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345Y1 - 3단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 - Google Patents

3단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345Y1
KR200446345Y1 KR2020090009263U KR20090009263U KR200446345Y1 KR 200446345 Y1 KR200446345 Y1 KR 200446345Y1 KR 2020090009263 U KR2020090009263 U KR 2020090009263U KR 20090009263 U KR20090009263 U KR 20090009263U KR 200446345 Y1 KR200446345 Y1 KR 2004463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link
link member
guide rai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2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
Original Assignee
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 filed Critical 김현
Priority to KR20200900092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3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3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3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4Slidable hangers ; Adjustable hangers
    • A47G25/441Slidable hangers ; Adjustable hangers having adjustable width
    • A47G25/442Slidable hangers ; Adjustable hangers having adjustable width to support shouldered garments
    • A47G25/443Slidable hangers ; Adjustable hangers having adjustable width to support shouldered garments comprising shoulder support arms or members being concurrently adjustable, e.g. by a rack and pinion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0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with devices for preserving the shape of the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8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 A47G25/483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with pivoting clamps or clips having axis of rotation parallel with the hanger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8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 A47G25/487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for clamping the trousers or skirts against the trouser-supporting bar or between trouser-supporting bar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3단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3단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는, 전면 일측에 가이드홈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수직가이드레일이 설치되어 있고, 수직가이드레일의 하부에 걸림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고리 모양의 걸이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중앙축부재와; 중앙축부재의 양측에 일측이 고정된 채, 중앙축부재로부터 일정한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측부가이드레일과; 내측에 측부가이드레일이 삽입되는 측부가이드레일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측부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어깨지지대와; 일측이 어깨지지대의 저면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제1링크부재와; 일측이 제1링크부재와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링크부재와; 일측이 제2링크부재와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이 걸림부재와 힌지 결합되어 있는 제3링크부재와; 상부에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전면가이드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전면가이드부재의 하부에 상기 수직가이드레일이 삽입되는 가이드레일삽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양 측면에 제3링크부재의 가이드홀에 끼워져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는 견인핀이 설치되어 있어 전면가이드부재가 상하 이동하면서 제2링크부재 및 제3링크부재를 회전시켜 어깨지지대를 이동시키도록 된 상하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여, 중앙의 전면가이드부재에 설치된 손잡이를 상하로 이동시 킴에 따라 상하이동부재와 연결된 양측의 제2링크부재 및 제3링크부재가 회전하면서 양측의 어깨지지대가 측부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므로 간편하게 옷걸이의 어깨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한번에 양측의 어깨 길이를 조절하게 됨으로 인해 양쪽 어깨가 균일한 비율로 길이 조절되어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3단 링크를 이용함으로써 이동 거리를 증가시켜 어깨 길이의 조절 폭을 증가시키게 된다.
옷걸이, 링크, 레일

Description

3단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Hanger used three step rink}
본 고안은 중앙의 전면가이드부재에 설치된 손잡이를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하이동부재와 연결된 양측의 제2링크부재 및 제3링크부재가 회전하면서 양측의 어깨지지대가 측부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므로 간편하게 옷걸이의 어깨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한번에 양측의 어깨 길이를 조절하게 됨으로 인해 양쪽 어깨가 균일한 비율로 길이 조절되어 균형을 유지할 수 있고, 어깨 길이 조절 폭을 증가시키도록 한, 3단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옷걸이 중에서 어깨의 길이를 가변하도록 된 구성은 다양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 중 '길이 가변형 옷걸이'(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9034호)에는 옷걸이의 지지부재의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되면서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부재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은 중앙측에 위치한 지지부재와, 어깨 쪽에 위치한 어깨부위부재 사이에 레일에 해당하는 길이조절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 지지부재 하부에 스위치가 설치되어 스위치를 누름에 의해 지지부재로부터 길이조절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하였다.
한편, '길이조정이 가능하며 옷감의 손상방지를 위한 옷걸이'(한국 공개특허공보 1998-0026323)에도 옷걸이 양측의 길이를 각각 별도로 조절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또, 미국 등록특허 'US6,964,360' 역시 개별조절 요소와 암을 포함함으로써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바지와 상의를 동시에 걸 수 있고 옷의 사이즈에 맞춰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옷걸이 들은 어깨의 길이를 조절할 때 양측의 길이를 별도로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어깨 길이 조절을 할 때 스위치를 누르는 작업, 길이조절부재를 이동시키는 작업을 순서대로 두번 반복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구성은 양측의 길이조절부재를 별도로 수작업으로 길이 조절하는 바, 균일한 비율로 유지하면서 이동시키기 어려워 옷걸이에 건 옷의 일측 어깨가 헐겁게 지지되던가 한 쪽은 빡빡하게 지지되어 주름이 생기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3단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걸이 대상이 되는 옷의 어깨를 지지하는 어깨지지대가 측부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되, 어깨지지대는 중앙의 상하이동부재와 링크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중앙에 배치된 손잡이 또는 전면가이드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작만으로 양측의 어깨지지대를 균일한 비율로 이동시켜 길이 조절을 하려는 것이다.
즉, 손잡이의 상,하 이동만으로 양쪽 어깨지지대를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이 간단해지게 하고, 양쪽의 어깨지지대가 균일한 비율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좌,우 어깨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한 정밀한 옷걸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특히, 링크를 구성함에 있어서, 2단링크와 3단링크로 구성하고, 3단링크에 가이드홀을 형성하고 상하이동부재에 견인핀을 설치하여 상하이동부재를 이동시킬 때 견인핀이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3링크부재를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제2링크부재가 함께 회전하면서 어깨 조절 폭을 크게 하여 어깨가 좁은 어린이로부터 어깨가 매우 넓은 건장한 성인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용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하부에 제1수직부재와 제1수평부재로 구성된 바지 걸이를 더 구비하고, 그 하부에 제2수직부재와 제2수평부재로 된 넥타이 걸이를 더 구비하며, 그 하부에 이동식 집게에 의해 바지를 집어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상의 및 하의, 넥타이 등을 모두 걸 수 있는 다용도의 옷걸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3단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면 일측에 가이드홈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수직가이드레일이 설치되어 있고, 수직가이드레일의 하부에 걸림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고리 모양의 걸이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중앙축부재와; 중앙축부재의 양측에 일측이 고정된 채, 중앙축부재로부터 일정한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측부가이드레일과; 내측에 측부가이드레일이 삽입되는 측부가이드레일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측부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어깨지지대와; 일측이 어깨지지대의 저면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제1링크부재와; 일측이 제1링크부재와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링크부재와; 일측이 제2링크부재와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이 걸림부재와 힌지 결합되어 있는 제3링크부재와; 상부에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전면가이드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전면가이드부재의 하부에 상기 수직가이드레일이 삽입되는 가이드레일삽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양 측면에 제3링크부재의 가이드홀에 끼워져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는 견인핀이 설치되어 있어 전면가이드부재가 상하 이동하면서 제2링크부재 및 제3링크부재를 회전시켜 어깨지지대를 이동시키도록 된 상하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어깨지지대의 측부가이드레일삽입홈은 저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 어 있고, 측부가이드레일의 끝단 저면에는 두 개의 제1수직부재가 연결되고, 제1 수직부재의 저면을 연결하는 제1수평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수평부재에 두 개의 제2수직부재가 연결되어 있고, 제2수직부재를 연결하는 제2수평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수평부재의 상면에 다수 개의 칸막이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수평부재의 저부는 중앙에 걸이봉삽입홈이 형성된 '∩'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걸이봉삽입홈에 걸이봉이 설치되어 있으며, 걸이봉을 따라 이동하는 집게가 두 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해, 걸이 대상이 되는 옷의 어깨를 지지하는 어깨지지대가 측부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되, 어깨지지대는 중앙의 상하이동부재와 링크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중앙에 배치된 손잡이 또는 전면가이드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작만으로 양측의 어깨지지대를 균일한 비율로 이동시켜 길이 조절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손잡이의 상,하 이동만으로 양쪽 어깨지지대를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이 간단해지게 하고, 양쪽의 어깨지지대가 균일한 비율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좌,우 어깨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한 정밀한 옷걸이가 제공된다.
특히, 링크를 구성함에 있어서, 2단링크와 3단링크로 구성하고, 3단링크에 가이드홀을 형성하고 상하이동부재에 견인핀을 설치하여 상하이동부재를 이동시킬 때 견인핀이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3링크부재를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제2링크부재가 함께 회전하면서 어깨 조절 폭을 크게 하여 어깨가 좁은 어린이로부터 어깨가 매우 넓은 건장한 성인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하부에 제1수직부재와 제1수평부재로 구성된 바지 걸이를 더 구비하고, 그 하부에 제2수직부재와 제2수평부재로 된 넥타이 걸이를 더 구비하며, 그 하부에 이동식 집게에 의해 바지를 집어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상의 및 하의, 넥타이 등을 모두 걸 수 있는 다용도의 옷걸이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3단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3단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3단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는 크게 중앙축부재(10), 측부가이드레일(20), 어깨지지대(30), 제1링크부재(40), 제2링크부재(50), 제3링크부재(60), 상하이동부재(70)로 구성된다.
중앙축부재(10)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면 일측에 가이드홈(11)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수직가이드레일(12)이 설치되어 있고, 수직 가이드레일(12)의 하부에 걸림부재(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고리 모양의 걸이부재(14)가 설치되어 있다.
걸이부재(14)는 옷걸이 설치를 위한 봉에 걸리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중앙축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중앙축부재(10)에 볼트삽입구를 형성하여 걸이부재(14) 하부를 볼트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걸림부재(13)는 상하이동부재(7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돌출된 형상을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수직가이드레일(12)이 걸림부재(13)를 관통한 뒤 걸림부재너트(13b)에 체결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중앙축부재(10)에 수직가이드레일(12)을 설치한 것은 상하이동부재(7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설치한 것으로 상하이동부재(70) 이동시 두 개의 부재가 서로 가이드되도록 함으로써 상하이동부재(70)의 이동시 이동 거리의 오차가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측부가이드레일(20)은 도시된 것처럼 일측이 중앙축부재(10)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일정한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축부재(10)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어깨지지대(30)는 내측에 상기 측부가이드레일(20)이 삽입되는 측부가이드레일삽입홈(31)이 형성되어 있어 측부가이드레일(2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측부가이드레일(20)과 어깨지지대(30)가 사각형의 형상과 사각형의 형상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잔넬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그 형상을 상기 도면 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의 레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링크부재(40)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어깨지지대(30)의 저면 일측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2링크부재(50)는 제1링크부재(40)와 힌지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제1링크부재(40)의 타측에는 제1볼트삽입홀(41)을 형성하고, 제2링크부재(50)의 일측에 제2볼트삽입홀(51)을 형성하여 제1볼트(42)를 이용하여 제1볼트삽입홀(41) 및 제2볼트삽입홀(51)을 관통한 후 제1너트(43)를 제1볼트(42)에 체결함으로써 제1링크부재(40)를 축으로 제2링크부재(50)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또는, 제1링크부재(40)는 두 개의 플레이트판으로 형성하고, 두 플레이트판에는 제1볼트삽입홀(41)을 형성한 다음 제2링크부재(50)를 제1링크부재(40)를 구성하는 두 플레이트판 사이에 끼운 후 제1볼트(42)를 관통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제1볼트(42)는 나사산을 구비한 부재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너트와 체결되는 부분에만 나사산을 구비하고 그 외의 몸통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2링크부재(50)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제1링크부재(40)와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타측이 제3링크부재(60)와 힌지 결합되어 있다.
이를 위해 제2링크부재(50)의 타측에는 제3볼트삽입홀(52)이 형성되어 있고, 제3링크부재(60)의 일측에는 제4볼트삽입홀(62)을 형성하여 제2볼트(53)를 이용하여 제3볼트삽입홀(52) 및 제4볼트삽입홀(62)을 관통한 후 제2너트(54)를 제2볼트(53)에 체결함으로써 제2링크부재(50)를 축으로 제3링크부재(60)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3링크부재(60)는 몸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홀(6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제3링크부재(60)의 타측은 중앙축부재(10)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수직가이드레일(12)의 하부 양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부재(13)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있다.
이를 위해, 제3링크부재(60)의 타측에는 제5볼트삽입홀(63)이 형성되어 있고, 걸림부재(13)의 양측에는 제6볼트삽입홀(13a)을 형성하여 제3볼트(65)를 이용하여 제5볼트삽입홀(63) 및 제6볼트삽입홀(13a)을 관통한 후 제3너트(65)를 제3볼트(65)에 체결함으로써 걸림부재(13)를 축으로 제3링크부재(60)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하이동부재(70)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에 전면가이드부재(71)가 설치되어 있다.
전면가이드부재(71)는 중앙축부재(10)에 형성된 가이드홈(11)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전면가이드부재(71)의 앞쪽에 손잡이(71a)가 설치되어 손잡이(71a)를 잡고 상,하로 이동시키면 전면가이드부재(71)가 가이드홈(11)에 삽입된 채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하이동부재(70)의 상면에는 전면가이드부재(71) 뒷쪽으로 가이드레일삽입홀(72)이 형성되어 있어 수직가이드레일(12)이 가이드레일삽입홀(72)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하이동부재(70)의 양측에는 견인핀(74)이 설치되어 있는데, 견인핀(74)은 제3링크부재(60)의 가이드홀(61)에 끼워져 가이드홀(61)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전면가이드부재(71)가 상하 이동하게 되면 이를 따라 상하이동부재(70)가 함께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하이동부재(70)의 양측에 설치된 견인핀(74)이 제3링크부재(60)를 중앙측으로 당기거나 밀게 되어 제3링크부재(60)와 연결되어 있는 제2링크부재(50)를 회전시키면서 당기거나 밀면서 결국엔 제2링크부재(50)와 연결된 제1링크부재(40)가 중앙측으로 이동하거나 멀어지면서 어깨지지대(30)를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하이동부재(70)의 양측에는 견인핀삽입홀(73)이 형성되어 있고, 견인핀(74)이 가이드홀(61) 및 견인핀삽입홀(73)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견인핀삽입홀(73)을 관통한 견인핀(74)에 견인핀너트(74a)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3단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에 상의(100)를 건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3단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의 작동 상태를 나타냈 다.
도 3은 손잡이(71a)를 위로 올렸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손잡이(71a)를 올리게 되면 손잡이(71a)가 연결된 전면가이드부재(71), 전면가이드부재(71)가 연결된 상하이동부재(7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하이동부재(70)는 전면가이드부재(71) 및 수직가이드레일(12)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이동상의 오차는 최소화된다.
이처럼 상하이동부재(70)가 손잡이(71a)의 작동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서 손잡이(71a)와 연결된 상하이동부재(7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하이동부재(70)와 견인핀(74)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제3링크부재(60)가 제6볼트삽입홀(13a)을 축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3링크부재(60)의 일측 즉, 제4볼트삽입홀(62) 측이 중앙 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에 제4볼트삽입홀(62)과 제2볼트(53)에 의해 연결된 제2링크부재(50)가 함께 중앙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에 제2링크부재(50)와 연결된 제1링크부재(40) 및 이에 연결된 어깨지지대(30)가 중앙 측으로 이동하면서 중앙으로부터 어깨지지대(30) 양 끝단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게 된다.
도 4는 손잡이(71a)를 내릴 때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손잡이(71a)를 내리게 되면 손잡이(71a)가 연결된 전면가이드부재(71), 전면가이드부재(71)가 연결된 상하이동부재(70)가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상하이동부재(70)가 하부로 이동할 때 상하이동부재(70)와 견인 핀(74)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제3링크부재(60)가 제6볼트삽입홀(13a)을 축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3링크부재(60)의 일측 즉, 제4볼트삽입홀(62) 측이 중앙에서 멀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도 3과 반대로 제2링크부재(50)와 연결된 제1링크부재(40) 및 이에 연결된 어깨지지대(30)가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하면서 중앙으로부터 어깨지지대(30) 양 끝단 사이의 거리가 늘어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서 도 5는 본 고안의 3단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의 하부에 바지나 치마 등을 걸 수 있도록 한 구성을 나타냈다.
이때, 측부가이드레일삽입홈(31)은 '∩'와 같이 저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하고, 측부가이드레일(20)의 끝단 저면에 두 개의 제1수직부재(80)가 연결된다.
아울러, 두 개의 제1수직부재(80)의 저면을 연결하는 제1수평부재(81)가 설치된다.
도면에서 두 개의 제1수직부재(80) 끝단에 플레이트고정볼트삽입홀(82a)이 형성된 플레이트(82)를 설치하고, 플레이트고정볼트(83)를 이용하여 측부가이드레일(20)에 고정하도록 한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제1수직부재(80) 및 제1수평부재(81)를 설치한 다음에 넥타이나 목도리, 두건 등을 걸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추가할 수 있다.
도 6을 살펴보면 제1수평부재(81)에 두 개의 제2수직부재(90)가 연결되어 있 고, 제2수직부재(90)를 연결하는 제2수평부재(91)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수평부재(91)의 상면에 다수 개의 칸막이돌기(91a)가 형성된 구성이 도시되었다.
제2수직부재(90)가 제1수평부재(81)에 연결되는 방식은 볼팅 방법이나 도면에 도시된 끼움부재(90a) 등을 이용한 끼움식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칸막이돌기(91a)를 형성한 것은 각 칸마다 구분 지어 거는 것은 물론이며, 제2수평부재(91)가 경사지게 설치됨으로 인해 한 쪽으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2수평부재(91) 및 제2수직부재(90)를 추가한 구성에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2수평부재(91)의 저부를 걸이봉삽입홈(92)이 형성된 '∩' 형태로 형성하고, 걸이봉삽입홈(92)에 걸이봉(93)을 설치하며, 걸이봉(93)을 따라 이동하는 집게(94)를 두 개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바지 등을 접어서 거는 것이 아닌 집게(94)를 이용하여 집게(94)에 물려 고정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부가 구성들은 제1수평부재(81) 및 제2수평부재(91)의 길이 조절이 불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상의의 어깨 폭이 넓어지게 되면 이에 따라 바지의 폭도 넓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1수직부재(80)를 측부가이드레일(20)에 고정하는 것 이 아니라 어깨지지대(30)에 고정하고, 제1수직부재(80)를 두 개의 부속으로 구분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수직부재(80)는 암수 한 쌍으로 구성함으로써 수컷 부재가 암컷부재 사이에 삽입된 채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손잡이(71a)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되면 어깨지지대(30)가 좁아졌다 넓어졌다 하면서 동시에 제1수평부재(81)가 넓어졌다 좁아졌다 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방식에 맞추어 제2수평부재(91) 역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처럼 제1수평부재(81) 및 제2수평부재(91)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은 도면에 첨가하지는 않았으나, 상술한 설명만으로도 충분히 실시할 수 있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3단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옷걸이에 상의를 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옷걸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옷걸이에 제1수직부재 및 제1수평부재가 추가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옷걸이에 제2수직부재 및 제2수평부재가 추가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옷걸이에 집게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중앙축부재 11 : 가이드홈
12 : 수직가이드레일 13 : 걸림부재
13a : 제6볼트삽입홀 13b : 걸림부재너트
14 : 걸이부재 20 : 측부가이드레일
30 : 어깨지지대 31 : 측부가이드레일삽입홈
40 : 제1링크부재 41 : 제1볼트삽입홀
42 : 제1볼트 43 : 제1너트
50 : 제2링크부재 51 : 제2볼트삽입홀
52 : 제3볼트삽입홀 53 : 제2볼트
54 : 제2너트 60 : 제3링크부재
61 : 가이드홀 62 : 제4볼트삽입홀
63 : 제5볼트삽입홀 70 : 상하이동부재
71 : 전면가이드부재 71a : 손잡이
72 : 가이드레일삽입홀 73 : 견인핀삽입홀
74 : 견인핀 74a : 견인핀너트
80 : 제1수직부재 81 : 제1수평부재
82 : 플레이트 82a: 플레이트고정볼트삽입홀
83 : 플레이트고정볼트 90 : 제2수직부재
90a : 끼움부재 91 : 제2수평부재
91a : 칸막이돌기 92 : 걸이봉삽입홈
93 : 걸이봉 94 : 집게
100 : 상의

Claims (4)

  1. 옷걸이에 있어서,
    전면 일측에 가이드홈(11)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수직가이드레일(12)이 설치되어 있고, 수직가이드레일(12)의 하부에 걸림부재(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고리 모양의 걸이부재(14)가 설치되어 있는 중앙축부재(10)와;
    상기 중앙축부재(10)의 양측에 일측이 고정된 채, 중앙축부재(10)로부터 일정한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측부가이드레일(20)과;
    내측에 상기 측부가이드레일(20)이 삽입되는 측부가이드레일삽입홈(31)이 형성되어 있어 측부가이드레일(2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어깨지지대(30)와;
    일측이 상기 어깨지지대(30)의 저면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제1링크부재(40)와;
    일측이 상기 제1링크부재(40)와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링크부재(50)와;
    일측이 상기 제2링크부재와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홀(6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이 걸림부재(13)와 힌지 결합되어 있는 제3링크부재(60)와;
    상부에 상기 가이드홈(11)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전면가이드부재(71) 가 설치되어 있고, 전면가이드부재(71)의 하부에 상기 수직가이드레일(12)이 삽입되는 가이드레일삽입홀(72)이 형성되어 있고, 양 측면에 제3링크부재(60)의 가이드홀(61)에 끼워져 가이드홀(61)을 따라 이동하는 견인핀(74)이 설치되어 있어 전면가이드부재(71)가 상하 이동하면서 제2링크부재 및 제3링크부재(60)를 회전시켜 어깨지지대(30)를 이동시키도록 된 상하이동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
    3단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지지대(30)의 측부가이드레일삽입홈(31)은 저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부가이드레일(20)의 끝단 저면에는 두 개의 제1수직부재(80)가 연결되고, 제1 수직부재의 저면을 연결하는 제1수평부재(8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단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부재(81)에 두 개의 제2수직부재(90)가 연결되어 있고, 제2수직부재(90)를 연결하는 제2수평부재(91)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수평부재(91)의 상면 에 다수 개의 칸막이돌기(91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단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
  4. 제 3항에 있어서,
    제2수평부재(91)의 저부는 중앙에 걸이봉삽입홈(92)이 형성된 '∩'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걸이봉삽입홈(92)에 걸이봉(93)이 설치되어 있으며, 걸이봉(93)을 따라 이동하는 집게(94)가 두 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단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
KR2020090009263U 2009-07-16 2009-07-16 3단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 KR2004463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263U KR200446345Y1 (ko) 2009-07-16 2009-07-16 3단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263U KR200446345Y1 (ko) 2009-07-16 2009-07-16 3단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345Y1 true KR200446345Y1 (ko) 2009-10-20

Family

ID=41562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263U KR200446345Y1 (ko) 2009-07-16 2009-07-16 3단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34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271B1 (ko) * 2012-02-13 2014-03-12 류호찬 길이 가변형 옷걸이
WO2020189920A1 (ko) * 2019-03-18 2020-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WO2020189921A1 (ko) * 2019-03-19 2020-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576A (ko) * 1999-06-03 1999-09-06 이무덕 옷걸이
JP2000287816A (ja) 1999-04-05 2000-10-17 Shigeyuki Hayashi 衣服の首が伸びずに容易に脱着出来る開閉式衣紋掛け
KR200218178Y1 (ko) 2000-08-28 2001-03-15 김선욱 접철식 옷걸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7816A (ja) 1999-04-05 2000-10-17 Shigeyuki Hayashi 衣服の首が伸びずに容易に脱着出来る開閉式衣紋掛け
KR19990068576A (ko) * 1999-06-03 1999-09-06 이무덕 옷걸이
KR200218178Y1 (ko) 2000-08-28 2001-03-15 김선욱 접철식 옷걸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271B1 (ko) * 2012-02-13 2014-03-12 류호찬 길이 가변형 옷걸이
WO2020189920A1 (ko) * 2019-03-18 2020-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US11857095B2 (en) 2019-03-18 2024-01-02 Lg Electronics Inc. Clothes hanger
WO2020189921A1 (ko) * 2019-03-19 2020-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KR20200111419A (ko) * 2019-03-19 2020-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US11666166B2 (en) 2019-03-19 2023-06-06 Lg Electronics Inc. Clothes hanger
KR102632271B1 (ko) 2019-03-19 2024-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345Y1 (ko) 3단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
US4901894A (en) Snap on auxiliary bar for hangers
JP2005034643A (ja) 調節可能な衣料用ハンガー
CN108095412B (zh) 自锁折叠床架
US4884727A (en) Hanger with snap-on adjustable clips
US8292135B1 (en) Clothes hangar assembly, adaptation apparatus, kit and hangar so formed
KR101500984B1 (ko) 접이식 빨래건조대
EP2630893B1 (en) Device for connecting chairs in a row
US11330923B2 (en) Collapsible and locking clothes hanger
DE60307210T2 (de) Kleiderbügelstruktur mit variabler Breite
CN201260583Y (zh) 带防风绳的防脱衣架
KR20100133156A (ko)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
CA1283388C (en) Sliding clamp hanger
DE19652915C2 (de) Bügeltisch
CN210540618U (zh) 一种多用衣架
KR20140119599A (ko) 전구교환 겸 유실수채취 겸 자로 구성된 다기능장대
CN220057391U (zh) 一种可折叠晾衣架
KR101125832B1 (ko) 접이식 옷걸이
CN215777127U (zh) 一种具有伸缩功能的儿童衣架
CN208755614U (zh) 可折叠联排衣架
CN209867011U (zh) 一种方便调节的铜丝支架
CN108741454A (zh) 一种防盗防爆拉链
CN217390421U (zh) 一种易于安装的铁网用三连挂钩
CN219895318U (zh) 衣撑
CN202116901U (zh) 一种挂烫机衣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