부림(221)으로부터 하강하여 상부림(221)과 하부림(223) 사이의 간격이 커지며, 옷걸이(200)는 절첩해제되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에 대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옷걸이(300)는,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지지부(310)의 축선방향을 따라 다수의 후크홈(333)이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판(331)과, 후크홈(333)에 걸림유지되며 하부림(323)의 승강을 제한하는 한쌍의 후크(345)를 더 가진다.
한쌍의 가이드판(331)은 판형상을 가지며, 스프링부재(325)를 사이에 두고 지지부(310)의 축선에 대해 평행을 이루며 상부림(321)의 양측에 편지지 결합되어 있다. 각 가이드판(331)은 지지부(310)에 결합되는 연결판(33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판(335)에는 지지부(310)가 결합되는 결합공(337)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가이드판(331)에는 판면으로부터 관통 형성된 다수의 후크홈(333)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후크홈(333)은 후술할 후크(345)가 용이하게 걸림유지 및 걸림해제 가능하게 판면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후크홈(333)의 크기가 축소되며 판면에 대해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후크(345)는 하부림(323)의 양측면으로부터 가이드판(331)을 향해 각각 돌출되어 있다. 각 후크(345)는 전술한 가이드판(331)의 후크홈(333)에 용이하게 걸림유지 및 걸림해제 가능하게 돌출된 양단부가 후크(345)의 이동방향을 따라 대향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옷걸이(300)는 가이드판(331)의 후크홈(333)을 후크(345)에 걸림유지 및 걸림해제시키는 한쌍의 레버(347)를 더 가진다. 각 레버(347)는 각 가이드판(331)의 일단부로부터 고리(311)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에, 한쌍의 레버(347)를 지지부(310)의 축선에 대해 접근시키면, 각 가이드판(331)의 하단부가 지지부(310)의 축선으로부터 이격하면서 후크(345)와 걸림유지된 후크홈(333)이 후크(345)로부터 이탈하여 하부림(323)의 승강을 제한해제하게 된다. 이로써, 한쌍의 가이드판(331)과 한쌍의 레버(347)는 전체적으로 집게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레버(347)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옷걸이(300)의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부림(321)과 하부림(323)을 둘러싸는 커버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옷걸이(300)를 절첩하기 위해 한쌍의 아암부(315)를 지지부(310)의 축선에 대해 접근시키면, 하부림(323)의 중앙영역은 지지부(310)의 축선을 따라 상부림(321)을 향해 상승하며, 상부림(321)과 하부림(323)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게 되고, 동시에 스프링부재(325) 또한 압축된다. 이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림(323)에 마련된 후크(345) 또한 가이드판(331)을 따라 상승하여 소정의 후크홈(333)에 걸림유지되어, 하부림(323)은 상부림(321)을 향해 더 이상 상승하지 않게 된다. 동시에, 상부림(321)과 하부림(323) 사이에 마련된 스프링부재(325)는 압축되어 상부림(321)에 대해 탄성부세하게 된다. 이로써, 한쌍의 아암부(315)는 지지부(310)의 축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한쌍의 레버(347)를 지지부(310)의 축선을 향해 접근시키면, 후크(345)에 걸림유지된 가이드판(331)의 후크홈(333)이 후크(345)로부터 이탈하면서 스프링부재(325)의 탄성력에 의해 하부림(323)의 중앙영역이 지지부(310)의 축선을 따라 상부림(321)으로부터 하강하여 상부림(321)과 하부림(323) 사이의 간격이 커지며, 옷걸이(300)는 절첩해제되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옷걸이가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옷걸이(400)는,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탄성부로서 지지부(410)의 축선방향을 따라 다수의 후크홈(433)이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판(431)과, 한쌍의 아암부(415)를 상호 연결하고 한쌍의 가이드판(431) 사이에 마련되어 승강하며 후크홈(433)에 걸림유지되는 한쌍의 후크(445)를 갖는 연결링크(441)와, 지지부(410)에 대해 탄성부세하는 스프링부재(425)를 가진다.
한쌍의 가이드판(431)은 판형상을 가지며, 스프링부재(425)를 사이에 두고 지지부(410)의 축선에 대해 평행을 이루며 지지부(410)의 양측에 편지지 결합되어 있다. 각 가이드판(431)은 지지부(410)에 결합되는 연결판(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 가이드판(431)에는 판면으로부터 관통 형성된 다수의 후크홈(433)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후크홈(433)은 후술할 후크(445)가 용이하게 걸림유지 및 걸림해제 가능하게 판면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후크홈(433)의 크기가 축소되며 판면에 대해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결링크(441)는 회동핀(443)에 의해 각 아암부(415)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한쌍의 가이드판(431)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링크(441)에는 각 가이드판(431)을 향해 돌출되어 전술한 가이드판(431)의 후크홈(433)에 걸림유지되는 한쌍의 후크(445)가 마련되어 있다. 각 후크(445)는 전술한 가이드판(431)의 후크홈(433)에 용이하게 걸림유지 및 걸림해제 가능하게 돌출된 양단부가 후크(445)의 이동방향을 따라 대향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부재(425)는 지지부(410)의 축선을 따라 각 가이드판(431) 사이에 마련되며, 양단부가 지지부(410)와 연결링크(441)에 지지되어 지지부(410)에 대해 탄성부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옷걸이(400)는, 각 가이드판(431)과 각 아암부(415) 사이에 마련되어 각 가이드판(431)의 외주면을 따라 승강하는 한쌍의 보조링크(451)와, 탄성부를 둘러싸는 커버(459)를 더 가진다.
각 보조링크(451)는 일단부가 고정핀(453)에 의해 커버(459)와 결합되고, 타단부가 회동핀(455)에 의해 아암부(415)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커버(459)는 옷걸이(400)의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탄성부를 둘러싸며, 각 보조링크(451)의 일단부와 고정핀(453)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옷걸이(400)를 절첩하기 위해 한쌍의 아암부(415)를 지지부(410)의 축선에 대해 접근시키면, 한쌍의 가이드판(431) 사이의 하부에 위치한 연결링크(441)가 가이드판(431) 사이를 따라 지지부(410)를 향해 상승하며, 지지부(410)와 연결링크(441)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게 되고, 동시에 보조링크(451) 또한 가이드판(431)의 외주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가이드판(431)의 외주면에 밀착된 보조링크(451)와 아암부(415)의 연결영역이 가이드판(431)으로부터 이격하게 된다. 이 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링크(441)에 마련된 후크(445) 또한 가이드판(431)을 따라 상승하여 소정의 후크홈(433)에 걸림유지되어, 연결링크(441)는 지지부(410)를 향해 더 이상 상승하지 않게 된다. 동시에, 지지부(410)와 연결링크(441) 사이에 마련된 스프링부재(425)는 압축되어 지지부(410)에 대해 탄성부세하게 된다. 이로써, 한쌍의 아암부(415)는 지지부(410)의 축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한쌍의 아암부(415)를 지지부(410)의 축선을 향해 접근시키면, 가이드판(431)의 후크홈(433)에 걸림유지된 연결링크(441)의 후크(445)가 후크홈(433)으로부터 이탈하면서 스프링부재(425)의 탄성력에 의해 연결링크(441)가 지지부(410)로부터 하강하여 지지부(410)와 연결링크(441) 사이의 간격이 커지며, 옷걸이(400)는 절첩해제되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고리를 갖는 지지부와 옷이 걸쳐지는 한쌍의 아암부 사이를 탄성지지하며, 각 아암부가 지지부의 축선에 대해 상호 접근 및 이격하도록, 즉 옷걸이가 절첩 및 절첩해제 가능하도록 탄성부를 마련함으로써, 옷걸이의 절첩구조를 단순화하고, 또한 앞트임이 없는 옷의 목부위의 변형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옷을 걸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앞트임이 없는 옷의 목부위의 변형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옷을 걸 수 있으며, 또한 옷걸이의 절첩구조를 단순화한 옷걸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옷걸이가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옷걸이가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결합사시도,
도 6은 도 5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의 옷걸이가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옷걸이의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옷걸이가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XI-XI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XII-X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300,400 : 옷걸이 110,210,310,410 : 지지부
111,211,311,411 : 고리 115,215,315,415 : 아암부
121,221,321 : 상부림 123,223,323 : 하부림
225,325,425 : 스프링부재 331,431 : 가이드판
333,433 : 후크홈 441 : 연결링크
345,445 : 후크 347 : 레버
451 : 보조링크 459 : 커버

Claims (10)

  1. 옷걸이에 있어서,
    상단부에 고리가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며 옷이 걸쳐지는 한쌍의 아암부와;
    양단부가 상기 아암부의 내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의 축선에 대해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각 아암부가 상기 지지부의 축선에 대해 상호 접근 및 이격하도록 탄성변형하는 상부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림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한쌍의 아암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림의 탄성변형에 따라 상기 상부림을 향해 승강하며 탄성변형하는 하부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림과 상기 하부림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림과 상기 하부림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상부림에 대해 탄성부세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림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의 축선방향을 따라 다수의 후크홈이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판과;
    상기 하부림으로부터 상기 가이드판을 향해 각각 돌출되어, 상기 후크홈에 걸림유지되며 상기 하부림의 승강을 제한하는 한쌍의 후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판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후크홈을 상기 후크에 걸림유지 및 걸림해제시키는 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림과 상기 하부림을 둘러싸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8. 옷걸이에 있어서,
    상단부에 고리가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며 옷이 걸쳐지는 한쌍의 아암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의 축선방향을 따라 다수의 후크홈이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판과, 상기 한쌍의 아암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한쌍의 가이드판 사이에 마련되어 승강하며 상기 가이드판을 향해 각각 돌출되어 상기 후크홈에 걸림유지되는 한쌍의 후크를 갖는 연결링크와, 상기 한쌍의 가이드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에 대해 탄성부세하는 스프링부재를 가지며, 상기 각 아암부가 상기 지지부의 축선에 대해 상호 접근 및 이격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판과 상기 아암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각 가이드판의 외주면을 따라 승강하는 한쌍의 보조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를 둘러싸며, 상기 각 보조링크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KR10-2002-0076597A 2002-12-04 2002-12-04 옷걸이 KR100515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597A KR100515154B1 (ko) 2002-12-04 2002-12-04 옷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597A KR100515154B1 (ko) 2002-12-04 2002-12-04 옷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663A KR20040048663A (ko) 2004-06-10
KR100515154B1 true KR100515154B1 (ko) 2005-09-16

Family

ID=37343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597A KR100515154B1 (ko) 2002-12-04 2002-12-04 옷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51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612A (ko) 2014-12-17 2016-06-27 이동헌 다용도 옷걸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197Y1 (ko) * 2017-12-06 2018-12-26 최현철 다기능 옷걸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2275U (ja) * 1992-03-10 1993-10-05 サンタニー株式会社 ハンガー
JPH0951842A (ja) * 1995-08-11 1997-02-25 Kazuyoshi Iwasaki 折り畳み式ハンガー
JPH1075873A (ja) * 1996-09-02 1998-03-24 Teruyuki Kaneshiro 衣服用ハンガー
KR200225726Y1 (ko) * 2001-01-12 2001-06-01 강광천 휨 성이 자유로운 옷걸이
JP2002051899A (ja) * 2000-08-10 2002-02-19 Nagabayashi Shoji Kk ハンガー
KR20020034719A (ko) * 2000-11-03 2002-05-09 안태진 절첩식 옷걸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2275U (ja) * 1992-03-10 1993-10-05 サンタニー株式会社 ハンガー
JPH0951842A (ja) * 1995-08-11 1997-02-25 Kazuyoshi Iwasaki 折り畳み式ハンガー
JPH1075873A (ja) * 1996-09-02 1998-03-24 Teruyuki Kaneshiro 衣服用ハンガー
JP2002051899A (ja) * 2000-08-10 2002-02-19 Nagabayashi Shoji Kk ハンガー
KR20020034719A (ko) * 2000-11-03 2002-05-09 안태진 절첩식 옷걸이
KR200225726Y1 (ko) * 2001-01-12 2001-06-01 강광천 휨 성이 자유로운 옷걸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612A (ko) 2014-12-17 2016-06-27 이동헌 다용도 옷걸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663A (ko) 200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5200A (en) Garment hanger
US20090039116A1 (en) Retractable clothes hanger
KR20040081170A (ko) 핀치-그립 행어
GB2422536A (en) Collapsible garment hanger
US20220117424A1 (en) Clothes hanger
KR100515154B1 (ko) 옷걸이
JPS62290415A (ja) コ−ト・ハンガ−
KR102323417B1 (ko) 접이식 옷걸이
JPS5812011B2 (ja) 衣服等のハンガ−
US11478097B2 (en) Collapsible hanger cover
KR20190066526A (ko) 복합 걸이
KR200373089Y1 (ko) 접이 옷걸이
KR102103510B1 (ko) 다림질용 행거
KR20220069470A (ko) 탄성 접이식 옷걸이
KR200307010Y1 (ko) 옷걸이
KR20020034719A (ko) 절첩식 옷걸이
JP4768772B2 (ja) 衣服ハンガー
KR200449239Y1 (ko) 세탁물 건조대의 접이식 받침대
KR200170069Y1 (ko) 다용도 옷걸이
KR102573912B1 (ko) 편의성이 향상된 옷걸이
KR100504025B1 (ko) 빨래건조대의 걸이대의 결합구조
JPH0327494Y2 (ko)
JPH08215018A (ja) 多段式ハンガー
KR960006328Y1 (ko) 옷걸이
JPS62727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