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178Y1 - 접철식 옷걸이 - Google Patents

접철식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178Y1
KR200218178Y1 KR2020000024340U KR20000024340U KR200218178Y1 KR 200218178 Y1 KR200218178 Y1 KR 200218178Y1 KR 2020000024340 U KR2020000024340 U KR 2020000024340U KR 20000024340 U KR20000024340 U KR 20000024340U KR 200218178 Y1 KR200218178 Y1 KR 2002181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central axis
extension
cloth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3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욱
Original Assignee
김선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욱 filed Critical 김선욱
Priority to KR20200000243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1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1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178Y1/ko

Link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옷걸이는 고리부, 고리부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체의 연장부, 연장부의 외부 일측과 타측에 일단이 축결합된 제 1걸이대와 제 2걸이대, 연장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중심축, 일단이 중심축 외주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연장부의 내주에 지지된 스프링, 제 1걸이대와 제 2걸이대의 중간부와 중심축의 일단에 각각 축결합된 제 1지지대와 제 2지지대, 중심축의 외주에 돌출 형성된 제한돌기, 제한돌기의 유통을 제어하여 상기 중심축의 상하 승강구동이 제어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이 마련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는 옷걸이의 걸이대를 접철 가능하게 하여 옷걸이에 옷을 걸거나 벗길 때 사용자의 부주의한 사용으로 옷의 일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옷을 보다 편리하게 걸거나 벗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접철식 옷걸이{A folding type clothes rack}
본 고안은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옷걸이의 받침대 부분을 접철 가능하도록 하여 옷걸이로부터 옷을 걸거나 뺄 때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접철식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걸이는 의류를 펼쳐진 상태로 걸어 옷장 등에 마련된 걸림봉에 걸어서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정소품이다.
이러한 옷걸이 중에는 의류중의 상의 즉, 와이셔츠나 목부분이 둥근 라운드 티 등이 걸리도록 하는 상의 걸이용 옷걸이가 있다. 이 상의 걸이용 옷걸이는 상측에 옷장 등의 걸림봉에 걸리는 고리부가 형성되고, 이 고리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 그리고 연장부에서 양측방으로 소정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걸이대를 형성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옷걸이에서 고리부와 연장부 그리고 걸이대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의 중 사람의 머리부분으로부터 착용되도록 된 옷을 걸거나 벗길 때 옷의 목부분으로 옷걸이를 벗기게 되면 옷의 목부분이 늘어나 옷이 손상되므로 옷의 하부로 옷걸이를 벗겨야만 옷이 손상되지 않는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용자는 옷걸이를 옷의 하부로 벗기는 것이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하기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옷의 목부분으로 옷을 벗기게 되고 이로 인해 옷이 쉽게 손상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옷을 옷걸이로부터 벗길 때 옷걸이의 걸이대가 자동으로 접철되도록 하여 옷을 보다 편리하고 안정되게 벗길 수 있도록 한 접철식 옷걸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다른 옷걸이의 요부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다른 옷걸이에 설치된 연결관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고리부
20...연장부
50,60...지지부
70...중심축
200...제어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고리부, 상기 고리부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체의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외부 일측과 타측에 일단이 축결합된 제 1걸이대와 제 2걸이대, 상기 연장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중심축, 일단이 상기 중심축 외주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연장부의 내주에 지지된 스프링, 상기 제 1걸이대와 제 2걸이대의 중간부와 상기 중심축의 일단에 각각 축결합된 제 1지지대와 제 2지지대, 상기 중심축의 외주에 돌출 형성된 제한돌기, 상기 제한돌기의 유통을 제어하여 상기 중심축의 상하 승강구동이 제어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고리부와 상기 연장부 사이에는 상기 고리부에 결합된 제 1연결관과 상기 연장부에 결합된 제 2연결관이 마련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2연결관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되 회전동작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제 2연결관의 외측으로 노출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며 상기 중심축이 관통하도록 된 관통홀과 상기 제한돌기가 선택적으로 유통하도록 상기 관통홀의 내주에 상기 관통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옷장 등의 걸이봉에 걸리는 고리부(10)를 구비하고, 고리부(10)의 하측으로 중공체로 된 연장부(20)로 포함한다. 그리고 일단이 연장부(20)의 중간부분에 축결합되어 회동 접철이 가능하도록 된 제 1걸이대(30)와 제 2걸이대(40)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 1걸이대(30)에 결합되어 연장부(20) 내부에 설치된 중심축(70)의 하단에 축결합된 제 1지지대(50)가 마련되고, 제 2걸이대(40)와 일단이 결합되어 중심축(70)의 하단에 제 1지지대(50)와 함께 축 결합된 제 2지지대(60)가 마련된다. 또한 이 제 1지지대(50)와 제 2지지대(60)가 중심축(70)과 함께 상하로 운동하도록 연장부(20)의 측면 외주에는 상하로 연장된 두 개의 장공(2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리부(10)와 연장부(20)는 연결관(100)(11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 연결관(100)(110)은 고리부(10)와 결합된 제 1연결관(100)과 연장부(20)와 결합된 제 2연결관(11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부(10)는 제 1연결관(100)과 나사부(101)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고, 연장부(20) 또한 제 2연결관(110)과 나사부(111)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 1연결관(100)과 제 2연결관(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연결관(100)에 형성된 걸림돌기(102)와 제 2연결관(110)에 형성된 걸림홀(113)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중심축(70)의 외주중의 연결관(100)(110)의 하측부분에는 스프링(80)이 내장되어 있는데. 이 스프링(80)은 중심축의 외주에 돌출 형성된 돌출턱(72)에 하단이 지지되고, 상단이 연장부(20)의 내부에 돌출 형성된 지지턱(21)에 지지되어 중심축(70)이 탄성력을 받도록 되어 있다. 또한 중심축(70)의 돌출턱(72)이 형성된 부분의 상측에는 제한돌기(71)가 형성되어 잇다.
한편, 연결관(100)(110) 내부에는 제한돌기(71)가 연결관(100)(110)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전술한 제 1걸이대(30)와 제 2걸이대(40)의 펼침 상태가 지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마련된다.
이 제어수단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연결관(110)의 내부에 장착되며 외측면에 제 2연결관(110)에 형성된 절개부(112)를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된 손잡이부(202)를 가진 제어관(200)으로 마련된다.
이 제어관(200)은 중심축(70)이 관통하도록 된 관통홀(203)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관통홀(203)의 내주에 관통홀(203)과 연통되어 상하로 연장된 제한홀(201)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중심축(70)의 승강 제어는 손잡이부(202)를 일측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제한돌기(71)가 제어관(200)의 하단 외주에 걸림으로써 걸이대(30)(40)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손잡이부(202)를 타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제한돌기(71)가 제한홀(201)을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중심축(70)이 상측으로 복원하여 각각의 걸이대(30)(40)가 접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의 작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는 옷을 걸기 위하여 펼칠 때 제 1걸이대(30)와 제 2걸이대(40)를 양측으로 벌리면 그 펼침 동작이 수행된다. 이때 손잡이부(202)는 풀림 상태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손잡이부(202)의 풀림 상태에서 중심축(70)은 제어관(200)의 제한홀(201)을 중심축(70)의 제한돌기(71)가 관통함으로써 하측으로 진행이 이루어지고 계속해서 각 걸이대(30)(40)의 펼침이 수행된다.
그리고 이러한 펼침동작시 스프링(80)은 압착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펼침 동작이 완료되면 손잡이부(202)를 잠김 상태로 회동시킨 후 각 걸이대(30)(490)를 놓으면 걸이대(30)(40)의 펼침 동작이 최종 완료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의류를 옷걸이에 걸면된다. 그리고 이러한 펼침 동작은 미리 옷 내측으로 옷걸이를 삽입한 후 수행할 수 도 있다.
다음으로 접힘 동작은 옷이 옷걸이에 걸려있는 상태에서 손잡이부(202)를 풀림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중심축(70)의 제한돌기(71)는 제어관(200)의 제한홀(201)과 연통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 스프링(80)의 탄성력이 중심축(70)에 작용하고, 이로 인해 중심축(70)은 최초 접힌 상태로 복원하게 된다. 즉 중심축(70)은 상측 고리부(10)로 진행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중심축(70)이 상측으로 복원하면 중심축(70)의 하단에 축 결합된 각각의 지지대(50)(60)는 장공(22)을 따라 중심축(70)과 함께 상측으로 진행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각 지지대(50)(60)의 단부에 결합된 걸이대(30)(40)는 연장부(20) 측으로 접히게 됨으로써 옷이 옷걸이에서 벗겨지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는 손잡이부를 작동시킴으로써 옷걸이에 걸려있는 옷이 자동으로 벗겨지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제시한 실시예와 일부 다른 실시예가 제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실시예들이 기본적으로 옷걸이의 걸이대를 스프링과 다수의 링크 구조로써 접히게 하는 것이라면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는 옷걸이의 걸이대를 접철 가능하게 하여 옷걸이에 옷을 걸거나 벗길 때 사용자의 부주의한 사용으로 옷의 일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옷을 보다 편리하게 걸거나 벗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고리부,
    상기 고리부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체의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외부 일측과 타측에 일단이 축결합된 제 1걸이대와 제 2걸이대,
    상기 연장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중심축,
    일단이 상기 중심축 외주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연장부의 내주에 지지된 스프링,
    상기 제 1걸이대와 제 2걸이대의 중간부와 상기 중심축의 일단에 각각 축결합된 제 1지지대와 제 2지지대,
    상기 중심축의 외주에 돌출 형성된 제한돌기,
    상기 제한돌기의 유통을 제어하여 상기 중심축의 상하 승강구동이 제어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옷걸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와 상기 연장부 사이에는 상기 고리부에 결합된 제 1연결관과 상기 연장부에 결합된 제 2연결관이 마련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2연결관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되 회전동작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제 2연결관의 외측으로 노출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며 상기 중심축이 관통하도록 된 관통홀과 상기 제한돌기가 선택적으로 유통하도록 상기 관통홀의 내주에 상기 관통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한홀을 가진 제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KR2020000024340U 2000-08-28 2000-08-28 접철식 옷걸이 KR2002181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340U KR200218178Y1 (ko) 2000-08-28 2000-08-28 접철식 옷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340U KR200218178Y1 (ko) 2000-08-28 2000-08-28 접철식 옷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178Y1 true KR200218178Y1 (ko) 2001-03-15

Family

ID=73087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340U KR200218178Y1 (ko) 2000-08-28 2000-08-28 접철식 옷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1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345Y1 (ko) 2009-07-16 2009-10-20 김현 3단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345Y1 (ko) 2009-07-16 2009-10-20 김현 3단 링크를 이용한 옷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7397B2 (ja) 折り畳み式スツール
US5649652A (en) Clothes hanger with storage hook
US7246729B2 (en) Gravity actuated collapsible garment hanger
GB2422536A (en) Collapsible garment hanger
KR200218178Y1 (ko) 접철식 옷걸이
JP2023548086A (ja) 風通しハンガー
KR101379023B1 (ko) 옷걸이
KR101560152B1 (ko) 접이식 옷걸이
US5632422A (en) Foldable garment hanger
KR20020034719A (ko) 절첩식 옷걸이
KR200373089Y1 (ko) 접이 옷걸이
KR20220069470A (ko) 탄성 접이식 옷걸이
JPH079288U (ja) ハンガー型物干し器
KR102227465B1 (ko) 다기능 옷걸이
CN216602412U (zh) 一种折叠衣架
US20220022677A1 (en) Expandable clothing hanger
KR200250180Y1 (ko) 절첩식 옷걸이
KR100515154B1 (ko) 옷걸이
KR200215477Y1 (ko) 파라솔의 걸편을 해제하는 횡축 노-브를 가진 살통
JP4303493B2 (ja) 物干し器
KR20180093426A (ko) 원터치 옷걸이
JPH11178700A (ja) ハンガー
KR200147522Y1 (ko) 절첩식 다기능 휴대용 의자
JP6072712B2 (ja) 衣服用開閉ハンガー
KR200304881Y1 (ko) 다림질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