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152B1 - 접이식 옷걸이 - Google Patents

접이식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152B1
KR101560152B1 KR1020130146389A KR20130146389A KR101560152B1 KR 101560152 B1 KR101560152 B1 KR 101560152B1 KR 1020130146389 A KR1020130146389 A KR 1020130146389A KR 20130146389 A KR20130146389 A KR 20130146389A KR 101560152 B1 KR101560152 B1 KR 101560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ring
hook
hol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1961A (ko
Inventor
임상철
임상보
임상희
Original Assignee
임상희
임상철
임상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희, 임상철, 임상보 filed Critical 임상희
Priority to KR1020130146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152B1/ko
Publication of KR20150061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0Collapsible hanger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접이식 옷걸이를 통하여 목이 좁은 상의의 옷걸이 삽입 시 상의의 목부분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넥타이 또는 스카프 등 장신구을 거치할 수 있는 편의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의류 안에 삽입되어 상기 의류를 지지할 수 있는 옷걸이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는 예각을 가진 제1몸체와 제2몸체로 이루어지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상측 일단이 탈착 가능하고, 하측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측 일단이 해제되며 하측이 회동하여 접혀지되, 상기 제2몸체 상단에는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고리와, 상기 고리를 지지하며 상기 고리가 단방향으로만 회동하도록 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고리의 기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식 옷걸이{foldable hanger}
본 발명은 접이식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옷걸이 상단이 분리되며 하단이 접혀 목이 좁은 상의 목부분의 손상이나 변형없이 삽입이 가능하며 상의 외 하의 및 넥타이 또는 스카프 등 장신구도 거치할 수 있는 접이식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걸이는 의류를 펼친 상태로 걸어 옷장 등에 걸어서 수납, 세탁 후 옷의 건조, 다리미질을 한 옷을 보관, 매장에서의 진열, 또는 탈의된 옷을 걸어 보관시키는 경우 등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옷걸이는 철심에 비닐을 피복시킨 와이어를 이용하거나, 합성수지를 이용한 사출물 구조로 제조되거나, 상의는 물론 바지 등을 동시에 걸기 위하여 하방에 수평의 가로대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양단에 집게를 구성하여 특히 바지류를 용이하게 걸을 수 있게 하는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옷걸이 중에는 의류 중 상의 즉, 와이셔츠나 목부분이 둥근 라운드 티 등이 걸리도록 하는 상의걸이용 옷걸이가 있다. 이러한 옷걸이는 하의 보다는 주로 상의를 걸어두기에 적합하도록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삼각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옷걸이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앞트임이 없거나 목이 좁은 상의의 경우에는 옷걸이의 삽입을 위해 목부분을 강제로 늘려 상의 내에 삽입해야 하므로 상의의 목부분이 과도하게 늘어나거나 형태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불편은 옷걸이에 옷을 걸 때는 물론 옷걸이로 부터 옷을 빼낼 경우에도 발생되고, 특히 많은 옷걸이를 수시로 사용하는 의류매장이나 세탁소 등지에서는 상기와 같은 요인에 의해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것은 물론 옷의 변형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많은 시도가 있었으며,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6762호 "접이식 옷걸이"(이하 인용발명)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되었다.
상기 인용발명은 접이식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및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와 케이스(2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고리부(30)와, 케이스(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리부(30)에 연결되어 상기 고리부(30)의 승하강에 의해 회동되는 제1 및 제2 상의걸이부재(40, 50)와, 제1 및 제2 상의걸이부재(40, 50)에 양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및 제2 상의걸이부재(40, 50)의 회동에 의해 접철되는 바지걸이부(60)를 구비하여 상의의 목부분을 늘이지 않고 상의를 걸거나 뺄 수 있으며 바지걸이부(60)가 마련되어 상의 뿐만 아니라 바지도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인용발명은 구성이 매우 많고 다수의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어 제조상의 복잡함이 존재하며 이로 인한 단가의 상승 요인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옷걸이의 하단이 접철되어 앞트임이 없거나 목이 좁은 상의의 목부분을 강제로 늘리지 않은 상태에서 삽입할 수 있음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며 볼트, 너트 등이 필요없이 옷걸이 자체로 결합이 가능하고 상의 외 하의 및 장신구를 거치할 수 있는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접이식 옷걸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접이식 옷걸이는 의류 안에 삽입되어 상기 의류를 지지할 수 있는 옷걸이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는 예각을 가진 제1몸체와 제2몸체로 이루어지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상측 일단이 탈착 가능하고, 하측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측 일단이 해제되며 하측이 회동하여 접혀지되, 상기 제2몸체 상단에는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고리와, 상기 고리를 지지하며 상기 고리가 단방향으로만 회동하도록 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옷걸이가 접철가능하여 앞트임이 없거나 목이 좁은 상의의 옷걸이 삽입 시 상의의 목부분을 과도하게 늘리거나 목부분의 형태를 변형하지 않아도 삽입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단순한 결합을 채택하여 제작의 용이함을 얻을 수 있어 제조단가의 하락을 기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의 외의 하의 및 넥타이 또는 스카프등 장신구을 거치할 수도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덧붙여 고리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한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 및 2 는 인용발명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몸체와 제2몸체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고리와 체결구멍이 해제되어 끼움돌기를 통해 회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몸체와 제2몸체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몸체와 제2몸체 및 고리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고리와 체결구멍 및 고리와 제2몸체의 결합과 걸림돌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도,
도 8 은 및 9 는 본 발명이 동작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 은 본 발명에 장신구가 거치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 내지 14 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에서는 앞트임이 없거나 목이 좁은 상의에 목부분을 과도하게 늘리지 않아도 옷걸이의 삽입이 가능함을 확보하기 위하여, 의류 안에 삽입되어 상기 의류를 지지할 수 있는 옷걸이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는 예각을 가진 제1몸체와 제2몸체로 이루어지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상측 일단이 탈착 가능하고, 하측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측 일단이 해제되며 하측이 회동하여 접혀지되, 상기 제2몸체 상단에는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고리와, 상기 고리를 지지하며 상기 고리가 단방향으로만 회동하도록 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고리의 기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옷걸이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접이식 옷걸이는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14 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접이식 옷걸이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
Figure 112013108982141-pat00001
' 형상으로 결합된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와 상기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 상단에 형성된 고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는 예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 상단의 고리(300)가 몸체에 결합된 부근에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각각 체결고리(110)와 체결구멍(210, 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고리(110)의 일단은 상기 제1몸체와 접하며 타단은 상기 체결구멍에 끼워질 수 있도록 턱의 형태로 크기와 모양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고리(110)의 일단과 타단을 잇는 중간부분은 타단에 턱으로 형성된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고리(110)가 체결구멍(210)에 끼워진 후 빠질 수 없도록 형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체결고리(110)를 체결구멍(210)에 끼움으로서 각 몸체를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할 수도 있다. 도 4 에는 체결고리(110)가 제1몸체(100) 상단에 형성되어 있고, 체결구멍(210)이 제2몸체(200) 상단에 형성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체결고리(110)가 제2몸체(200)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멍(210)이 제1몸체(100) 상단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의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가 결합되는 하단부를 보면, 상기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의 하단에는 끼움돌기(120)가 끼움구멍(220, 미도시)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체결고리(110)와 체결구멍(210)이 해제되었을 시 아래쪽 방향으로 회동하여 접혀질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끼움돌기(120)와 끼움구멍(220)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는 상기 '
Figure 112013108982141-pat00002
' 형상으로 결합된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 하단의 중심에 등분되도록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비대칭적으로 제1몸체(100)에 좀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으며, 또한 제2몸체(200)에 좀더 가깝게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끼움돌기(120)와 끼움구멍(220)이 상기 제2몸체(200)에 좀더 가깝게 위치하게 되면 상기 끼움돌기(120)와 끼움구멍(220)을 통해 회동하여 접히는 과정이 좀더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된 상기 체결고리(110)와 체결구멍(210)을 해제한 후 제2몸체(200)를 오른쪽에 두고 오른손으로 상기 제2몸체(200)를 쥐게 되었을 때, 제1몸체(100)의 하단이 제2몸체(200)의 하단보다 길기 때문에 제2몸체(200)에 비하여 제1몸체(100)가 좀더 무거워 중력의 영향을 받는 것과 동시에 무게중심의 영향으로 아래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더 용이한 것이다.
도 5 및 6 은 본 발명의 모습과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고리(110)와 끼움돌기(120)를 통해 각각 몸체의 상단과 하단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몸체 상단에 고리(30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몸체의 상단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고리(110)와 체결구멍(210)을 통해 끼움결합되며, 상기 몸체의 하단은 끼움돌기(120)와 끼움구멍(220)을 통해 회동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된다.
상기 끼움돌기(120)는 제2몸체(200) 하단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끼움구멍(220)에 회동 가능하도록 끼워지는데 상기 끼움돌기(120)는 원기둥 형상으로, 일단은 제1몸체(100)와 접하며 타단은 상기 끼움구멍(220)을 향해 돌출된 형상이다. 이때 상기 끼움돌기(120)의 타단에는 턱이 형성되어 있어 끼움돌기(120)가 끼움구멍(220)에 결합된 후 상기 끼움돌기(120)가 끼움구멍(220)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상기 끼움돌기(120)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원형의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는 끼움구멍(220)과 결합한 후 회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원기둥의 모양으로 형성된 끼움돌기(120)의 중심부근이 비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끼움돌기(120)가 끼움구멍(220)에 결합될 때의 용이함을 위해서이다.
상기 체결고리(110)와 체결구멍(210) 및 끼움돌기(120)와 끼움구멍(220)의 결합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끼움돌기(120)는 제1몸체(100)에 형성되며 상기 끼움구멍(220)은 제2몸체(200)에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체결고리(110) 및 체결구멍(210)과 마찬가지로 상기 끼움돌기(120)가 제2몸체(200)에 형성되고 상기 끼움구멍(220)이 제1몸체(100)에 형성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도 7 은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가 결합되는 상단 모습 및 고리(300)가 회동가능하도록 끼워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제2몸체(200) 상단에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300)가 회동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고리(300)가 회동가능함으로써 본 발명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몸체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1몸체(100) 또는 제2몸체(200)의 빗면과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회동시켜 보관 및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고리(300) 하단에는 고리돌기(3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리돌기(310)는 제2몸체(200) 상단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리구멍(230)에 회동가능하도록 끼워지는데 상기 고리돌기(310)는 원기둥 형상으로 일단은 고리(300)와 접하며 타단은 고리구멍(230)을 향해 돌출된 형상이다. 이때 상기 고리돌기(310)의 타단에는 턱이 형성되어 있어 고리돌기(310)가 고리구멍(230)에 결합된 후 상기 고리돌기(310)가 고리구멍(230)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상기 고리돌기(310)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있어 원형의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리구멍(230)과 결합한 후 회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원기둥의 모양으로 형성된 고리돌기(310)의 중심부근이 비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고리돌기(310)가 고리구멍(230)에 결합될 때의 용이함을 위해서이다.
상기 고리(300)가 고리돌기(310)와 고리구멍(230)과 결합한 부근의 제2몸체(200) 상단에는 걸림돌기(2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240)는 고리(300)가 단방향으로만 회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회동가능한 고리(300)가 양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고리(300)를 이용해 건조대나 옷장의 봉 등에 거는 작업을 할 때, 고리(300)가 의도치않게 회동하여 기립하지 않고 아래로 회동할 수 있는바,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게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걸림돌기(240)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상기 고리(300)는 단방향으로만 회동할 수 있어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아래로 회동시켜 몸체로부터 고리(300)가 튀어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상기 고리(300)를 걸림돌기(240)에 걸쳐 기립시킬 수 있어, 상기 고리(300)를 기립시켜 건조대나 옷장의 봉 등에 걸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거치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250)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200)의 빗면에서부터 하단부까지 내려오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만 상기 거치부(250)의 시작지점이 제2몸체(200) 빗면에서 시작되는 것은 제1몸체(100)의 빗면에서 시작되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거치부(250)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넥타이 또는 스카프 등의 장신구(A)을 집어 거치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 하단부에 하의를 건 후 상기 거치부(250)를 통해 집어 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거치부(250)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동작하는 모습을 도 8 및 10 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단에 형성된 체결고리(110)와 체결구멍(210), 하단에 형성된 끼움돌기(120)와 끼움구멍(220)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각각 결합된다. 이때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고리(110)와 체결구멍(210)의 결합을 해제시키고 끼움돌기(120)와 끼움구멍(220)이 결합된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상기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를 'W' 형상으로 접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이 'W' 형상으로 접힌 후 앞트임이 없거나 목이 좁은 상의의 목부분을 강제로 늘리지 않고 삽입되는 모습을 도 11 내지 14 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기 끼움돌기(120)와 끼움구멍(220)이 결합된 지점을 중심으로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를 'W' 형상으로 접힌 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의(B)의 목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접게되면 상의(B)의 목부분을 강제로 넓히지 않아도 삽입이 가능하여 목부분이 손상이나 늘어나는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상의(B)의 목부분에 삽입된 후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부분이 펼쳐지게 되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단에 형성된 체결고리(110)와 체결구멍(210)을 결합하게 되면 상의(B)의 목부분의 변형없이 옷걸이가 상의(B)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체결고리(110)와 체결구멍(210)의 결합 전에 넥타이나 스카프 등의 장신구(A) 등을 본 발명 하단부에 상기 거치부(250)가 접하는 지점에 걸친 후 상기 거치부(250)를 이용하여 집어 상기 체결고리(110)와 체결구멍(210)을 결합하면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신구(A)도 함께 거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장신구(A)뿐만 아니라 하의 또한 같은 방법으로 거치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접이식 옷걸이를 이용하여 접어서 상의에 삽입할 수 있는바, 앞트임이 없거나 목부분이 좁은 상의(B)의 목부분의 손상이나 변형없이 삽입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고리(300)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보관 및 이동시 몸체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도록 고리(300)를 회동시킬 수 있고, 상의 외 하의 및 넥타이 또는 스카프 등의 장신구(A)도 거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다. 또한, 단순한 결합을 채택하여 제작의 용이함을 얻을 수 있어 제조단가의 하락을 기대할 수 있다.
100 : 제1몸체 110 : 체결고리
120 : 끼움돌기 200 : 제2몸체
210 : 체결구멍 220 : 끼움구멍
230 : 고리구멍 240 : 걸림돌기
250 : 거치부 300 : 고리
310 : 고리돌기
A : 장신구 B : 상의

Claims (5)

  1. 의류 안에 삽입되어 상기 의류를 지지할 수 있는 옷걸이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는 예각을 가진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로 이루어지며,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의 상측 일단이 탈착 가능하고, 하측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측 일단이 해제되며 하측이 회동하여 접혀지되,
    상기 제2몸체(200) 상단에는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고리(300)와, 상기 고리(300)를 지지하며 상기 고리(300)가 단방향으로만 회동하도록 하는 걸림돌기(240)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240)를 통해 고리(300)의 기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옷걸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는 하단부의 길이가 긴 몸체가 아래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비대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옷걸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는 각각의 상단부에 형성된 체결고리(110)와 체결구멍(210)에 의해 결합가능하되,
    상기 제2몸체(200)는 빗면에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체결고리(110)가 체결구멍(210)에 결합되었을 때 하단부에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거치부(250)을 포함하여, 상기 하단부에 장신구(A)를 고정하여 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옷걸이.
  4. 삭제
  5. 삭제
KR1020130146389A 2013-11-28 2013-11-28 접이식 옷걸이 KR101560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389A KR101560152B1 (ko) 2013-11-28 2013-11-28 접이식 옷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389A KR101560152B1 (ko) 2013-11-28 2013-11-28 접이식 옷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961A KR20150061961A (ko) 2015-06-05
KR101560152B1 true KR101560152B1 (ko) 2015-10-15

Family

ID=53499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389A KR101560152B1 (ko) 2013-11-28 2013-11-28 접이식 옷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1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197Y1 (ko) 2017-12-06 2018-12-26 최현철 다기능 옷걸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913B1 (ko) 2015-09-03 2017-07-14 김영주 접이식 옷걸이
KR20190047276A (ko) 2017-10-27 2019-05-08 지호정 버튼 접이식 옷걸이
KR20230115674A (ko) 2022-01-27 2023-08-03 정무건 접이식 옷걸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4441B2 (ja) 1992-01-21 2000-01-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風洞における気流可視化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4441B2 (ja) 1992-01-21 2000-01-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風洞における気流可視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197Y1 (ko) 2017-12-06 2018-12-26 최현철 다기능 옷걸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961A (ko) 2015-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152B1 (ko) 접이식 옷걸이
KR20060105671A (ko) 합체형 루프 행거를 위한 2-부분 설계
KR101379023B1 (ko) 옷걸이
US6427882B1 (en) Collapsible garment hanger
JP4523986B1 (ja) 衣類用の多機能ハンガー
JP5266403B2 (ja) 折畳み式多連ハンガー具
KR200463590Y1 (ko) 옷걸이
KR101227054B1 (ko) 사용이 편리한 옷걸이
KR200354714Y1 (ko) 세탁물 건조걸이
KR200170069Y1 (ko) 다용도 옷걸이
KR20110004673U (ko) 옷걸이
JP2003126596A (ja) ハンガ
US20180184829A1 (en) Garment Hanger
KR102570683B1 (ko) 의류변형방지용 옷걸이
KR101197479B1 (ko) 옷걸이
US11278141B2 (en) Garment and hood hanger
JP3096968U (ja) フック収納ハンガー
JP3079062U (ja) 衣料用ハンガー
KR200340582Y1 (ko) 바지걸이 겸용 옷걸이
CN201700969U (zh) 一种多用衣架
JP3118507U (ja) ハンガー
JP2009095363A (ja) 折り畳み式ハンガー
JP3118371U (ja) ハンガーセット
KR20160000712A (ko) 접이식 옷걸이
JP3151386U (ja) 靴下ハン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