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6526A - 복합 걸이 - Google Patents

복합 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6526A
KR20190066526A KR1020180048162A KR20180048162A KR20190066526A KR 20190066526 A KR20190066526 A KR 20190066526A KR 1020180048162 A KR1020180048162 A KR 1020180048162A KR 20180048162 A KR20180048162 A KR 20180048162A KR 20190066526 A KR20190066526 A KR 20190066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hook
hooking
extending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6447B1 (ko
Inventor
홍승우
Original Assignee
홍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684746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9006652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홍승우 filed Critical 홍승우
Priority to PCT/KR2018/01453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12216A1/ko
Publication of KR20190066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8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8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7G25/30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to prevent slipping-off of the clothe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걸이가 제공된다. 상기 복합 걸이는 후크부; 일단이 상기 후크부의 타단과 연결되되, 상기 후크부의 타단에 대해 수직 또는 하향 경사진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측이 외부로 개방된 행거 공간을 정의하는 상기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연결부 측 일단에는 일단에는 제1 걸이부가 형성되며, 의류 또는 관련 용품을 상기 행거 공간을 통해 상기 제2 연장부에 거치하거나, 상기 제1 걸이부를 통해 거치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걸이{HANGER}
본 발명은 옷걸이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류 및 관련 용품들의 용이한 거치 및 보관을 가능하게 하는 복합 걸이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각종 상의나 하의 등은 구김을 방지하면서도 많은 옷가지를 효과적으로 보관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옷걸이를 사용하게 된다. 옷걸이는 통상적으로 상의를 걸어 두기 위한 상의 걸이, 하의를 걸어 두기 위한 하의 걸이, 상의와 하의를 모두 걸어 둘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하의 걸이로 구분될 수 있다.
이들 중 상의 걸의는 중앙에 상측으로 걸이구가 구비되고, 걸이구 일단으로부터 양 측으로 경사지게 상의의 어깨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하의 걸이는 중앙에 상측으로 걸이구가 구비되고 양측 하단에 하의를 고정하기 위한 집게를 복수 개를 형성하거나, 하부에 막대 형상의 수평 지지부를 구성하고 이에 하의를 걸어두도록 구성되고, 상하의 걸이는 상의 걸이에 하의 걸이의 집게 구성 또는 막대 형상의 수평 지지부를 단순 부가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옷걸이는 외투, 셔츠, 니트 등의 상의와 바지, 치마 등과 같은 하의만을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상, 하의와 함께 착용/활용하는 관련 용품들(예를 들어, 벨트, 양말, 등)을 별도로 다른 장소에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러므로, 옷걸이에 있어 상의 및/또는 하의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용품을 복합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옷걸이에 대한 요구가 당업계에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걸이부를 통해 의류 및 관련 용품들을 용이하게 거치 및 보관 가능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하는 복합 걸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걸이가 제공된다. 상기 복합 걸이는 후크부; 일단이 상기 후크부의 타단과 연결되되, 상기 후크부의 타단에 대해 수직 또는 하향 경사진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측이 외부로 개방된 행거 공간을 정의하는 상기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연결부 측 일단에는 일단에는 제1 걸이부가 형성되며, 의류 또는 관련 용품을 상기 행거 공간을 통해 상기 제2 연장부에 거치하거나, 상기 제1 걸이부를 통해 거치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걸이부는 선단이 상기 상측을 향하도록 구부러져 걸이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연장부의 타단에는 제2 걸이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걸이부 및 상기 제2 걸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에는 거치된 의류 또는 관련 용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연장부의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상기 제1 걸이부 및 상기 제2 걸이부를 통한 의류 또는 관련 용품의 거치를 보조하는 제3 걸이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걸이부, 상기 제2 걸이부 및 상기 제3 걸이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의류를 동시 거치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크부는 철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연장부, 상기 연결부, 상기 제2 연장부, 상기 제1 걸이부, 상기 제2 걸이부 및 상기 제3 걸이부는 목재를 활용하여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크부, 상기 제1 연장부, 상기 연결부, 상기 제2 연장부, 상기 제1 걸이부, 상기 제2 걸이부 및 상기 제3 걸이부는 목재 또는 플라스틱을 활용하여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연장부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거치되는 하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 패드가 커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연장부는 양단 중 적어도 하나가 중심부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적어도 일 영역이 상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연장부의 곡률 및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 사이의 간격이 소정의 범위 이내가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타단을 통해 상의가 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연결부의 연결 부위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되, 선단 중 적어도 일면이 상기 제1 걸이부에 대향하여 하측을 향하도록 굴곡되는 제3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연장부의 타단에는 제2 걸이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제2 걸이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타단 중 적어도 일 영역이 주변 영역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거나, 두께가 두껍게 구성되거나, 내측으로 함몰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류뿐만 아니라 관련 용품들의 용이한 거치 및 보관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 측 또는 중앙에 구비된 제1, 제2 걸이부 및/또는 제3 걸이부를 통해 의류 거치를 수행함으로써, 복수개의 집게를 하나씩 눌러주어 의류를 거치하는 종래 방식에 비해 보다 신속하게 의류를 거치할 수 있으며, 집게 자국 등 의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제2 걸이부 및/또는 제3 걸이부를 통해 반으로 접기 어려운 짧은 팬츠 등을 쉽게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연장부에서 집게의 면적이 생략되기에 좌-우 공간을 더 넓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니트 등 전면이 개방되지 않은 상의에 대해서도 목 부위를 통해 복합 걸이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가 보다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장부의 각도, 제2 연장부의 곡률 및/또는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제한하여 복합 걸이 자체의 크기를 최소화 함으로써, 복합 걸이의 보관이 보다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제2 걸이부 및/또는 제3 걸이부를 이용한 하의 거치뿐만 아니라 제2 연장부에 의류를 접어 추가적으로 거치 가능하게 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걸이를 행거 등에 거는 경우 사용자를 향하여 제1 걸이부가 돌출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이러한 제1 걸이부에 추가적인 생활소품을 거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보다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걸이를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걸이의 사용 예시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걸이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걸이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걸이를 도시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걸이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걸이의 사용 예시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걸이를 도시한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복합 걸이(100)는 후크부(110)와, 제1 연장부(120)와, 연결부(130)와, 제2 연장부(14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합 걸이(100)는 상의, 하의 등의 의류뿐만아니라 벨트, 넥타이, 가방 등 이와 관련된 다양한 용품 또는 소품을 거치하기 위한 옷걸이를 지칭할 수 있다.
후크부(110)는 복합 걸이(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예를 들어, 행거 등의 대상물에 결합됨으로써, 복합 걸이(100)를 대상물에 거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후크부(110)는 일단이 공중에 개방된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행거는 소정의 길이의 바(bar)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도 1a 내지 도 1c에서는 후크부(110)의 개방 방향이 연결부(130)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후크부(110)의 개방 방향이 연결부(130)를 향하도록 구성되는 등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1 연장부(120)는 그 일단이 후크부(110)의 타단과 연결되고, 후크부(110)의 타단과 수직 또는 이로부터 하측 경사진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와 같이, 제1 연장부(120)가 연장되는 제1 방향을 지면과 평행하게 구현하거나, 또는, 도 1c와 같이 후크부(110)의 타단으로부터 우측 하부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 각도 범위 내로 기울어지게 구현함으로써, 거치되는 의류 등의 치우침(쏠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130)는 제1, 제2 연장부(140)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연결부(130)는 일 단이 제1 연장부(120)와 결합되고 타단이 제2 연장부(140)와 결합되어, 양자를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연장 길이를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연장부(120)와 연결부(130)가 연결되는 결합 영역은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굽어지게 형성될 수 있고, 굽은 형상을 갖는 결합 영역의 두께는 제1 연장부(120)의 두께 및/또는 연결부(130)의 두께보다 더 클 수 있다. 그에 따라, 결합 영역(즉, 굽힘 영역)에서의 하의에 대한 하중 지지력이 보다 강화될 수 있다.
제2 연장부(140)는 그 일단이 연결부(130)의 타단과 연결되고, 연결부(130)로부터 제1 연장부(120)와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연장부(120)와 제2 연장부(140)는 연결부(130)를 통해 이격 배치되어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구현되거나, 도 1c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정의 범위 내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장부(120), 연결부(130) 및 제2 연장부(140)의 연결 구조에 의하여, 복합 걸이(100)의 중앙 영역에는 일측이 외부로 개방된 행거 공간(170)이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제2 연장부(140)의 연장 길이는 제1 연장부(120)의 연장 길이보다 더 클 수 있고, 제2 연장부(140)가 연장되는 제2 방향이 지면과 평행하게 구현됨으로써, 거치되는 하의의 치우침(쏠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장부(140)의 상면은 그 중앙 영역이 주변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더 두꺼운 형상을 가지며, 그에 따라 제2 연장부(140)의 상면에 거치되는 하의에 대한 지지력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연결부(130)와 제2 연장부(140)가 연결되는 결합 영역은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굽어지게 형성될 수 있고, 굽은 형상을 갖는 결합 영역의 두께는 연결부(130)의 두께 및/또는 제2 연장부(140)의 두께보다 더 클 수 있다. 그에 따라, 결합 영역(즉, 굽힘 영역)에서의 하의에 대한 하중 지지력이 보다 강화될 수 있다.
복합 걸이(100)는 제2 연장부(140)에 형성되는 제1 걸이부(151), 제2 걸이부(152) 및/또는 제3 걸이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이부(151) 및 제2 걸이부(152)는 제2 연장부(14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30) 측 일단에 제1 걸이부(151)가 형성되고, 연결부(130)와 반대 측 일단에 제2 걸이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술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제1 걸이부(151) 및 제2 걸이부(152)를 통해 하의가 펼쳐진 상태로 복합 걸이(100)에 거치될 수 있다(도 2a 참조)
제1 걸이부(151)는 연결부(130)와 제2 연장부(140)의 결합 영역으로부터 선단이 상측을 향하도록 구부러지도록 형성되어 연결부(130)의 외측면과 함께 걸이 공간(180)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걸이부(151)는 연결부(130)와 제2 연장부(140)의 결합 영역으로부터 U자 형태로 굽어져 형성됨으로써 생활 용품의 거치를 용이하게 하는 걸이 공간(18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2 걸이부(152)는, 이하 상술되는 바와 같이, 의류 등을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하기 위하여, 제2 연장부(140)의 일단(연결부(130)의 반대 측 일단)의 적어도 일 영역이 주변 영역보다 상부 측으로 돌출되거나, 두께가 두껍게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내측으로 함몰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제3 걸이부(153)는 제2 연장부(140)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걸이부(153)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연장부(140)의 중앙 부분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3 걸이부(153)는 복수개가 제2 연장부(14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등,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걸이부(153)에 하의의 상부 측에 구비된 벨트 고리 중 일부가 추가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제1 걸이부(151) 및 제2 걸이부(152)를 통한 하의의 거치를 보조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복합 걸이(100)는 후크부(110)가 철제로 구성될 수 있고, 그리고 제1 연장부(120), 연결부(130), 제2 연장부(140), 제1 걸이부(151), 제2 걸이부(152) 및 제3 걸이부(153)가 목재를 활용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복합 걸이(100-1, 100-2)의 전체 구성이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그 재질은 목재, 플라스틱, 경금속 등일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하면, 복합 걸이(100-1, 100-2)를 구성하는 후크부(110), 제1 연장부(120), 연결부(130), 제2 연장부(140), 제1 걸이부(151), 제2 걸이부(152) 및 제3 걸이부(153)는 목재, 플라스틱, 경금속 등의 재료를 기반으로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걸이의 사용 예시를 도시한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 걸이부(151), 제2 걸이부(152) 및/또는 제3 걸이부(153)를 통해 하의(10-1)를 복합 걸이(100)에 거치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걸이부(151) 및 제2 걸이부(152)에 하의(10-1)의 상부 측에 형성되는 벨트 고리를 적용하거나, 추가적으로 제3 걸이부(152)에 벨트 고리를 더 적용함으로써, 하의(10-1)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참고로, 여기서는 3개의 걸이부(151, 152, 153)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지만, 복합 걸이(100)에 상이한 개수의 걸이부가 구현되어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2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하의(10-1) 또는 상의(특히, 니트 종류)를 대략 절반으로 접은 상태에서 그 접힌 영역을 제2 연장부(140)의 상면에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하의(10-1) 또는 상의를 거치할 수 있다.
더하여, 도 2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거치된 하의(10-1) 또는 상의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영역인 제2 연장부(140) 및/또는 제1 걸이부(151)에 대한 추가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즉, 예를 들어, 도 2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2 연장부(140)의 상면에 하의(10-1)를 접어 거치하고, 남는 제2 연장부(140)의 상면 공간에 양말(30)을 추가적으로 거치하거나, 상측으로 굽어진 제1 걸이부(151)에 벨트(20), 넥타이 등을 걸어 거치하는 등의 방식으로, 추가적인 용품 또는 소품을 용이하게 더 거치 및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2c에는 제2 연장부(140)의 상면에 하의(10-1)를 거치한 상태에서 다른 용품을 추가적으로 거치하는 예시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2a와 같이, 제1 걸이부(151), 제2 걸이부(152) 및/또는 제3 걸이부(153)를 통해 하의(10-1)를 거치한 상태에서, 다른 용품을 추가적으로 거치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걸이(100)는 제1 걸이부(151), 제2 걸이부(152) 및/또는 제3 걸이부(153)를 통해 하의(10-1)를 거치하고, 추가적으로 제2 연장부(140)의 상면에 하의(10-1) 또는 상의를 거치하는 방식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걸이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걸이는 하의(10-1) 또는 상의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의(10-1) 또는 상의를 대략 절반으로 접은 상태에서 그 접힌 영역을 제2 연장부(140)의 상면에 거치하면, 하의(10-1) 또는 상의의 중심이 맞지 않거나,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하의(10-1) 또는 상의가 미끄러져서 복합 걸이(100)로부터 이탈 및 낙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미끄럼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복합 걸이(100)와 하의(10-1) 또는 상의가 접촉하는 영역에 미끄럼방지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미끄럼방지 수단의 다양한 구현 예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다.
미끄럼방지 수단에 관한 제1 실시예로서,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합 걸이는 제2 연장부(14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미끄럼방지 패드(16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미끄럼방지 패드(161)는 제2 연장부(140)의 상면에 거치되는 하의(10-1) 또는 상의의 미끄러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끄럼방지 패드(161)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마찰력이 높고 가벼운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로, 미끄럼방지 수단에 관한 제2 실시예로서,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합 걸이는 제2 연장부(14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미끄럼방지 돌기(162)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미끄럼방지 돌기(162)는 제2 연장부(140)의 상면에 거치되는 하의(10-1) 또는 상의의 미끄러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끄럼방지 돌기(162)는 제2 연장부(140)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로드(162-1)(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연장부(140)의 상면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V-형 로드를 구성할 수 있음)와 로드(162-1)의 말단에 연결되어 거치되는 하의(10-1) 또는 상의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체(162-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지지체(162-2)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마찰력이 높고 가벼운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로, 미끄럼방지 수단에 관한 제3 실시예로서, 도 3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합 걸이는 탈착 수단(121)을 통해 제1 연장부(120)의 저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연결부(130)의 내측면에 형성된 레일(131)을 따라 제2 연장부(140)의 상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보조바(1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바(163)는 제2 연장부(140)의 상면에 거치되는 하의(10-1) 또는 상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하중이 높은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3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연장부(140)에 하의(10-1) 또는 상의가 거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탈착 수단(121)을 통해 제1 연장부(120)의 저면에 결합시키고, 제2 연장부(140)에 하의(10) 또는 상의가 거치되는 경우에는 제1 연장부(120)의 저면으로부터 보조바(163)를 결합 해제하고 연결부(130)의 내측면에 형성된 레일(131)을 따라 제2 연장부(140)의 상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거치되는 하의(10-1) 또는 상의를 압박함으로써 이탈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걸이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복합 걸이(400-1, 2)의 제1 걸이부(451-1, 2)는 선단이 상측으로 구부러진 형태가 아니라 제2 연장부(440)의 일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앞서 상술한 방식과 동일하게 제1 걸이부(451-1, 2) 및 제2 걸이부(452-1, 2)를 통해 하의를 복합 걸이(400)에 거치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서, 제1 걸이부(451-2) 및 제2 걸이부(452-2)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에는, 도 4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요철부(45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요철부(454)는, 예를 들어, 복수의 돌기가 제1 걸이부(451-2) 및/또는 제2 걸이부(452-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합 걸이(400-2)는 외부 충격 등에도 보다 안정적으로 의류 또는 관련 용품을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걸이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복합 걸이(500)의 제1 걸이부(551), 제2 걸이부(552) 및 제3 걸이부(553)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걸이부(551), 제2 걸이부(552) 및 제3 걸이부(553)는 모두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로 동일한 개수를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제1 걸이부(551), 제2 걸이부(552) 및 제3 걸이부(553)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 2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의 제1 걸이부(551), 제2 걸이부(552) 및 제3 걸이부(553)에 각각 하나의 하의(10-1)를 적용하여, 동시에 복수의 하의(10-1)를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사용자는 복수로 구현된 제1 걸이부(551)를 통해 보다 다수의 생활용품을 동시에 거치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걸이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복합 걸이(600)는 제1 연장부(610)가 후크부(610)의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하향 경사진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연장부(640)는 양단 증 적어도 하나가 중심부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적어도 일 영역이 상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연장부(640)는 양단이 모두 중심부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중심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굽어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장부(610)의 경사 각도, 제2 연장부(640)의 곡률 및 제1 연장부(620)와 제2 연장부(640) 사이의 간격은 복합 걸이(600)가 제1 연장부의 상면과 제2 연장부의 타단(즉, 연결부(630)의 반대측 일단)을 통해 상의를 거치할 수 있도록 소정의 범위내로 제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합 걸이(600)은 제1 연장부9620)와 상기 연결부(630)의 연결 부위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 연장부(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연장부(660)는 제1 연장부9620)와 상기 연결부(630)의 연결 부위로부터 제1 방향으로 제1 걸이부(651)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돌출될 수 있으며, 제3 연장부(660)의 선단 중 적어도 일면이 제1 걸이부(651)에 대향하여 하측으로 굴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3 연장부(660)의 상면을 하측으로 굴곡지게 형성하는 경우, 복합 걸이(600)를 이용한 니트 등의 상의 거치 시, 상의가 늘어나거나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복합 걸이(600)에서 있어서, 제2 연장부(640)에 타단 중 적어도 일 영역이 주변 영역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거나, 두께가 두껍게 구성되거나, 내측으로 함몰됨으로써 제2 걸이부(652)가 더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걸이의 사용 예시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복합 걸이(600)를 이용하여 상의(10-2)를 펼쳐진 상태로 거치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니트 등의 전면이 개방되지 않은 상의(10-2)에 대해서도 상의(10-2)의 목 부위를 통해 복합 걸이(600)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상의(10-2)에 대한 거치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복합 걸이(600)의 개방된 일측을 하방으로 기울여 제2 연장부(640)를 상의(10-2)의 목 부위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복합 걸이(600)의 개방된 공간을 통해 제2 연장부(640)를 충분히 깊숙하게 상의(10-2)의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상의(10-2)의 목 부위가 늘어나는 위험없이 용이하게 복합 걸이(600)의 양측을 상의(10-2) 내부로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7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합 걸이(600)의 양측이 모두 상의(10-2)에 삽입되면, 제1 연장부(620)의 상면과 제2 연장부(640)의 타단(즉, 연결부(630)의 반대측 일단)에 의해 상의(10-2)가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후크부(610)를 행거 등의 대상물에 걸어 상의(10-2)를 거치 및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셔츠 등의 전면이 개방된 상의(10-2)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걸이(600)를 통해 거치 가능하며, 제2 연장부(640)의 상면을 통해 하의(10-1) 또는 상의(10-2)를 접어서 거치하거나, 하의(10-1) 또는 관련 용품을 제1, 제2, 제3 걸이부(651, 652, 653)을 통해 거치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400-1,2, 500, 600: 복합 걸이 110, 610: 후크부
120, 620: 제1 연장부 121: 탈착 수단
130: 연결부 131: 레일
140, 440, 640: 제2 연장부 151, 451-1,2, 551, 651: 제1 걸이부
152, 452-1,2, 552, 652: 제2 걸이부 153, 553: 제3 걸이부
161: 미끄럼방지 패드 162: 미끄럼방지 돌기
162-1: 로드 162-2: 지지체
163: 보조바 170: 행거 공간
180: 걸이 공간 454: 요철부
660: 제3 연장부 10-1: 하의
10-2: 상의 20: 벨트
30: 양말

Claims (13)

  1. 옷걸이로서,
    후크부;
    일단이 상기 후크부의 타단과 연결되되, 상기 후크부의 타단에 대해 수직 또는 하향 경사진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측이 외부로 개방된 행거 공간을 정의하는 상기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연결부 측 일단에는 제1 걸이부가 형성되며,
    의류 또는 관련 용품을 상기 행거 공간을 통해 상기 제2 연장부에 거치하거나, 상기 제1 걸이부를 통해 거치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복합 걸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이부는 선단이 상기 상측을 향하도록 구부러져 걸이 공간을 정의하는, 복합 걸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의 타단에는 제2 걸이부가 더 형성되는, 복합 걸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이부 및 상기 제2 걸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에는 거치된 의류 또는 관련 용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요철부가 형성되는, 복합 걸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의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상기 제1 걸이부 및 상기 제2 걸이부를 통한 의류 또는 관련 용품의 거치를 보조하는 제3 걸이부가 더 형성되는, 복합 걸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이부, 상기 제2 걸이부 및 상기 제3 걸이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의류를 동시 거치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로써 형성되는, 복합 걸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철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연장부, 상기 연결부, 상기 제2 연장부, 상기 제1 걸이부, 상기 제2 걸이부 및 상기 제3 걸이부는 목재를 활용하여 일체로 구성되는, 복합 걸이.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 상기 제1 연장부, 상기 연결부, 상기 제2 연장부, 상기 제1 걸이부, 상기 제2 걸이부 및 상기 제3 걸이부는 목재 또는 플라스틱을 활용하여 일체로 구성되는, 복합 걸이.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거치되는 의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 패드가 커버되는, 복합 걸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는 양단 중 적어도 하나가 중심부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적어도 일 영역이 상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복합 걸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의 곡률 및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 사이의 간격이 소정의 범위 이내가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타단을 통해 상의가 거치되는, 복합 걸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연결부의 연결 부위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되, 선단 중 적어도 일면이 상기 제1 걸이부에 대향하여 하측을 향하도록 굴곡되는 제3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복합 걸이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의 타단에는 제2 걸이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제2 걸이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타단 중 적어도 일 영역이 주변 영역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거나, 두께가 두껍게 구성되거나, 내측으로 함몰됨으로써 형성되는, 복합 걸이.
KR1020180048162A 2017-12-05 2018-04-25 복합 걸이 KR102116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4535 WO2019112216A1 (ko) 2017-12-05 2018-11-23 복합 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65714 2017-12-05
KR1020170165714 2017-1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526A true KR20190066526A (ko) 2019-06-13
KR102116447B1 KR102116447B1 (ko) 2020-05-28

Family

ID=66847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162A KR102116447B1 (ko) 2017-12-05 2018-04-25 복합 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4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993Y1 (ko) * 2019-06-14 2020-02-04 이현봉 구김방지기능을 구비한 바지걸이
KR20230037783A (ko) * 2021-09-10 2023-03-17 (주)아이지베스트 의류변형방지용 옷걸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5079U (ja) * 1983-10-13 1985-05-08 住田 富孝 ハンガ−
CN2069233U (zh) * 1990-04-20 1991-01-16 王德坤 游卡式防风衣架
CN2465604Y (zh) * 2001-01-15 2001-12-19 成正元 宽肩衣架
JP2007325654A (ja) * 2006-06-06 2007-12-20 Suruga Co Ltd 衣料用ハンガー
KR20120009286A (ko) * 2010-07-23 2012-02-01 박만식 바지 걸이용 옷걸이
KR20120086524A (ko) * 2011-01-26 2012-08-03 (주)두원녹스 옷걸이
CN204813223U (zh) * 2015-08-20 2015-12-02 张冠华 一种防衣物领口变形的便捷衣架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5079U (ja) * 1983-10-13 1985-05-08 住田 富孝 ハンガ−
CN2069233U (zh) * 1990-04-20 1991-01-16 王德坤 游卡式防风衣架
CN2465604Y (zh) * 2001-01-15 2001-12-19 成正元 宽肩衣架
JP2007325654A (ja) * 2006-06-06 2007-12-20 Suruga Co Ltd 衣料用ハンガー
KR20120009286A (ko) * 2010-07-23 2012-02-01 박만식 바지 걸이용 옷걸이
KR20120086524A (ko) * 2011-01-26 2012-08-03 (주)두원녹스 옷걸이
CN204813223U (zh) * 2015-08-20 2015-12-02 张冠华 一种防衣物领口变形的便捷衣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993Y1 (ko) * 2019-06-14 2020-02-04 이현봉 구김방지기능을 구비한 바지걸이
KR20230037783A (ko) * 2021-09-10 2023-03-17 (주)아이지베스트 의류변형방지용 옷걸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6447B1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4900B2 (en) Portable hanger for purse
JP2006280957A (ja) コーディネイトループハンガーのツーピースデザイン
KR20190066526A (ko) 복합 걸이
KR100641879B1 (ko) 행거
KR101560152B1 (ko) 접이식 옷걸이
KR200354714Y1 (ko) 세탁물 건조걸이
KR102199669B1 (ko) 옷걸이
KR20110004673U (ko) 옷걸이
KR102570683B1 (ko) 의류변형방지용 옷걸이
US20160081507A1 (en) A clothes hanger
KR101793484B1 (ko) 복합 걸이
JP5783350B2 (ja) 物干し器
KR20120009286A (ko) 바지 걸이용 옷걸이
GB2457330A (en) Elongate coat hanger support with perpendicular hooks
WO2019112216A1 (ko) 복합 걸이
US20180184829A1 (en) Garment Hanger
JP3158192U (ja) 衣料用ハンガー
KR101151903B1 (ko) 옷걸이
US7357281B2 (en) Clothes hanger with pants holding device
KR200340582Y1 (ko) 바지걸이 겸용 옷걸이
KR20090022349A (ko) 빨래건조대의 걸이봉
KR200287318Y1 (ko) 정장바지용 옷걸이
KR20220001827U (ko) 다용도 옷걸이
FR2678153A1 (fr) Porte-vetements a usage multiple et methode d'utilisation et de realisation.
KR101159827B1 (ko) 옷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1994;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00702

Effective date: 2020112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199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701

Effective date: 20210121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7654;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01223

Effective date: 20210909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300010947;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930

Effective date: 2021123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3000000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110

Effective date: 20220126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300010930;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10930

Effective date: 2022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